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国合宪性审查制度的确立及实践应用研究

        채영호,상문천 경상국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法學硏究 Vol.32 No.2

        中国的宪法监督制度采用代议机关监督模式,因没有专门的审查机关,导致宪法监督制度长期没有发挥实效。经过多年的论证,中国明确将合宪性审查制度作为实现宪法监督的主要制度。2018年,中国修改宪法,将原有的全国人大专门委员会“法律委员会”更名为“宪法和法律委员会”,并赋予其合宪性审查的主要职责,拟以此推动合宪性审查。但五年来,合宪性审查制度的实践应用不尽人意。作为新的制度,事后合宪性审查仅作出8件,且均在初审阶段因国家机关之间通过协调解决问题而终止。在具体实践应用中发现了诸多问题,如在合宪性审查中发挥主要作用的主体并非是新设的宪法和法律委员会,而是作为全国人大常委会办事机构的法制工作委员会,在事后审查中宪法和法律委员会没有发挥应有的作用;审查对象中只包含各项法规、自治条例、单行条例和司法解释,未包含法律、规章及其他规范性文件,对相关规范性文件的合宪性审查缺乏程序保障;审查判断形式不统一,具有较大的任意性,不利于合宪性审查的规范性等问题。对此,本文提出建议明确落实宪法和法律委员会在合宪性审查中的审查主体地位,使宪法和法律委员会充分发挥合宪性审查职能;将法律、规章及其他规范性文件明确纳入全国人大常委会备案审查的范围内,为对其进行合宪性审查提供程序保障;采用“限定合宪”的审查判断方式,规范合宪性审查,以此推进中国合宪性审查制度的有效应用。 China's constitutional supervision system adopts the model of supervision by representative institutions, and the absence of a specialized review institution has led to a long period of ineffectiveness of the constitutional supervision system. After years of argumentation, China has explicitly adopted the constitutional review system as the main system for realizing constitutional supervision.In 2018, China amended the Constitution,in which it renamed the original specialized committee of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Legal Committee" as "Constitutional and Legal Council" and gave the new institution main responsibility of constitutional review, with the intention of promoting constitutional review. However, over the past five year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constitutional review system has been unsatisfactory. As a new system, only eight after-event constitutional reviews have been conducted, and all of them were terminated at the initial review stage due to the resolution of problems through coordination among national institutions. Numerous problems have been identified in specific practical applications, such as the fact that the main body playing a major role in the constitutional review is not the newly established Constitutional and Legal Council, but the Legislative Affairs Commission, which is an office of the Standing Committee of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and that the Constitutional and Legal Council does not play the role it should play in the after-event reviews; the objects of the review include various statute, autonomous rules, separate rules and judicial interpretations, excluding laws, regulations and other normative documents, and there is a lack of procedural safeguards in the review of constitutionality of the relevant normative documents; the form of review and judgment is not uniform, with a large degree of arbitrariness, which is not conducive to the normative nature of the constitutional review and other issues. In this regard, this paper puts forward the proposal to clearly clarify the implementation of the status of the main body of the Constitutional and Legal Council in the constitutional review, so Constitutional and Legal Council can give full play to the function of constitutional review; laws, regulations and other normative documents will be clearly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Standing Committee of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for the record review for the review of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procedural safeguards; adopt the "restricted constitutionality" method of reviewing and judging to standardize constitutional review, so as to promote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China's constitutional review system.

      • KCI등재후보

        Constitutional Review and Its Procedures

        임지봉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法學論叢 Vol.23 No.-

        Korean Constitution has more than 60 years of history after it was ordained and established in 1948 after the emancipation of Japanese intrusion. In particula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Constitutional Court in 1988 has upgraded the Korean Constitution that has effectiveness in a real world. The Korean Constitution experienced 9 times of revision. During the experience, Korean Constitution as well as statutes and administrative regulations has equipped with many technical and procedural provisions in details on the proposal, finalization and promulgation of the Constitutional review. Korea have laid the cornerstones to stabilize the process of Constitutional review through the experiences. As far as I know, the Vietnam is considering a Constitutional review as the Constitution in 1992 has become ineffective in regulating real worl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d analyze the procedures of Constitutional review as well as other general issues of Constitutional review and give some tips for smooth Constitutional review in Vietnam without any chaos. To achieve the aim, this paper will start with defining the Constitutional review. It will also explore when is the right time of the Constitutional review. The types and limits of the Constitutional review would be examined as the general issues of the Constitutional review. After that, this paper will analyze the procedures of the Constitutional review in Korea. Conclusively, it will highlight some implications of the Korean experience for the desirable Constitutional review in Vietnam.

