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수관망 압력기반 수리해석을 위한 모의 실험시설 기반 절점의 압력-유량 관계 분석

        장동일(Dong Eil Chang),강기훈(Ki Hoon Kang) 大韓環境工學會 2014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6 No.6

        상수관망의 수리학적 거동을 해석함에 있어 현재까지 제안된 일반적인 방법은 유량기반 수리해석(Demand DrivenAnalysis, DDA)과 압력기반 수리해석(Pressure Driven Analysis, PDA)이다. DDA는 상수관망이 정상적으로 운영되는 상태에서수리해석 결과를 빠르게 제시할 수 있으며, PDA는 관파괴 및 관내 저압력 상태시 DDA 방법으로는 모의할 수 없는 각 절점의 실질적인 공급가능유량을 제시할 수 있다. PDA 수행에 있어 우선적으로 각 절점에서 특정 압력마다 공급가능유량을 산정할 수 있는 관계식(Head-Outflow Relationship, HOR)을 결정해야 한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상수관망을 구성하는 각 절점에서 HOR이 다르고 각 절점의 HOR 검증을 위해서는 현장데이터의 실측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다중 관파괴 상황과같이 수리학적 조건이 변경된 상태에서 각 절점의 HOR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모든 절점에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축되어있어야 하는 제약조건이 있다. 본 연구는 실제 상수관망 형태의 모의 상수관망을 제작하여 상수관망의 정상상태 및 현장에서 측정이 어려운 비정상상태 운영조건을 시나리오별로 구성하고 각 조건 하에서 절점들의 압력 및 유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측정된 실험결과와 기존 HOR 관계식을 비교.평가하여 최소 오차 결과를 보이는 HOR을 제시하였으며, 특정절점에서 다중 관파괴 발생시 HOR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로부터 관파괴 위치가 다르거나 다중 관파괴가 발생하더라도 특정절점의 압력(수두) 저하에 따른 공급가능유량의 축소 현상은 본래 대상 절점이 가지고 있는 지수함수 형태인 고유한 HOR을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실험을 통해 측정한 압력-유량 관계와 기존 HOR 식들을 비교한 결과 최소 오차를 보이는 지수함수 형태의 Wagner 등1)이 제안한 식을 최적의 HOR 관계식으로 제안하며, 해당 식의 지수 m은 3.0으로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For the analysis of water supply network, demand-driven and pressure-driven analysis methods have been proposed. Ofthe two methods, demand-driven analysis (DDA) can only be used in a normal operation condition to evaluate hydraulic status ofa pipe network. Under abnormal conditions, i.e., unexpected pipe destruction, or abnormal low pressure conditions, pressure-drivenanalysis (PDA) method should be used to estimate the suppliable flowrate at each node in a network. In order to carry out thepressure-driven analysis, head-outflow relationship (HOR), which estimates flowrate at a certain pressure at each node, should befirst determined. Most previous studies empirically suggested that each node possesses its own characteristic head-outflow relationship,which, therefore, requires verification by using actual field data for proper application in PDA modeling. In this study, a modelpipe network was constructed, and various operation scenarios of normal and abnormal conditions, which cannot be realized in realpipe networks, were established. Using the model network, data on pressure and flowrate at each node were obtained at each operationcondition. Using the data obtained, previously proposed HOR equations were evaluated. In addition, head-outflow relationship ateach node was analyzed especially under multiple pipe destruction events. By analyzing the experimental data obtained from themodel network, it was found that flowrate reduction corresponding to a certain pressure drop (by pipe destruction at one or multiplepoints on the network) followed intrinsic head-outflow relationship of each node. By comparing the experimentally obtained headoutflowrelationship with various HOR equations proposed by previous studies, the one proposed by Wagner et al. showed the bestagreement with the exponential parameter, m of 3.0.

