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화 시기 정부와 여성단체의 ‘여성직종’ 구상과 여성들의 대응

        장미현(Jang, Mi-hyu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7 아시아여성연구 Vol.56 No.2

        이 연구는 1970년대 정부와 여성단체의 ‘여성직종’ 구상과 ‘여성직종’ 확대를 위해 추진한 여성직업개발사업의 전개 과정 및 그것이 일으킨 변화를 고찰한다. 여성노동력 개발 논의는 1970년대에 시작됐다. 당시 정부는 여성인력개발정책을 고려했고 공식적으로는 여성의 직업 생활을 장려했다. 그 이유는 경제개발계획에 더 많은 여성 노동력을 동원하기 위해서였다. 정부가 선정한 ‘여성직종’에는 기존의 저임금 수출산업에 해당하는 업종이 포함됐다. 고학력 여성이 진출할 ‘여성직종’의 필요도 인지하고 있었지만 고학력 여성들의 직업의식 부족에서 원인을 찾아 여성에게 책임을 전가했다. 제한적이나마 ‘여성직종’ 개발 논의가 확산됐던 것은 ‘여성직종’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여성들과 여성단체의 요구가 있어서였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아래, ‘여성직종’ 개발에 나선 것은 YWCA와 같은 여성단체의 여성들이었다. YWCA는 ‘새로운 여성직업개발사업’을 통해 성별직종분리구조를 바꾸려했다. 이러한 목표 아래 YWCA는 기존의 ‘여성직종’은 제외하고 ‘남성직종’ 중 여성의 진출이 가능한 직종을 ‘여성직종’으로 선정했다. 이 중 도배, 페인트, 타일 분야의 훈련을 통해 각 분야 여성기능사들을 배출했다. 그 결과, 도배․페인트․타일 업종에서 일정정도 남녀 근로조건의 평등화와 작업장의 젠더 위계질서의 변화가 일어났다. 훈련을 통해 ‘남성직종’에 진출한 여성들은 작업현장의 젠더위계변화, 남성과 동등한 임금을 받는 경험에서 자부심을 느꼈다. 그리고 이들 여성들의 경험과 인식 변화야말로 1980년대 ‘여성직종’의 확대를 만들어 낸 동력이었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female occupation” ideas of government and female organizations, and the process of promoting “women"s vocational development projects” and the change that resulted. In the 1970s, at least formally, the government encouraged including the need for women"s labor development projects in women"s vocational lives, as part of promoting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 The government"s “female occupation” was comprised only of an industry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low-wage export industry. The government was aware of the necessity of a “female occupation” that advanced into recruiting highly educated women. But the government found the reason for the lack of job consciousness among highly educated women. Even the limited development policy of a “female occupation” was possible because women and women"s organizations said that the development of a “female occupation” was necessary, and created a social atmosphere for it. In this social atmosphere, it was women from women"s groups like the YWCA that started to develop a “female occupation.” YWCA tried to change the structure of gender occupational separation through a “New Women"s Vocational Development Project.” Unlike the government, the YWCA excluded the existing “female occupation.” Instead, the YWCA defined “female occupation” as occupations that women could enter, among “male occupations.” It trained female workers in fields such as papering, painting, and tiling.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slight change in the gender hierarchy and conditions of the workplace. Through training, female participants who entered “male occupations” felt proud of their experience in the gender hierarchy, and equal pay for men and women. The change in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se women wa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expansion of “female occupations” in the 1980s.

      • KCI등재

        문자/비문자 텍스트에 나타난 ‘젠더횡단’의 가능성 연구 - 2007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본어Ⅰ‧Ⅱ』를 중심으로 -

