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晩淸시기의 道家연구와 문화계몽

        정석도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3 No.-

        Due to the poetic feature and rich parables therein, Taoist thoughts have been interpreted from various aspects since ancient times. In this paper, the author divides the late Qing dynasty into the separation of traditional and modern times and conceptualizes the inherent enlightenment ideology and the cultural significance behind Taoism in the late Qing dynasty. All of the scholars and ideologists in late Qing have realized to explore the modernity from the traditional ideology, which became an important issue at the time. The exploration on the inherent modernity is defined as re-interpreting traditional concepts with feudalistic elements excluded and fulfilling the traditional cultural enlightenment function based on western concepts. From the prospective of cultural enlightenment, the Taoist tradition is associated with a connection to the inherent modernity. To clarify this, the author makes an analytical study on Wei Yuan’s Laozi Original Meaning(『老子本義』) and Yan Fu’s Lao'Comment(『老子評點』) and Zhuang'Comment(『莊子評點』), whose authors were influenced by western ideology. Wei Yuan expanded the confusion statecraft ideology to Laozi’s ideology and re-interpreted his thoughts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reform and social welfare. In Wei’s theory, Taoism cannot be directly connected with modern universal concepts such as equality, democracy and liberty. However, he re-interpreted it from the social aspect and the theory was called a separation of Taoist study in the late Qing dynasty. His enlightenment theory is defined as an ideology featured by salvation and reformation. Yan Fu accepted the concepts of liberty and democracy through social Darwinism and theories by Montesquieu, Rousseau, etc. and re-discovered it in Lao and Zhuang’s ideology. The essence of his liberalism is the economic liberalism to develop economics and enhance national strength. However, in Lao'Comment(『老子評點』) and Zhuang'Comment(『莊子評點』), it has been expanded to political liberalism and concepts such as liberty and equality. Represented by Wei Yuan and Yan Fu, the study on Taoist enlightenment theory in late Qing has a basic label of cultural enlightenment, based on which the thoughts Learning from Foreigners to Competing Foreigners was proposed and taken as a slogan by the enlighten ideologists back then. The study on Taoism in late Qing was labeled with cultural enlightenment, which reflects a temporal emotion that the modernity has to be found from the traditional ideology although it was learnt from the west first. This explains why people tried to seek the inherent modernity of Taoism. In other words, it is a process of identifying the modernity of China or East Asia. 시적이고 우화적인 표현으로 말미암아 도가의 사유는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전통과 근대의 전환점이라고 말할 수 있는 만청 시기의 도가사상의 해석에 내재한 계몽적 사유 논리와 그 논리가 지향하는 문화적 의미를 개념화했다. 만청 시기의 학자와 사상가들은 전통 가운데서 근대성을 발굴해야 한다는 시대적 과제를 인식했다. 봉건적 요소를 배제하고 전통적 개념의 의미를 재해석하거나 서학의 개념으로써 재해석된 전통 등, 문화계몽의 계기는 내재적 근대성의 발굴로 정의(개념화)하였는데, 이 논문에서는 웨이위엔의 『노자본의』와 옌푸의 『노자평점』, 『장자평점』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논구하였다. 웨이위엔은 유가의 경세치용의 사유를 노자의 사유에로 확장했다. 그의 계몽적 사유를 근대적 보편성을 함유한 개념으로서 ‘평등’이나 ‘민주’, ‘자유’등과 직결된다고는 볼 수 없다. 그러나 사회적 관점에서 노자의 사유를 재해석함으로써 만청 시기 도가 연구의 분수령으로 자리매겨지는데, 그의 계몽적 사유의 논리는 ‘구세’와 ‘개혁’으로 정의된다. 옌푸는 사회진화론과 몽테스키외, 루소 등의 이론을 통해 민주와 자유 개념 등을 받아들이고 이를 노자와 장자의 사유에서 재발견한다. 그의 자유주의의 실체는 국가부강을 위한 경제적 자유주의이지만, 『노자평점』과 『장자평점』에서는 정치적 자유와 함께 민주, 평등 등으로 확대되어 드러난다. 웨이위엔과 옌푸로 대표되는 만청 시기 도가 연구에서 계몽적 사유의 논리는 기본적으로 문화계몽을 표방한다. 그러한 계몽적 사유에는 당시 계몽 사상가들의 슬로건이었던 “이민족의 발달된 기술을 배워 그것으로써 이민족을 제어한다.(師夷長技以制夷)”는 논리가 투사되어 있다. 문화계몽을 표방하는 만청 시기의 도가 연구는 곧 ‘근대는 서구로부터 학습하되 근대성은 전통에서 찾고자 하는’ 시대적 욕망을 반영한다. 그것은 도가의 사유로부터 내재적 근대성을 찾는 과정이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만청(晩淸)시기의 도가(道家)연구와 문화계몽-위원(魏源), 엄복(嚴複)의 도가 저술을 중심으로-

