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 차원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

        유영미 한국교육사회학회 2011 교육사회학연구 Vol.21 No.4

        The two prominent universities and junior colleges form the system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This means that almost same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and junior college every year in Korean higher education and also means the level of contribution at national development is almost same. In spite of considerable numbers of junior colleges, they have been neglected as they are in Korean education system, by being interested in only universities. Meanwhile, if we take a look the debates surrounding junior colleges and junior college students, the main issue related to junior colleges is going on the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and the main issue related to junior college students is going on the ‘The Success of junior college students’. Now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means the result of junior colleges education on college basis, it causes lots of debates over centrally ‘The Effect of school’ - ‘Is junior college effective?’ ‘The Success of junior college students’ means the result of junior college education on students basis, it causes lots of discussions over centrally ‘The Success of junior college students’ - ‘Do junior college students succeed?’Therefore, to critically review on the debate over the Effects of the Junior College Education on Students basis totally different opinions from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s’ or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this article examined as follows. First, I examined present condition of Korean higher education and status of junior college through the feature of Korean higher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junior college. Second, I partitively suggest conditions on main issue related to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with junior college basis and student basis. Finally, to critically review on the debate over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on student basis, I suggest conditions on a standard of judgment of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and then indicated problems on debates over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한국의 고등교육 체제는 크게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이 양대 축을 이루고 있다. 이는 한국 사회의 고등교육 체제에서 전문대학이 양성하는 인력이 4년제 대학과 거의 같은 수준이며, 국가발전에 대한 기여도도 거의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의 현실은 4년제 대학에만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전문대학이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동안 전문대학과 전문대학생을 둘러싸고 어떠한 논쟁이 있었는지 살펴보면, 먼저 전문대학 관련 주요 쟁점은 ‘전문대학 효과’를 중심으로, 전문대학생 관련 주요 쟁점은 ‘전문대학생의 성공’을 중심으로 논의가 펼쳐졌다. 여기서 ‘전문대학 효과’는 대학 차원의 전문대학교육 결과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문대학은 효과가 있는가’ 즉 ‘학교의 효과(effect)’에 대한 논쟁이 주류를 이루었고, ‘전문대학생의 성공’은 학생 차원의 전문대학교육 결과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문대학생은 성공하고 있는가’ 즉 ‘학생의 성공(success)’을 중심으로 열띤 논의가 이루어졌다. ‘전문대학 효과’ 논쟁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전문대학은 산업계의 요구와 4년제 대학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옹호자와 비판자 모두 같은 입장을 취하지만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입장을 취한다. 따라서 이 글은 ‘전문대학 효과’ 또는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의에서, 의견을 전혀 달리하고 있는, 학생 차원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 다음의 순서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한국의 고등교육 현황과 전문대학의 위상을 한국 고등교육의 특징과 전문대학의 비중을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전문대학교육 효과 관련 주요 쟁점을 대학 차원과 학생 차원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되, 대학 차원은 ‘전문대학 효과’에 대한 입장 차이를 중심으로, 학생 차원은 ‘전문대학생의 성공’에 대한 입장 차이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 차원의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학생 차원 전문대학교육 효과를 판단하는 준거들을 제시한 후 이러한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쟁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전시체제기(1937-1945) 조선총독부의 전문학교정책의 성격 규명

