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육학에서 실용주의 연구의 동향

        하태호,안용규 한국체육철학회 2010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mmarize and organize thirty-four pieces of research on pragmatism in domestic Kinesiology, which were published from 1983 to 2010. Two articles on pragmatism in Kinesiology were published in the 1980s, five in the 1990s, and six in the 2000s. According to the subject, these were classified as 'pragmatism and physical education', 'pragmatism and sports', 'pragmatism and dance', 'pragmatism and philosophy of physical education', and 'pragmatism and thought of physical education'. One article on scholars who studied pragmatism in Kinesiology was published in the 1980s, six in the 1990s, and fourteen in the 2000s. According to the subject, these were classified as 'John Dewey and physical education', 'John Dewey and dance', 'John Dewey and sports', 'John Dewey and thought of physical education', 'John Dewey and philosophy of physical education', as well as 'Peirce and dance'. So far, the focus is on the Kinesiology in the research related to pragmatism. After that, dance, sports, and 'thought of physical educ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is phenomena is mostly influenced by John Dewey who was a scholar of pragmatism. However, it is shame that new research cannot be studied. Pragmatism is just one of the mainstream concept. This thought of philosophy would be the basis of another thought of philosophy and it is considered that it should b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ttempt the study on pragmatism in Kinesiology in terms of reflective perspective on existing research. Furthermore, various research on Kinesiology should be published on the basis of pragmatism. 이 연구는 1983년부터 2010년까지 국내 체육학에서 실용주의 관련 연구물 32편을 조사하여 년도별, 주제별로 요약 정리한 것이다. 체육학에서 실용주의 관련 연구는 1980년대 3편, 1990년대 3편, 2000년대 5편의 연구가 있었다. 주제별로는 첫째, 실용주의와 체육교육. 둘째, 실용주의와 스포츠. 셋째, 실용주의와 무용. 넷째, 실용주의와 체육철학. 다섯째, 실용주의와 체육사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체육학에서 실용주의 학자 관련 연구물은 1980년대 1편, 1990년대 6편, 2000년대 14편의 연구가 있었다. 주제별로는 첫째, 존 듀이와 체육교육. 둘째, 존 듀이와 무용. 셋째, 존 듀이와 스포츠. 넷째, 존 듀이와 체육사상. 다섯째, 존 듀이와 체육철학. 여섯째, 퍼스와 무용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체육학에서 실용주의 관련 연구물들은 체육교육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그 뒤로 무용과 스포츠 그리고 체육사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실용주의 학자인 존 듀이의 영향이 큰 것으로 사료되지만 다양한 연구물들이 제시되지 못하는 것은 아쉬운 일이다. 실용주의가 체육학에서 더 가치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체육학자들의 고정된 관심사에서 벗어나 개방성으로서 다가가는 자세가 필요하며, 스포츠에서 얻어지는 결과론적 유용성을 보다 면밀하게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이는 실용주의로 해석하는 체육을 광범위한 의미로 접근할 수 있으며 스포츠의 발전에 긍정적으로 작용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역사적 관점에서 본 미국의 프래그머티즘

        박기태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09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21

        After the Civil War, the American Way of Life was changed into materialism or mammonism with the economic development. In the rapid growth of American economy, an economic contradiction came out. From this fact, in order to pass over the issue, Americans needed to have a type of philosophy. At this time, the ideas of Americans estimated human's value via money itself. Thus, they were willing to express the positiveness for money and thought that success was to earn money. In the mid-1880s, Pragmatism including the proposition that "The idea or truth of an action is dependent on the results" was showcased. Then, pragmatism was known to not only philosophers but also the public people. However, Pragmatism it self was widely used in America from the late 1930s to the 1940s. In the 1930s, America that was struggling to overcome the Economic panic happened at the late 1929 was the New Deal age. This New deal policy was just pragmatic. At this degree, Pragmatism penetrated into the American Way of Life as a policy rather than a philosophy. So, we must acknowledge the close relations between Pragmatism and the American Way of Life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France and England. However, in the case that we extremely remark the relations, there can be a danger to consider Pragmatism as a conventional thing in the American Way of Life. Thusby, this article proposes and expresses how Pragmatism is related to the American Way of Life historically with respect to the American character, way of life and commercial materialism, etc. thinking and regarding the above fact respectively.