        정석도 ( Seok Do Jung )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3 No.-

        시적이고 우화적인 표현으로 말미암아 도가의 사유는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전통과 근대의 전환점이라고 말할 수 있는 만청 시기의 도가사상의 해석에 내재한 계몽적 사유 논리와 그 논리가 지향하는 문화적 의미를 개념화했다. 만청 시기의 학자와 사상가들은 전통 가운데서 근대성을 발굴해야 한다는 시대적 과제를 인식했다. 봉건적 요소를 배제하고 전통적 개념의 의미를 재해석하거나 서학의 개념으로써 재해석된 전통 등, 문화계몽의 계기는 내재적 근대성의 발굴로 정의(개념화)하였는데, 이 논문에서는 웨이위엔의 『노자본의』와 옌푸의 『노자평점』, 『장자평점』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논구하였다. 웨이위엔은 유가의 경세치용의 사유를 노자의 사유에로 확장했다. 그의 계몽적 사유를 근대적 보편성을 함유한 개념으로서 ‘평등’이나 ‘민주’, ‘자유’등과 직결된다고는 볼 수 없다. 그러나 사회적 관점에서 노자의 사유를 재해석함으로써 만청 시기 도가 연구의 분수령으로 자리매겨지는데, 그의 계몽적 사유의 논리는 ‘구세’와 ‘개혁’으로 정의된다. 옌푸는 사회진화론과 몽테스키외, 루소 등의 이론을 통해 민주와 자유 개념 등을 받아들이고 이를 노자와 장자의 사유에서 재발견한다. 그의 자유주의의 실체는 국가부강을 위한 경제적 자유주의이지만, 『노자평점』과 『장자평점』에서는 정치적 자유와 함께 민주, 평등 등으로 확대되어 드러난다. 웨이위엔과 옌푸로 대표되는 만청 시기 도가 연구에서 계몽적 사유의 논리는 기본적으로 문화계몽을 표방한다. 그러한 계몽적 사유에는 당시 계몽 사상가들의 슬로건이었던 “이민족의 발달된 기술을 배워 그것으로써 이민족을 제어한다.(師夷長技以制夷)”는 논리가 투사되어 있다. 문화계몽을 표방하는 만청 시기의 도가 연구는 곧 ‘근대는 서구로부터 학습하되 근대성은 전통에서 찾고자 하는’ 시대적 욕망을 반영한다. 그것은 도가의 사유로부터 내재적 근대성을 찾는 과정이었다. Due to the poetic feature and rich parables therein, Taoist thoughts have been interpreted from various aspects since ancient times. In this paper, the author divides the late Qing dynasty into the separation of traditional and modern times and conceptualizes the inherent enlightenment ideology and the cultural significance behind Taoism in the late Qing dynasty. All of the scholars and ideologists in late Qing have realized to explore the modernity from the traditional ideology, which became an important issue at the time. The exploration on the inherent modernity is defined as re-interpreting traditional concepts with feudalistic elements excluded and fulfilling the traditional cultural enlightenment function based on western concepts. From the prospective of cultural enlightenment, the Taoist tradition is associated with a connection to the inherent modernity. To clarify this, the author makes an analytical study on Wei Yuan`s Laozi Original Meaning(『老子本義』) and Yan Fu`s Lao`Comment(『老子評點』) and Zhuang`Comment(『莊子評點』), whose authors were influenced by western ideology. Wei Yuan expanded the confusion statecraft ideology to Laozi`s ideology and re-interpreted his thoughts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reform and social welfare. In Wei`s theory, Taoism cannot be directly connected with modern universal concepts such as equality, democracy and liberty. However, he re-interpreted it from the social aspect and the theory was called a separation of Taoist study in the late Qing dynasty. His enlightenment theory is defined as an ideology featured by salvation and reformation. Yan Fu accepted the concepts of liberty and democracy through social Darwinism and theories by Montesquieu, Rousseau, etc. and re-discovered it in Lao and Zhuang`s ideology. The essence of his liberalism is the economic liberalism to develop economics and enhance national strength. However, in Lao`Comment(『老子評點』) and Zhuang`Comment(『莊子評點』), it has been expanded to political liberalism and concepts such as liberty and equality. Represented by Wei Yuan and Yan Fu, the study on Taoist enlightenment theory in late Qing has a basic label of cultural enlightenment, based on which the thoughts Learning from Foreigners to Competing Foreigners was proposed and taken as a slogan by the enlighten ideologists back then. The study on Taoism in late Qing was labeled with cultural enlightenment, which reflects a temporal emotion that the modernity has to be found from the traditional ideology although it was learnt from the west first. This explains why people tried to seek the inherent modernity of Taoism. In other words, it is a process of identifying the modernity of China or East Asia.

