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과 반편견 교육과정 개발

        김국현,추병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1 No.1

        This paper discusses anti-prejudice education and anti-prejudice curriculum. Anti-prejudice education help all students reject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directed toward outgroup. Anti-prejudice curriculum is a type of curriculum aimed specifically at preventing and stopp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of all kind. It encourages students to analyze morally their own prejudice and social prejudices. And it is implemented systematically and in integrated way at elementary school education. Because children's prejudice such as gender, racial and ethnic are more or less crystallized by age 10-12. In this paper, educational thought, educational thought, the ideal profile of educated person,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designed to help students overcome prejudice and stereotyping such as to use superordinate categories, dilemma discussion, writing essays supporting minority groups, arranging visits to the class by representatives of various groups, role playing being a member of another group, UCC, Brief Dramas using racial and ethnic themes field experiences and evaluation of anti-prejudice curriculum are suggested. 한국사회는 다문화사회로 이행하고 있다. 앞으로 다문화현상이 더욱 심화되어 갈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에서 이 논문은 반편견교육과 반편견 교육과정을 논의하고 있다. 반편견교육은 모든 학생들이 편견과 차별을 거부하게 하는 교육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교육의 틀인 반편견 교육과정은 모든 종류의 편견과 차별을 방지하고 중지시키는 교육과정이다. 반편견 교육과정은 근본적으로 학생들이 자신과 사회의 편견과 차별들을 도덕적으로 분석하도록 고무한다. 반편견 교육과정은 특히 초등학교 교육에서 체계적으로, 그리고 도덕과 교육을 중심으로 통합적인 방식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아동의 편견은 대체로 10~12세경에 구체화되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반편견 교육과정의 교육이념, 교육적 인간상, 편견과 고정관념을 극복하기 위해 수업에 적용되어야 하는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사회에서 편견의 문제와 다양성관리 독일에서의 연구동향과 함의를 중심으로

        허영식,정창화,김진희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14 민족연구 Vol.0 No.5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are the results of a study that focused on theproblem of prejudice and the task of diversity management in modern multiculturalsociety.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deals with the following themes: research onprejudice and diversity management, connection between prejudice and identity,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rejudice, and diversity management as managementof prejudice. The bottom line of this paper can be formulated as follows. First,prejudice can be regarded as sort of reaction to diversity. It could remain ascompelling challenge and task, which leads us to deal with diversity or diversitymanagement in a critical way. Second, as prejudi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lationto both personal and collective identity, it seems hard and not yet easy process tocorrect it appropriately from the perspective of diversity management. Third, socialcategorization, effect of other group homogeneity and effect of salience, realisticgroup conflict, and personal experience and social learning can be considered asmechanisms for prejudice. And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prejudice such asdiscrimination and conflict are influenced by justification factors on the one handand by suppression factors on the other. Fourth, diversity management musttackle negative consequences of prejudice properly. In this context, there arealternatives such as reduction of prejudice, activation of suppression factors, andreduction of justification factors. Lastly, there are few relevant research results,notwithstanding the important meaning that the phenomena of prejudice imply fordiversity manag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dress policy and practice ofdiversity management to deal with issues and problems of prejudice in the differentorganizations such as companies, corporations, non-profit organizations and publicadministration organizations.