      • KCI등재

        비정상 상태의 상수관망 해석을 위한 HSPDA 모형의 개발

        백천우(Baek Chun Woo),전환돈(Jun Hwan Don),김중훈(Kim Joong Hoon)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7 No.5B

        용수공급시스템의 수리해석은 절점에서의 용수수요는 항상 만족한다는 전제하에 절점 수두를 계산하는 demand-driven analysis(DDA)와 절점에서의 수두에 따라 용수공급량이 변하는 것을 고려하여 절점에서의 가능 용수공급량과 수두를 동시에 계산하는 pressure-driven analysis(PDA)로 구분된다. 관파괴, 용수수요 증가, 화재 발생 등과 같이 비정상상태의 용수공급시스템의 수리해석을 위해서는 DDA로는 적합한 모의가 불가능하며, PDA에 의한 해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PDA는 용수공급량과 수두를 동시에 계산하므로 계산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모형의 단점을 보완한 PDA 모형의 기본 구조를 제안하였으며, 발견적탐색법의 하나인 화음탐색법과 수리해석모형인 EPANET을 이용한 HSPDA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단순관망에 적용하여 개발된 모형의 PDA개념 구현여부를 검토하였다. 회로형관망에 개발된 모형을 적용하여 관파괴상황과 화재발생상황에 대한 기존모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비정상상태인 상수관망의 수리모의를 위해 개발된 기존의 PDA모형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적절히 보완한 모형으로 판단된다. Solving hydraulic conditions in a water distribution system, two approaches are widely used, namely, demand-driven analysis (DDA) and pressure-driven analysis (PDA). In DDA, it is assumed that nodal demand is always satisfied regardless of pressure head at nodes and the unknown nodal heads are determined under this assumption. In PDA, it is assumed that nodal demand is fully satisfied only if the minimum required pressure head at that node(nodal head) is satisfied. If not, nodal demand is partially satisfied and is dependant on nodal head. For this reason, to simulate the hydraulic condition under PDA, the unknown nodal demand and the unknown nodal head are simultaneously solved and it is very difficult to solve. In general, DDA work well under normal operating conditions. However, it may generate unrealistic results to simulate hydraulic conditions under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pipe failure, temporal increase in demand and a fire event. In this study, the conceptual structure of a PDA model named HSPDA model is suggested. It consists of the Harmony Search which is one of the heuristic optimization algorithms and an hydraulic simulator, EPANET. Developed model is applied to simple water network to investigate whether the new model embodies the concept of PDA. The suggested model is applied to virtual water distribution systems under two abnormal conditions such as a pipe failure and fire demand to show its applicability. Moreover, the results of existing hydraulic simulation models and the suggested model are compared. As results, the developed PDA shows that it can simulate abnormal conditions efficiently.

      • KCI등재

        서비스 로봇산업의 산업연관분석

        류성은,정인재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22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45 No.4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economic impact of the service robot industry using Input-Output analysis, which is conducted based on Demand-driven model, the Leontief price model, the Backward and Forward Linkage Effects, and the Exogenous Methods. In a Demand-driven model analysis, we can conclude that the service robot industry contains characteristics of both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service industry, which causes a positive impact on the overall industry by compensating for the weaknesses of the two industries. The Leontief price analysis indicates when wages in the service robot industry increase, prices related to robot manufacturing also increase. Also, when profits in the service robot industry increase, prices related to service provision increase, too. The Backward and Forward Linkage Effects analysis shows that the service robot industry is highly sensitive to the current economic condition and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service industry. The service robot industry can highlight the aspect of service characteristics whe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in recession and vice versa. In addition, the service robot industry can be regarded as a value-adding and domestic economy promoting industry which utilizes knowled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t is important to foster the service robot industry in South Korea, which is in economic recession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stimulate the growth of both service and robot industries.

      • KCI등재

        Semi-Pressure Driven Analysis와 Harmony Search를 이용한 상수관망 최적 누수탐지 기법 제안

        윤정수,유도근,이호민,김중훈,Yoon,Jung Soo,Yoo,Do Guen,Lee,Ho Min,Kim,Joong Hoon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3

