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변화-역사개념의 이해와 학습방법

        김한종 한국역사교육학회 2010 역사교육연구 Vol.- No.12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characteristic of ‘change’concept, the key concept of history, and suggested some methods of teaching it. First, I reviewed the meaning of historical change in historiography, and analyzed historical changes written in Korean History textbook and explained by history teacher during Korean history classroom. Finally, I suggested some techniques of teaching the‘ historical change’concept on the basis of researching them. ‘Change”is the main concept focused in historical study and history teaching and presented the specific character of historical facts. The acquisition of ‘change’concept helps us understand historical facts, so it has been to presented as a important objective of history teaching. Historical change does not have the necessity of causing the consequence unlike natural science. It is sufficient for it to show the probability of the fact. Accordingly, historical change is a sort of the tendency in historical development. Even if there are some instances inconsistent with the explanation of historical change, it is valid only if they don’t fundamentally contradict with it. The concept of historical change has not been reasonably presented in Korean History textbook and teachers’explanations in Korean history classrooms. They bring about the impression that the social stability is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 change is the confusion. It is probable that such a historical perspective makes pupils have the view of thinking the historical process as a circulation and regard the dynamics of social change as national policy or ruling classes’social stance. Time concept is necessary for effectively understanding historical change. In particular, chronological concept has a main part of developing ‘change’concept. To develop pupils’the concept on historical change, the syllabus,which is centered on historical topics and events relating to historical change, is useful. The syllabus is organized with historically meaningful periods and critical moments causing important events. Pupils learn the ‘historical change’concept through specific facts. The change of historical fact is presented as the form of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It is a useful method for pupils to develop the function of understanding historical causal relationship to compare two instances which happened in the seemingly similar circumstance. We explore the true cause of historical fact through such a history lesson. It is also useful to investigate the counter-factual power to prevent the historical change for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causal relationship. And we think historical facts from the viewpoint of development and in the place of main agents causing them. 이글에서는 역사학의 가장 핵심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변화’개념의 성격과 학습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역사학의 논의를 중심으로 역사변화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교과서와 실제 수업에서 역사변화를 어떻게 다루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역사 교육에서‘변화’개념을 가르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변화’는 역사학과 역사연구의 주된 관심이며, 역사적 사실의 성격을 잘 보여준다. 변화 개념을 가지는 것은 역사적 사실을 이해하는 기반으로, 역사교육의 중요한 목표이다. 역사 변화는 과학과는 달리 원인과 일어난 결과 사이에 필연성을 가지지 않는다. 다만 그러한 일이 일어날 수 있는 개연성을 보여주면 된다. 그런 의미에서 역사변화는 경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경향성에 어긋나는 사례가 있더라도, 그 경향성 자체를 부정할 만한 것이 아닌 한 역사변화는 성립한다. 국사교과서나 실제 수업에서는 학생들에게 역사변화의 개념을 제대로 전달하고 있지 못하다. 사회 안정은 발전이며, 변화는 혼란이라는 인상을 가지게 한다. 이러한 역사인식은 역사의 전개과정을 순환론적이라고 보게 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사회변화의 원동력을 국가의 정책이나 지배층의 사회적 태도에서 찾게 한다. 역사변화를 올바로 인식하려면 시간개념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연대개념은 역사변화를 인식하는 중심 역할을 한다. 학생들의 변화개념을 높이려면, 변화를 중심으로 교수요목을 조직할 수도 있다. 커다란 변화가 일어난 시기, 중요한 변화를 일으킨 사건으로 교수요목을 조직하는 것이다. 수업에서 학생들은 구체적 사실을 통해 역사변화를 접한다. 여기에서 역사적 사실의 변화는 주로 인과관계로 구성된다. 학생들이 역사적 인과관계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외형적으로 비슷해 보이는 사례를 비교하여 역사적 사건을 일으킨 참원인을 찾는 방법이 있다. 역사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反事實的힘을 고려하는 것도 인과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발전의 관점과 변화를 일으킨 주체의 처지에서 역사적 사실을 바라보는 것도 필요하다.

