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Application and the Role of the Preacher in Expository Preaching

        ( Sung Wook Shin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ACTS 신학저널 Vol.20 No.-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biblical preaching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church growth and church health. Back to the biblical preaching, therefore, is an urgent call for contemporary preachers. What, then, is biblical preaching? Although each may have a different views, most preachers agree that the most biblical preaching is the expository preaching. Some disagreement, however, exists about the precise definition of expository preaching, In that issue, especially, “should the preacher simply exegete the Scriptures or should he attempt to make an application from the text that the audience can use as a ‘take away’ from his sermon?” is the major ques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what the role of preacher in the expository preaching and whether expository sermon include as well direct and explicit application to the lives of the hearers as solid bible exposition or not. In the first chapter, we study the pros and cons on the Use of application by preacher. In the second chapter, we examine the role of preacher in the expository preaching. In the third chapter, we discuss the concept of the expository preaching. In the fourth chapter, we analyze the necessity of application in the expository preaching.

      • KCI등재

        강해 설교의 저자 의도와 본문 해석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류병수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6

        설교는 성경 해석과 시대의 담론들을 성경 본문을 통해 청중에게 바르게 적용하고 전달하는 것으로써 설교자들에게 부여된 고유 권한이다.1) 이 고귀한 사명의 부르심 앞에 모든 설교자는 소위 성경적 설교를 위해 오늘도 성경과 씨름하며 수고스러운 해 석의 과정을 마다하지 않는다. “무엇이 성경적 설교인가?” 성경적 설교는 성경적이어 야 한다는 것에는 다툼의 여지가 없다. 그동안 한국교회 안에 행해지는 설교에는 다 양한 방법론들이 존재해 왔는데, 다수의 설교자들은 성경적 설교로 강해 설교를 선택 했다. 그 이유는 강해 설교만이 제공하는 중요한 이미지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성경 스스로 드러내도록 하여, 성경 자체가 그 본질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으로”2) 성 경에 기록된 본래의 의미를 찾아 그것을 시대에 적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강해 설교의 핵심으로 이해하기 때문이다. 이는 여타 다른 설교 방법론들과 달리 단순한 방법론과 이론에 의존하지 않고 성경 해석의 과정 그 자체로써 강해 설교라는 기준점을 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바로 그 해석의 중심에는 ‘저자 의도’가 있다. 강해 설교의 정의인 ‘역사적, 문법적, 문자적, 신학적 연구를 통해 발굴하고 알아내고자 하는 것이 바로 저 자 의도이다.’3) 저자 의도는 강해 설교의 성경 해석의 기준이며, 설교자가 반드시 찾 아내야만 하는 원석과 같은 것으로 모든 설교의 내용과 적용의 핵심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강해 설교의 핵심이라고 말할 수 있는 저자 의도에는 해결해야 할 중요 한 이슈가 존재한다.4) 그리고 이것에 대한 연구사례를 찾기 어려운 것은 강해 설교 안에 저자 의도는 ‘성경적 설교’라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근간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 럼에도 필자는 시시각각 변하는 시대 속에 강해 설교가 더욱 ‘성경적 설교’와 ‘시대를 담아내는 탁월한 설교’로 세워지길 바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강해 설교에서 다루지 않는 저자 의도에 대한 문제를 지적하고 본문 해석의 다양성의 관점과 새로운 설교학 에서 제공하는 예언자적 해석의 필요성을 제시함으로 저자 의도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Preaching is the Unique rights given to preachers by correctly applying and communicat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nd the discourses of the times to the audience through the text of the Bible. In the face of this noble mission call, all preachers struggle with the Bible today for so called biblical preaching and do not hesitate to interpret the laborious process of interpretation. “What is Biblical Preaching?” There is no dispute that biblical preaching must be biblical. In the meantime, various methodologies have existed for preaching in the Korean church, but many preachers chose expository preaching as biblical Preaching. The reason is that th ere is an important image that only expository preaching provides. It is “so that the Bible itself reveals itself, the Bible itself reveals its essence.” This is because it understands the core of the sermon by expounding on the series of processes of finding the original meaning recorded in the Bible and applying it to the times. This is because, unlike other preaching methodologies, it does not depend on simple methodologies and theories, and can establish the standard of expository preaching through the process of biblical interpretation itself. at the center of that Interpretation is the ‘author’s intention’. It is the author's intention to discover and find out through historical, grammatical, literal, and theological studies, which is the definition of expository preaching. It can be said that the author's intention is the standard of biblical interpretation of expository sermons, and is the core of the content and application of all sermons as a gemstone that preachers must find. However, there are important issues to be resolved in the author's intention, which can be said to be the core of expository preaching. And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cases on this because the author's intention in expository preaching is the basis for providing the image of biblical preaching. Nevertheless, I hope that expository preaching will become more biblical preaching and excellent sermons that capture the times in the ever-changing times.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a development plan for author's intention by pointing out the problem of author's intention that is not addressed in expository preaching, and by suggesting the need for prophetic interpre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diversity of textual interpretation and new homiletics.

