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절변화 원인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대안개념 연구

        김순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2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5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alternative concept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o seasonal changes. From May 2021 to June 2022, it was conducted with 60 pre-primary teachers at P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pre-primary teachers explained the cause of seasonal changes, and out of 60 pre-primary teachers, only 22 (36%) had scientific concepts, and the remaining 38 (64%) students had alternative concepts. Second, in explaining how the inclination of the Earth's axis of rotation is related to seasonal changes, only 16 (27%) of the 60 pre-primary teachers had a scientific concept, and the remaining 44 (73%) had alternative concepts. Third, pre-primary teachers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in the solar altitude and the seasonal change. Among 60 pre-primary teachers, 12 (20%) had a scientific concept, and the remaining 48 (80%) had alternative concepts. Fourth, looking at the comprehensive types of alternative concepts for seasonal changes, the aS-bS-cS type, which is classified as a type that explains the causes of seasonal changes using scientific concepts as a whole, was 8(13%) out of 60 pre-primary teachers. and the remaining 52 (87%) had at least one alternative concept to explain seasonal changes.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에 대한 대안개념에 대한 연구로 2021년 5월부터 2022년 6월까지 P 교육대학교 초등예비교사 6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은 계절변화 원인을 설명하는데 60명의 초등예비교사 중에서 22명(36%)만이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었고, 나머지 38명(64%)의 학생들이 대안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초등예비교사들은 지구의 자전축의 경사가 어떻게 계절변화를 일으키는데 관련되어 있는가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60명의 초등예비교사 중에서16명(27%)만이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었고, 나머지44명(73%)은 대안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은 태양의 남중고도의 변화와 계절변화와의관련성을 설명하는데 초등예비교사 60명 중에서 12명(20%)이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었고, 나머지 48명(80%)가 대안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계절변화에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이 대안개념의 종합적인 유형을살펴보면 계절변화의 원인을 전체적으로 과학개념을사용하여 설명하는 유형으로 분류되는 aS-bS-cS 유형은 60명의 초등예비교사 중에서 8명(13%)에 불과했으며, 나머지 52명(87%)는 계절변화를 설명하는데 모두하나 이상의 대안 개념을 소지하고 있었다. 이상에서살펴 본 결과 초등예비교사들은 계절변화의 원인에 대한 일반적 개념, 자전축의 경사와 계절변화, 남중고도의 변화에 따른 계절변화를 설명할 때 다양한 대안개념을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의 계절변화 단원에 대한 수업곤란도 연구