      • KCI등재

        역사교육에서 변화개념의 연구 동향과 전망

        최상호 한국역사교육학회 2023 역사교육연구 Vol.- No.47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교육에서 변화개념을 다룬 국내외의 연구들을 검토하여 연구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고, 향후 변화개념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는 데 있다. 먼저 변화개념 연구의 동향 검토 결과, 다음의 세 가지 연구 계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는 변화개념을 학문적 개념, 즉 2차 개념으로서 주목한 연구이다. 이들은 변화개념의 개념적 성격을 규명하고 학생들이 가져야 할 변화인식을 제시하였다. 둘째는 변화개념의 속성과 수업 전략을 살펴본 연구이다. 이들은 변화의 속성을 범위, 속도, 성격, 방향 등으로 정리하면서 이러한 속성을 학생들이 깨닫게 하기 위한 수업 전략으로 분석적 연표와 그래프, 은유와 유추, 변화와 관련 어휘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는 학생들의 변화개념 이해와 변화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이다. 이들은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변화인식을 경험적으로 조사하는 한편, 변화개념의 성격이나 속성 등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변화개념 이해를 수준별로 유형화하여 제시하였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기존의 변화개념 연구들이 이론적이고 추상적인 분석 활동에만 치중하였다고 비판하면서, 변화인식의 주관적이고 경험적인 특성에 주목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역사적 변화를 단지 현재의 관점에서 개요적 지식으로만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변화를 겪었을 당시 사람들의 시간경험과 의미구조를 확인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이러한 주관적이고 경험적인 변화개념의 성격을 잘 드러내 주는 인식 및 서술 도구로서 내러티브에 주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려는 시도도 이어졌다. 이러한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변화를 인식한다는 것이 특정 역사적 사실에 이미 내재된 변화의 양상을 파악하는 인지적 과정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다. 변화개념에 대한 학습은 개괄적인 분석 활동을 넘어 구체적인 사실에 주의를 기울이고, 행위 주체의 주관적인 경험에 따라 달라지는 변화의 의미를 포착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외의 연구 성과에 비추어 볼 때, 국내에서는 학문적 개념 가운데 하나로서 변화개념에 대한 조명이 어느 정도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변화개념의 특징과 속성, 변화개념 이해를 위한 발문이나 수업 전략 등 핵심적인 연구문제들에 대한 논의의 진전이 요구된다. 우리의 사회문화적 맥락이 학생들의 변화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이며, 우리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인식틀이 무엇인가에 대한 경험적인 검토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n the concept of change and continuity and to suggest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review, three research trends can be identified. First, research that focuses on the concept of change as an academic concept, namely secondary concept. Second, research that examines the properties and teaching strategies related to the concept of change. Third, empirical research o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hange. Recent research criticizes existing studies on the concept of change for primarily emphasizing theoretical and abstract analytical activities and emphasizes the subjective and experiential nature of change awareness. It suggests that assessing historical changes should not be limited to a overview studies but should also involve understanding the temporal experiences and meaning structures of people at the time when they actually experienced the changes. Additionally,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focus on narratives as tools that effectively reveal the subjective and experiential nature of the concept of change and to validate their effectiveness. These studies collectively emphasize emphasize that recognizing change is not a cognitive process that grasps the aspects of change already inherent in specific historical facts, but rather pay attention to the subjective time experience and meaning structure in which people lived. In domestic research trend, some progress has been made in elucidating the concept of change as an disciplinary concept. However, further discussions are need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the concept of change, as well as on research issues related to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hange, enquiry questions, or teaching strategies. Moreover, since most of the studies reviewed in this paper are from abroad,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experiential impact of our socio-cultural context on students' change awareness and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frameworks held by students.

      • KCI등재

        역사교과서 서술 변화의 요인과 교재화

        김한종 역사교육학회 2020 역사교육논집 Vol.73 No.-

        This study analyzed factors of changed descriptions in history textbooks and explored materializing strategies for history teaching. There are three factors that change the description in history textbooks. The first factor is the historians’ researching achievements. However, even though new research results emerge, it is generally late for the textbook authors to describe them in the textbooks. This is because they tend to postpone to describe changed contents in the textbook until researched findings are acknowledged by academic discipline. The second factor is the difference in historical interpretation. If the national curriculum or standards for history textbook adopts any of interpretations, the descriptions will be changing. However, the textbook author’s own historical interpretation sometimes alters the narrative, and sometimes individual scholar’s opinions are included in the writing textbook criteria or during authorizing the textbook. The third factor is derived from political and social problem. When a social conflict over the contents of history textbook happens or a controversy arises, the textbook authors describe its contents to avoid in a direction being swept away rather than based on their own views or interpretations. Depending on what factor causes the change in the history textbook contents, the strategy for materializing them are different. Changes in the textbook description can be used to help students acquire historical knowledge if they reveal new historical facts or correct misleading facts. Changes in the textbook contents by historical interpretation can be used as the teaching material for students to interpret and evaluate historical facts. This kind of history teaching gives students the experience of ‘doing history’. Changes in the textbook descriptions by the political and social problem can be used as the teaching material for critical reading. In this lesson, the object of critical reading is mainly the national view. However, the author's personal point of view may be included in the change of textbook description. Such change in the textbook descriptions can be read critically. These three factors are not clearly distinguishable, and two or more of them often work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중국 유아교육의 질 보장제도 변천에 관한 연구: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의 분석

        왕정 ( Jing Wang ),이승미 ( Seung-mie Lee ) 대한가정학회 202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8 No.1