      • KCI등재

        후기 근대와 사회적인 것의 위기

        조주현(Joo-hyun Cho) 비판사회학회 2012 경제와 사회 Vol.- No.95

        이 논문에서 필자는 먼저 신자유주의적 지구화 시대의 한국사회에 짙게 드리우고 있는 후기 근대적 풍경들을 지적한 다음 한국의 여성운동을 포함한 사회운동이 정체되어 있는 주원인이 정치지형이 후기 근대로 바뀌었는데도 여전히 계몽적 기획 안에서 운동을 추구하기 때문이라고 보고 그 대안으로 아고니즘 정치의 가능성을 모색해보려고 한다. 사회적인 것의 위기와 개인화로 요약할 수 있는 후기 근대는 근대처럼 외부의 영향력이나 개인들이 균일하게 결집된 결과에 의해 변화가 일어나는 선형적 체계가 아니라 개개인들의 행동이 피드백회로(feedback loop)를 통해 그 자체가 영향력을 구성하여 자생적으로 체계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비선형 체계, 즉 재귀적 체계(reflexive system)이다. 재귀적 체계의 사회에서 개별화된 개인은 선택의 자율성을 누리는 반면 그 선택의 결과는 더 예측하기 어려워진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불안에 노출된다. 모두가 동의하는 공동의 목표를 설정한 후 그 실현을 위해서 정치적 운동을 펼치는 방식이 한계에 이르렀지만 그렇다고 개개인의 행위성이 반드시 자유를 담보하는 것도 아닌 상황에서, 효율성과 인간의 존엄성 확보 사이에 적절한 균형을 찾는 유일한 방법은 구성원 누구나 자신의 주장을 제기하고 그 주장에 귀 기울이고 이의를 제기할 준비가 되어 있는, 서로간의 의견존중을 기반으로 한 정치적 공간을 열어두는 아고니즘 정치를 추구하는 것이다. 사회적 실천에는 선험적인 기준이나 목표가 없다는 실천이론의 통찰을 받아들인다면, 후기 근대사회의 여성운동을 포함한 사회운동은 개별화된 개인들이 경연(agon)에서 토론을 통해 합의를 도출하는 방식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이는 결국 실천이론의 정치적 구현인 아고니즘 정치 이외의 방법은 없다는 결론을 도출하게 한다. This work starts from a description of the recent sociological and political terrain in Korean society as a heavily imbued one of late modernity and diagnoses that loss of vitality in social movements including women’s movement stems mainly from their misdirected strategies still residing in the modernistic project. As a remedy, this work propose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subpoltics and agonistic politics. The main characteristic of late modernity emphasized is the strong nonlinearity or reflexivity of the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in the social system compared to the linearity or reflectivity of modernity. In contrast to the changes in modernity caused by external forces and collective actions uniformly aggregated from individual actions, the reflexivity of late modernity can sustain endogeneous transformations of the social system through the feedback loop initiated from inhomogeneous individual actions. In this reflexive system, an individual may enjoy increased freedom but the effect of his action becomes increasingly unstable and unpredictable, causing insecurity and anxiety. The fact that, though the strategy of searching for and deciding on a common agenda based on the social consensus and then endeavoring for its realization has already reached its limits, individual agency cannot guarantee due freedom naturally suggest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gonistic politics. Agonistic politics, regarded as the political implementation of social practice theory, emerges as the inevitable strategy to secure efficiency and humane dignity in late modernity by maintaining an open political space where every participant is ready to listen to the claims raised by the other, engage in their deliberation, and contest them without any compulsion to arrive at a premature conclusion. Based on the intuition gained by pragmatic philosophers and social scientists that social practice need not rely on the externally imposed criteria and goals for its sustenance, this work claims in conclusion that social movements including women’s movement should emphasize the role of agonistic politics to escape the present stalemate.