      • KCI등재

        로티의 퍼트남의 실용주의적 전회

        송광일 범한철학회 2008 汎韓哲學 Vol.48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viability of Dewey's pragmatism by comparing it with Rorty's “pragmatism without methodology" and Putnam's “pragmatic enlightenment". Rorty and Putnam both have recourse to Dewey's pragmatism in criticizing the basic assumptions of traditional philosophy, especially of modern epistemology. In this sense, they both take part in “the pragmatic turn," which is seen as a viable alternative to the dilemmas of “the Linguistic Turn" in the early 20th century. Nevertheless, intentionally or not, both of Rorty's and Putnam's versions of pragmatism betray Dewey's conception of pragmatism, and thus giving rise to serious problems which Dewey would not have. Rorty ignores the importance of the empirical method, while Putnam ignores the principle of continuity, both of which serve as the very foundations of Dewey's pragmatism. Their moves do not just lead themselves away form Dewey's pragmatism, but undermine the viability of it. By drawing on the evidence from recent empirical researches, especially from cognitive science, I will suggest that returning to Dewey will give us better ground for the open-ended philosophical discourses in the post-analytic age. 본 논문의 목적은 로티의 ‘방법론 없는 실용주의’와 퍼트남의 ‘실용주의적 계몽’을 검토함으로써 듀이 철학의 현재성을 드러내는 데 있다. 로티와 퍼트남은 전통 철학, 특히 근세 인식론의 기본적인 가정을 비판한다는 점에서 듀이의 실용주의와 철학적 시각을 공유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로티와 퍼트남은 20세기 초 ‘언어적 전회’의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한 현실적 대안으로 ‘실용주의적 전회’에 가담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티와 퍼트남의 실용주의는 의도적이든 아니든 듀이의 실용주의의 주도적 개념을 거부함으로써 듀이에게서는 발생하지 않는 심각한 문제를 불러온다. 로티는 ‘경험적 방법’의 중요성을 무시하는 반면, 퍼트남은 ‘연속성의 원리’를 간과하고 있는데, 경험적 방법과 연속성의 원리는 듀이의 실용주의의 핵심적 기제로 작동한다. 로티와 퍼트남의 실용주의는 듀이의 실용주의에서 멀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듀이 철학의 현재성을 간과하고 있다. 필자는 최근의 경험적 탐구, 특히 ‘인지과학’의 연구 성과들을 제시함으로써 듀이로의 회귀가 탈분석시대에 우리에게 열린 철학적 담론을 위한 더 나은 지평을 제공해준다고 제안할 것이다.

      • KCI등재

        The Understanding of Pragmatism in Christian Education

        Mila Park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6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formation tech Vol.0 No.10

        The most influential pragmatist was John Dewey, who developed and changed educational theories. In his educational reformation, he focused on child-centered classroom activity. He believed that individualized, flexible objectives derived from each student's existing conditions or activities should guide classroom activities and that motivation to learn should be rooted in each student's interest. Also, Dewey allowed students freedom of thought and encouraged them to be "open-minded". In religious education, John Dewey was strongly opposed to anything that would help develop Christian faith in children. He believed that men without faith in God through the mercy of Jesus do more easily persuade themselves to do anything if in the end serves their own desires. Pragmatism is based on John Dewey's philosophy. Therefore, pragmatism emphasized purposeful action, in theory and practice. This researcher thinks that pragmatism is rich in subtle and fruitful philosophical ideas, unified by its theme of mediation between science and philosophy, theory and practice. Also, pragmatism's educational implication was epoch-making ideas. This researcher strongly agrees with pragmatic educational ideas as child-centered education, methodology, teacher's role as project director, and curriculum. However, this researcher thinks that Christians must be aware that John Dewey's theory was based on pragmatism as influenced by Darwin's evolution and multi-values.