        This study discusses the institutional change of Chinese early childhood education quality assurance institution (ECEQAI) from the three dimensions of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of that refer to the external environment, dynamic mechanism containing with nation-market-society, and the invisible ideology of the institutional change. Chinese ECEQAI was divided into five historical periods, which were 17 years after the founding of China (1949-1966), the Great Cultural Revolution (GCR) period (1966-1976), the early stage of Reform and Opening-up (RO) (1976-1995), the social change period (1995-2010) and the new period (2010-now). This study also concludes five separate change models for Chinese ECEQAI that correspond to the five periods. The first was a compulsory and gradual institutional change model influenced by the Soviet model and dominated by national power. The second was compulsory and radical change model controlled by the counter-revolutionary group. The third was a compulsory and gradual institutional change model dominated by national power. The fourth was induced and gradual<sup>①</sup> institutional change model driven by market power and forced by society power. The fifth was a compulsory and gradual institutional change model led by national power and forced by society power. Finally, the future change direction of China’s ECEQAI was further pointed out, that was the government-leading and tend to balanced three-pole power model of “Nation-Market-Society”, as well as the “three-pole power relationship” of in-depth communication and positive interaction.

      • KCI우수등재

        한국정부에서 지역발전사업평가제도의 특성과 변화연구: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의 적용

        배봉준 ( Bae Bong-jun ) 한국행정학회 2021 韓國行政學報 Vol.55 No.4

        본 연구는 역사적 제도주의관점을 적용하여 한국정부에서 지역발전사업평가제도의 제도적 특성과 제도변화를 역사적비교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무현정부에서 이명박정부로 정권이 변화함에 따라 두 정부의 지역발전사업평가제도의 제도적 특성은 유사점과 차이점이 나타나고 있고 경로의존적인 점진변화가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역발전사업평가제도의 도입과 개혁과정에서 Streeck & Thelen(2005)의 적응에 의한 재생산이 나타나고, 평가제도의 비교 기준에서 Mahoney & Thelen(2010)의 층화와 전환이 발생하는 것이 입증한다.국내학자들의 역사적 제도주의를 적용한 제도나 정책연구에서는 경로의존적인 제도나 정책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하지만, 구체적인 제도적 특성이나 변화유형에 대한 연구는 매우 희소하게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제도변화는 급진적 변화보다는 기존의 제도를 토대로 새로운 것을 추가하거나 의미를 부여하면서 발생하는 진화과정이다. 이러한 제도변화유형의 제시는 기존의 제도나 정책연구가 보지 못한 제도변화유형으로서 의미가 있고, 추후 다른 제도나 정책연구의 비교기준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applied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perspective to analyze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 changes of the regional development program evaluation system in a historical comparative study method. The analysis fou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long with a path-dependent gradual change in th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regime change from the Lee Myung Bak government to the Roh Moo Hyun government. This demonstrates that a reproduction by adaption appears during the introduction and reform of the regional development program evaluation system, and layering and conversion occur in the comparative standards of the evaluation system. Although domestic scholars’ institutional and policy studies that apply historical institutionalism say the path-dependent institution or policy changes are occurring, studies on specific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changes are very rare.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is study reveal that institutional changes are a course of evolution that occurs by the addition of new things or by giving meaning to existing institutions, rather than by radical change. The presentation of this type of institutional change is meaningful, as it has not been shown by existing institutional or policy research, and it can provide a comparative standard for future institutional or policy studies.

      • SCISCIESCOPUS

        Historic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changes since the 15th century in the Korean Peninsula

        Kong, W.S.,Koo, K.A.,Choi, K.,Yang, J.C.,Shin, C.H.,Lee, S.g. Pergamon Press 2016 QUATERNARY INTERNATIONAL Vol.392 No.-

        <P>Reconstruction of past vegetation is an important process in understanding vegetation history and global climate change. This research reconstructed the past vegetation range based upon historical records in the Korean Peninsula, especially for conifers and bamboos, and determined the factors responsible for historic change. Time-spatial changes in distribution of three conifer trees, two by-products of red pine and two bamboos from 1454 to 1931 were reconstructed with information about the local produce and tribute descriptions on seven historical documents. Plant distribution data were collated over time and space and plotted on county maps using a GIS software package. Cold tolerant Korean pines were grown on the norther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and eastern parts of Republic of Korea (ROK) with high mountains and hostile climate but absent from the western and southern lowlands of ROK showing low elevation and mild climate. Warmth tolerant red pines were present nation-wide, apart from the northern high mountains. Reconstructed ranges of red pines based on two by-products, e.g., pine mushroom and tuckahoe, matched well with the distribution of red pines. Warmth loving torreya tree were confined in their distribution to the southwestern tips of ROK with gentle terrains and mild and wet climate, especially in the winter. Giant timber bamboo mainly occurred on the southern parts of ROK, but some in the eastern ROK. Arrow bamboo showed a broader distribution, along the coast of ROK as well as the eastern coast of DPRK. Historical records can be used as good sources for reconstructing past vegetation change and climate change. Spatiotemporal distributional change of conifers and bamboos in the Korean Peninsula seems to be the result of both climatic change and anthropogenic cultivation, but no clear indication for the little ice age can be found from the historical vegetation. (C) 2015 Elsevier Ltd and INQUA. All rights reserved.</P>