        김자중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敎育問題硏究 Vol.32 No.3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junior college policies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GGk) during the wartime peri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GGK reformed junior college system in Korea for training professional manpower of natural sciences during the wartime period. I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 GGK established Gyeongseong Junior College of Mines and Busan Junior College of Fisheries. After Pacific War, the GGK established Pyongyang Junior College of Technology and Daegu Junior College of Agriculture, changed from Yeonhui Junior College and Boseong Junior College to Gyeongseong Junior College of Technology and Business and Gyeongseong Junior College of Colonization and Economics, closed Hyehwa Junior College and Myeongnyun Junior College, changed from Ewha Women’s Junior College and Sookmyung Women’s Junior College to schools for the training of female teachers or instructors. Secondly, the GGK strengthened intervention and control of junior colleges’ educational management during the wartime period. The GGK reduced the years required for graduation from the junior college by three months in 1941, and by six months since 1942, attached active army officers to private junior colleges as well as governmental junior colleges and increased in military training instructional time per week, organized junior college students into the School Labor Patriotism Corps and mobilized them to work. 본 연구는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전문학교정책의 성격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시체제기에 조선총독부는 이과계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해 식민지 조선의 전문학교체제를 전시전문학교체제로의 개편했다. 즉 중일전쟁을 전후한 시기에 조선총독부는 경성광산전문학교와 부산고등수산학교를 신설했다. 이어 태평양전쟁 이후 조선총독부는 평양고등공업학교와 대구농업전문학교를 신설했으며 문과계 전문학교 중 연희전문학교와 보성전문학교를 각각 경성공업경영전문학교와 경성척식경제전문학교라는 이과계 전문학교로 전환, 혜화전문학교와 명륜전문학교를 폐교, 경성법학전문학교와 경성고등상업학교를 경성경제전문학교로 통합, 이화여자전문학교와 숙명여자전문학교를 조선여자청년연성소 지도원양성기관으로 전환시켰다. 둘째 동 시기에 조선총독부는 전문학교 재학자를 동원하기 위해 학사운영에 대한 간섭과 통제도 강화했다. 먼저 조선총독부는 전문학교의 수업연한을 1941년에 3개월, 1942년부터는 6개월 단축했다. 다음으로 조선총독부는 관립전문학교뿐만 아니라 사립전문학교에도 육군현역장교의 배속에 의한 교련교육을 실시하고 매주 교련교수시수를 확대했으며 이후 1943년에 ‘학도지원병제도’, 1944년에 ‘징병제’를 실시하여 전문학교 재학자를 병력자원으로 동원했다. 마지막으로 조선총독부는 전문학교 재학자를 학교근로보국대 등으로 조직하여 각종 근로에 동원했으며 연간 근로일수도 최초 10일에서 30일, 60일, 4개월로 점차 확대하고 전시체제기 말기에는 통년동원까지 실시했다. 결론적으로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전문학교정책은 조선인의 교육을 파행화(跛行化)했다고 할 수 있다.

      • 전문대생의 대학생활 적응도에 관한 연구

        김현덕 ( Hyun-duk Kim )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2000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0 No.8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junior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Junior college students have som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being compared with four-year college students. Their level of academic ability is generally low and their self evaluation is also generally 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junior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unior college students' self concept and their adjustment to college. The field study was implemented during the period between October 18th through October 30th, 1999.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ree junior colleges which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with regional proportion and students' scores i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 total of 447 samples was used for a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self concept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junior college students to adjust themselves to college. In this study, both 'self-concept' and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are multifaceted. Among 7 areas of self-concept, self-esteem was the most highly related to. all areas of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and the academic self-concept was the second highly related to them. They also showed that the scores in the students' non-academic self concept including moral ethical self, soci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self were higher than those in student's academic concept. This finding represents that the students in junior colleges generally come to two-year colleges as they can not enter four-year universities. With regard to the junior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the scores in academic and personal -psychological adjustments were lower than those in general and social adjustments.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students in junior college had relatively low motivations in their studies, and experience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unrests in their college life. The companionship in college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college adjustment among variables that affect the student's adjustment. Finally,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to enhance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 KCI등재