      • KCI등재후보

        “后發展”:現狀、難題與可能的出路

        劉 秀 萍 한국철학사연구회 2004 한국 철학논집 Vol.0 No.14

        looking back upon the world history, modernization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the indigenous early-comers and the borrowing late-comers considering the time that the country got into the course of modernization and the source from which the modernity factors comes. thinking over the present condition, the indigenous early-comers had finished the industrialization and turned to post-modern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numerous unmodernized countries are facing with many problems :the poor social economy,the low productive forces and the undeveloped industry .This problems become the late-development problem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China undoubtedly belongs to the typical instance of the late-comers, so how to think ,design and push forward chinese modernization also becomes solution to the late-development problem. 從世界歷史的演進看, 現代化進程在不同的國家起步有早有晩・“現代性”因素在不同的民族或産生于內部或緣自外力, 這就形成了“早發內生型”和“后發外生型”兩種現代化類型. 從目前的現實情形看, “早發內生型”的發達國家已經完成了工業化・現代化的使命, 處于從現代化向“后現代化”轉換的過程中;而廣大第三世界不發達國家, 社會經濟貧困・生産力水平不高, 尙未完成工業化・現代化的任務, 這樣, 它們的諸多問題就成爲現代化進程中的“后發展”問題. 中國無疑屬于“后發展”類型中的典型形態;當代中國對現代化問題的思考・設計和推進, 某種程度上也就是對現代化進程中的“后發展”問題的解決.

      • KCI등재

        1990년 전후(前後) 문학 속의 탈근대성 고찰 - 유하, 장석남, 기형도의 시를 중심으로

        강정구 ( Kang Jeong-gu ),김종회 ( Kim Jong-hoi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6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7 No.-