      • KCI등재

        비판적 실재론에 의한 제도변화 설명가능성 탐색: 역사적 제도주의와 비교를 중심으로

        김선희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09 行政論叢 Vol.47 No.2

        Institutional change is a theoretical concept which has gained intensive attention in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science.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fundamental limits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n explaining institutional change and to suggest a new alternative explanatory model based on critical realism. This research suggests four problems with how historical institutionalism explains institutional change. The first is casuality which is related with conditions and mechanisms in the course of setting cause and effect. The second is emergence, the matter of set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structure and micro-actor. The third is historicity which deter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oral flows and contextual space. This study shows that critical realism will provide a theoretical alternative to historical institutionalism's explanation for institutional change. 제도변화는 행정학 및 정책학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는 핵심 연구주제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도변화를 설명하는 역사적 제도주의 설명방식이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한계를 지적하고, 그 대안으로 비판적 실재론(critical realism)을 통해 재구성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제도변화와 관련해 역사적 제도주의가 ① 변화와 연속에서 원인과 결과 간 관계설정과 관련된 조건과 기제의 문제인 인과성(causality), ② 거시적 구조와 미시적 행위자간 관계설정의 문제인 발현성(emergence), ③ 시간의 흐름과 공간적 맥락간 관계 설정 문제인 역사성(historicity), ④ 연속과 변화의 통합설명이라는 차원에서 한계가 있음을 지적한다. 역사적 제도주의에서 제도의 변화와 연속을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모형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쟁점들에 대한 근본적 재검토가 요구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실재론이 이에 대한 이론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 역사지도 데이타베이스 구축을 통한 한국 비무장지대(DMZ)와 독일 그뤼네스반트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 분석 (II)

        ( Oh Seok Kim ),( Marco Neubert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9 기본연구보고서 Vol.2019 No.-