        김순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3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8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계절변화 단원에 대한 수업 곤란도를 분석한 연구이 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과학 계절의 변화를 구성하는 4개 주제별 초등예비교사의 수업곤란도가 큰 주제부터 제시하면 ‘계절의 변화가 생기는 까닭은 무엇일까요?’(수업곤란 도 4.05), ‘계절에 따라 태양의 남중 고도와 낮과 밤의 길이는 어떻게 달라질까요?’(수업곤란도, 3.12), ‘하루 동안의 태양 고도, 그림자의 길이, 기온은 서로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수업곤란도 2.85), ‘계절에 따라 기 온은 어떻게 달라질까요?’(수업곤란도 2.80)이다. 이것 으로 초등과학 계절의 변화 단원에서 공간지각 개념이 필요한 수업주제로 분류되는 ‘계절의 변화가 생기는 까닭은 무엇일까요?’에 대한 4주제에 대한 수업이 다 른 단원에 비해서 수업곤란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계절변화 단원에서 수업주제별로 수업곤란도 의 요인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초등예비교사들이 계절 변화 단원에 대한 수업을 지도할 때 수업을 어렵게 만 드는 요인을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살펴보면 ‘자전 축 기울기에 따른 태양남중 고도 비교하기 실험 지도’ 가 42명(50%), ‘태양 남중고도와 낮과 밤의 길이 설명 의 어려움’이 38명(45%), ‘남중고도 개념 설명의 어려 움’이 27명(32%), ‘계절별 태양의 위치변화 설명의 어 려움’이 24명(29%), ‘태양고도를 측정할 때 전등의 높 이를 조절해야 하는 합당한 이유 설명’이 20명(24%), ‘태양고도와 최고기온 사이의 불일치 이유 설명의 어 려움’이 16명(19%), ‘모래(지면)온도 측정의 어려움’이 12명(14%)으로 각각 나타났다. 셋째, 수업곤란도 요인을 분석해 보면 교사요인보 다 교육과정요인이 많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초 등예비교사들의 수업곤란도가 가장 크게 나타난 계절 변화 단원 중 4주제인 ‘계절의 변화가 생기는 까닭은 무엇일까요?’에 대한 탐구활동은 교육과정의 측면에 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fficulty level of class on the seasonal change unit for 84 students at a university of educa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we first present the four topics that make up the seasonal changes in elementary science, the subjects that have the greatest difficulty in teaching for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Why do seasonal changes occur?' (Teaching difficulty level 4.05), 'The sun changes depending on the season'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uthern altitude and the length of day and night?’ (difficulty level of class, 3.1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ltitude of the sun, length of shadow, and temperature during the day?’ (difficulty level of class, 2.85), ‘How does the temperature change depending on the season?’ (class difficulty level 2.80). As a result, in the elementary science season change unit, the class on the four topics 'Why do seasons change?', which is classified as a class topic that requires the concept of spatial perception, showed a higher level of class difficulty than other units. Second, in the seasonal change unit, various factors of class difficulty appeared depending on the class topic. Whe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look at the factors that make class difficult when teaching a lesson on seasonal changes in order of frequency, 42 (50%) said 'Experimental instruction for comparing the altitude of solar masculine according to the tilt of the axis of rotation', followed by 'Solar masculine'. 38 people (45%) answered ‘Difficulty in explaining mid-high altitude and the length of day and night’, 27 people (32%) answered ‘Difficulty in explaining the concept of mid-high altitude’, and 24 people (32%) answered ‘Difficulty in explaining seasonal changes in the sun’s position.’ 29%), 20 people (24%) said 'Explain the reasonable reason why the height of the light should be adjusted when measuring the solar altitude', and 16 people (19%) said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reason for the discrepancy between the solar altitude and the maximum temperature'. ), 'difficulties in measuring sand (ground) temperature' were mentioned by 12 people (14%). Third, when analyzing the factors of class difficulty, there were more curriculum factors than teacher factors. In this context, the exploratory activities on 'Why do seasonal changes occur?', the fourth topic of the seasonal change unit in which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showed the greatest difficulty in teaching, need improvement in terms of the curriculum.

      • KCI등재

        How Can We Improve the Lesson on Seasonal Change?

        Je-jun Han,Dong-hyun Chae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7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0 No.3

        이 연구는 계절 변화에 대한 초등학생들과 벨리 즈 초등교사의 선개념을 조사하고 계절 변화의 원 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실험을 고안한 것이 다. 계절 변화에 대한 선개념을 알아보기 위해 계절 변화를 학습하지 않은 초등학교 6학년 91명의 학생 과 벨리즈 초등교사 1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 지와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귀납적 분석법을 이용 하여 범주화하였다. 초등학생과 벨리즈 초등교사는 계절 변화의 원인을 지구의 자전, 태양과 지구 사이 의 거리, 지구의 공전, 환경오염이나 기후변화 등으 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오개념은 공간 인식에 대한 어려움, 교과서나 교재의 부정확함 등 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 변화에 대한 부정확한 선개념을 바로 잡고 계절 변화 수업을 개선하기 위하여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에 따른 태양의 남중 고도와 낮과 밤의 길이 를 측정하고, 이를 비교하는 실험을 고안하였다. 이 실험은 태양의 남중 고도와 낮의 길이 변화와 같은 자연 현상을 모형을 통해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계 절변화의 원인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concep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Beliz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devise experiment to understand a cause of seasonal change. An open-ended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91 6th grade students who didn't learn seasonal change and 10 Belizean teachers to find out preconception of seasonal change and they were categorized by using inductive analysis. They thought that the Earth's rota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Sun and the Earth, the Earth's revolution,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cause seasonal change. And it found out that these misconceptions come from difficulty in awareness of space and impreciseness of textbooks and books and so on. The experiment was designed to correct inaccurate preconception and to improve lessons of seasonal change. It is to measure a meridian altitude and a length of daytime and nighttime and to compare them. This experiment can help to understand the cause of seasonal change by measuring natural phenomenons like the meridian altitude and the change of length of daytime by model.