        상수도 시스템의 유지관리에 있어 유수율 제고는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능동적인 누수관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해석 시뮬레이션과 최적화 기법을 결합한 최적누수탐지 기법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상수관망 수리해석 기법으로는 불확실성이 큰 수두와 유출량 관계식 (Head Outflow Relationship, HOR)을 사용하지 않고도 실제적인 누수모의가 가능한 Semi-Pressure Driven Analysis (Semi-PDA) 모형을 적용하였다. 상수도 관망해석 프로그램인 EPANET2의 에미터 (Emitter) 기능을 활용하여 Semi-PDA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에미터 계수의 최적화를 통해 누수위치를 결정하였다. 최적화 기법으로는 국내에서 개발되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 바 있는 화음탐색법을 사용하였다. 제안된 기법을 예제관망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누수위치를 효율적으로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적화 기법에 있어 화음탐색법과 유전자알고리즘의 결과를 비교하였을 경우 본 연구에서 적용된 화음탐색법이 보다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실측자료 감소에 따른 누수지점 탐지의 불확실성 증가량이 유전자알고리즘에 비해 적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제안된 기법은 기존의 현장 대응의 경험적 누수탐지 기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스마트워터그리드 (Smart Water Grid)와 같은 미래의 능동적 물 관리 환경을 위한 제반기술의 하나로 활용이 가능하다. During maintenance and managing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reducing water losses is a critical component. To achieve reduction of water losses, active leakage management is required. In this study, we propose optimal leakage detection model, which is the combination of simulation of hydraulic analysis and optimization technique. Through the use of hydraulic analysis method can able to achieve in creating a real-life based Semi-Pressure Driven Analysis (Semi-PDA) model without having to use the highly uncertain Head Outflow Relationship (HOR) is applied. EPANET2 created a model of emitter coefficient`s optimization, and it decides leakage location. For optimization technique, Harmony Search (HS) is applied that was developed in Korea and has been used in various cases recently. When we apply proposed method to sample network, it practically searches the leakage location. Especially, in optimization technique, we have a research of comparing the results of Harmony-Search (HS) and Genetic-Algorithm (GA); HS` result is more accurate. Also we verify that increasing of leakage location detection uncertainty by decreasing of number of observed data is less than GA. Therefore, suggested technique can be substituted to existing experiential leakage detection method. Therefore, this basic technology can be used as future proactive water resource management environment like Smart Water Grid.

      • KCI등재

        Measuring the Impact of a Trade Dispute with a Supply-side Shock Using a Supply-driven Input-Output Analysis: Korea-Japan Dispute Case

        KIM, DONGSEOK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21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the impact of the recent Korea-Japan trade dispute on the Korean economy using supply-driven input-output analysis. In July 2019, Japan announced the decision to tighten the export control of three materials which are indispensable in the manufacturing of semiconductors and electronic display panels. Japan's decision directly affects production in Korea's semiconductor and display sectors and is hence not a demand shock. For this reason, a standard demand-driven input-output analysis is not valid despite the fact that it can still be applied. The impact of Japan's decision on Korea's aggregate and individual sectors' gross output, GDP and employment were computed using both methods.

      • KCI등재

        Multi-objective Optimization Response Modeling to Contaminated Water Distribution Networks: Pressure Driven versus Demand Driven Analysis

        Seyyed Nasser Bashi-Azghadi,Mohammad Hadi Afshar,Abbas Afshar 대한토목학회 2017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21 No.6

        Implementation of management strategies following contamination detection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may extensively change operational mode of nominated valves and hydrants. The commonly used demand driven network solvers may fail to realistically represent system’s performances of new topology due to possible pressure-deficient condition. Realizing their drawbacks, this paper integrates a Pressure Driven Network Solver (PDNS) with multi-objective Non-dominated Sorting Genetic Algorithm-II (NSGA-II) in a simulation-optimization scheme. It is illustrated that the two commonly used objective functions, namely minimization of consumed contamination mass and number of polluted nodes, may be in conflict when an operational strategy is implemented. A trade-off is developed to help decision-maker compromise between restraining spatial spread of contaminant and its risk to public health. Decision variables in this optimization model are valve closure and hydrant opening. Each trial solution developed by the NSGA-II addresses a new system topology by changing operational modes of the nominated valves and hydrants. The PDNS determines the nodal pressures and refines the nodal withdraw for trial solution. To illu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ology, Net3 from EPANET 2 is employed. The results show that the pressure-driven analysis is more realistic and appropriate in comparison with demand-driven analysis in operational conditions.