        본 연구는 한반도의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 이하 DMZ)와 독일의 그뤼네스반트 또는 그린벨트(Grünes Band 또는 Green Belt, 이하 GB) 일부 및 인근 지역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를 비교·분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비교연구를 통해 인간과 자연 간의 지속가능한 공존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한반도와 독일은 각각 국가 분단을 경험한 역사적 공감대가 있다. 한국과 북한 사이에는 DMZ가 1953년부터 놓여져 있어 왔고, 과거 구동독과 구서독 사이에는 ‘죽음의 띠’ 또는 ‘철의 장막’이라 불리우는 무장지대가 있었다. 1990년, 독일의 재통일 이후 해당 지역은 GB로 탈바꿈해 현재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으로 보존되어 왔다. 하지만, DMZ는 군사적 목적에 의해 아직 접근이 어려울 뿐이지 체계적인 보존 대책이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전년도 연구는 한반도와 독일의 분단 상황에서의 경관변화를 분석하였다면, 금년도 연구는 활발한 교류 또는 통일 상황 하에서 예상되는 경관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독일의 경우와는 다르게 한반도는 아직 통일이 되지 않았으므로 여기에 미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를 전망할 수 있는 모델링을 적용해 미래의 상황을 체계적으로 유추할 필요가 있다. 모델링 기법 적용 시 다양한 토지이용 시나리오를 도입하면, 미래의 불확실한 상황을 모의하는데 있어 더 유리한 점이 있다. 단 하나의 경우만 고려하기에 DMZ의 미래가 너무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한편, 독일의 경우는 재통일이 된지 30년 가까이 지났으므로 변화탐지분석을 적용하여 경관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연구질문은 아래와 같다. 첫째, 독일 재통일 이후, 25년 간 세 시점(1990, 2000, 2014년)의 토지피복지도를 근·현대지도와 위성영상에 근거해 구축하고 시계열 변화를 분석해 본 결과, 구동독과 구서독 중 어느 지역이 더욱 많이 변화하였는가? 둘째, 재통일 이전·이후의 변화 패턴이 같은가? 만약 다르다면, 어떻게 다른가? 마지막으로 셋째, 전년도에 구축한 1951년과 2015년 시점의 토지피복지도에 근거하여, 50년 이후의 DMZ 미래를 ‘현 상태 유지’와 ‘독일 그뤼네스반트’ 시나리오로 모의했을 때, DMZ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는 각각 어떻게 나타나는가? 분석결과, 독일은 재통일 이후에도 구동독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가 구서독보다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통일 이전과 이후의 변화 패턴은 변화감지분석 결과만 고려하였을 때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겉으로 드러난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 패턴이 비슷해 보여도 문헌조사, 현지답사, 인터뷰 등을 통해 정성적으로 조사해 본 결과, 구동독의 경관변화를 야기하는 시기별 기저요인은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재통일 이전에는 공산·사회주의 체제 하의 집단농장 구축과 군사진지화로 인한 경관변화가 주를 이루었다. 재통일 이후에는 시장경제로 인하여 기존의 농지가 대농장화되면서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다. 시가화지역은 재통일과 크게 상관없이 꾸준히 증가해왔고, 습지는 꾸준히 감소해왔다. 재통일 이후에 발생한 주된 변화는 크게 두 가지이다. 먼저, 과거 구동독과 구서독의 접경지역이었던 ‘죽음의 띠’ 또는 ‘철의 장막’이 GB로 변화한 것을 토지피복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이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아우토반)이 개통된 것이 커다란 변화인데, GB를 지나는 구간에 터널을 설치하여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한 점이 괄목할 만하다. 한반도 연구지역에 시나리오 모델링을 적용한 결과를 제시하기에 앞서, 본 연구에 사용한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 모델의 수리적인 알고리즘과 미래 토지이용변화 시나리오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모델의 이름은 Land Change Modeler(이하, LCM)로 미국 클락대학교의 지리공간정보분석연구소인 클락랩스(Clark Labs)에서 개발한 털셋(TerrSet)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 시뮬레이션을 담당하는 모듈이다. LCM은 변화의 면적과 위치를 양분하여 미래의 상황을 모의한다. 면적의 총량은 마코프 체인(Markov Chain)에 근거해 전망하였고, 변화 위치 정보는 다층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을 활용하여 파악하였다. 다층퍼셉트론의 입력자료로 철도, 주요 도로, 해발고도, 경사도, 향, 토지피복 등을 고려하였다. ‘현 상태 유지(Business-As-Usual, 이하 BAU)’ 시나리오는 한반도 분단 이후로 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토지이용 경향을 미래 상황에 투영한 것이다. 환경영향평가를 생략한 개성공단 제2,3,4지구 완공, 경의선 및 국도 제1호선 개보수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더 나아가, 고려시대 역사유적인 나성 성곽 및 그 주변 지역과 DMZ에 행위제한 법제가 존재하지 않는 시나리오이다. 기존의 지속가능하지 않은 개발의 압력을 저감할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와 대비되는 상황인 ‘독일 그뤼네스반트(Grünes Band Deutschland, 이하 GBD)’ 시나리오는 DMZ와 고려시대 유적지에 행위제한을 설정해 해당 토지이용변화를 전적으로 지양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것은 독일의 튜링기아(Thuringia) 주정부에서 GB를 국가자연기념물(National Nature Monument)로 지정해 보존하고 있는 점을 벤치마킹한 것이고, 이는 국제적 차원에서 IUCN(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보호지역 범주에 포함된다. 고려시대의 수도였던 개성은 2013년 다수의 문화유적지를 UNESCO(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세계유산으로 등재하였고, 나성 성곽도 이에 포함된다. GBD 시나리오는 DMZ와 나성 성곽에 법제를 통한 엄격한 행위제한을 가정해 온전히 보존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더 나아가, 대규모 개발사업인 개성공단의 나머지 계획을 전면 백지화한 상황을 가정해 미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를 모의하였다. 그 결과, BAU 시나리오 하에서는 DMZ 내에 지속해서 경관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추가적인 환경훼손의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개성 시 가지는 개성공단 제3지구와 연계되어 개발이 집중될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 나성성곽은 이들 지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현 상태의 개발경향이 계속 유지된다면 추가적인 훼손이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GBD 시나리오 하에서는 DMZ와 나성 성곽은 변하지 않으므로 이들과 관련해서는 추가적인 환경훼손의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법제를 통해 행위제한을 엄격하게 제한한 공간역을 벗어나면 바로 난개발이 만연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개성공단 제1지구와 DMZ 사이 지역이 개발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 지역은 개성공단 제1지구 뿐만 아니라 경의선, 국도 제1호선과도 인접해 있고 대부분이 평지로 이루어져 있어 개발하는 데 있어 유리하기 때문이다. 한편, 해당지역은 DMZ와 인접하는바 환경적으로도 민감한 지역이라고도 볼 수 있으므로 이는 개발과 보전이 상충하는 공간역의 대표적인 예시인 셈이다. 본 연구가 정책적인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발을 중요하게 여기는 BAU 시나리오와 환경보존을 중하게 여기는 GBD 시나리오 모두 DMZ와 인근의 자연환경 및 역사경관을 효과적으로 보전하는 데 있어 각자의 한계점을 드러냈다. 남북 관계가 개선되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 적용한 시나리오의 한계를 보완한 지속가능한 DMZ 토지이용 계획 마련이 시급하다. 미래의 계획은 최우선적으로 남북이 동의할 수 있는 내용이어야 하는바, 이를 위해서는 한국과 북한의 개발수요와 환경보전 수요를 균형있게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국제연합(United Nations, UN)의 지속가능 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UN SDGs)는 국제사회 차원에서 이미 합의를 본 내용이므르 UN SDGs에 명시된 틀을 활용해 DMZ와 인접 지역에 지속가능한 토지이용 계획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mainly compares and analyzes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in the Demilitarized Zone (DMZ)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parts of the German Green Belt (GB). The Korean peninsula and Germany have the historical similarity that they have both experienced divisions of the state. The DMZ has been emplaced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ince 1953. In the past, there was a strongly fortified border zone called the “Death Strip” or the “Iron Curtain” between East Germany and West Germany. In 1990, after German reunification, the area was converted into the so-called “Green Belt” and is still conserved systematically to the present day. However, no systematic conservation measures yet exist for the DMZ. Our 2018 study analyzed landscape changes in the situation of the separated Korea and Germany. In this follow-up report, the landscape changes are compared and examined under the condition of reunification. Unlike in the case of Germany, the Korean peninsula has not yet been reunified, so it is necessary to apply a predictive modeling approach to forecast future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and infer the future situation systematically. The introduction of land-use scenarios in the application of modeling techniques has the advantage of simulating multiple futures, given that the DMZ’s future is too unclear to consider only one prediction. In contrast, it has been already 30 years since the German reunification. That is, for the German case, a predictive modeling approach is not required, so a change detection analysis can be applied instea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ich part of Germany (either former East or West) has