      • KCI등재

        강해적 내러티브 설교에 대한 실천적 방향에 관한 연구

        박문석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72

        본 연구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랫동안 설교자들이 가장 성경적 설교라고 여기며 실천하고 있는 강해 설교와 신설교학의 대표 주자격인 내러티브 설교의 상이점을 살피고 각각의 장점으로 서로 보완해 줌으로 강해적 내러티브 설교를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성경은 다양한 교훈들과 이야기들이 역사적, 문화적, 언어적, 철학적, 시대적 상황을 배경으로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고유의 문학적 형태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리나 교훈을 다루는 본문 안에 내러티브가 내재되어 있는가 하면 반대로 내러티브 안에 교훈과 교리가 내재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목회자들은 내러티브 본문을 강해 설교 형식으로 설교하여 본문 안에 내재되어 있는 내레이터의 의도를 놓치거나 교리나 교훈의 본문을 강해 설교 형식으로만 설교하다가 본문 안에 있는 내러티브를 놓치는 우를 범하기도 한다. 내러티브 설교는 강해 설교의 후발 주자이면서 신설교학으로 분류될 만큼 진보적인 학자들에 의해 시작되었지만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많은 변화가 생겼다. 강해 설교와 내러티브 설교를 신학적 관점이 아닌 설교학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서로에게 꼭 필요한 설교의 형태라는 것을 인정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본고에서 강해 설교와 내러티브 설교의 이해와 강해적 내러티브 설교의 필요성을 논하고, 어떻게 하면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설교의 장점을 결합하여 한 편의 성경적 설교를 할 수 있는 지를 살피면서 강해적 내러티브 설교의 실천적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parted. The first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ository preaching that preachers in the East and West regard as the most biblical preaching and the narrative preaching as the contemporary mainstream of the new homiletics. The second is to find a complementary way to practice expository-narrative preaching by highlighting the strengths of each. In the Bible, various lessons and stories are recorded with historical, cultural, philosophical, linguistic, and periodic backgrounds and circumstances. In other words, despite having their own literary forms, narratives are embedded in the texts dealing with doctrines and percepts. At the same time, there are many cases where doctrines and percepts are embedded in narratives. Nevertheless, Korean pastors preach the narrative text in an expository preaching form and miss the intention of the narrator embedded in the text, or preach the doctrine and instructional text in an only expository preaching form and lead to overlook the narrative in the text. Narrative preaching came after expository preaching and was started by progressive scholars who classified narrative preaching as the new homiletics but many changes began to take place at the turn of the 21st century. By considering preaching perspectives rather than theological perspectives, expository preaching and narrative preaching recognize that they are essential to one another. In this paper, I will discuss the understanding and necessity of both expository preaching and narrative preaching and will seek the practical direction of expository-narrative preaching, while exploring how to practice biblical preaching that combines the merits of these two different types of preaching.