      • KCI등재

        항공운송서비스 산업의 경제적 역할과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 COVID-19 상황을 대처하기 위해 -

        신용재 한국항공경영학회 2020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8 No.3

        The transportation industry is related to the input of resources procurement when producing goods and services. Swiftness, accuracy, and efficiency are very important factors to maximize the profit of the enterprises. In particular, the aviation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y is one of the most crucial industries internationally as well as domestically. Because it connects the world and promotes the flows of trade, tourism, and investment. However, the unprecedented disasters such as the current COVID-19 negatively impacts on this aviation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y. To properly cope with this situation, the impacts of the aviation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y and the roles of this sector, specifically, in the context of the Korea economy need to be proceeded. This study analyzes the Demand-driven model, the Supply-driven model, the Leontief price model, and the Inter-industry linkage analysis, which are the main models of the Input-Output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conomic role of the aviation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y and its impacts on other industr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effects of the aviation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y on other industries were 1.344, 0.551, and 0.206 which are resulting from the production inducing effects resulting, value-added inducing effects, and employee compensation inducing effects, respectively, based on the Demand-driven model. The supply shortage effect was 1.350 which is tested by the supply-driven model. The effect of inflation was 0.719% which was tested based on the Leontief price model. In terms of inter-industry linkage effects, we found two effects that named the forward effect and the backward effect. The results were 0.558, and 1.078, respectively, which indicat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nal demand industry. Overall, our results provide the insights that Korea’s aviation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y has grown into the more significant industry since its economic roles and its impacts have increased as compared to the previously published literature. Moreov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oduction inducing effect and supply shortage effect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is study shows that the aviation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y became an important domain as a role of cargo transportation as well.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directions of the COVID-19 aid policy such as size and method of supports need to be developed depending on the effects of the industries which affected by the aviation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y. By understanding the role of the aviation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y and the quantitative impacts on the other industries,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policy to minimize the economic damage caused by the losses of the aviation transportation service industry. 운송서비스산업은 하나의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할 때 투입되는 자원의 조달과 관련되는 것으로 이것을 얼마나 신속하고 정확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가는 기업의 이윤극대화 측면에서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중에서 항공운송서비스산업은 전 세계를 연결하며 무역, 관광 및 투자의 흐름을 촉진하기 때문에 세계적,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산업 중 하나이다. 하지만 항공운송서비스 산업은 전례 없는 COVID-19로 인하여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 제대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항공운송서비스 산업이 한국경제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한국경제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공운송서비스 산업을 중심으로 경제적 역할과 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산업연관분석의 주요 모델인 수요유도모형, 공급유도모형, 레온티에프 모형, 산업연쇄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항공운송서비스 산업이 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수요유도모형의 결과인 생산유발효과의경우 1.344원, 부가가치유발효과 0.551원, 피용자보수유발효과 0.206원으로 나타났고 공급유도모형의공급지장효과는 1.350원,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의 물가파급효과는 0.719%, 산업연쇄효과에서 전방연쇄효과는 0.558, 후방연쇄효과는 1.078로 최종수요적 산업의 특성을 나타냈다. 산업연쇄효과를 제외한나머지 효과들은 1원의 투자 또는 생산이 이루어질 때 타 산업에 미치는 영향들로써 생산유발효과와공급지장효과의 경우 1을 상회하는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2010년에 발표된 연구와 비교했을 때 한국의 항공운송서비스 산업이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경제적 역할과 그 영향력이증대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조업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와 공급지장유발효과의 결과를 살펴보면, 항공운송서비스 분야 중 화물운송과 관련된 부문 역시 중요성이 증대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항공운송서비스 산업 및 이와 관련된 산업에 대한 투자 또는 지원을 함에 있어 산업의 세부 분야별로지원 규모 및 방법을 다르게 정책 방향이 수립되어야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접근 방법과 분석결과는 항공운송서비스 산업의 역할을 파악하고 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항공운송서비스 산업의 피해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기업 내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정군오(Jung, Kun-Oh),임응순(Lim, Eung-Soon),김명준(Kim, Myeong J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2