experienced more change than the other, after the reunification based on the three land-cover maps of 1990, 2000, and 2014? (2) Before and after the reunification, do the change patterns differ? If so, how? (3) Based on the Korean land-cover maps of 1951 and 2015, the two scenarios, namely “Business-as-usual” and “Grünes Band Deutschland”, are simulated for the next 50 years for the case on the Korean peninsula. How do the simulated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of the two scenarios differ? Following reunification,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in East Germany have been more intensive than those in West Germany. Change patterns showed littl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reunification, only when the results of the change detection analysis were considered. However, even though the patterns of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seemed to be similar, qualitative investigations through literature reviews, field trips, and interviews showed that the underlying forces causing the changes in East Germany were different over time. Before the reunification, the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in the East German border region were mainly caused by the establishment of collective farms and by the expansion of military border fortification under the communist and socialist regimes. After the reunification, a market economy and capitalism were introduced. The introduction changed the underlying forces, and the change triggered the conversion from older collective farming to privatized large-scale agriculture, which uses lands intensively. Besides, settlement areas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but wetlands have been steadily decreasing regardless of separation and reunification. Two major changes have been noticeable since the reunification. The changedetec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rotective strip―or so-called “Death Strip”― was converted into a GB largely. The other major change was the opening of the highway (Autobahn) across the former border region, and, remarkably, the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was minimized by installing a tunnel in the section passing through the GB. Before presenting the results of the scenario modeling application to the study area on the Korean peninsula, the details and scenarios of modeling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are summarized as follows. Developed by Clark Labs, the Land Change Modeler (LCM), an analytical module that simulates the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was used to simulate the future of the study area. LCM divides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into two components: the amount of change and the spatial allocation of change. The former was estimated based on the Markov Chain, while the latter (the spatial allocation) was identified using a multi-layer perceptron (a type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Input data include railways, major roads, elevation, slope, and aspect, in addition to the land-cover maps for two points in time. The two land-use scenarios are applied in this research and explained as follows. The Business-As-Usual (BAU) scenario reflects the historical trend of land use projected to the future. This scenario considered the pro-development tendency of the Korean peninsula. The BAU scenario includes completing the 2nd, 3rd, and 4th districts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s planned and renovating the existing railways and major roads. It is likely that a prope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ill be omitted. Furthermore, this BAU scenario assumes no law enforcement regarding the conservation of the DMZ and historical castle walls. It means that the pressure of existing unsustainable development cannot be reduced. In contrast, the Grünes Band Deutschland (GBD) scenario consists mainly of setting restrictions on the DMZ and the ruins of the Goryeo Dynasty to limit the changes in land use and land cover in the region. This idea was borrowed from the state of Thuringia, Germany, as that state legally designated the GB as a National Nature Monument, which is also regarded as the protected area by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In 2013, Kaesong, the capital of the Goryeo Dynasty, was registered as World Heritage by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The GBD scenario assumes that the DMZ and ruins of the Goryeo Dynasty are fully preserved under strict legal protection. Furthermore, we assumed that the remaining plans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were no longer taking place. As a result, under the BAU scenario,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continue to occur within the DMZ,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further environmental damage. The existing built areas of Kaesong downtown will be expanded further as these will connect with the 3rd district of Kaesong Industrial Complex. Such a connection will lure more concentrated development than when not connected. Because the ruins of the Goryeo Dynasty are located between downtown Kaesong and the 3rd district of Kaesong Industrial Complex, further damage appears inevitable. Under the GBD scenario, the DMZ and historical sites remain unchanged because they are legally well protected, so little damage would be expected in these areas. However, unplanned development will prevail for those areas that are not under legal protection. In particular, the region between the 1st district of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the DMZ appears to be genuinely vulnerable to development. This region is flat in nature, is adjacent to existing development such as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is close to the major transportation network that cuts through the DMZ, connecting the two Koreas. However, this region is essential in an environmental sense because of its adjacency to the DMZ. That is, the region is a clear illustration of conflicts between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The research outcomes demonstrate a vital policy implication. Both scenarios, whether one is pro-conservation or not, were not able to conserve the landscape of the DMZ successfully. As inter-Korean relations improve, it is critical to develop a sustainable land-use plan of the DMZ region that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the two scenarios applied in this research. A future plan cannot be realized without a consensus between the two Koreas, and it is essential to balance the need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both conservation and development-wise. As the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UN SDGs) provide a compelling list of agendas and have already reached an agreement at the international level, making good use of the UN SDGs may be beneficial to both South and North Korea. If successful, we may indeed be able to come up with a sustainable land-use plan for the DMZ and adjacent areas.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재난관리 제도변화 비교연구