        이 논문에서는 1990년 전후에 시 분야에서 나타난 탈근대의 특성을 유하, 장석남, 기형도의 시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이러한 분석은 근대화론의 인식틀-지배/저항의 이분법, 발전·극복에 대한 믿음·낙관-에서 `탈`하는 독특한 탈근대성이 시 분야에서 잘 드러났음을 보여줬다. 이 시기의 탈근대성 논의는 주로 진보적 근대화론에 관한 것이었는데, 이 논문에서는 주목할 만한 전환기의 시집군 대상으로 탈근대적인 변화의 양상을 세밀하게 검토했다.29) 먼저, 유하의 시편에서는 진보적 민족문학론에서 제기됐던 지배/저항의 이분법적 차이가 연기되는 공간인 무림과 압구정동을 살펴봤다. 무림은 지배에 맞선 저항 행위의 역사적·사회적인 정당성·필연성이 설명되지 않는 공간이었고, 압구정동은 모든 것이 욕망으로 치환되어서 지배/저항의 이분법적 인식틀이 해체·재구성되는 공간이었다. 그리고, 장석남의 시편에서는 빈곤이라는 소재가 보수적 근대화론의 담론 바깥에서 인간존재의 근원적인 결여와 그로 인한 슬픔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형상화됐다. 그의 시에서 과거의 빈곤과 그로 인한 슬픔은 인간존재의 근원적인 결여를 보여주는 사건이었고, 나아가서 동시대의 자기 존재 자체를 구성하는 현재의 사건이었다. 마지막으로, 기형도의 시편에서는 미성숙으로부터 해방되고 근대문명을 전개·발전시켜 온 계몽의 기획이 비판되었다. 근대문명이 미계몽된 사회를 문명화한다는 계몽의 기획 혹은 근대화론의 발전·극복 논리가 오히려 인간을 억압·위협 했고, 인간의 초라한 실존은 계몽의 기획이 일정 부분 실패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표상이 되었다. 1990년 전후에 출간된 유하, 장석남, 기형도의 시집에서는 보수적·진보적 근대화론의 발전·극복 논리에서 근본적으로 벗어나서 지배/저항의 이분법적 차이가 연기되거나 발전·극복에 대한 믿음·낙관이 회의·의심·비판·해체되는 양상이 잘 나타났다. This dissertation will understand the post-modernity discourse. The meaning and effect of the post-modernity are discovered in poems of Yoo ha, Jang suk-nam, Ki hyung-do. In their poem, writer observe the sense of post-modernity. The sense of post-modernity is a sense which escapes from dichotomy logic of idea and experiences the actuality. Yoo ha keeps the attitude of actuality criticism from the tradition of minjung-poetry. Jang suk-nam considers seriously a sentiment not ration in the tradition of lyric. Ki hyung-do got a civilization criticism from the modernism-poem. The poem of three poets searched the literature logic from the post-modern actuality. Yoo ha showed a criticism against minjokmunhak. Jang suk-nam enjoys the sentiment itself. It is being`s sentiment. Ki hyung-do showed the spirit of the tragedy. Between 1970∼80`s and 1990`s, post-modernity is word which reflects the change of epistemology structure. The age of ideology is gone, new episteme is coming. This situation is showed by in poems of Yoo ha, Jang suk-nam, Ki hyung-do.