      • KCI등재후보

        Constitutional Review and Its Procedures

        Lim Ji-bong(임지봉)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法學論叢 Vol.23 No.-

        대한민국헌법은 일제로부터의 해방 이후인 1948년에 제정 · 공포된 이후로 6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특히, 1988년의 헌법재판소 건립은 현실에서의 헌법의 실효적 적응성을 높여놓았다. 대한민국헌법은 지금까지 9차례 개정되었다. 그러한 경험들을 통해 대한민국헌법은 관련 법령과 더불어 헌법개정의 제안, 확정, 공포와 관련해 많은 기술적이고 절차적인 규정들을 가지게 되었다. 대한민국은 그러한 경험들을 통해 헌법개정의 절차를 안정화시키는 토대를 형성해왔다. 전언에 의하면, 베트남에서 1992년에 개정된 헌법이 현실을 규율하는데 비효율적이 되자 개헌을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헌법개정의 일반적 쟁점들뿐만 아니라 헌법개정의 절차들을 제시하고 분석함으로써 베트남에서의 개헌이 별 혼란없이 원활하게 잘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주려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은 헌법개정을 정의내리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또한 언제가 헌법개정의 적기인가에 대해서도 탐구한다. 헌법개정의 유형이나 한계에 대해서도 헌법개정의 일반적 쟁점으로 다룬다. 그리고 나서, 한국에 있어서의 헌법개정의 절차들을 분석할 것이다. 결론에서는 베트남에서의 원활한 개헌을 위해 한국의 경험들에서 도출해낼 수 있는 시사점들을 제시한다. Korean Constitution has more than 60 years of history after it was ordained and established in 1948 after the emancipation of Japanese intrusion. In particula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Constitutional Court in 1988 has upgraded the Korean Constitution that has effectiveness in a real world. The Korean Constitution experienced 9 times of revision. During the experience, Korean Constitution as well as statutes and administrative regulations has equipped with many technical and procedural provisions in details on the proposal, finalization and promulgation of the Constitutional review. Korea have laid the cornerstones to stabilize the process of Constitutional review through the experiences. As far as I know, the Vietnam is considering a Constitutional review as the Constitution in 1992 has become ineffective in regulating real worl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d analyze the procedures of Constitutional review as well as other general issues of Constitutional review and give some tips for smooth Constitutional review in Vietnam without any chaos. To achieve the aim, this paper will start with defining the Constitutional review. It will also explore when is the right time of the Constitutional review. The types and limits of the Constitutional review would be examined as the general issues of the Constitutional review. After that, this paper will analyze the procedures of the Constitutional review in Korea. Conclusively, it will highlight some implications of the Korean experience for the desirable Constitutional review in Vietnam.

      • KCI등재

        집중형 헌법재판에 대한 옹호론 -집중형 헌법재판이 분권형 헌법재판보다 선호되어야 하지 않는가?