      • 실용주의와 한국정치

        신중섭(Shin Joong-Sop)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0 동서사상 Vol.8 No.-

        이 글의 목적은 이명박 정부의 출범과 함께 우리 사회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기 시작한 ‘실용주의’의 정치 철학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글은 우선 이명박 정부가 즐겨 사용하고 있는 ‘실용’ 또는 ‘실용주의’가 ‘실질적인 성과’ 보다는 ‘이념의 시대’를 넘기 위한 레토릭이라는 사실을 밝히고, 나아가 ‘실용’이 ‘중도’와 결합하여 ‘중도실용’으로 진화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실용’이나 ‘중도실용’에 대한 설득력 있는 비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현실 정치에서 도구적으로 유용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데 그것의 원인이 스스로 ‘중도’라고 믿는 국민이 많은데 있음을 지적하고, 미국 철학의 한사조로서 실용주의의 정신이 우리 정치에 미칠 수 있는 바람직한 영향이 무엇인가도 모색하였다. This paper is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Creative Pragmatism’ outlined by Lee Myung-Bak Government. ‘Creative Pragmatism’ is Guiding Principle, a practical principle to realize the vision for the nation in Lee's government. According to Cheong Wa Dae, creative pragmatism emphasizes substantive results, promotes realistic approaches to problem-solving, forges new objectives and ways to implement them, ensures a more systematic awareness of issues and searches for solutions to them. The present paper discusses what on might reasonably expect from American pragmatism.

      • KCI등재

        실용주의(pragmatism)와 교육, 교육과정

        김두정 ( Doojung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7 교육과정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실용주의(pragmatism)의 관점에서 계획, 지식, 교육 목표 위주의 우리 교육 및 교육과정 맥락을 각기 실행, 삶, 활동 자체 등을 강조하는 맥락으로의 획기적 개혁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실용주의는 추상적 아이디어는 실제적 결과로 그 의미가 결정되어야 한다고 본다. 실용주의는 또한 인간의 삶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교육은 경험의 재구성―경험의 질 개선―이라고 주장한다. 또, 실용주의는 학습활동을 교육목표의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 가치가 있다고 본다. 교육 목표는 잠정적 가설로서 교육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단위 경험을 통해 검증되어야 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실용주의의 주요한 핵심과 그것의 교육과 교육과정에 주는 메시지를 정리했으며, 우리나라 교육과 교육과정의 사례―자유학기제와 2015 개정교육과정 및 수준별 교육과정 등―를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실용주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교육 및 교육과정의 과제를 제안했다. This study aimed to emphasize educational and curricular innovation in Korea`s context in the direction of implementation, life, and activities instead of planning, knowledge, and educational goals respectively in view of pragmatism. According to pragmatism, the meaning of abstract ideas is determined by their practical results, that is behaviors. It also asserts that education should aim to preserve human lives; education is continuous reconstruction of experiences, which aims at enhancement of quality of experiences for better lives. Learning activities should be valued in themselves, not a means of educational goals, according to pragmatism. Educational goals are temporary assumptions which must be tested through units of experience consisting of educational activities. This study have explored main points of pragmatism and drawn messages of it to education and school curriculum. It also has analyzed a few specific cases of education and curriculum such as “free semesters”,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15”, and “leveled curriculum” in Korea`s context. The study finally suggested some tasks for improvement of education and curriculum in Korea in terms of pragmatism.