      • KCI등재

        樗村 沈錥의 節候詩 硏究

        성범중 한국한시학회 2012 韓國漢詩硏究 Vol.20 No.-

        저촌 심육은 학자로서는 비교적 많은 2,200제에 이르는 한시를 남긴 인물이다. 그는 삶의 대부분을 전국을 유람하거나 강학하면서 보내었다. 시세계는 대체로 기행시와 생활시로 나누어 볼 수 있고, 작품은 聲病에 구애받지 않고, 시의 표현이나 시상의 精粗와 工拙을 따지지 않으며, 남의 것을 效顰하려고도 하지 않은 않았다. 그는 주변의 다양한 사물들을 시적 소재로 한 생활시를 많이 창작하였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계절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사물의 모습과 감회를 담은 절후시이다. 이 논문은 절후의 규칙성을 기본 틀로 설정하여 절후와 현실의 관계에 따라 저촌의 절후시를 ‘절후상의 당위와 현실의 괴리’, ‘절후상의 당위와 현실의 조화’, ‘절후에 따른 감회와 흥취’로 범주화하여 고찰한 것이다. 절후상의 당위와 현실의 괴리를 다룬 시는 기대와 어긋나는 현실에 대한 소회를 드러낸 것으로 계절적 당위에 부합하지 못한 자신의 처지에 대한 悲感이나 타인의 안타까운 심정을 담고 있다. 절후상의 당위와 현실의 조화를 다룬 시는 절후에 당위적으로 요청되는 사항과 현실 조건이 부합하는 경우의 조화로운 감회를 담은 것으로 절후의 변화에 대한 환희와 경이감을 담고 있다. 저촌은 자연의 개별 현상을 통하여 절후의 규칙성을 확인함으로써 자연의 질서에 순응하려는 원숙한 자세를 보여주는 데에 도달하고 있다. 절후에 따른 감회와 흥취는 절후에 어울리는 풍류와 그 느낌을 드러낸 것으로 절후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느낌이 형상화되고 있다. 결국 저촌의 절후시는 전체적으로 보아 현실의 부조리한 측면을 절후의 규칙적인 면과 조화시키려는 희망을 담고 있다고 하겠다. Jeochon(樗村) Shim-Yook(沈錥) as a Confucian scholar composed 2,200 poems. He lived as a tourist, a man of learning and teaching in the whole course of his life. The main materials of his poems were tour and everyday life in general, so he composed several poems on many things about the world around him, especially the poems on the seasonal changes. We can classify the poems on the seasonal changes by subject as three types. The first type, the estrangement between seasonal what should be proper and actual conditions, deals in a miserable situation of his own or other's feelings originated between seasonal what should be proper and actual conditions. The second type, the harmony between seasonal what should be proper and actual conditions, deals in a great joy and a wonder stricken of season. The third type, the absorbing interest between seasonal what should be proper and actual conditions, deals in diverse feelings derived from seasonal changes. In conclusion, Jeochon Shim-Yook's poems on the seasonal changes expressed the his hope, harmony between seasonal what should be proper and insufficient actual conditions.

      • Estimation of seasonal topographic variation in tidal flats using waterline method: A case study in Gomso and Hampyeong Bay, South Korea

        Xu, Z.,Kim, D.j.,Kim, S.H.,Cho, Y.K.,Lee, S.G. Academic Press in association with the Estuarine a 2016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183 No.1

        <P>Morphologic and topographic changes of tidal flats can be key indicator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changes and sea level rise. Recently,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estimate temporal topographic changes in tidal flats based on the waterline method using a number of remote sensing data that were acquired at different tidal heights. However, the effect of seasonal variation has not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nor been understood so far. In this study, 18 scenes of Landsat TM and ETM+ data, covering the period 2003-2004, and corresponding tidal gauge observation data, were used to estimate seasonal topographic variations in two major tidal flats in Gomso and Hampyeong Bay in the southern part of the west sea of South Korea, using the waterline method. Our results showed that the summer deposition was dominant in Gomso Bay with overall average seasonal topographic increase of approximately 18.6 cm. In contrast, Hampyeong Bay showed more dominant summer erosion with overall average seasonal topographic subsidence of about 5.0 cm. In addition; the net overall sedimentation budget was estimated as 6,308,047 m(3) and -2,210,986 m(3) in Gomso and Hampyeong Bay, respectively. The results also indicates that although both bays of Gomso and Hampyeong are classified as semi enclosed tidal flat, the sedimentary fades caused by formation geometry and sediment type led to different topographic change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amount of seasonal topographic variations is not negligible and are expect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opographic change derived by the waterline method. (C) 2016 The Authors. Published by Elsevier Ltd.</P>

      • KCI등재

        How Can We Improve the Lesson on Seasonal Change?