        신용식 ( Yong Sik Shin ) 한국행정사학회 2015 韓國行政史學誌 Vol.37 No.-

        대형재난과 같은 중대한 전환점(critical juncture)과 재난관리와 관련한 역사적 맥락(historical contexts)은 재난관리 제도의 형성과 발전을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이다. 역사적 제도주의 이론에 기초하여 우리나라와 미국의 재난관리 제도변화 과정을 분석한 결과, 두 나라 모두 대형 재난사고가 중대한 전환점이 되었고 당시의 역사적 맥락과 연계되어 제도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재난관리 제도변화 과정은 경로의존성을 따르고 있지만 그 양상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재난 발생을 계기로 과거의 문제점이 보완되는 변화과정을 보이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경로의존성의 요인인 자기강화(Self-reinforcement) 현상이 더 강하게 작용하고 있어 제도변화의 비효율성이 초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재난을 계기로 요구된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기 보다는 이전의 제도와 유사한 형태의 제도들이 반복되거나 이전의 상태로 회귀함으로써 발전이 제약되고 있다. 대형 재난사고 발생은 새로운 조직 설치 등 제도변화로 이어지게 되는데 새로운 제도변화의 성공 여부는 제도변화의 제약으로 작용하는 경로의존성에 따른 자기강화현상을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Historical contexts in relation to critical juncture like huge calamities and disaster management are vital factors that bring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an analysis was made on how Korean and American disaster management system changed and it showed that to both nations, huge calamities became vital turning points and that their system has changed in conjunction with its then historical context. Though both nations’ institutional change in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llows path dependence and yet with differing phases. While America shows a changing process complementing problems of the past using the occurrence of disasters, Korea sees inefficiency of institutional change due to the stronger action of self-reinforcement, a factor of path dependence. That is, rather than actively accepting the changes required during disasters, previous systems or ones with pattern similar to the are repeated or regressing to what they were, thus limiting development. The occurrence of huge calamities lead to institutional change such as installing new systems and etc. and if new institutional change will succeed or not vitally depends on overcoming the phenomenon of path dependence acting as a factor limiting institutional change.