      • KCI등재

        선입견, 역사 그리고 이성 : 가다머 ‘선입견’ 개념의 비판적 고찰

        김동현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9 국제정치연구 Vol.22 No.1

        This study is a critical review of the concept of ‘prejudice’, one of the important components of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The primary concern of philosophical hermeneutics lies in the awareness of the universality of human existence based on the finiteness of human beings. Gadamer articulates human beings are imperfect existential beings that cannot transcend time and space. He considers both the prejudice and historicity of understanding based on the finite human life are closely linked, and prejudice underscores the fact that human beings are historical ones. Gadamer appropriates the concept of prejudice not only by emphasizing the positive aspect of it, but also even claiming the rehabilitation of it. Gadamer argues human beings are the subjectivities that merely live finite human life according to which the demand of the time and human beings follow the authority of the tradition fabricated by the prejudice. However,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takes a halfhearted outlook to the possibility of critical reflection in that the prejudice and tradition should necessarily be accepted as taken-for granted notions in certain cultures of society. In addition, this paper attempts to reconsider Gadamer’s understanding of ‘temporal distance’ associated with the notion of prejudice, which distinguishes true prejudice from false prejudic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diachronic analysis. To do thi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Gadamer’s thought on the concept of prejudice that is mainly derived from the historically diachronic exploration by way of proposing a synchronic analysis. 이 논문은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선입견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다. 철학적 해석학의 관심사는 인간의 유한한 삶에 그 근거를 두고 인간존재에 대한 보편성을 자각하는 데에 있다. 가다머는 인간을 시간과 공간을 초월할 수 없는 유한한 삶의 주체이자 불완전한 실존적 존재로 규정한다. 그는 유한한 인간의 삶을 전제로 한 이해의 역사성과 선입견이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고 보고, 인간이 역사적 존재라는 사실을 부각시킨다. 가다머는 선입견 개념의 정당화를 주장하면서 부정적인 개념으로만 취급되어 왔던 선입견 개념의 긍정적인 측면을 부각시키며 선입견의 복권을 주장한다. 더욱이 가다머는 유한한 삶을 사는 인간이 그 시대의 요구에 따라 선입견을 형성하고, 역사적 존재로서 인간은 선입견에 의해 고착된 전통의 권위를 충실히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은 특정한 문화와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익숙한 선입견으로 받아들여진 전통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가능성에 대해 미온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가다머의 선입견 개념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성의 비판적 성찰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또한 이 논문은 가다머의 시간간격, 즉 시간의 흐름이 지난 후에야 참된 선입견과 그릇된 선입견 개념의 구분이 가능하다는 통시적 측면의 분석에 대한 재 고찰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가다머의 통시적 역사관과 시간간격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공시적 관점에서의 분석을 시도한다. 요컨대, 이 논문은 가다머의 선입견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함께 그의 선입견 개념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선입견 개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수립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피조사자의 신뢰성에 대한 수사관의 편견 연구

        이주락 경찰대학교 2008 경찰학연구 Vol.8 No.1

        The police have often been accused of failing to provide equal service to all members of the society due to prejudice and the police are the most visible representatives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This visibility makes the police the most outward indicator of prejudice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When the actions of the police are viewed as prejudice, a series of negative consequences occurs in the society. Therefore, the police need to tackle this problem effectively. In order to develop a preventive strategy, the police must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prejudice.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is topic in Korea. Thus,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fill this gap.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lived experience of police officers to determine if they have prejudice toward the credibility of persons under investigation; which groups of persons they have prejudice toward: how they form prejudicial attitudes: what effects prejudice has on criminal investigation. In order to answer theses research questions, the mindset of the police has to be understood. And the police themselves are the only realistic source of such intimate knowledge of the workings of the police mind. Therefore, this study adopted a qualitative approach and seventeen police officers were interviewed in-depth, using an interview guide.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the study participants had prejudice toward some groups of persons under investigation and they had developed prejudicial attitudes while on the job. In addition, this study also showed that prejudice had negative effects on criminal investigation.

      • KCI등재

        교사의 권위주의와 자기애 성향이 학생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공감을 매개변인으로 -