      • KCI등재

        이식의 발명과 또 다른 근대 -1930년대 후반기 임화 비평의 경우

        류보선 ( Bo Sun Ryoo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19 No.2

        근대식민지의 모순을 사회주의 사회의 건설로 해소하려고 했던 임화의 비평은 1930년대 후반기에 큰 변화를 보인다. 1930년대 후반기에, 예견했던 사회주의 사회 대신에 전혀 예측하지 못했던 파시즘이 득세하자 임화는 큰 혼란에 빠진다. 한때 자기완결적으로 보였던 모더니스트작가들과 경향문학자들이 ``말하려는 것과 그리려는 것과의 분열``을 빠져 있는 것을 보고, 임화는 이러한 현상이 한국 작가들의 문학세계가 앞선 나라의 문학을 이식(혹은 모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이라고 파악한다. 그리고 임화는 이제서라도 이 우상숭배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개인(즉 근대적 주체)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프랑스 파리가 함락되는 상징적이면서도 충격적인 경험을 하면서 ``근대적 주체``가 되는 것 역시 앞선 나라의 문화를 이식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후 임화는 이미 존재했던 근대의 기획들(프랑스 영국 등 계몽적 근대성, 러시아의 사회주의적 근대성, 그리고 독일이나 일본 등의 파시즘이라는 사이비 근대성)을 모두 부정하고 또 다른 근대성을 찾아 나선다. 이는 한국 문학사에서 앞선 나라의 근대적 기획들을 규정적으로 부정하고 독자의 근대성을 시도한 거의 유일한 시도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임화의 이러한 시도는 역사의 발전은 곧 앞선 나라의 모방 이외에 다른 길이 없다고 믿었던 당시의 정치세력에 의해 철저하게 거부당한다. 불행하게도. A proponent of socialist criticism, Im Hwa showed a drastic change in his critical perspective in the late 1930s. In this period, a group of the modernist writers and the ``tendency writers`` in Korea were extremely confused between the things they wanted to narrate, and the things to describe. This tremendously affected Im Hwa since the writers in question seemed, at least to him, to have self integration, and eventually led him up to the finding that the literary confusion had stemmed from the ``transplant``: Korean writers transplanted from, or imitated, what we call, the ``advanced,`` or ``progressing`` nation states` literary paradigm to their own literary arena. He argued that a writer, in a proper sense, should be an independent individual, that is, a modern subject. But he was soon disillusioned, by Paris under Nazi occupation, to realize the ``modern subject`` itself had been transplanted from those progressing cultures. Thus, he launched a new search for another modernity negating the pre-existing modern projects such as French or British Enlightenment, Russian socialist modernity and the pseudo-modernity which German or Japanese fascists dared to experiment. His pursuit of a new, independent modernity negating those modern projects may be said to be groundbreaking in Korean literary history. It is unfortunate, even tragic that his search was positively rejected by the contemporary political parties who had believed the progress in a society is possible only when it follows the historic precedents.

      • KCI등재후보

        NOTES ON ANTIQUITY IN WESTERN LATE MODERNITY THROUGH NOVEL AND FILM

        ( Roberto Bertoni ) 한국영미문화학회 2014 영미문화 Vol.14 No.1

        This paper is about some aspects of the late-modern representation of antiquity in Western countries. The timeframe is mostly the decades since the 1980s, but some works are also mentioned from previous phases. Some information is given on the late-modern historical novel, characterized by mixture of genres and intertextual references to historical events and contemporary varieties of discourse. Eclecticism would seem to be a characteristic feature, and it mainly consists of a mixture of real events and imagination, cohabitation of ancient settings and modernized characters, and interaction between high and low culture. Commercialization often accompanies novels on antiquity in the 21st century. And ideologies such as romanness, germanism and barbarianism are employed by some authors to refer to contemporary realities. A number of films and novels are mentioned. More specific analysis focuses on Valerio Manfredi`s The Last Legion and the film based on the book; Simon Scarrow`s Gladiator: The Fight for Freedom; and Robert Harris`s Pompeii.