      • KCI등재

        경복궁 후원 수림의 변화과정 및 주요 노거수군의 역사적 가치규명

        신현실 한국전통조경학회 202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40 No.2

        This paper examined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Gyeongbokgung Palace's back garden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and drawings such as Joseon Ilgi(Diaries of Joseon Dynasty), Joseon Wangjo Sillok(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Doseongdaejido(the Great Map of Seoul), Bukgwoldohyeong(Drawing Plan of the Northern Palace), the Bukgung Palace Restoration Plan, Restoration Planning of Gyeongbokgung Palace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Back Garden of Gyeongbokgung Palace was famous for its great location since the Goryeo Dynasty, and that it was named Namkyeong at that time and was a place where a shrine was built, and that castles and palaces were already built during the Goryeo Dynasty under the influence of Fengshui-Docham(風水圖讖) and Zhouli·Kaogongji(周禮考工記). Although the back garden of Gyeongbokgung Pala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stayed out of the limelight as a back garden for the palace, it has a place value as a living space for the head of the state from King Gojong to the present. Second, in order to clearly identify the boundaries of back garden, through literature such as map of Doseongdo (Map of the Capital), La Coree, Gyeongmudae Area, Japanese Geography Custom Compendium, Korean Photo Album, JoseonGeonchukdoJip(The Illustration Book of Joseon Construction), Urban Planning Survey of Gyeongseong,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ent Blue House area outside Sinmumun Gate was built outside the precincts of Gyeongbokgung Palace. It was found that the area devastated through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as used as a space where public corporations were combined through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during the King Gojong period.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place value as a back garden of the primary palace was damaged, as the palace buildings of the back garden was relocated or destroyed, but after liberation, it was used as the presidential residence and restored the place value of the ruler. Third, in the back garden of Gyeongbokgung Palace, spatial changes proceeded through the Japanese Invasion and Japanese colonial era. The place with the greatest geographical change was Gyeongnongjae area, where the residenc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built, and there were frequent changes in the use of the land.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Gyeongmudae area, the forests next to the small garden, and the forests of Baekak were preserved in the form of traditional forests. To clarify this, 1:1200 floor plan of inner Gyeongmudae residence and satellite images were overlapped based on Sinmumun Gate, 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water path originating from Baekak still exists today and the forest area did not change. Fourth, in the areas where the traditional forest landscape was inherited, the functional changes in the topography were little, and major old-age colonies are maintained. The old trees identified in this area were indicator tree species with historical value. Representatively,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Uyeki, located in Nokjiwon Garden, is presumed to have been preserved as one of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Uyeki planted next to Yongmundang, and has a historicality that has been used as a photo zone at dinners for heads of state and important guests. Lastly, in order to continuously preserve and manage the value of Gyeongbokgung Palace in Blue House, it is urgent to clarify the space value through excav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establish a hierarchy of garden archaeology by era. In addition, the basis for preserving the historical landscape from the Joseon Dynasty to the modern era from Gyeongbokgung Palace should not damage the area of the old giant trees, which has been perpetuated since the past, and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all the forests in Blue House. 본고는 최근 74년만의 개방으로 수많은 관람객이 방문하고 있는 청와대 경복궁 후원 공간의 변화과정을 통하여 후원 경관의 역사적 가치를 규명하고자 조선일기와 조선왕조실록, 도성대지도, 북궐도형, 경복궁 복원기본계획 등의 사료와 도면 등을 근거로 경복궁 후원의 시원과 발달과정을 고찰하였고 이를 통하여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선시대 경복궁 후원은 고려시대부터 명당으로 이름난 지역이었고 당시 남경으로 명명되며 신궁이 조성된 지역이었고 고려시대 이미 풍수도참사상과 주국의 고공기의 영향을 받아 궁성과 궁궐이 조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조선시대 전기 경복궁 후원은 궁궐의 후원으로 각광받지 못하였으나 고종 시기부터 현재까지 국가 통치권자의 생활공간으로서의 장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둘째, 후원의 경계는 도성지도, La Coree, 경무대일원, 일본지리풍속대계, 한국사진첩, 조선건축도집, 경성부 도시계획 조사서 등의 문헌을 통해 신무문 밖 현재의 청와대 권역이 경복궁의 경외에 조성된 후원임을 규명하였다.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황폐화된 지역을 고종시기 중건과정을 거쳐 공사(公私)가 결합된 공간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후원의 전각들이 이건되거나 훼철되며 법궁의 후원으로서의 장소성이 훼손되었으나 광복 후 대통령 관저로 사용되며 다시금 통치자의 장소라는 가치를 회복하게 되었다. 셋째, 경복궁 후원은 왜란과 일제강점기를 통해 공간의 변화가 크게 일어났다. 지형적 변화가 가장 큰 곳은 조선총독부관저가 건립되었던 경농재 일원으로 토지의 용도변화가 빈번하였다. 반면 현 경무대지역과 소정원 옆 수림과 백악의 수림은 전통적 수림의 형태를 계승하며 보존되었다. 이를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하여 1:1200의 경무대관저경내부지배치도와 위성사진을 신무문 기준으로 중첩하였고 그 결과 백악에서 발원한 물길이 현재에도 여전히 유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물길을 따라 오늘날까지도 수림지역이 변화하지 않고 존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전통적 수림경관이 계승된 지역들은 지형의 기능적 변화가 미비하였고 더불어 주요 노거수군이 존치되고 있다. 이 지역에서 확인되는 노거수는 역사적 가치를 가지는 지표수종들이었다. 대표적으로 녹지원에 자리한 반송은 융문당 옆 식재된 반송 중 일부가 보존되어 온 것으로 추정되며 국가원수와 중요 귀빈들의 만찬 시 포토존으로 활용되어온 역사성을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청와대 내 경복궁 후원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보존관리하기 위해서는 일제강점기 사료들에 대한 발굴을 통해 공간의 가치를 명확히 규명하고 시대별 정원고고학적 층위의 위계를 설정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또한 경복궁으로부터 청와대로 이어지는 조선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는 역사경관을 보존하기 위한 근거는 과거부터 영속되어온 청와대 경복군 후원 노거수군의 영역대를 훼손하지 않아야하며 청와대 내 수림을 전수 조사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