        본 전 세계적으로 연구개발투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0년 기준 우리나라의 연구개발비는 43.8조로 GDP 대비 3.74%에 해당하고, 이는 세계 3위권의 수준이다. 기업에 있어서 연구개발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것은 기술 진보나 기술혁신으로 생산성제고 효과가 발생하고 이것은 기업에 있어서는 미래의 수익률 상승과 시장가치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한 나라에 있어서는 GDP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높아지 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기업 내 연구개발투자가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들을 다년도에 걸 쳐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은 기업 내 연구개발투자를 외생부문으로 다룸으로써 기업 내 연구개발투자를 중심으로 이 루어지게 된다. 1995년과 2000년도의 분석결과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가 1995년에 비해 소폭 하락하다가 2000년부터 2009년도 기간에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1997년 외환위기로 인해 기업의 연구개발투자 비중이 작아졌음에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외환위기는 기업 내 연구개발투자에 의한 산업 별 파급효과에도 변화를 야기했는데 이는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의 산업구조적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사료된다. R&D investment has rised in recent years. Korea’s R&D budget is 43.8 trillion won which is 3.74% adjusted gross domestic product in 2010. Technological advances and technical inovation will bring productivity growth to Firm and Firm’s productivity growth will increase GDP in sequenc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study on the Firm’s R&D industry is getting growing. In this study we attempt to analyse the economic impact of the Firm’s R&D industry through several years us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 added inducing effect, and employ-inducing effect based on demand-driven model. The analysed results of year from 1995 to 2009, the Firm’s R&D investment increases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 added inducing effect, and employ-inducing effect with the course of time. This means that influence of the Firm’s R&D industry has increased.

      • KCI등재

        한국 철강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정군오(Jung, Kun-Oh),임응순(Lim, Eung-S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9 No.3

        전 세계적으로 철강산업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으며, 철강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 철강산업의 철강생산량은 전 세계에서 5위를 차치하고 있어 국내에서는 철강산업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다. 또한 철강산업은 국내에서 경제성장을 이끌어 온 국가기간산업중의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철강산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들을 시계열로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먼저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그리고 취업유발효과를 살펴 볼 것이며, 아울러 공급유도형 모형 및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적용하여 철강산업의 공급지장효과와 물가파급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The steel industry is becoming more important around the world and the demand of steel is increasing. Korea is the 5th country of steel producing in the world and the attention in the steel industry is growing. The steel industry is one of the key industry in leading the economic growth in Korea.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by time-series the economic impacts of the steel industry us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s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 added inducing effect and employ-inducing effect of the steel industry based on demand-driven model and the study deals with supply shortage effect and sectoral price effect of the steel industry by using supply-driven model and Leontief price model.

      • KCI등재

        물류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정동원 ( Dong Won Jeong ),한종호 ( Jong Ho Han ) 한국물류학회 2012 물류학회지 Vol.22 No.2

        물류산업은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산업경쟁력과 국가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물류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물류산업의 타 산업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상대적으로 복잡성 때문에 잘 사용되지 않았던 공급유도형 모형 및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적용하여 물류산업의 공급지장효과 및 물가파급 효과를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은 모두 물류산업을 내생부문이 아닌 외생부문으로 다룸으로써 물류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물류산업의 1원 생산은 타 산업의 생산을 0.5104원만큼 유발하며, 타산업의 부가가가치를 0.1722원만큼 유발한다. 또한 물류산업의 10억원 생산은 타산업에서 2.2554명의 취업을 유발한다. 한편 물류산업에서 1원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할 때, 타 산업에서는 0.9387원의 생산차질이 발생하여 공급지장효과가 제법 큰 편이다. 마지막으로 물류산업의 가격이 10& 상승했을 때, 국민경제 전체적으로 미치는 물가파급효과는 0.0276%로 분석되었다. The logistics industry in Korea plays a major role in the national economy development and to make decision nation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conomic impacts of the logistics industry us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Specially, the study investigates production-inducting effect, value added inducing effect,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of the logistics industry based on demand-driven model. Moreover, the study deals with supply shortage effect and sectoral price effect by using supply-driven model and leontief price model, respectively, which have been rarely used because of their complications involved in computaiton. These analyses pay particular and close attention to the distribution industry by taking it as exogenous rather than endogenous. Some interesting findings emerge from the study. First, the production of 1.0 won in the logistics industry induces the production of 0.5104 won and the value-added of 0.1722 won in other industries. Second, the production of 1.0 billion won in the logistics industry causes the employment of 2.554 persons in other industries. Third, the supply shortage of 1.0 won in the logistics industry disables other industries to produce 0.9387 won. Finally, an increase of 10% in price level of the logistics industry raises the overall price level by 0.027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