      • KCI등재

        환경실용주의와 도시환경윤리: Andrew Light의 논의를 중심으로

        김일방 대한철학회 2024 哲學硏究 Vol.169 No.-

        이 글은 환경실용주의의 선구자 중의 한 명인 라이트의 논의를 중심으로 ‘환경실용주의와 도시환경윤리’에 관해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환경실용주의가 대두하게 된 배경과 함께 환경실용주의에 대한 라이트의 기본적 입장을 밝힌다. 라이트에 따르면 환경실용주의의 주요과제는 사회구성원들의 태도와 행동, 정책적 선호도를 장기적인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바꿔나갈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일이다. 라이트는 그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시환경윤리를 전개한다. 필자는 라이트의 도시환경윤리의 특징을 세 가지 핵심 개념, 곧 도시, 자발적 참여, 공화주의를 중심으로 정리하면서 그 실체를 드러내고자 했다. 이어서 필자는 라이트의 환경실용주의와 도시환경윤리에 관한 논의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을 결론으로 도출함과 함께 그 과제를 제시하였다. Andrew Light is one of the pioneers of environmental pragmatism.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topic of environmental pragmatism and urban environmental ethics by focusing on the Light’s arguments. To do so, I will examine the background to the rise of environmental pragmatism, as well as Light's basic position on environmental pragmatism. According to Andrew Light, the main challenge of environmental pragmatism is to motivate members of society to change their attitudes, behaviors, and policy preferences in ways that support long-term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Light develops a discussion of urban environmental ethics as a way to do just that. In this article, I have attempted to characterize Light's urban environmental ethics by interpreting it in terms of three key concepts: the city, voluntary participation, and republicanism. I conclude with lessons that can be drawn from Light's discussion of environmental pragmatism and urban environmental ethics.

      • KCI등재후보

        디지털 사이언스 시대에서 ‘풀려난 실용주의(Pragmatism Unbound)’로서의철학 교육

        양승권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18 교양학연구 Vol.0 No.7

        This paper aims to study philosophy education in digital science era based on the concept of ‘Pragmatism Unbound’ which is the concept of Roberto Unger. ‘Pragmatism Unbound’ is a pragmatism that attempts to open up new ideas freely and change the existing framework. Based on this concern, this thesis examines what philosophy or literary philosophy plays in the university education field. Finally, I present the current status of liberal philosophy education in Daegu University. The seriousness of the philosophical thought to study reality deeply in the era of rapidly changing digital science seems to be useless. However, the fact that our perception can be expanded infinitely in the digital science era is refreshing the philosophy. For example, the concept of ‘Internet of Everything’ is making a situation where ‘Manmuljedong’, ‘All Things unity’, and ‘omnipresence’ are practically realized in oriental philosophy. Philosophy is basically a great help to learn the attitude of seeing both directions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synthesis of opposing values. The future society requires talented people who can communicate the conflicting fields in one, not the one who studied only one expert knowledge. This type of human beings is one that realizes “Pragmatism Unbound” out of the “domesticated pragmatism”. It also has the mind of a ‘node’ that connects ‘diverse’ areas. Philosophy must mediate heterogeneous disciplines in order to foster convergent professionals who are well suited to the digital sciences era. And students must be keenly aware of reality and be able to actively combine individual disciplines.