        김기환,김지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2 敎員敎育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ides on whether personalities of teachers affect prejudice against students. I tested setting up an assumption that authoritarian and narcissistic personalities that are personality variables each should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prejudice against students. In the course of setting up an assumption, I tried to differentiate how prejudice of persons with narcissistic personality and that of persons with authoritarian personality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uggesting formation of prejudice and operation process of each personality variable (narcissistic, authoritarian) with models. Additionally, I studied if empathy of teachers had mediated effect between each personality variable (narcissistic, authoritarian) and prejudice against students. The summarization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authoritarian and narcissistic personalities of teachers each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prejudice against students. Result of simple regression analysis represented that each personality variable (narcissistic, authoritarian) had significant effect on prejudice.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xplanatory adequacy turned out to be higher for authoritarian personality than for narcissistic personality, and the result of collinearity test showed that each of authoritarian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was functioning as independent variables. Second, Empathy of teachers turned out to have mediated effect between each personality variable (narcissistic, authoritarian) and prejudice against students. Therefore, if empathy training is exercised for teachers who have high level of authoritarian personality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those levels are expected to get lowered.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권위주의와 자기애 성향이 학생에 대한 편견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 교사의 공감이 각각의 성향변인(자기애, 권위주의)과 학생에 대한 편견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중․고등학교 교사 196명을 대상으로 학생에 대한 편견 척도, 권위주의 성격 척도, 공감 척도, 자기애 성격장애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자기애 성향과 권위주의 성향이 각각 학생에 대한 편견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회귀분석에서도 각각의 성향이 편견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 권위주의 성향이 자기애 성향보다 편견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공감이 각 성향(권위주의, 자기애)과 학생에 대한 편견 사이를 매개하여 편견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애자와 권위주의자가 편견을 갖는 것은 일정 부분 대상에 대한 공감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감하는 정도가 높아지면 편견수준은 낮아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사의 편견이 성향에서 비롯될 수 있다는 문제제기와 학교 내에서 편견을 줄여나가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 각색 영화 분석 - <신부와 편견 (2004)>을 중심으로

        전미경,한희정 한국영상학회 2020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8 No.3

        The article compares Jane Austen’s British novel, Pride and Prejudice, and the Indian film adaptation of the novel, Bride and Prejudice, and does so from a feminist perspective.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Pride and Prejudice starkly reveals the reality of women in a patriarchal society, whereas Bride and Prejudice fails fully to present the feminist consciousness of the reality of women in Indian society, which may correspond to women’s reality in the original novel. Additionally, unlike the original novel, Bride and Prejudice strengthens the theme of romantic love and the spiritual union in marriage. This article analyzes Bride and Prejudice using feminist sociologist Eva Illouz's view of love, focusing on its narrative aspects and key characters, revealing that the fantasy of romantic love in the modern era is growing in popularity. According to Illouz, this movie's narrative and images reinforce a fantasy about love, creating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magination,” which suggests a model for what people should desire. This allows audiences to indulge in a consumer culture, which induces them to consume merely for the fulfillment of their emotions. Thus, audiences become slaves to consumption and are manipulated to feel certain emotions and may not be aware of the true nature of love. 이 글은 제인 오스틴의 영국소설 <오만과 편견>과 각색 영화 <신부와 편견>(2004)을 여성주의적 관점에 서 비교 분석했다. <오만과 편견>은 작가 당대의 남성 주도 문단 현실에도 불구하고 아이러니 등의 간접 적 표현기법을 사용하여 가부장적 사회와 이로 인한 여성의 종속적 현실을 드러냄으로써 진보적 가치를 지닌다. <신부와 편견>에도 가부장적 사회에서 비롯되는 여성의 현실, 민족주의 등 제반 문제의식이 제 기되기는 하나, 볼리우드 풍의 영화 기교 및 근대적 여성주의 인식으로 인해, 작품은 인도 전통사회로부 터 유래하는 여성 현실에 대한 진지한 문제의식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신부와 편견> 은 원전과는 달리 낭만적 사랑과 영적 결합의 숭고한 의미를 더 강화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에 대해 이 글은 여성주의 사회학자 에바 일루즈의 사랑에 대한 관점을 활용하여 서사와 주요 캐릭터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작품이 현대의 낭만적 사랑의 판타지를 강화하고 있음을 밝혔다. 일루즈에 의하면 이러한 영화 상품의 이야기 전개와 이미지는 사랑에 관한 판타지를 심어주어 일정 틀을 자극하고 고무하는 상상 력의 제도화를 이루게 한다. 이로써 수용자들은 개인의 감정 충족을 상품 소비로 유도하는 소비문화에 빠지게 되어 특정 감정을 주문받는 소비 노예가 되므로 사랑의 진정한 본질을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 KCI등재