        이은주 한국일본어문학회 2019 日本語文學 Vol.82 No.-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Gender-Free’ in the education of Japanese as a foreign language in order to overcome the current research tendencies of focusing simply on linguistic analysis. In this study, the current high school textbooks from the 2007 revised curriculum, “High School Japanese Ⅰ.Ⅱ” is analyzed, focusing on sentences, dialogues, pictures, and illustrations. That is, I analyzed the boundaries between women and men with regard to occupation, social activities, housework, and childcare, as well as the boundaries of dichotomous male culture and female culture.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se illustrations and depictions represented separate gender roles and were biased to show only one perspective, that of male or female. At the same time, it has coexisted with a boundary and break a boundary between male and female. This is a part that can be found the possibility of ‘Trans-Gender’. A study such as this one on the possibility of ‘Gender-Free’ illustrations and text in Japanese textbooks could present a new model of understanding for men and women as times change.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어학적인 측면에서 분석한 연구경향에서 벗어나 젠더문화적인 관점에서 외국어 교육 중 일본어교과서를 통해 젠더프리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본 논고의 분석대상은 2007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본어Ⅰ․Ⅱ』이다. 그중 문자텍스트인 문장과 대화문, 비문자텍스트인 삽화와 사진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고에서는 생활세계 속 젠더의 경계 짓기와 일방적으로 한쪽만을 선택하여 기술되는 남성/여성문화의 경계 만들기에 대해 분석했다. 즉 직업이나 사회적 활동 등의 사회생활과, 가사와 육아 등 가정생활에서의 남녀영역의 경계 짓기로 인해 각각의 장소에서 남녀가 소거됨과 동시에 소외됨을 발견했다. 그와 더불어 남성/여성문화의 경계 만들기로 인해 남성이나 여성 중 어느 한쪽만의 문화로 획득함과 동시에 다른 한쪽 문화를 상실하게 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반면 여성과 남성의 영역과 남녀문화의 경계 짓기와 경계 허물기가 동시에 공존하여 젠더를 넘나드는 ‘젠더횡단’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처럼 일본어교과서에 나타난 젠더프리 또는 젠더횡단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작업은 시대의 변화에 따른 남성과 여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우리나라 해기교육・훈련의 성비 불균형의 현황과 문제 : 한국해양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최은순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3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8

        This study aims to reveal that the main barrier to fostering female marine officers lies in the recruitment of shipping companies and the imbalance of gender ratios in education and training of marine officer training institutions. In the maritime industry, gender imbalance is rooted in a long-standing stereotype of gender roles. Moreover, from a legal point of view, gender imbalance in recruitment and promotion is interpreted as ambiguous indirect discrimination, so social awareness as well as legal measures remain in place. In the case of Korea Maritime University, considering the student recruitment ratio, practice T.O., and employment ratio of shipping companies, female students design different careers from male students, which adversely affects future career development. Problems such as the absence of female role models, differences in academic attitudes of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representation of minority female students should be improved through hybridization. In particular, the leading subject for hybridization should be the shipping companies in that the gender imbalance of the shipping companies leads to that of train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t the practical level, a step-by-step long-term goal is needed to enable a mixed job with more than 30% of women in the marine officer job. Marine officer job is benign, not male, and hybridization will be the minimum starting point for ‘just marine officers’. Now, the competence of male and female students aiming to become marine officers depends not on the gender difference but on their ability. Marine officer training educational institutions need to cultivate excellent human resources without discrimination and establish a suitable selection system together with shipping companies. 본 연구는 여성 해기사 양성의 주요 장벽을 선사의 모집・채용과 해기사 양성기관의 교육・훈련의 성비 불균형의 문제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해사산업에서 성비 불균형은 성 역할에 대한 오랜 고정관념에 뿌리를 두고 있다. 한국해양대학교의 경우 학생 모집 비율, 선사 실습 티오, 선사 취업비율 등을 고려할 때 여학생은 남학생과 다른 진로를 설계하게 되며, 이후 진로 과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 교육・훈련 과정에서 여성 롤 모델의 부재, 남녀 학생의 학업 태도 차이, 소수 여학생의 대표성 등의 현황과 문제에 주목하였다. 특히 해운선사의 성비 불균형이 곧 학교의 성비 불균형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혼성화를 주도하는 주체는 선사가 되어야 한다. 실천적 차원에서, 해기사 직업군이 여성 30% 이상인 혼성직종이 가능하도록 단계적인 개선을 위한 장기 목표가 필요하다. 해기사 직업은 남성이 아닌 양성이며, 혼성화가 ‘그냥 해기사’의 최소 출발점이 될 것이다. 해기사를 목표로 하는 남녀 학생들의 역량은 성별 차이가 아니라 능력에 달려 있다. 해기사 양성 교육기관은 우수한 인재를 차별 없이 양성하고 선사와 함께 적합한 선발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