      • KCI등재

        고통과 기억: 식민지근대를 횡단하는 섹슈얼리티 : 『김약국의 딸들』을 중심으로

        박숙자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여성문학연구 Vol.44 No.-

        <The Daughters of Kim`s Pharmacy> depicts the downfall of the Kim’s Pharmacy family in the midst of wild waves of the time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up to the colonial ruling period. The spatial background of the novel is the port city 'Tongyoung', or Topos that has condensed the contradictions and changes of the transition period characterized by pre-modern/modern, colonialism/imperialism, and feudalism/capitalism. The social crisis that the Kim`s Pharmacy family is faced with is a modern tragedy. That is, <the Daughters of Kim`s Pharmacy> is a novelistic project that reflects on the modern tragedi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This novel does not attribute the downfall to the Japanese imperialism but, rather, focuses on conflict of the values of colonialism, capitalism and modernity. Kim`s Pharmacy family represses the gender in a bid to sustain their family. At the first scene of the novel, Kim Bong-nyong interprets the signifier of heterogeneity represented by 'yellow hair' as an existential crisis and makes a violent response accordingly. This pattern is repeated and varied within the text throughout the novel. Kim's refusal to accept Yongnan' s love results from feudalism, patriarchal order, and pedigree-oriented prejudice, Consequently, Yongnan’s sexuality is suppressed by the dominating systems of the time, that is, pre-modernism, patriarchalism and Christianity. The first daughter, Yong-suk, is a 'husbandless widow' and 'outsider' who is forced to exert maternity only. However, Yong-suk discloses her desire toward man and seeks to promote the capital increase by jump on the male-oriented economic bandwagon at the time, which is fascinating although it is represented by Femme Fatale. The fourth daughter, Yong-ok, takes cares of household chore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Gi-du and Yong-ok prearranged by Kim`s Pharmacy reveals the true nature of a loveless and sexless family and eventually results in Yong-ok’ tragic death. Yong-bin, a focalizer-character, appears as if he were the writer's alter ego, criticizing the patriarchal system and taking part in 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but Yong-bin’s marriage to Hong-seop, which is also prearranged by a contract between two families ends in failure. If so, what is the cause of the tragedy demonstrated in <the Daughters of Kim's Pharmacy> The division of the Kim`s Pharmacy was accelerated amid the structural changes of history and the survival of the family based on the gender repression ended up failure. The downfall of family is a tragedy in and of itself but is not fully mourned as it is the fall of the masculine modernity. 『김약국의 딸들』은 구한말에서 식민지로 이어지는 시대의 격랑 속에서 김약국 집안의 몰락을 재현한다. 소설의 공간적 배경은 항구 도시 ‘통영’으로 전근대/근대, 식민/제국, 봉건/자본 등 과도기의 모순과 변화를 응축시킨 토포스이다. 김약국 집안에 도래한 사회적 위기는 조선이 경험한 근대의 비극인 동시에 트라우마이다. 소설은 가문의 몰락 원인을 ‘일본/제국’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오히려 식민지/자본/근대의 가치들이 경합, 충돌할 때 이를 해결하는 내적 구조가 무엇인지 묻는다. 이를테면 ‘검은 연기’로 상징된 ‘외세’의 위력을 통영 사람들은 ‘대원군/민비’ 간의 대립으로 치환시켜 해소하려고 하는데, 김약국 가문도 마찬가지다. 가문의 위기를 해결하고 존속하는 방법으로 성을 억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예컨대 소설의 첫 장면에서 김봉룡은 ‘노란 머리카락’으로 표상되는 이질성의 기표를 성의 문란으로 생각하며 남성의 실존적 위기로 해석해서 폭력적으로 대응해서 비극을 낳는데, 이 비극은 다시한번 김약국(김성수)대에 이르러 반복된다. 딸들의 성과 사랑을 억압하는 과정에서 빚어진 가문의 몰락이 바로 그것이다. 이를테면 첫째 딸 용숙은 남성 경제에 대한 편입해 자본 증식을 도모하고자 하지만 위험한 여성으로 처리되고, 둘째 딸 용란은 전근대/가부장제/기독교 등의 의미 체계를 통해 성이 억압된다. 넷째 딸 용옥은 가부장제의 여성 규범에 순종적이지만, 결국 이로 인해 비극적 죽음을 맞이한다. 『김약국의 딸들』은 역사의 구조 변동 속에서 성의 억압에 근거한 가문의 존속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김약국 가문은 더 이상 그와 같은 방식으로 유지될 수 없다. 가문의 몰락은 비극이지만, 전적으로 애도되지는 않는다. 근대/식민/가부장이 공모한 남성적 근대의 몰락이기 때문이다. 이 소설은 김약국이 죽음을 맞이하고, 용빈과 용혜가 집을 떠나면서, 김약국 집에는 미치광이 용란만 남게 된다. 텅빈 기호로 남겨진 용란은 텍스트의 공백이다. 이 공백은 김약국 가문에 남겨진 상징계적 질서의 공백이자 여성적 쾌락의 기입이다. 비극이지만, 슬프지 않은 이유이다.