      • KCI등재

        실과 및 가정과 교육의 철학적, 사회적 배경 고찰과 미래 방향 탐색

        박순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1

        Philosophical and social backgrounds and inquiring into new direc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is done through this paper. The overall review of the related documents, records, books has been done, and research findings are presented as follows;Thought(Educational theory and Philosophy) for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is based on Learning to Labor, Practical Science and Pragmatism. Korean curriculum for Home Economics were originated in Confucianism background, which stressed the importance of different gender roles for men and women.However, Korean Home Economics based on 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has been developed without philosophical base unlike that of American Pragmatism and Critical Theory. Therefore, scientific recognition in a section of value recognition was separated and developed so far. Thus, we could not answer to social missions about keeping values of life corresponding with changing environment I also observed the analysis of revision curriculum of the mentioned subject, and the changes of concepts of Work and Prasix, necessit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fixing about a basic life education and a basic life skill, and reinforcement of the function in Home. And then, new directions is proposed that the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chool be reinforced for the upcoming low birth rate and the aging society(high proportion of the aged people). Because Characters on correct values of children and youths might be nurtured in home foremost.주제어(Key Words) : 실과 및 가정과교육(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철학적사회적 배경(Philosophical and Social Backgrounds), 실용주의(Pragmatism), 비판이론(Critical Theory), 미래방향(New Direction) 본 연구에서는 문헌을 통하여 실과 및 가정과교육의 철학적 이론과 사회적 배경을 고찰하고 본 교과교육의 미래 방향을 탐색하였다.우리나라의 실과교육의 근거가 되는 교육론(교육사상)과 철학으로는 노작교육론, 실학사상 및 실용주의(pragmatism)를 들 수 있고, 가정과교육에 영향을 미쳤던 우리나라 사상으로는 유교사상, 철학으로는 Pragmatism과 비판이론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 학교교육법 이전의 가정생활에 관한 교육은 주로 유교사상의 영향을 받아 여자가 교육받는 것을 꺼려하였고, 과거 학교교육에서도 가정과는 여자만의 교과라는 사회적 통념을 형성해왔다. 그러나 교육과정 성립 이후는 점차 미국 가정학의 영향을 받아 이론도 미국의 가정학에 기초하여 발전해왔다. 그러나 가정과의 모체가 되는 우리나라의 가정학은 미국과 다르게 Pragmatism과 비판이론과 같은 철학의 기반이 없는 상태에서 발전해왔기 때문에, 과학의 인식과 가치의 인식이 유리되어 학문으로서는 체재를 정비하여 발전해왔으나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해서 생활의 가치를 지킨다는 사회적인 사명에 답을 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므로 최근 이 문제를 가정교육학에서는 비판이론을 적용하여 해결하려고 하고 있다.부분 개정된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철학은 학습자의 능동적인 경험과 실제생활에의 적용을 중시함으로써 구성주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실과 및 가정과의 성격과도 관련성을 찾을 수 있다.미래 방향에 관한 탐색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분석, 일과 실천의 개념 변화, 기본생활교육 및 기초생활기술의 정착을 위한 실과 및 가정과교육의 필요성, 가정의 기능 강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음을 제시하였고, 그 결과 학교교육에서 가정생활과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유일한 교과인 가정과의 역할은, 미래 저출산, 고령사회에는 더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 KCI등재

        스포츠현상에서의 실용주의

        남중웅 한국체육철학회 2010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8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make a close inquiry into relations between pragmatism and sports phenomenon.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explained about the viewpoint and background of pragmatism and mentioned about the problem of value in pragmatism. The study also made a conclusion with four phenomena analyzed in the viewpoint of pragmatism in sports phenomenon. Minutely examining, the problem of practical value in sports phenomenon, first, is a moral problem in practice. Second, it is an aesthetic approach to sports as experience. Third, it is a social-philosophical approach to sports as behavior. On the basis of the above, the study induced practical phenomenon and viewpoint in sports phenomenon. First, the study presented creative experience and practice as a purpose. Second, the study presented systematic approach to sports as a method. Third, the study presented political approach to sports as an instrumental value. Fourth, the study presented the process of globalizing sports as a result. It is an important viewpoint in practical sports phenomenon to convert to free and informal parts from formal and fixed frames. It will have an affirmative effect on development of sports in the side of emphasizing creative and diverse experiences. 이 연구는 실용주의 사상과 스포츠현상의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용주의 관점과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실용주의가 갖는 가치문제에 대해 언급하였다.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 스포츠현상에서 실용주의적 관점으로 해석할 수 있는 세 가지 현상을 제시하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스포츠현상에서 실용주의적 가치문제는 첫째, 실천으로서의 윤리적인 문제이다. 둘째, 체험으로서 스포츠의 미학적 접근이다. 셋째, 행동으로서의 스포츠사회철학적 접근이다. 이를 바탕으로 스포츠현상에서의 실용주의적 현상과 관점을 도출하였는데 첫째, 목적으로서의 창조적 경험과 실천, 둘째, 방법으로서의 스포츠과학화, 셋째, 수단적 가치로서 스포츠의 정치화, 넷째, 결과로서 스포츠세계화 과정을 제시하였다. 실용주의적 스포츠현상에서 중요한 관점은 형식적이고 규정화된 틀에서 자유롭고 비형식적인 부분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는 다양한 창조적인 체험을 강조한다는 측면에서 스포츠의 발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