        전문대학 기초교양컨설팅 현황 연구

        권준원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basic general education consulting for junior colleges over the past 4 years,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The basic consulting for general education at junior colleges, which started in 2018, brought up the conversation topic regarding general education at junior colleges. Also, as general education was included as one of the the basic competency diagnostic evaluation items of junior colleges to be implemented in 2021, junior colleges began to accept general education as a practical task rather than as a superficial object. From 2018 to 2021, 41 junior colleges out of a total of 133 junior colleges participated in the basic general education consulting program, and the participation rate was 30.8%. 11 junior colleges particpated in 2018, 14 in 2019, 14 in 2020, and 7 in 2021. The junior colleges satisfaction with the consulting conducted to date has been quite high, as the students had the opportunity to actually check and improve the status of basic general education through the consulting program. In this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general education consulting for junior colleges in the future, three things are proposed: First, the expansion of participation among junior colleges, second, quality improvement of the pre-diagnosis report, and third,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sent form. 본 연구는 지난 4년간 실시된 전문대 기초교양교육컨설팅의 성과과 한계를 정리하고, 개선방안을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8년부터 시작된 전문대 기초교양교육컨설팅은 전문대학에 교양교육이라는 화두를 던지게 되었다. 그리고 2021년에 실시되는 전문대학 기본역량 진단에서 교양교육이 평가항목에 포함되면서 전문대학은 교양교육을 피상적인 대상이 아닌 실체적인 당면 과제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2018년에 시작하여 2021년까지 진행된 전문대 기초교양컨설팅에 참여한 대학은 전체 133개 전문대학 가운데 41개 대학이 참여하여 30.8%의 참여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2018년 11개, 2019년 14개, 2020년 14개, 2021년 7개 대학이 참여하였다. 현재까지 진행된 컨설팅에 대한 전문대학의 만족도는 상당히 높은 편이며, 대학은 실제적으로 컨설팅을 통하여 스스로의 교양교육 현황을 살펴볼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그를 통해 개선해야할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하는 성과를 만들어 낼 수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전문대 기초교양컨설팅의 발전을 위해 첫째, 대학의 참여 확대 둘째, 사전진단보 고서의 품질 향상 셋째, 이행동의서의 실천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영양사 배출 관련학과의 전공과목 강화 및 개발에 관한 연구 : 제2보 - 교과과정 분석에 대한 연구 2nd Report - A Study on Course Programs Analysis at Universities and Junior Colleges

        박명희,최봉순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96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6 No.1

        In order to reinforce and develop major courses in dietitian producing department, this study analysed and compared the courses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related studies at 4-year and 2-year colleg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major courses provided by universities(33.2 courses) and junior colleges(32.6 courses), and universities (103) showed higher than junior colleges(79.9) with respect to total credit of courses. 2. Food Chemistry had highest credit(universities=1,532, junior colleges= 1,037), while Nutrition Education had lowest credit(universities=143, junior colleges=99) in the distribution of courses by way of major classification. 3. The number of courses provided by universities and junior colleges was similar by way of minor classification. Especially, courses related to Food Chemistry showed highest frequency (universities =15, junior college=11) and percentage of credit (universities=32.6 junior college=34.3%), while courses related to Nutrition Education were one subject and percentage of credit was 3.0%. 4. Compared to percentage of the number of questions occupied in national qualifying examination for dietitians, the percentage of the number of credit provided by courses programs is higher in Biochemis try(universites 10.6%, junior colleges 7.5%,) and Food Chemistry and Principles of Cooking(universites 27.0%, junior colleges 25.2%), but is lower in Diet Therapy(universites 7.6%, junior colleges 6.7%) and No trition Education(universites 4.9%, junior colleges 4.8%).