        한제준,채동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7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0 No.3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concep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Beliz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devise experiment to understand a cause of seasonal change. An open-ended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91 6th grade students who didn't learn seasonal change and 10 Belizean teachers to find out preconception of seasonal change and they were categorized by using inductive analysis. They thought that the Earth's rota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Sun and the Earth, the Earth's revolution,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cause seasonal change. And it found out that these misconceptions come from difficulty in awareness of space and impreciseness of textbooks and books and so on. The experiment was designed to correct inaccurate preconception and to improve lessons of seasonal change. It is to measure a meridian altitude and a length of daytime and nighttime and to compare them. This experiment can help to understand the cause of seasonal change by measuring natural phenomenons like the meridian altitude and the change of length of daytime by model.

      • KCI등재

        계절변화 개념 위계에 관한 연구

        정선라,이용복 한국지구과학회 2013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4 No.4

        We study on the concept and reason of seasonal change that 164 university students have. Subsequently theconcept types on the seasonal change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conceptual change after teachingon astronomy. All of the students were simply checked by the questionnaire of multiple choice and essay method beforelearning on the subjects. And then they answered to questionnaires of similar type after one semester. By the analyzedresults, we classify it to three steps of hierarchical concept structure. The first step is the cosmic perspective that isrelated to the Earth’s condition and motion. The second step is the influence of the Earth that is directly affected by thefirst step. The third step is observer’s perspective on the Earth depending on the second step. Among the answers, thefirst step is prominent and second step is rare. The answers on the reason of seasonal change show some kinds of typewhich are 1st, 1-2nd, 1-3rd, and 1-2-3rd step. By the result, it is arranged in sequence like as 1-3rd>1st>1-2nd>1-2-3rdtype. The lowest number of students was 2nd step of the Sun's altitude and duration of daytime in pre-test. However thestudents of 2nd step obtained more correct scientific concept on the seasonal change after learning on the subjects, andgot the higher score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We found how much important the hierarchical structure on thereason of seasonal change is. As the results, second step on the learning of the Sun's altitude and duration of daytimeessentially have to teach after first step. And then third step have to teach. At last, it is sure that the students can obtainthe concept of seasonal change. 교육대학교 1학년 164명을 대상으로 계절변화 원인에 대한 개념을 연구하였다. 이어서 개념의 특징에 따른 유형 분류와 천문관련 수업 후 개념변화를 알아보았다. 사전에 천문관련 선택형과 계절변화 원인에 관한 논술형 문항을검사했고, 한 학기 동안 천문관련 학습 후에 같은 유형의 문항에 답하도록 하였다. 사전 검사의 계절변화 응답 내용에는 여러 종류의 개별 개념들이 들어있었고 이를 3단계의 위계로 나눌 수 있었다. 1차 원인은 지구의 상태와 운동에 관련된 우주적 관점, 2차원인은 1차 원인에 의해 지구가 받는 직접적 영향, 3차 원인은 2차 원인에 따라 지구 위의 관측자가 받는 영향으로 나누었다. 학생들이 사전검사에서 응답한 내용 중에는 1차 원인이 가장 많았으며 가장 적게 답한개념은 2차 원인이었다. 하나의 답안을 이루는 전체 개념은 1차, 1-2차, 1-3차, 1-2-3차 원인 등의 유형이 나타났고 1-3차>1차>1-2차>1-2-3차 원인 등의 순으로 많았다. 2차 원인인 태양고도와 낮 길이 변화 개념을 가진 학생 수는 가장 적었으나 사전과 사후검사 모두 계절변화에 대한 과학적 개념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었고 천문관련 선택형 검사에서도모두 점수가 높았다. 연구 결과, 계절 변화 원인에는 1차, 2차, 3차로 구분되는 위계 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우주적 관점인 1차 원인을 먼저 가르쳐야 하지만 2차 원인인 태양 고도와 낮의 길이 개념에의 영향을 이해시킨 후 3차 원인을 학습시켜야 한다. 학생들이 이를 모두 이해했을 때 계절변화의 원인에 대해 비로소 정확한 개념이생겼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Seasonal changes i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in local cows receiving artificial insemination in the Pursat province of Cambodia

        Tep Bengthay,Morita Yasuhiro,Matsuyama Shuichi,Ohkura Satoshi,Inoue Naoko,Tsukamura Hiroko,Uenoyama Yoshihisa,Pheng Vutha 아세아·태평양축산학회 2020 Animal Bioscience Vol.33 No.12