      • KCI등재

        포스트모던 청중을 위한 적용이 살아있는 강해적 교리설교

        박현신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4 복음과 실천신학 Vol.30 No.-

        포스트모던 시대 강해설교자들은 교리설교 혹은 교리문답 설교에 대한 필요성을 넘어 어떻게 권위와 적실성을 가진 교리적인 강해설교를 추구할 것인지에 대한 방법론을 세워가는 것이 필요하다. 본고의 중심 논지는 포스트모던 청중을 변혁시키기 위한 대안으로서 성경적, 역사적, 현대적 모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적용이 살아있는 강해적 교리설교의 회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포스트모던 청중을 변화시키는 강해적 교리설교의 성경적, 역사적 뿌리를 간략히 고찰할 것이다. 두 번째로 교리 강해설교의 핵심 원리(정의, 다른 신학과 관계, 중심 초점으로서 그리스도)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세 번째로 새로운 칼빈주의 운동(개혁주의 설교 운동)의 설교자들 가운데 젊은 기수인 Mark Driscoll을 적용지향적‘강해적 교리설교’의 관점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Driscoll의 실제 설교 분석을 통해 그의 강해적 교리 설교의 주요 특징은 첫째, 포스트모던 청중을 위한 선교개혁(reformission) 패러다임에 기초한 강해적 교리설교, 둘째, 다양한 레시피(recipe)로 맛을 내는 강해적 교리설교, 셋째, 빈티지지저스(vintage Jesus)를 통한 복음중심적인 강해적 교리설교, 넷째, 청중을 향한 적용이 살아있는 십자가중심의 강해적 교리설교, 다섯째, 성경적상황화(contextualizing)를 통한 선교적인 적용을 지향하는 그리스도 중심적 강해설교, 여섯째, 변증적 기능을 추구하는 강해적 교리설교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Driscoll의 강해적 교리설교에 대한 비평적 평가와 발전적 제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In a Postmodern age, preachers need to consider how to systematize a methodology of application- focused expository doctrinal preaching with authority and relevance beyond the necessity of doctrinal preaching or catechism preaching. The central idea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pplication-aimed expository doctrinal preaching as an alternative to postmodern audiences based on biblical, historical, contemporary models. This study, first of all, briefly considers the biblical and historical root of expository doctrinal preaching. Second part deals with crucial principles of application-aimed expository doctrinal preaching focusing on the definition of doctrinal preaching, its relationship with biblical and systematic theology, and a Christo-centric perspective. Third, the researcher analyzes Mark Driscoll's exemplary sermons in the light of expository doctrinal preaching. On the basis of analysis of Driscoll's preaching, this study articulates six marks of his expository doctrinal preaching: 1) a holistic paradigm of reformission(Gospel, Culture, Church), 2) a variety of recipes for expository doctrinal preaching, 3) Christ -centered exposition in the light of vintage Jesus, 4) Cross-centered expository preaching with audience- focused relevance, 5) missional application based on biblical contextualization, 6) expository doctrinal preaching with apologetic focus(proof, defense, and offense). Lastly, from a reformed point of view, this paper critically evaluates Driscoll's expository doctrinal preaching.

      • A Suggestion for Pulpit’s Restoration : The Restoration of Expository Preaching

        Chang Hoon Kim Presbyterian General Assembly Theological Seminary 2014 CHONGSHIN THEOLOGICAL JOURNAL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definition, necessity, benefits and cautions of expository preaching. The writer asserts that expository preaching is the way for the restoration and the revival of the Korean Church in a serious crisis. Christian history confirms how great an impact preaching has had on the church. Also, expository preaching has apparently been recognized as ‘the most desirable form of preaching’ or ‘the most biblical form of preaching’ by numerous scholars in of all time and plac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expository preaching, which accurately and clearly delivers the core message of the text, is the only alternative the Korean Church has for restoring the pulpit from the present condition that God's Word is not functioning properly.