      • KCI등재

        한국 전문대학의 미래 예측에 관한 연구

        이용균,이기성 한국직업교육학회 2010 職業 敎育 硏究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orecast the circumstances of junior colleges in 2020, that are expected to face abrupt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decreasing student population, and get implications from those prediction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experts participating in this research foresee that junior colleges will face difficulties such as reduction in college admission resources, rapid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and fiercer competition with four-year colleges. Given such environment, it is expected that junior colleges will strive to train expert technicians and support lifelong learning. Secondly, experts forecast that by 2020 the number of remaining junior colleges would be 101, but the appropriate number would be 82. Compared to the 146 junior colleges that existed as of 2009, many of the currently-existing ones will be closed. Third, experts predict that junior colleges will face more difficulties in terms of the following perspectives: number of remaining schools, gap of basic academic skills among newly admitted students, ratio of students to full-time faculty, total employment and employment as regular employee, rate of new student recruitment, continued preference among companies and students for four-year colleges, and financial shortages. Future forecast itself cannot be the purpose. However, if a positive future is expected, we need to make it happen earlier or even strive to reinforce the positive sides. If negative future is expected, however, we need to find solutions to change the future into a hopeful one. The crisis facing junior colleges, as written in this paper, is expected not to be a temporary phenomenon but a long-lasting one. If we are to make junior colleges as institutions that are necessary for the society, we need to transform the crisis into opportunity. Before the number of students drops rapidly, the government and academic circles need to work hand in hand, to craft and implement strategies for more competitive junior colleges. 이 연구는 델파이 조사방법을 통해 학령인구 급감 등 급격한 환경변화에 놓일 것으로 보이는 2020년경의 전문대학 미래를 예측하고 이를 통해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이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2020년 전문대학이 ‘대학입학자원의 감소’, ‘급격한 산업구조 변화’, ‘4년제 대학과의 경쟁 심화’ 등과 같은 어려운 환경 변화에 놓일 것으로 예측하고 있고, 이러한 환경 속에서 전문대학은 ‘전문직업기술인 양성’, ‘평생교육 지원’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둘째, 전문가들은 2020년경 전문대학의 존속 규모는 101개, 적정 규모는 82개로 제시하여 2009년 현재의 전문대학수 146개와 대비할 때 향후 상당수 전문대학의 폐지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셋째, 전문가들은 2020년 전문대학의 ‘존속 학교수’, ‘신입생의 기초학력수준’, ‘전임교원대 학생비’, ‘전체취업률 및 정규직 취업률’, ‘신입생 충원율’, ‘학력별 임금격차’에서 현행보다 악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 이유로는 ‘입학자원 감소’, ‘기업과 학생의 4년제 대학 선호 지속’, ‘전문대학의 재정 부족’ 등을 제시하고 있다. 미래 예측은 그 자체가 목적2이 아니며 긍정적 미래가 예측되면 이를 앞당기거나 강화하고, 부정적인 미래가 예상된다면 대안을 강구하여 희망하는 미래로 바꾸는데 의미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 우리나라 전문대학의 위기 상황은 현재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대학을 우리 사회에 필요한 교육기관으로 육성시키려면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학생수가 급감하기 전에 정부와 대학이 협력하여 전문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시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전문대학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학습공동체의 활성화 방안

        나승일,김진실,문세연,민상기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s of learning community to enhance the quality of junior college education in Korea. The paper reviewed definitions, characteristics, models, effects and research trends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college. It also analyzed cases of junior colleges adopting learning community in Korea. In this study, learning community was defined as a strategy of linking or restructuring academic administration affairs, curriculums, teaching and learning, and student organizations connected with major fields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junior college education. Although it is a new concept introduced at first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has been activated in American colleges, it has not been generalized in Korean junior colleges. If Korean junior college adopts learning community successfully in their system, it will develop a dynamic relationship among students, professors and administrators, improve students' retention, develop professionals' teaching abilities, and so on. In order to create and activate learning community in Korean junior college, following efforts will be required: 1)making a consensus among all members in learning community, 2)diversifying leaning community mode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s and students. 3)enhancing the supports of academic administration affairs, 4)enhancing the diversity of curriculum and activating linked courses, 5)managing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and enhancing interactions through team activities 6)building a system to improve interactions among all members in learning community, 7)strengthening and diversifying relationships with industries, and 8)enhancing connections between student organizations connected with major fields and instruc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학습공동체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학습공동체 관련 문헌이 고찰되었다. 특히 학습공동체의 개념, 특성, 모형, 효과 및 국내 운영 사례 등이 분석되었다. 이 연구에서 학습공동체란 미국 대학을 중심으로 처음 소개된 새로운 개념으로,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학사행정, 교육과정, 수업, 동아리 활동 등을 연계하거나 재구조화하는 전략이다. 외국에는 비교적 널리 도입되어 적용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몇몇 대학에서 도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외 운영 사례를 통하여 학생들의 학습능력 저하 문제를 해결하고 수요자 중심 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학생, 교수 및 행정가 간의 파트너십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전문대학 교육에 학습공동체가 도입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활성화되는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첫째, 학습공동체가 각 대학에 실질적으로 구축되기 위해서는 학습공동체에 대한 대학 구성원 간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한다. 둘째, 학습공동체의 모형은 각 대학 및 학생의 특성에 따라 다양화하여 운영한다. 셋째, 학사관리의 지원기능을 강화한다. 넷째, 교육과정 편성의 다양성을 강화하고 연계 수업을 활성화하여 학생들의 특성에 따라 교육과정을 구조화한다. 다섯째, 수업(교수학습)은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운영하고 팀활동을 통해 상호작용을 좀 더 작은 단위로 조직해야 한다. 여섯째, 구성원 간 파트너십을 강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습공동체를 내실화하고 지원한다. 일곱째, 지역 산업체와의 관계를 학생들의 선택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다양화하여 학습공동체의 활용기반을 넓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공동아리를 활성화시켜 수업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학습공동체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융합의 시대에 필요한 전문대학 디자인교육