      • KCI등재

        동아시아적 근대의 문제와 사설시조(辭說時調)의 장르지향

        조세형 ( Cho Sehyoung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8 도시인문학연구 Vol.10 No.1

        본고는 조선후기 사설시조를 대상으로 서양적 근대에 대한 대안적 모색을 시도하였다. 사설시조는 가사·판소리와 함께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장르로 이중에서도 ‘근대/도시’와 가장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사설시조의 미학적 특징은 애초에 그 시학이 지녔던 입체성과 개방성이 조선후기라는 역사적 조건과 만났을 때 구체화되었다. 최근까지 사설시조에 대한 근대성 탐색은 봉건성 비판과 평민의식 탐색에 집중되어 왔으나 본고에서는 사설시조에 나타난 비서구적 주체와 이 주체가 구현하는 중층성과 입체성에 주목하였다. 이 연구의 핵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설시조의 부드럽고 온유한 하위주체는 서구적인 자기중심적 주체와 달랐으며, 이 점에서 대안적 주체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사설시조에서 찾아볼 수 있는 여성적 연민과 배려, 낮고 온유한 목소리는 자기중심성을 지양하고 개개의 주체를 긍정함으로써 주체들간의 대등한 관계를 승인하고 있다. 둘째, 그 가능성은 조선후기 한양의 도시적 다양성을 바탕에 둔 것으로 ‘다양한 탈근대적 가능성의 원형’을 시사한다. 조선 전기에 사대부들이 향유하였던 사설시조는 조선후기에 이르러 중인 이하의 계층이 활발하게 향유하는 장르가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중세와 근대이행기의 인식소를 충실히 담지하게 되었다. 사설시조는 상업의 발달이 가져온 도시문화와 유흥문화의 요구를 적절히 받아들이면서 텍스트의 중층성과 도시적 다양성을 확보하였다. 사설시조가 획득한 입체성 내지 중층성은 문명사적 전환기의 다양한 요소들을 내포할 수 있는 시적 공간을 마련하고 허용하였다. 이는 동아시아 도시의 근대성과 내재적 발전의 증명을 넘어서는 것으로, ‘근대 너머’의 향방을 찾고자 하는 작업이었다. This paper aims to find an alternative to Western modernity in the late Chosun朝鮮’s Saseol-Sijo. Saseol-Sijo is a representative genre of the late Chosun Dynasty along with Pansori, and is also the one most closely related to the modern and the cit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aseol-Sijo were specified when the openness of the genre met the historical conditions of the late Chosun Dynasty. Recent studies of Saseol-Sijo have focused on the criticism of feudalism and the quest for the sense of the common people, yet this paper reassesses the genre in terms of complexity and multilayeredness of non-Western subjectivity it repres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ek subordinate of Saseol-Sijo is different from the Western self-centered subject, revealing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subject. The feminine compassion and consideration, low and gentle voice in the genre allow for equal relationships among the subjects by rejecting the self-centeredness. Second, that possibility was based on the urban diversity of Hanyang漢陽 in the late Chosun. Saseol-Sijo earned its textual multilayeredness in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demands of urban culture through commercial development. The variety Saseol-Sijo obtained created a poetic space that contained various elements of the cultural transition. This paper attempts to prove the modernization and intrinsic development of East Asian cities, and aims to find the direction ‘beyond modernity.’

      • KCI등재

        1980∼1990년대 건축사조와 모던 건축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서영(Hahn, Suh-Yung) 대한건축학회 201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9 No.12

        Modern architecture revived again in 1990s against series of death by its opponents, Postmodernism and Deconstructivism. Though it is very interesting phenomenon, there were not many serious analyses about this rebirth of Modernism. This thesis will chase and analyse various theories and related categorizations by architectural historians and cultural theorists in broader extents. In doing so, this analyses will reveal various layers about characteristics of 1980~1990s modern architecture and its rebirth. It will also give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out the dynamic historical relations among Modernism, Postmodernism, Deconstructivism and architecture in 1980~199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