        이상경 ( Sang Kyung Lee ) 延世大學校 法科大學 法學硏究所 2007 法學硏究 Vol.17 No.4

        오래 전부터 인간은 법의 위계질서를 찾고 또 이러한 위계질서를 지켜나가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한 위계질서 하에서는 최고법 혹은 헌법에 위배되는 하위의 법은 법으로 인정될 수 없었는바 이러한 법을 더 이상 존재치 못하게 보장하는 수단의 하나로 헌법재판이 발전해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절차의 핵심은 법의 위계질서체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헌법의 잣대 하에서 법률의 유효성을 심사하는 것"이다. 헌법재판의 본질과 범위는 법체계에 따라 불가피하게 변화되는바, 이러한 연유로 법의 위계질서체계를 보장하는 방법 또한 다양하게 발전해온 것이 사실이다. 특별히 집중형 헌법재판제도와 분권형 헌법재판제도가 두드러지게 발전해 왔다. 집중형이란 법률의 합헌성여부를 심사할 권한이 독립한 하나의 기관, 예컨대, 헌법재판소나 헌법위원회 등에 부여되어 있는 제도를 말한다. 분권형이란 미국의 경우처럼 법률의 위헌심사권이 통상의 각급 법원에 부여되어 모든 법원이 분권적으로 헌법재판을 행할 수 있는 형태를 말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비교법적인 틀 안에서 두 제도간의 서로 다른 특징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나아가 두 제도를 비교하면서, 이론적 측면에서 집중형 헌법재판은 "선례구속의 원칙"의 적용이 없는 시민법체계의 국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급 법원에 의한 헌법의 자의적 해석의 가능성을 배제함으로써 법의 위계질서 및 통일성 유지에 기여하게 된다는 켈젠의 입장을 지지할 뿐 만 아니라 실천적인 측면에서 볼 때도 한국과 독일의 헌법재판소는 추상적 규범통제, 구체적 규범통제 및 헌법소원제도 등을 통하여 법률의 합헌성여부에 관한 수많은 사건을 심판해옴으로써 법의 자의성을 제거하고 법적 통일성 유지에 크게 기여해 왔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나아가 집중형의 원형인 독일과 우리나라의 헌법재판소는 최종 및 최고의 권위를 가지고 법률의 합헌성여부를 판단함으로서, 헌법의 보장자로서의 중요한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헌법철학적 바탕과 실천적인 측면의 고려에서, 결론적으로, 유럽과 아시아 여러 국가의 집중형 헌법재판의 선호는 지금껏 집중형 헌법재판제도가 이루어온 업적들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보여주는 것이라는 주장을 덧붙이고자 한다. From the earliest times, men have sought to create or discover a hierarchy of laws and to ensure observance of this hierarchy. Under the hierarchy of laws system, a lower law that contravenes the Higher Law or constitution cannot be a law, and constitutional review is an avenue to ensure that such laws cease to exist. The whole point of this procedure is to "measure the validity of the statute under the constitution" to guarantee this hierarchy of laws. Since the nature and scope of constitutional review inevitably varies from one legal system to another, the fairly different means for guaranteeing the hierarchy have been developed. Especially, two distinctive types of constitutional review have been developed, namely, centralized constitutional review and decentralized constitutional review. The centralized system confers on an independent tribunal, such as a constitutional court, or constitutional committee, power to review the constitutionality of laws. The decentralized system means that each and every court of ordinary jurisdiction has power to adjudicate the constitutionality of laws. Thus, I would like to basically show pertinent distinctions between the centralized- and decentralized system by way of the comparative framework. In addition, comparing both constitutional review systems, I would like to claim that not only in theory, Kelsen`s main theory of hierarchy and uniformity of law supporting centralized constitutional review are persuasive, but also in practice, centralized constitutional court in both Korea and Germany have successfully achieved the goals of enhancing the unity and the stability of hierarchical legal system of the land by eliminating or reducing the arbitrariness of law. Among other things done by the constitutional courts in Korea and Germany, they have handed down a tremendous number of cases by way of abstract, concrete review, and constitutional complaint. Therefore, the constitutional courts have been able to play a pivotal role in interpreting the constitutionality of law with finality, providing appropriate practical rationale for protecting fundamental rights. For those juridico-philosophical and practical reasons, I would like to add, finally, that the preference in Europe and Asia for centralized constitutional review suggests an affirmative evaluation of what centralized constitutional review has been able to accomplish.

      • KCI등재

        일본 헌법재판의 분석과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에 대한 연구

        손형섭(Son, Hyeung-Soeb) 국제헌법학회 한국학회 2011 世界憲法硏究 Vol.17 No.1

        최근에 개헌론과 함께 통치기구의 개편에 대한 논의가 있다. 오래 동한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헌법적 권한 문제도 미묘한 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이 논문에서는 법원형 헌법재판제도, 이른바 부수적 위헌심사제도를 가지고 있는 일본 헌법재판의 특징과 한계를 분석하여 우리에게 어떠한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일본 헌법재판의 권한은 맥아더 초안으로부터 일본 현행헌법의 해석과 일본 최고재판소는 판결을 통하여 “일본의 현행 제도하에서는 특정한 자의 구체적인 법률관계에 대하여 분쟁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재판소에 그 판단을 구할 수 있고, 재판소가 어떠한 구체적 사건을 떠나 추상적으로 법률명령 등의 합헌성을 판단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견해는 헌법 및 법률 등에 그 근거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일본의 부수적 위헌심사의 특징은 최고재판소는 물론 일본의 하급법원에서도 헌법재판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본 특유의 부수적 위헌법률심사제는 미국의 그것과 유사하면서도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대륙법을 계수한 일본이 미국의 부수적 위헌법률심사제도를 도입하여 나타나는 현상을 검토하고 미국의 그것과도 다른 일본의 헌법재판을 검토한다. 여기서 일본의 재판소가 헌법재판에 소극적인 입장을 갖는 이유 등에 대하여 논한다. 일본 재판소의 헌법재판에 있어 법률에 대한 효력을 무효라고 선언하는 법령위헌 판단의 숫자는 그리 많지 않다. 그러나 특유의 부수적 위헌심사제에 있어서 한정합헌해석과 적용위헌이라는 방법을 사용하여 다수의 헌법판단을 하고 있다. 일본 헌법재판의 판단기법, 심사기준론에대해서도 검토하고, 문제점과 헌법재판소 설치논의와 그 다양한 대안에 대하여 확인한다. 또한, 일본의 헌법재판이 그동안 소극적이었던 태도에 대하여 이토 전 재판관의 분석을 중심으로 논증하고, 최근 일본 최고재판소의 경향에 대해서는 검토한다. 일본이 유지하고 있는 법원형 재판제도는 헌법재판을 위해 완비된 제도는 아니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그동안 축척 되어온 법령위헌, 적용위헌, 운용위헌, 한정합헌 및 합헌판결의 내용은 유사한 법률체제를 가지고 있는 우리에게 참고의 필요성이 높아 보인다. 또, 일본의 제도를 통하여 우리 헌법재판에 대하여 몇 가지 새로운 제안으로서, 대법원과 다른 규범통제기관으로서의 위치를 가지기 위하여 헌법재판관의 출신성분을 법관 출신 이외의 다양한 자로 구성하는 안을 제안해 본다. 또한 헌법재판의 심급제와 재량상고 등에 대하여도 일고한다. This paper is the debate on the constitutional authorities of Supreme Court of Japan and relevant to a Constitution Amendment. We consider Japanese Constitutional review as regards characteristics and limits, the philosophical orientation of its Supreme Court. Hence, This paper analyzes Japan's unique judicial passivity and the benefits and limitations of subordinate judicial reviews and related apparent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current Japanese Constitution interpreted from the MacArthur draft, Supreme Court of Japan has the authority regarding contests related to judical cases but can not review abstract legalities lacking evidence related to existing Japanese law and Constitution. Herein is evaluation of the Constitutional law adoption process and the confirmation of lower court Constitutional Review authority. Japan court’s unique ancillary Constitutional Review jurisdic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United States with variations. Because Japan institutes a constitutional law system likely as American Constitutional Review, the Japanese Constitutional Review system infers rationale for a passive orientation in Japan’s constitutional review. However, Japan’s Constitutional Review varies from the U.S. constitutional review that the Supreme Court has not authorized to declare the unconstitutionality of legislation. In addition, Japanese Constitutional Review exhibits a reticent attitude by former Judge Ito’s analysis argument. And, Japan's Constitutional Review system is not to suggest that the complete system, But we can get suggestions from japan Constitutional Court. Thus, this paper suggests various alternatives for Korea’s Constitutional Review processes, likely as intermediate trial. Also, we can review to import certiorari system in Constitutional Review. certiorari system can be judged more carefully claims of specific constitutional issues. The 21st century continues to the era of the Constitutional review. However, the Constitutional Review systems should guarantee the basic rights of citizens with ours blood and sweat.