        천정임 ( Jeong-im Che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1 No.-

        연구배경 소통, 통합, 융합 등의 사회적 이슈와 시대적 변화와 함께 많은 대학에서 융합디자인에 관련된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타 분야와의 협업은 형식적으로 진행되기도 하고 디자인의 영향력이 미약하여 양질의 디자인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또한 산업사회에서 세분화된 디자인 분야의 학과나 전공의 학생들은 졸업 후 같은 업무에 종사하면서도 각각 다른 전공자인 경우가 많으므로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려면 디자인 분야의 학과와 전공은 서로 융합해야 할 필요도 있다. 그리고 융합디자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4년제 종합대학이나 대학원 중심의 교육이기 때문에 2년제 전문대학에서는 새로운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융합의 시대에 필요한 국내 전문대학의 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교육 과정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융합과 디자인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와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내 융합 디자인 교육의 현황을 문헌과 사례를 중심으로 조사하고 검토, 분석된 결과와 2년제 전문대학에서의 현장 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대학에서 실행할 수 있는 디자인 교육 과정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효과적으로 융합 디자인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바우하우스가 산업사회를 대비하여 기초조형교육을 중요하게 여기며 통합교육을 실시하듯이 융합의 시대적 변화를 대비하여 문화, 창조, 소통을 중심으로 하는 융합 디자인 교육이 필요하다. culture, creative, communication은 각각의 주변 학문과 연련되어 융합디자인 교육의 발판이 되었다. 즉 소비자,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디자인의 속성과 함께 예술, 인문학, 사회과학, 경영학, 공학 등의 분야와 융합이 이루진다. 전문대학에서의 짧은 교육 기간 등의 여건에 맞추어 문화의 이해, 창조적 능력 발휘, 소통에 의한 협력의 단계로 구성하여 교과목을 제안하였다. 결론 산업과 디자인 교육의 관련성, 융합의 시대에 필요한 디자인 교육에 관하여 개념을 정립하고 국내외 현황을 살펴보면서 문제점을 개선하여 전문대학에서 실행할 수 있는 디자인교육 과정을 제안하였다. 융합의 시대에 적합한 전문대학 디자인 교육과정은 실무 형 디자인 교육으로 이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은 졸업 후 산업현장에서 디자인 문제 해결 방법으로 활용할 것이다. Background The current society demands that students should be taught in the perspectives of communication, integration, and convergence or fusion. To meet such demands, several university departments of design are offering curricula from the perspectives of fusion or convergence.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 executing the curricula. Cooperation with other disciplines are usually carried out superficially. The influence of design is very limit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quality designs. Currently, there are many design departments which are subdivided with minute differences. As a result, students graudated from these different departments tend to work together on a same job.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many subdivided departments to be integrated. The previous studies on the need of convergence design were all focused on regular 4-year colleges or graduate schools. Thus, a new study is needed for 2-year junior colleges. The present study aims to set th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for junior colleges in the era of convergence and to develop a curriculum for the direction. Methods Literature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previous studies on design education and the present status of the design education. The surveyed cas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Proposed is a new design education curriculum for 2-year junior colleges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and the experiences of teaching in a junior college. Result Bauhaus considered it very important to teach the basic modelling in preparation of the coming industrialized society and to effectively carry out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As such, a new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centered on creativity, culture, and communicaiton is necessary in preparation of the era of digital revolution. Creativity, culture, communication became the basis of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associated with other branches of surrouding disciplines. That is, to meet the desires of customers and clients, the inherent properties of design is converged with other disciplines: arts, humanities, social sciences, management sciences, and engineering. Because the duration of education is short in junior colleges, proposed is the curriculum compopsed of three steps consisting of demonstration of creativity,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cooperaton based on communication. Conclusion The concepts on the relation between industries and design education and on the design education necessary for the era of convergence are defined. After the current status of the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in Korea was reviewed, and after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were improved, proposed is the curriculum that can be executed in junior colleges. The proposed design curricula for junior college suitable for the era of convergence is very practical so that the students who finished the curriculum would be able to solve design problems in industries.