      • KCI등재

        강해설교와 내러티브 설교의 이분법을 넘어서

        정재웅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7

        Expository preaching and narrative preaching are the homiletical methods in which each represents the Old Homiletic and the New Homiletic. Until now, these homiletical methods have been considered incompatible due to the conflict between those homiletical groups. While the new homileticians put the preacher-centered authoritarian monarchial and enlightening expository sermon in opposition to the democratic sermon that allows listeners hermeneutical autonomy, the traditionalists underestimate narrative sermon merely as a technique to enchant listeners, arguing that expository sermon is the genuine biblical preaching. However, recently a new wave in which one pursues integrative preaching that takes advantage of positive aspects from both and discards the disadvantages has emerged in North American homileticians, commonly among the evangelicals and the mainline school. This article attempts to investigate this new homiletical movement and delve into how it can be applied to Korean churches. For this purpose, it examines firstly that expository preachers have created narrative expository sermon or expository narrative sermon in the application of narrative sermon to expository sermon, and then how the homileticians of the mainline school, including Thomas G. Long, Paul Scott Wilson, and Gennifer Brooks, have applied the elements of expository sermon to narrative sermon. I argue that this new movement of homiletical integration was a homiletical response to the drastic de-churching in North America, which casts out a couple of application points to the Korean churches that are experiencing the same issue. On the basis of the discussion above, the author proposes an integrative biblical preaching that seeks to preach adequately to the diverse preaching context in consideration of diverse literary genres of the biblical texts, diverse listeners, and the homiletical theology that the preacher persists.

      • KCI등재

        다양한 교리 설교 형태에 관한 연구

        박현신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9 복음과 실천신학 Vol.52 No.-

        교리 설교는 험준한 산 정상을 향해 올라가는 등정으로 비유할 수 있다. 포스트모던의 거대한 폭풍으로 인해 설교자들은 설교에서 필수적인 요소인 성경적 교리를 최소화하거나 무시하는 경향이 있어왔다. 그러나 최근 다행히도 몇 몇 학자들이 교리설교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와함께 한국교회 설교자들 가운데서도 교리설교의 필요성이 새로운 주목을 받고 있지만 강해적 교리 설교라는 설교철학에 근거한 구체적인 형태나 방법론 차원의 논의보다는 주로 요리문답 설교의 재조명에 관한 논의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본 소고의 주요 목적은 강해적 교리 설교라는 산 정상을 다양한 루트를 통해 등정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와 방법론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본 연구는 먼저 개혁주의 교리강해 설교라는 산의 정상을 등정하기 위해 필요한 베이스 켐프와 등정전략을 간략히 숙고해 볼 것이다. 그런다음, 본문에 기초한 강해적 교리설교의 정상으로 올라갈 수 있는 다양한 루트에 대한 논의를 통해 교리 설교의 형태와 모델들을 분석할 것이다. 즉 토피컬 교리 설교, 테마틱 교리 설교, 본문형(Textual) 교리 설교, 단락형교리 강해설교, 변증형 교리 설교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것이다. Doctrinal Preaching is likened to climbing to the top of a rugged mountain. Due to a huge storm of the postmodern age, preachers have a tendency to minimize or ignore a biblical doctrine that is an essential element in preaching. Recently, a few homileticians and homiletical works attempt to new approaches about doctrinal preaching. In these days, Korean pastors begin to notice the necessity of doctrinal preaching focused on a reconsideration of catechism preaching rather than expository doctrinal preaching with its specific forms and methodology. With this regard,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on a variety of forms rooted in text-driven expository doctrinal preach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considers the necessity of a homiletical basecamp and a strategy to conquer a mountain top of doctrinal expository preaching. Secondly, this researcher examines various routes to climb up a mountain of expository doctrinal preaching by means of considering and evaluating exemplary forms such as topical doctrinal preaching, thematic doctrinal preaching, textual doctrinal preaching, passage doctrinal preaching, and apologetic doctrinal preaching.