        세대간 차별의식의 사회화

        정기선(Ki-Seon Chung),박수미(Soo-Mi Park) 한국가족학회 2007 가족과 문화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과 차별의식이 자녀의 차별의식 형성에 어떤 영항을 미치는 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20세 이상 성인 남녀 2,000명을 성, 연령, 지역비율에 따른 비례할당표집방법으로 표본 추출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개별 면접 조사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전반적인 차별의식은 성, 장애, 연령, 학벌, 동남아 외국인 노동자, 기타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적 태도를 반영하는 편견지수를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도 여성에 대한 편견과 특정 지역민에 대한 편견을 구체적인 영역에서의 차별의식으로 구분하여 별도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연구결과로, 부의 직업보다는 교육수준이 권위주의 성항에 더 큰 영향을 주며, 교육수준이 낮은 부모일수록 자녀양육방식이 권위주의적이다, 둘째, 연령대가 높은 응답자들일수록 그들 부모가 권위주의적이고 지역차별적이었다고 평가하며, 중산층부모가 다른 계층 부모보다 덜 권위주의적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의 권위주의적 성향은 자녀의 성, 연령, 교육수준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자녀의 편견에 정적인 영항을 미친다. 넷째, 부모의 지역차별적 성향도 특정집단에 대한 호감이나 신뢰 및 사회적 거리감 형성에 영향을 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가 국민들의 차별의식 개선을 위한 노력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논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parents" authoritarian disposition and regional prejudice in child rearing practice on their children"s prejudice against a social minority. The study used the data of 2,000 nationwide samples aged 20 or above, who were interviewed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indicators of discriminant disposition consist of the prejudicial attitudes against women, disabled, aged, East-asian migrant workers, as well as regional prejudice. As a resul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rather than occupation, the level of education of father has more important effect on authoritarian disposition in child socialization and the less educated father tends to be the more authoritarian in child rearing, 2) the children of less than 40 years old and from the middle class family tend to think their parents of less authoritarian and less regional discriminant than their counterparts. 3) Parents" authoritarian disposition has positive effect on their children"s prejudice against a social minority, even after being controlled children"s gender, age, and level of education. 4) Parents" regional prejudice has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preference, trust and social distance towards people from a particular region.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reducing people"s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various social minorities.

      • KCI등재

        그림동화 <찬다삼촌>에 나타난 다문화 인종편견의 시각적 표현 연구

        유은제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7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8 No.53

        This study analyzes the aspect of ‘multicultural racial prejudice’ expressed in the multicultural picture book in the Korean society the multicultural racial prejudice and overcoming patterns that are tacitly present in Korea are visually expressed. w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applied by Kress and Leeuween' s visual design grammar. As a result of analysis, the aspect of prejudice toward multicultural racial prejudice characterized by comparative action of actors, and the interchange action of overcoming bias Through the dress, the cultural difference was emphasized by using the achromatic color contrast and the high chromatic contrast. Through the child 's expression, the child' s concentricity could be a clue to solving the racial prejudice of multi-culturalism. In the case of interaction function, the reader is provided with a medium distance or a long distance so as to objectively observe the actions of the main characters. In the case of compositional function, the child was plac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prejudice aspect.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prejudice and overcoming aspect, the child was moved to the center of the screen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being placed with Chanda Uncle instead of alone. And by emphasizing the image of overcoming the bias. As a result of the abov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expression of the prejudice and coping process of 'multicultural race' were expressed by the change of behavior, dress, expression, arrangement and overhang. 본 연구는 다문화 그림동화에 표현된 다문화 인종편견의 양상을 분석하여 한국에서 암묵적으로 존재하는 다문화 인종 편견과 극복과정이 시각적으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그림동화〈찬다삼촌〉을 통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시각 이미지 분석툴로는 크레스와 리우웬의 시각디자인 문법을 통해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 인종에 대한 편견의 전개 양상은 행위자의 일방향 행위작용이 주를 이루는 특성을 나타냈으며, 편견 극복 전개과정과 극복양상에서는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상호교류의 친화적 특성을 나타냈다. 복장을 통해서도 무채색과 유채색의 대비를 이용해 문화적 차이를 강조하고 있었으며, 아동의 표정을 통해 아동의 동심이 다문화의 인종편견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호작용 기능의 경우 독자가 주인공들의 행위를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중간거리나 먼 거리로 제공되어 있었다. 구성적 기능의 경우 편견 양상에서는 아동을 양극단에 배치였으며, 편견이 극복되는 과정과 극복 양상에서는 아동을 화면의 중심부로 이동하며 혼자가 아닌 찬다삼촌과 함께 배치되는 특성을 나타냈으며, 빛을 강조하여 돌출시킴으로써 편견 극복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다문화 인종’에 대한 편견과 극복과정의 시각적 표현의 특징은 행위작용과 복장, 표정, 배치와 돌출에 의한 변화로 표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직장인 편견의 원인, 유형,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찬석(Kim, Chan?Souk) 한국광고홍보학회 2016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PR 회사 직장인의 편견 원인과 편견과 언어와의 관계, 그리고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영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6년 5월에 8개 PR 회사에 근무하는 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PR 회사 직장인의 편견 원인은 조직 내부적으로는 상사와의 관계, 대인관계 성향 그리고 성(gender) 관련 대화 속에서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조직 외부적으로는 언론인과의 관계,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PR 회사의 업무 속성 등 PR 직무와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와 편견 간 관계는 편견이 언어에 영향을 미치는 것보다 언어가 편견에 영향을 더 많이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언어는 편견의 바로미터이자 운반체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R 직무에 대한 편견적 사고와 행위가 주요 직무 스트레스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를 통해서 기업의 편견 관리의 방안으로서 언어 경영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cause of prejudice, relationship between prejudice and language and impact to occupational stress of office workers in public relations firms. The survey targeting 50 office workers in 8 PR firms was performed on May, 2016.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ternal causes of office workers’ prejudice in PR firms are relationship with boss, personal relations, and genderᐨrelated dialogue. External causes are relationship with journalists, relationship with clients, and public relations job attribute. Language more impacts prejudice than prejudice does languag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prejudice. Also, it is showed language is playing a role as a vessel or barometer of prejudice. And bias thinking and behaviour on PR job are major occupational stress. Through this study, the necessity of language management as a way of prejudice management of corporations was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편견완화를 위한 태도 및 행동 변화이론의 적용 효과