      • KCI등재

        위헌적 헌법개정에 대한 위헌심사론 : 유신헌법의 경우

        김선택(Kim Seon-Taek) 한국비교공법학회 2011 공법학연구 Vol.12 No.4

        긴급조치 및 유신헌법 제63조의 위헌여부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이 헌법재판소에 청구되어, 헌법재판소는 헌법의 개별조항에 대한 위헌심사를 부정하여 온 종래의 입장을 계속 유지할 것인지, 특히 과거청산의 대상이라고 할 수 있는 유신헌법에 대해서까지도 사법심사를 회피할 것인지 기로에 서게 되었다. 이른바 유신헌법은 종전헌법과 기본적 동일성을 전혀 달리하여 1948년 헌법이래 이어져 내려온 입헌주의의 궤도를 아예 일탈해버렸기 때문에 체제파괴적·체제일탈적 헌법개정이라고 보아야 한다. 비교법적 연구에 따르면, 위헌적 헌법개정에 대한 사법심사는 반드시 헌법에 명문규정이 있어야 하는 것도 아니고, 각국이 처한 사정에 따라 사법심사의 유형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위헌적 헌법개정에 대하여 위헌심사를 할지 여부는 위헌심사를 담당하는 헌법재판기관이 결단할 문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1972.10.17. 박정희대통령의 자기쿠데타와 같은 헌법적 쿠데타의 예방 내지 재발방지를 위해서는 헌법재판소가 유신헌법과 같은 위헌적 헌법개정에 대한 사법심사를 할 것이 요청된다. 유신헌법개정에 대하여 형식위헌심사를 할 경우, 심사기준은 직전헌법인 1969년헌법이 될 것이다. 유신헌법은 기존헌법에 규정된 헌법개정절차를 전혀 준수하지 않았고 이러한 하자가국민투표에 의하여 흡수되어 치유되는 것도 아닐뿐더러 국민투표 자체도 질적 다수결원리를 위반하여 국민적 정당성이 부여될 수도 없다. 결국 유신헌법은 적정하게 절차를 경유하지 않아 불성립한 것이고, 따라서 원천무효로 보아야 한다. 유신헌법개정에 대하여 실질위헌심사를 할 경우, 심사기준으로, 라드브루흐공식의 적용을 고려해 볼 여지도 있고, 실정헌법적 기준을 적용하고자 한다면 제헌이래 현행 헌법에 이르기까지 한국헌법의 기본적 동일성을 형성해온 핵심내용들을 원용할 수 있을 것이다. 유신헌법은 국민주권, 공화국원리, 민주주의원리, 법치주의원리 등 헌법의 핵심원리들을 위반하고 기본권보장마저 포기한 헌법이며, 긴급조치의 근거가 된 동 헌법 제63조도 대통령에게 아무런 유효한 통제장치도 없이 포괄적 권한을 부여하면서 일체의 사법심사를 배제하여 대통령 명령에 의한 자의적 지배를 가능케한 것으로 국가긴급권의 법리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 결국 유신헌법과 동 헌법 제63조는 입헌주의와 법치주의를 포기하고 독재를 위한 레시피에 불과한 것이었으므로 마땅히 위헌으로 선언되어야 할 것이다. Lately constitutional appeal on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article 63 of Yushin-Constituion as well as the Emergency measures taken under the Yushin-constitution was filed to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Constitutional Court is facing with the problem of the possibility of judicial review of the unconstitutional constitutional amendment. Yushin-Constitution not only had quite different identity with the previous and following constitutions but also ran off the track of modern constitutionalism. Thus it should be considered as 'Unconstitutional Constitutional Amendment'. According to comparative study, constitutional review of unconstitutional constitutional amendment needs not explicit provisions in constitutional document and its types vary from country to country. Whether the constitutional court can review the constitutionality of constitutional amendment depends on the determination of constitutional court itself in each country. In order to prevent a Constitutional Coup like self-coup by president Park in year 1972 and by any dictator in the future, judicial review of Yushin-Constitution is necessary. For the formal constitutional review, the standard of review is the provisions about constitutional amendment in the former Constitution. Yushin-Constitution violated the form and procedure provided in former Constitution. It could not be justified by people's referendum, which distorted people's will under the martial law declared by president Park. Thus, it is unconstitutional and void. For the substantive constitutional review, the standard of review can be so-called 'Radbruchsche Formel' or the core principles of Korean constitutionalism and existing Constitution. Yushin-Constitution violated core principles of constitution like people's sovereignty, republic, democracy, rule of law, and fundamental human rights, and thus it is as a whole ipso jure void. The article 63 of Yushin-Constitution allowed unrestricted absolute power to the president. This power could not be justified as a type of emergency power which is usually found in other countries. Therefore, the article 63 of Yushin-Constitution should be declared unconstitutional and invalid.

