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울산울주지방의 유행민요

        成範重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1994 울산어문논집 Vol.9 No.-

        1. 여기에 수록된 자료는 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1982년부터 1988년에 걸쳐 조사한 울산 울주 지역 구비문학 자료 중 민요자료의 일부이다. 이때 조사한 민요자료는 임 『울산울주 지방 민요자료집』(울산대학교출판부,1990)으로 간행되어 학계에 보고 된 바 있으나, 여기서 소개하는 유행민요 자료는 그때 지면상의 사정으로 제외되었던 것들이다. 정리방법은 그 책의 체제를 따랐다. 2. 여기에서 소개하는 민요들이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유행민요라고는 하지만 그 내용을 살펴보면, 울산 울주 지방의 지역적 특색과 관련된 내용이나 기왕의 민요자료집들에서는 보고 되지 않은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 많기 때문에 단순히 전국적으로 유행하는 민요라고 치부항 무시하여 버리기에는 아까운 자료들이 상당수 있다. 따라서 이 자료는 앞서 보고 된 『울산 울주 지방 민요자료집』을 보완하는 동시에 울산 울주 지방 민요자료를 완결짓는 다는 의미를 동시에 지닌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16, 17세기 호남지방 園林文學의 지향과 그 변이

        성범중 한국한시학회 2006 韓國漢詩硏究 Vol.14 No.-

        호남지방의 곳곳에 세워진 수많은 원림 중에서 양산보(1503~1557)가 1530년대 중반에 조성하여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소쇄원과, 윤선도(1587~1671)가 1637년에 조성한 부용동원림은 원림의 아름다움뿐 아니라 그곳에서 이루어진 문학작품 때문에 많이 알려진 곳이다. 이 논문은 두 원림에서 전개된 문학과 그 지향의 추이를 각 원림 구성물의 명칭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소쇄원의 경우에는 양산보가 경영하던 시기의 구성물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그림인 소쇄원도에 실린 구조물의 명칭들은 실재성이 기본을 이루고 있었다. 즉 그 구성물의 명칭은 실재하는 사물의 형태나 상태에 대한 설명이 바탕을 이룸으로써, 일상적인 용어와 큰 차이가 없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양산보가 죽은 뒤 아들인 양자징과 양자정이 원림을 경영하는 시기가 되면, 이전의 소박했던 구조물의 명칭은 방향을 전환하여 ‘광풍각’‘제월당’처럼 옛 현인인 주돈이의 인품에 그 이름을 가탁하거나 비유하는 방향으로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또 양산보의 손자인 양천운이 원림을 경영하게 되자 주희의 무이구곡에 있던 구조물이나 자연물의 이름에 가탁하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그 현저한 예가 1614년에 쓴 <소쇄원계당중수상량문>인데, 여기에 나타난 명칭은 주희의 무이구곡의 명칭에 비의하는 단계에까지 이르게 되었다.사대부들이 무의구곡을 전범으로 삼아 구곡원림을 경영하는 추세가 유행하던 시기인 1637년에 조성된 윤선도의 부용동원림의 경우에는 구조물의 명칭이 사물의 실재성보다는 관념성이 중심이 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그 명칭들은 오로지 주희의 무이구곡에 존재하는 대상의 이름을 직접 차용하거나 비의하는 편향성을 보여줌으로써 이 시기의 선비들이 가졌던 자연과 사물에 대한 인식은 주희의 무이구곡을 이상으로 삼아 그것을 모방하려는 교조적 풍조가 만연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Poetic Transitions of Intention Using the Traditional Garden Materials in Ho-nam Province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Seong, Beom-joong There are many gardens built long time ago in Ho-nam Province. Especially Soswae Garden(瀟灑園) and Buyongdong Garden(芙蓉洞園林) are famous because of their beautiful scenery and works written there. The first was built by Yang Sanbo(梁山甫) in the middle of 1530's, the latter was built by Yun Seondo(尹善道) in 1637. Map of Soswae Garden from which we can survey the aspect of Soswae Garden in the period in which it was managed by Yang Sanbo shows us that the names of elements of the structure depend on the reality. But when Yang Jajing(梁子澂) and Yang Jajeong(梁子渟) who were Yang Sanbo's sons operated it, they were named by the analogy of personality of wise men. According to the works written by Yang Cheonun(梁千運), Yang Sanbo's grand son, in 1614, we can know that he gave them the names of Nine Valleys Wuyi(武夷九曲) established by Zhu Xi(朱熹) in Song(宋) Dynasty. The names of elements of Buyongdong Garden depended on not reality but an abstract idea. They were named after those of Nine Valleys of Wuyi. Which show us that the intellectual of Joseon(朝鮮) Dynasty made it an ideal vision of Zhu Xi toward nature and things in those days. After all, though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Soswae Garden and Buyongdong Garden, they have a similarity that imitated Nine Valleys of Wuyi in the 17th century.

      • KCI등재후보

        한시 연구와 한시 번역

        성범중 배달말학회 2003 배달말 Vol.33 No.-

        이 논문은 한국한시의 바람직한 번역의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한 글이다. 그 작업을 위해서 조선시대 한시의 언해와 번역 양상을 살펴보고, 근대 이후 한시가 문학사에서 능동적 기능을 상실한 이후의 한시 번역과 인용 양상을 검토해 보았다. 그 바탕 위에서 한시 번역의 바람직한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으나 번역에서 요구되는 여러 요소들이 실제 번역시에서 제대로 반영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번역에서 완벽함이란 존재하기 어렵다는 점을 인정하고, 늘 한 단계 나아간 상태를 지향하는 점진적 자세를 지녀야 한다. 이런 자세가, 번역은 일회에서 종결되는 것이 아니고 영원한 것으로서 끊임없는 인류의 해석학적 행위라고 하는 '영원한 번역'으로 통하게 되고, 그 결과 좀더 완벽한 한시 번역이 이루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한시 번역 자료의 축적은 이미 정평이 나 있는 선시집의 번역이나,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번역자가 임의로 선택한 한시의 번역보다는 특정 시인이나 그가 속한 그룹의 작품 전체를 완역한 작업에 의해 축적된다는 사실이다. 이런 업적들이 축적되어 한시 연구의 폭과 깊이가 더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o translate Sino-Korean poetry into korean correctly. For correct translation of sino-korean poetry into korean, it is useful to investigate how Sino-Korean poetry were translated into korean in the period of Chosun Dynasty and how they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quoted in recent times when they could not play a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For correct translation, it is a desirable attitude to improve gradually with understanding that there is not perfect translation. Because translation is not completed at a time but improved constantly through the process of 'perennial translation'. To develope the study of Sino-Korean poetry it is useful not to translate works in famous anthologies but to translate particular poet's works on the whole or works of the literary group which he join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