        Objective: The present study aimed to survey seasonal changes in reproductive performance of local cows receiving artificial insemination (AI) in the Pursat province of Cambodia, a tropical country, to investigate if ambient conditions affect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cows as to better understand the major problems regarding cattle production. Methods: The number of cows receiving AI, resultant number of calving, and calving rate were analyzed for those receiving the first AI from 2016 to 2017. The year was divided into three seasons: cool/dry (from November to February), hot/dry (from March to June), and wet (from July to October), based on the maximal temperature and rainfall in Pursa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ent conditions and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cows. Body condition scores (BCS) and feeding schemes were also analyzed in these seasons. Results: The number of cows receiving AI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ol/dry season than the wet season. The number of calving and calving r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ws receiving AI in the cool/dry season compared with the hot/dry and wet seasons. The cows showed higher BCSs in the cool/dry season compared to the hot/dry and wet seasons probably due to the seasonal changes in the feeding schemes: these cows grazed on wild grasses in the cool/dry season but fed with a limited amount of grasses and straw in the hot/dry and wet season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low number of cows receiving AI, low number of calving, and low calving rate could be mainly due to poor body condition as a result of the poor feeding schemes during the hot/dry and wet seasons. The improvement of body condition by the refinement of feeding schemes may contribute to an increase i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in cows during the hot/dry and wet seasons in Cambodia.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본 근세 하이카이 俳諧의 ‘계절어 季語’ 고찰

        최재철(Choi Jae chul)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7

        하이카이 俳諧의 ‘계절어 季語’에 대해 근세의 대표적 하이카이시인 俳人인 마쓰오 바쇼 松尾芭蕉의 자연 계절과 관련한 하이카이관 俳諧観 의 개략을 먼저 살펴보고, ‘시간의 흐름’을 표현한 특징적인 구(句)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바쇼 芭蕉는 하이카이란, 천지자연의 조화(造化)에 따라 사계(四季)의 변화를 벗 삼아 이를 읊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계절어를 하나라도 새롭게 발굴하여 읊는 것은 후세까지 남을 훌륭한 선물’이라고 높이 평가하고 있다. 시간의 추이와 그 시간 흐름의 흔적이 계절 변화의 단초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는데, 대표적인 기행문집 『오쿠노호소미치 おくの細道』 첫머리에서, 영원히 흘러가는 시간(세월)을 나그네에 비유하며, 지나간 가을과 겨울, 이제 새로 찾아온 초봄에 이르는 계절의 변화 추이를 그리고 있다.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하이카이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계절의 추이와 거기에 동반하는 여정(餘情;풍취)을 잘 드러내는 계절어와 관련 어구가 쓰였다. “가는 봄이여 새 울고 물고기 눈에는 눈물 行春や鳥啼き魚の目ハ泪 여름풀이여 / 병사들의 / 꿈의 흔적 夏草や兵共が夢の跡” 시간의 경과를 드러내는 ‘가는 봄’, 또는 ‘흔적’이 계절어 ‘여름풀’과 함께, 흐르는 시간과 변화하는 계절, 순환하는 인생의 애수를 여실히 부각시키고 있다. “장마비여 / 색지 바랜 / 벽의 흔적 五月雨や色帋へぎたる壁の跡” 바랜 벽지를 통해 지난 장마철, 그 시간의 경과가 선명함에 따라 석별의 정은 더 깊어지게 되는 것이다. 바쇼는 사계절의 변화 순간순간과 그 시간의 흐름 속에서 자연과 인생, 시간의 의미를 발견하고 표현한 하이카이를 읊어 독자적인 문학 세계를 확립하였다. This paper firstly outlines the view of Haikai in relation to the seasons of Matsuo Basyo, the most exemplary poet of Haikai, and then considers specific phrases based on the flow of time and the change of season. Basyo urges that Haikai means the reciting of the change of seasons depending on nature’s phenomenon. Basyo highly appraises the importance of Seasonal words, The progression of time and the trace of such progression provides the beginning of the change of seasons. The opening of ‘Okunohosomichi’, a typical travel essay, for example, compares time to a traveler and also depicts the change of seasons of the passing autumn and winter as well as the newly approaching spring. The following Haikai uses Seasonal words which show the change of seasons and affection accompanied with the seasons. "Spring passing / Birds cries / Tears in a fish’s eyes(行春や鳥啼き魚の目ハ泪) Summer grasses / Soldiers’ / Trace of dream (夏草や兵共が夢の跡)" The word ‘trace’, which shows time progression, highlights the flow of time, the change of seasons, and circulation of sorrow in life, with Seasonal words such as ‘the summer grass.’ "Monsoon / Sikisi faded / Trace on wall (五月雨や色帋へぎたる壁の跡)" By the faded "wall", it express sorrow of parting as the time progression becomes distinct. Basyo discovers the meaning of nature and life through the change of seasons and time progression, identifies specific Seasonal words and then develops Haikai as a distinct literature gen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