      • KCI등재후보

        Lloyd―Jones의 설교와 신학의 관계성 고찰 ―『목사와 설교』를 중심으로 ―

        박영호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1 복음과 실천신학 Vol.24 No.-

        Lloyd-Jones의 “강해설교와 신학의 관계성”을 그의 저서 『목사와 설교』(Preaching and Preachers)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는 설교내용(sermon)과 설교행위(preaching)의 원리를 제시하며 성경적 설교로 초대한다. 설교내용은 신학과의 관계성을, 설교행위는 성령의 능력과의 관계성을 설명한다. 그의 설교학은 청교도 설교에서 특히 윌리암 퍼킨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는 강해설교의 신학적 이해와 적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신학적 강해설교가 교회와 목사의 최우선적인 임무로 보았다. 이 시대에 목사에게 가장 중요한 필요는 바로 강해설교가 가장 중심적이고 중요한 위치로 회복되는 것이다. 강해설교는 성경본문에 충실하며, 명료하고 조직적이며, 현실적인 삶에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다. Lloyd-Jones는 설교를 현재의 교회와 세상이 직면한 문제에 대한 진정하고 체험된 해답으로 내세웠다. 그래서 그는 지금의 설교자들에게 이러한 신념을 그들의 연구와 강단으로 이끌어 내지 않는 한 결코 성경적인 성과는 이루지 못할 것이라고 권면한다. Lloyd-Jones의 신학적 설교의 방법과 설교의 중요한 위치에 관한 중대한 조언과 도전을 받았다. 그는 강해설교가 교회와 목사의 주된 임무로 보면서 심방, 상담이나 강단에서의 기도 같은 목회사역의 모든 부분에 대해 언급하려고 시도 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Lloyd-Jones가 “설교가 모든 것을 주장하며 다른 모든 것의 성격을 주관한다”라는 강조점은 지극히 타당하다. Lloyd-Jones는 신학적 강해설교가 여러 부수적인 다른 것의 성격을 결정하는 중추적 역할을 한다는 것을 함축하려 했다. 그는 불붙는 논리의 신학적 강해설교만이 인간의 구원과 부흥을 이룬다고 주장하였다. This article attempted to contempl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expository preaching and theology. Lloyd―Jones believed that theological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in expository preaching was of utmost importance to the pastors and church. And restoring this to a central and the most importance place in preaching is required. Expository preaching is faithful to the biblical text, and concise, systematical, and applicable to the present reality. Lloyd―Jones wrestled with reactions to modern day sermons, advocated for biblical, historical, grammatical, theological justification of putting sermons first before anything else, and debated many counter opinions. Indeed he expressed deep interest in answering and debating questions and opinions pertaining to expository preaching. Lloyd―Jones considered expository preaching as a proven answer to problems that modern churches face. So he emphasized the need for the preachers to embrace this conviction and carry it out on the pulpit. Otherwise, Lloyd―Jones believed that there would not be a biblical outcome. It was a pleasant reminder and challenges to understand the method of his theological preaching and sermon. While he believed that expository preaching was the main duty of pastors for the church, he did not try to mention other aspects of ministry. But it must be understood that Lloyd―Jones strongly emphasized that the sermon was central to everything else and controlled outcome of all other aspects of ministry. So we can understand Lloyd―Jones’view that theological expository preaching plays an integral role in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other aspects of ministry. He firmly exhorted the importance of theological expository preaching that is based on the logic on fire can effectively convey the message of man’s salvation and revival.