        이예경 ( Yekyung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역동적 사회문화적 맥락을 효과적으로 반영하는 반편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Bandura(1986)와 Fishbein과 Ajzen(2011)의 행동 변화이론과 Petty와 Cacioppo(1986)의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목표는 학생들이 공감하기 어려운 편견의 문제들을 탐색하게 하기보다 그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편견과 그 결과에 대해 생각하고 깊은 사고과정을 촉진하는 데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반편견 프로그램은 자원한 24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5주간 진행되었다. 매주 90분 동안 프로그램이 진행되었고, 과제로서 성찰일지를 매주 제출하였다. 성찰일지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프로그램 수강으로 인해 학생들이 평상시 느끼지 못했던 자신의 편견에 대해 민감성을 갖게 되었으며, 편견극복의 행동 실천을 통해 반편견 행동에 대한 태도 및 행동의 자기효능감이 발전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반편견 교육프로그램에 있어 개인의 삶과 밀착된 주제, 편견의 원인과 경험에 대한 상이한 개인 경험, 개인과 편견 대상과의 상호작용 등을 반영한 내용 구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nti-prejudice educational program that effectively deals with an individual's dynamic socio-cultural environment. In order to develop this program, researchers integrated theories of behavior change by Bandura (1986), Fishbein & Ajzen (2011) as well as Petty & Cacioppo's (1986) elaborate likelihood model of persuasion. The aim of this program was to have students deeply process their prejudices and its consequences in relation to their personal lives rather than instruct the problems of prejudice they could have trouble relating to. The program was carried out for 5 weeks, with 24 university student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Each week a 90-minute session was carried out, and for each week students submitted reflection papers for their assignments. Analysis of the reflection papers revealed that the program has potential for increasing sensitivity to prejudices or prejudicial behaviors that would have been otherwise unrecognizable by the individual.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mental effort put into thinking about prejudices throughout the program, and the task of carrying out actual actions for reducing prejudices helped them change their attitudes towards the target group as well as their self-efficacy for overcoming prejudic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future anti-prejudice programs should incorporate topics/issues intimately related to one's life and address the differences in the sources of prejudices and the individual's experiences of the interaction of the subject of prejud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