      • KCI등재

        전문대학 교수의 교수헌신에 대한 개인 및 조직효과 분석

        김기용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effects on professor's commitment in junior college.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12,305 full-time professors in 146 junior colleges. Using random sampling method considering organizational level(more than 30) and individual level(more than 5 member within group), 760 professors of 38 junior colleges were sampled for the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and the source material data of junior college's public notice information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variables of this study. These data were analyzed by multi-level data analysis.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bout 90% of total variance in professor commitment level was individual effects, and about 10% of total variance in that was organizational effects. Second, the effects of professor's age, expectation, and students' participation of class about professor commitment were significant. Third,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s class environment, organizational climate, location, educational competitiveness about professor commitment were significant. Based on conclusions, several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the future research. First, it is required to explore other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variables. Second, it is required to support professors by junior college.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교수의 교수헌신에 대한 개인효과 및 조직효과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모집단은 146개 전문대학에 재직 중인 12,305명의 전임교수이며, 표집은 다층자료분석에서 요구되는 최소 조직수준 집단 수(30개 이상)와 개인수준 교수 수(전문대학별 5명 이상)를 고려하여 무선표집된 38개 전문대학 760명의 교수였다. 측정도구는 질문지와 전문대학 공시정보의 대학경쟁력 지표(교육과학기술부, 한국교육개발원, 2009)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개인과 조직의 2개의 서로 다른 수준인 다층자료구조 분석에 적합한 다층자료분석(Multi-level data analysis)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교수의 교수헌신에 대한 개인수준 변인의 효과는 약 90%, 조직수준 변인의 효과는 약 10% 정도였다. 둘째, 전문대학의 개인수준 변인 중 연령, 교수 기대, 학생 수업 참여는 교수헌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성별, 학력, 직위, 경력, 학생수준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전문대학의 조직수준 변인인 수업환경, 조직풍토, 소재지, 교육 경쟁력은 교수헌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수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조직수준 변인에 대한 추가적인 탐색, 전문대학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서 소속 교수의 헌신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 필요를 제언하였다.

      • 전문대학 교수-학습 센터 구축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정명화 ( Myung-hwa Cheong ),신경숙 ( Kyung-suk Shin ),손경옥 ( Kyung-ok Sohn )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2009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a trend of the CTL and to suggest activation of it in Junior College.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t was conducted the survey about CTL of 148 junior college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TL in junior college was used the title as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Second, the organization of human resources of CTL in junior college was made up teaching support, learning support and media support. Third, CTL in junior college was independent department in a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Forth, the researchers of CTL in junior college were taken training once or twice a year. Fifth, the programs which were provided in CTL in junior college were the workshop and seminar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