      • KCI등재

        국제관습법에 대한 위헌심사

        임효준(Im Hyo Jun)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圓光法學 Vol.38 No.1

        이 글에서는 그동안 헌법학계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국제관습법에 대한 위헌심사 전반에 관하여 시론적 연구를 시도해 보았다. 국제관습법은 국제적으로 형성된 일반적 관행에 법적 확신이 부여된 것으로서, 조약과 함께 국제법원의 양대산맥을 이룬다. 우리나라의 현행 헌법상 국제관습법은 형식적 의미의 법률과 동일한 효력을 갖는 것으로 봄이 타당하므로, 이에 대한 위헌심사 역시 위헌법률심판이나 규범통제형 헌법소원심판에 의함이 타당할 것이다. 다만 구체적인 위헌심사에 있어서는 형식적 의미의 법률에 대한 것과 비교하여, 문제되는 규범이 부존재할 여지가 존재하고, 입법자의 존재를 전제로 하는 과잉금지원칙, 평등원칙 등을 통한 구체적 심사가 어려우며, 위헌판단을 하더라도 일반적인 효력을 상실시킬 수 없는 등의 특성이 있으므로, 이를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헌법재판소에서는 아직 국제관습법에 대한 위헌심사를 수행한 바 없고, 최근 하급심 판결에서 이를 행한 바 있으나 위와 같은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였는지에는 의문이 있다. 독일에서는 국제관습법 인증절차를 마련하고 있어, 법원의 제청을 통해 연방헌법재판소에서 국제관습법의 존부와 연방법의 구성부분인지 여부 등이 판단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문제되는 국제관습법 자체가 존재하기는 하나 기본법에 저촉된다는 이유로 연방법의 구성부분이 아니라는 판단이 내려질 가능성이 있다. 이탈리아의 경우, 문제되는 국제관습법이 헌법질서의 기본원칙 및 불가침의 기본권과 모순되는 경우 국내법 질서로 편입되지 못한다는 ‘대항한계’ 법리를 채택한 헌법재판소 결정이 행해진 바 있다. 이를 종합해 볼 때, 국제관습법에 대한 위헌심사의 구체적 절차를 (1) 국제관습법의 존재 및 내용 확인, (2) 국내법으로의 편입여부 판단으로 구성하고, (2) 단계에서 우리나라 헌법에 위반되는지, 즉 헌법상 기본원칙 및 제도보장/기본권보장의 취지에 저촉되는지 여부에 관한 심사를 행하는 방식을 고안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심사 결과 문제되는 내용의 국제관습법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부존재 취지의 결정’을,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국제관습법이 헌법에 위반되지 않으면 ‘국내법으로 편입되어 있다는 취지의 결정’을, 헌법에 위반되면 ‘국내법으로 편입되어 있지 않다는 취지의 결정’을 하는 방식이다. ‘각하’, ‘합헌’, ‘위헌’ 결정의 의미를 위와 같이 새길 수도 있을 것이고, 국제관습법의 편입통제에 특유한 변형결정 형태를 도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is study gives an overview of constitutional review on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ccording to Korean Constitution, it is persuasive to understand that customary international law has same legal effect as domestic statutes enacted by Korean legislature, so constitutional review on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lso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constitutional review of statutes upon request’ procedure(Korean Constitutional Court Act §41(1)) or ‘constitutional review-type of constitutional complaint’ procedure(Korean Constitutional Court Act §68(2)). In these procedures,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customary international law should be considered enough. (1) It can be proved that the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t issue does not exist. (2) It is hard to apply the standard of review requiring the presence of legislator, such as proportionality test or equality test. (3) Even a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cannot abolish the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t issue. Korean district courts carried out kinds of constitutional review on customary international law last year, but it is doubtful that these judgments considered above characteristics enough.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of Germany has ‘verification of customary international law’ procedure, and makes a decision on whether the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t issue exists and is a part of German federal law, etc. If it is proved to be unconstitutional, the court might make a decision that the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t issue is not a part of German federal law. On the other hand, Constitutional Court of Italy has accepted ‘counter-limit doctrine.’ According to this doctrine, if the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t issue is inconsistent with basic principles of constitutional order and inviolable fundamental rights, it cannot enter into Italian domestic legal order. The followings are suggestions of constitutional review on customary international law of Korean Constitutional Court. This procedure can be composed of 2 steps; (1) verifying existence and content of the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t issue, (2) determining whether the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t issue can enter into domestic legal order or not. And in (2) step, whether the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t issue is inconsistent with Korean Constitution can be tested. 3 types of decisions can be made; ‘non-existence(corresponding to dismissal)’, ‘existence and incorporation(corresponding to constitutional)’, ‘existence but non-incorporation(corresponding to unconstitutional).’