      • KCI등재

        해석학적 맥락화에 근거한 아브라함 내러티브 (갈 3:1-24) 강해설교 연구

        이춘구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2 복음과 실천신학 Vol.65 No.-

        성경적이면서 능력 있는 강해설교의 실현이 올바른 성경 해석에서부 터 시작된다는 점에서 설교자가 성경 본문을 신학적, 해석학적, 의사소 통적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 이유는 설 교자의 이러한 종합적인 해석을 통해 본문의 전체 성경을 관통하는 하 나님의 구속 이야기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설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 히, 설교자가 본문에 담긴 하나님의 구속 역사를 추체험할 수 있는 것 은 강해설교가 지닌 가장 큰 강점이다. 하지만 설교자가 의지를 가지고 강해설교를 실현하려 해도 복잡한 구조의 난해한 본문을 만나면 본의 아니게 본문의 최종 의미와는 다른 해석을 도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 면 신약의 사도들의 구약 인용, 즉 상호본문성 본문을 강해할 때, 설교 자들이 표층적인 의미만 추출하여 설교하거나 혹은 단순히 구약의 정 보만을 전달하여 본문의 맥락과 거리가 먼 설교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설교는 본문이 드러내는 최종 의도와 본문 저자의 궁극적인 의 도를 반영했다고 볼 수 없으므로 진정한 의미에서의 강해설교라고 할 수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자는‘해석학적 맥락화’를 설교자가 상호본문성 본문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본문 저자의 궁극적인 의도를 반영한 강해설교를 실현할 수 있는 개념으로 제안한다. 해석학적 맥락 화란 영원하신 하나님의 말씀이 이 세상에서 지속적이며 역동적으로 운행하는 과정을 실재론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개념이다. 이 개념은 설 교의 구성 요소인 신학적, 해석학적, 의사소통적 차원을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설교의 모델로서 적합하며, 상호본문성 본문을 설교하는 과정 에서 발생하기 쉬운 해석학적 간극을 좁히는 데도 유용하다. 이러한 가 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먼저 해석학적 맥락화의 개념을 실재론 적 관점에서 논증한 후, 이를 갈라디아서의 아브라함 내러티브 본문(갈 3:1-24)에 적용하여 해석하고 이를 토대로 강해설교의 실례를 제시한 다. 이를 통하여 해석학적 맥락화가 갈라디아서의 아브라함 내러티브 본문에 나타난 바울의 궁극적인 의도를 제대로 살릴 수 있는 강해설교 의 한 모델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Because biblical and powerful realization of expository preaching begins with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Bible, it is imperative that preachers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 of the three dimensions of the Bible text: theological, hermeneutical, and communicative. Only then, the story of God’s redemption that flows throughout the entire Bible can be correctly interpreted and preached. The greatest strength of expository preaching, after all, is that preachers can experience and reenact God’s redemptive work. However, even preachers with a strong will to realize expository preaching may unintentionally derive interpretation of the text that is different from the intended meaning of the text, particularly when dealing with a difficult text with complex structure. For example, when preaching with ‘intertextual’ text, such as quotation of the Old Testament by the apostles in the New Testament, many preachers end up extracting only the superficial meaning of the text, or simply delivering the information of the Old Testament which has nothing to do with the context of the text. Such preaching cannot be considered ‘expository’ in the truest sense because it does not reflect the ultimate intention of the text or the author.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oposes the concept of ‘Hermeneutical Contextualization’ to enable preachers to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ntertextuality texts and execute expository preaching that reflects the ultimate intention of the author. Hermeneutical contextualization explains the continuous and dynamic progress of the eternal Word of God in this world from a realist perspective. This concept, which includes all three dimensions of preaching (theological, hermeneutical, and communicative), can be understood as a model for preaching; and therefore, can be useful for preachers to bridge the hermeneutical gap that often occurs in the process of preaching with intertextuality texts. To verify this, this study first demonstrates the concept of hermeneutical contextualization from a realist perspective, and then applies it to the ‘Abraham Narrative’ in Galatians (3:1-24) to provide a concrete example of expository preaching. By doing so,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concept of hermeneutical contextualization is the most appropriate model for realizing expository preaching that can reflect the ultimate intention of Paul in the Abraham Narrative text in Galatians.