      • KCI등재

        헌법적 대화에 있어서 헌법재판소의 역할 ― 한국 헌법재판, 제3의 길, 가능한가? ―

        김선택 한국공법학회 2013 공법연구 Vol.41 No.4

        In our democratic republic, the work on the meaning of Constitution is performed in open process of conversation among participants, that is, all the organs and the people of State. In this process, the Constitutional Court plays a special role as the court established for constitutional review, but its decision is neither exclusive nor final. Constitutional review is not monologue by a single organ, but dialogue between Constitutional Court and other participants. The problem of ‘countermajoritarian difficulty’ has been discussed for long relating to the Constitutional Court's power to invalidate parliamentary laws. The newly rising ‘weak-form of constitutional review’ and ‘dialogic judicial review’ introduced by the Canadian Charter of Rights and Freedoms in 1982 are worthy of reference. Parliament responses to the decisions of the Court through re-enactment of invalidated laws, Decisions of nonconformity to the Constitution with the order of continuing application leads to the dialogue between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parliament. Concerning the constitutionality of governmental action with highly political character, the Constitutional Court might avoid the burden of decision by means of a political question doctrine. On the contrary, the Constitutional Courts worldwide suffer from the judicialization of mega-politics. Korean Constitutional Court also dealt with such political cases of the unconstitutional constitutional amendment(so-called ‘Yu-shin Constitution 1972’) and the emergency measures issued during dark times of Korean history, of the impeachment against President Roh, and of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City. These cases suggest that the inter-institutional dialogue should be necessary. Nowadays, the conflict over the status within the judiciary and the scope of the judicial power increases the tension between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dispute focuses on the problem whether one special type of the latter's decision, i.e.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in certain context(the Constitutional Court prohibits a particular way of interpretation of a law as unconstitutional, while having other interpretations remain constitutional) has a legal binding effect against the former. To my mind, this problem should be solved through inter-organ respect and serious dialogue on the perspectiv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x specialis/les generalis. Last and not least, the people do not have to approve docilely and unthinkingly every Court decisions. They should be respected as active participants in the constitutional dialogue.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has the task and responsibility to develop the third model on the basis of dialogic structure among all branches of government and sovereign people.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his more dialogic process helps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find the third way, which is different with American and Austrian-German. 민주공화국에 있어서 헌법의 의미를 규명하는 작업은 참여자, 즉 모든 국가기관과 국민들 사이의 개방적 대화과정으로 수행된다. 이 과정에서 헌법재판소는 위헌심사를 위하여 설치된 사법기관으로서 특별한 역할을 부여받는다. 그러나 헌법재판소의 결정이 독점적이거나 최종적인 것은 아니다. 헌법재판은 어떤 한 기관의 독백이 아니라, 헌법재판소와 다른 참가자들 간의 대화여야 한다. 국회제정법률을 심판하여 무효화할 수 있는 헌법재판소의 권한과 관련하여 민주적 정당성 문제가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다. 1982년 캐나다의 권리장전에 의하여 도입되었다고 알려진 약한 형태의 위헌심사와 대화적 사법심사는 시사하는 바가 많다. 국회는 위헌결정된 법률을 반복입법함으로써 반응할 수 있고, 헌법재판소는 헌법불합치결정을 통하여 국회를 대화로 초대할 수 있다. 정부와의 관계에서, 헌법재판소는 고도로 정치적인 성질을 갖는 정부의 행위에 관하여 통치행위 내지 정치문제의 법리를 활용하여 결정의 부담으로부터 회피할 수 있다. 반대로, 전 세계의 헌법재판소들은 초대형 정치문제의 사법화로 고통받고 있다. 우리 헌법재판소도 유신헌법과 긴급조치의 위헌성 문제, 노 대통령 탄핵 사건, 행정수도이전특별법 사건 등 정치적 결단을 요하는 문제들을 다루어 왔다. 이 사건들은 기관간의 헌법적 대화가 긴요하다는 것을 가르쳐 주었다. 최근, 사법부내 위상과 권한의 범위를 둘러싼 갈등으로 대법원과 헌법재판소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핵심쟁점은 한정위헌결정이 대법원에 대하여서도 법적인 기속력을 가지는지 여부이다. 이 문제는 일반법/특별법의 관계의 관점에서 기관간 상호존중과 진지한 상호대화를 통하여만 해결가능할 것이다. 국민주권에 기초한 민주주의체제하에서 언제나 종국적인 지향점은 국민의 최선의 이익이어야 한다. 국민들은 대법원이든 헌법재판소든 사법적 결정을 생각 없이 따라야만 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들은 헌법적 대화의 능동적인 참여자로서 존중받아야 한다. 한국 헌법재판소는 모든 정부기관들과 주권자 국민 사이의 대화구조에 기초하여, 제3의 모델을 발전시킬 과제와 책임을 지고 있다. 이러한 더욱 대화적인 과정이 헌법재판소가 미국이나 오스트리아-독일과는 다른, 제3의 길을 발견하도록 도울 것이다.

      • KCI등재

        미국 헌법재판제도의 성립의 초기배경 및 마샬 대법원장의 헌법재판권 정당화 논의의 재조명

        이상경(Sangkyung Lee) 한국헌법학회 2011 憲法學硏究 Vol.17 No.1

        Since constitutional review in the United States originates from historical outcomes which have been filed and accumulated for a long time as premises that brought forth the Chief Justice Marshall's famous decision of Marbury cas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 Marbury case. Henc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dictum of Bonham's case handed down by Sir James Coke in 1610 as well as focuses on the assertions by Hamilton in his Federalist paper No 78. that the power of constitutional review should be conferred on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Furthermore, it is needed to bring the arguments for the legitimacy of the Court's power to review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laws which seem to be repugnant to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under the limelight, for Chief Justice Marshall's thoughts on the constitutional review power of the Court presumably are to be influenced by all the previous historical factors and ideas occurred amongst lawyers and politicians before he handed down the Marbury case. Also, since it can be said that Chief Justice Marshall's arguments seem to be related to many others' thoughts at that time, this article thoroughly dig into his constitutional reflections and arguments for the constitutional review power implied in his decision of the Marbury case. In addition, as the Court has the power to review the laws passed by the majority votes in the Congress and to make them invalid and void when against the Constitution, the Counter-majoritarian difficulties that the Court must face should be addressed in order to enhance the Court's status consisting of unelected members, which diminishes the Court's legitimacy for its constitutional review power. Nonetheless, this article insists that the Court has resolved various constitutional problems and gives more protection for the people with regard to the freedom guaranteed under the Constitution. In this regard, the Court has been given the legitimacy, for it has used its constitutional review power to give more protections for the people, which allows the Court the democratic legitimacy. 미국의 헌법재판제도는 그것이 일어나기 위한 전제적인 요인들이 오랜 시간 축적되고 쌓인 결과로 성립된 것이다. 따라서 이를 정면으로 인정한 마샬 대법원장의 마베리 판결이 나오게 된 역사적인 전제조건들을 살펴보는 것은 미국의 헌법재판제도의 기원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마베리 사건 이전의 헌법재판의 기원이 될 만한 사건들인 1610년의 본햄사건(Bonham's Case)과 미국 독립혁명 후 해밀턴이 헌법재판권을 미연방대법원에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한 내용 등을 검토한다. 또한 이러한 역사적인 사건들을 통해 여러모로 시사를 받은 마샬 대법원장이 연방대법원의 위상을 높이는 판결-헌법재판권을 법원에 부여하는 마베리 판결-을 하게 되었으므로 판결의 내용을 통해 피력된 헌법재판권의 정당성에 관한 여러 응축된 논의들을 재조명해볼 필요가 있다. 마샬 대법원장의 논리는 마베리 사건 이전에 주장된 연방 대법원의 위상과 역할에 관한 논의 및 여러 사상들과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헌정사적인 고뇌를 바탕으로 하여 법원이 헌법재판권을 행사토록 논리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과연 헌법재판권을 법원에 부여한 것이 타당하였는지 검토한다. 나아가 헌법 재판제도의 반민주성 혹은 반다수주의성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본다. 특히 민주주의와 다수결주의의 관점에서 헌법재판을 정당화하는 문제가 심도 있게 거론되고 있는데 이는 대부분의 다른 권력기관의 구성원들은 다수결에 의한 선거로 선출되는데 반하여 대부분의 법관들은 선거되지 않기에 소위 반다수주의적 세력이라고 간주되기 때문인 것이다. 다만 연방 대법원의 헌법재판권은 핵심적인 국민의 권리를 보장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이유로 민주주의와 조화될 수 있다고 보기에 이러한 부분에서 미국 연방 대법원은 자유 민주주의적 정당성에 근거한 또 다른 정당성을 부여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헌법개정 위헌심사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강승식 미국헌법학회 2022 美國憲法硏究 Vol.33 No.2