      • KCI등재

        강해설교의 방법론적 형태에 관한 연구 : 귀납법과 3단계의 적용

        전창희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59

        20세기 후반의 한국 교회의 설교 현상 가운데 특징 중의 하나는 강해설교의 등장과 확산이다. 이러한 급격한 현상의 원인에 대해서 몇 가지 짐작해 볼 수 있는 것이 있다. 첫째는 익숙한 설교 패턴을 극복하고자 하는 설교자들의 필요성이다. 한국교회 설교의 급격한 변화의 두 번째 요인은 성서본문의 해석의 오류와 더 밀접한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설교자가 전하는 의도가 아닌 성서 본문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자 하는 회중의 열망이 반영된 것이 강해설교의 등장이다. 강해설교에 대한 설교자들의 관심은 사실상 성서 본문이 전하고자 하는 바를 찾아내고자 하는 있다. 그러나 서구 기독교 강단에서뿐만 아니라 한국 설교 강단에서도 강해설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그 부족한 이해의 중심에서 강해설교를 구절단위의 주석적 강의의 형태로 받아들인 설교자들의 오해가 있다. 물론 구절단위의 주석적 강의 형태도 강해설교의 대중적인 방법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강해설교학자들이 지적하는 것은 그러한 형태적인 충족이 강해설교의 본질을 완성시켜 주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강해설교에 대한 본질은 강해설교를 정의하고자 끊임없는 시도에서 도달하는 것이지 방법론적 형태를 추구하는데서 나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본문이 전해주고자 하는 하나님의 음성 즉 성경적 개념을 적절한 과정을 통해 도출해 내는 것으로 강해설교를 완성하는 것은 아니다. 그때부터 시작되어야 하는 강해설교자들의 고민은 ‘전달’의 영역이다. 강해설교에 대해 깊은 고민과 연구를 했던 설교자들은 결코 전달의 영역 즉 방법론적 형태의 중요성에 대해서 간과하지 않을뿐더러, 그 설교를 들을 회중의 듣는 방식에 대해서도 중요하게 생각한다. 설교자에게 방법론적 영역이 강해설교의 본질적인 영역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중요한 것은 사실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강해설교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특히 본문의 흐름에 따른 구절단위의 주석적 설교가 강해설교의 유일한 방법만이 아님을 지적했다. 더불어서 더 효과적인 방법론에 접근하기 위해서 전통적인 설교 패러다임과 새로운 설교학의 패러다임을 살짝 살펴 보았다. 특히 전통적인 설교 형태인 3대지의 형태를 3단계의 귀납법적 흐름으로 바꾸어 놓음으로써 3대지의 전통적인 설교의 명료함을 유지하려고 시도했으며,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전환이 이루어진 오늘날의 회중에 대해서 귀납법의 사용을 제안하고 있다.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hurch's sermon phenomenon in the late 20th century is the advent and diffusion of expository sermon. There are a few possible guesses as to the causes of this sudden phenomenon. The first factor is the need for preachers to overcome a uniform sermon patterns. The second factor in the drastic change in the Korean church sermon seems to b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error in interpreting the text of the Bible. Amid this situation, the advent of expository preaching was reflected the public's desire to hear the word from God through the text of the Bible not trough peacher’s intention. Preachers ' interest in the sermon is actually trying to find out what the Bible's text is trying to convey. However, it is true that preachers is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expository. At the center of such a lack of understanding is the misunderstanding of the Preachers, who took expository preaching as a verse by verse teaching. Of course, the verse by verse teaching is also a popular method of expository preaching. But what the scholars of the sermon point out is that such tangible fulfillment does not constitute the completion of the sermon's essence. The essence of expository preaching is to arrive at it from a constant attempt to define it, not from a methodological style. However, it is not to complete the sermon by presenting the Biblical concept that the text is intended to convey in a proper process. The agony of the Preachers, which must begin at that time, is in the realm of delivery. Preachers who have studied and deliberated expository sermon never overlook the importance of the realm of delivery : the methodological style. And they also think the way the congregation listens to the sermon is important. It is true that the methodological side of the preacher is extremely important, although it is not the fundamental area of the sermon. This paper carries on the discussion of the sermon in this light. In particular, it was pointed out that the sermon on the flow of text is not the only way to preach. In addition, we took a peek at the traditional sermon paradigm and the paradigm of the New Homiletic to gain a more effective approach to methodology. In particular, it attempted to maintain the clarity of the traditional sermon in the expository preaching by using three-step inductive flow. And it proposes the use of inductive methods to today's communication-oriented congreg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