        Judicial review of constitutional amendments means that the judiciary reviews whether some constitutional amendments are substantively unconstitutional because they undermine core principles in the existing constitutional order. It appears undemocratic in that it threatens to produce a kind of counter-majoritarian difficulty. If the amendment power were a true expression of the original constituent power, this objection would have great force. Yet the amendment power is a secondary constituent power, which lies between the primary constituent power and the ordinary legislative power. Thus, when judges hold amendments unconstitutional for violating core aspects of the Constitution, they are keeping faith with the primary constituent power and are vindicating the will of the people. Also it may be both legitimate and useful as a response to certain kinds of constitutional amendments which threaten the democratic order. A deep tension exists authoritarian regimes of the world between commitments to democracy and procedures for constitutional amendment. Amendments are frequently passed that follow formal democratic procedures but are aimed at achieving anti-democratic aims. When this is the case, there is an imperative to limit a power of constitutional amendment by the judiciary. This paper examines how the judiciary should deal with unconstitutional constitutional amendments. Judicial review of constitutional amendments should be exercised in order to prevent crafty amendments to damage the liberal democratic order.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for the judiciary to do an aggregated judicial review. Also constitutional replacement should not be exempted from judicial review. Because constitutional replacement, like constitutional amendment, can in fact be misused in the name of the people in order to undermine constitutionalism. Finally, constitutional amendments regarding judicial independence must be reviewed under strict scrutiny analysis in that judicial review of constitutional amendments can be good functional or bad dysfunctional, depending on how independent the judiciary is. 헌법개정 위헌심사제도는 선출되지 않은 사법부가 국민적 합의에 기초한 헌법개정을 통제한다는 점에서 과연 이 제도가 민주주의원리에 부합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깊은 고민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헌법이론적으로 헌법제정권력과 헌법개정권력은 구별될 수 있고, 이렇게 본다면 헌법개정을 통해 헌법제정권력의 근본적인 정치적 결단을 변경하는 것은 허용될 수 없다. 헌법개정권력은 헌법제정 과정에서 헌법제정권력자인 국민이 국민대표 기관에게 위임한 권력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민대표 기관은 헌법개정을 통해 정치 질서를 변경할 수 있으나, 이 역시 헌법제정권력자인 국민이 위임한 범위 내에서만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보면 헌법개정 위헌심사제는 헌법제정권력자인 국민의 근본적인 정치적 결단이 유지될 수 있도록 사법부에게 일정한 권한을 부여한 것으로, 이를 반드시 반민주적인 제도로 볼 이유는 없다. 이보다는 국민이 국민대표기관의 헌법개정행위를 통제하는 민주적인 제도로 볼 수 있다. 이런 헌법이론적 정당성 외에 헌법개정 위헌심사제는 다소 실용적인 관점에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집권 세력이 자신의 권력을 강화한다든지 또는 헌법재판소와 같은 권력 통제 기관의 권한을 약화시킴으로써 견제와 균형을 어렵게 하는 헌법개정을 시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헌법개정 자체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의 취지에 어긋나는 것이라면 사법부는 해당 헌법개정의 효력을 부인할 강력한 정당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헌법개정 위헌심사제가 헌법이론적, 실용적 차원에서 정당화된다면 남는 문제는 이를 어떤 방향으로 운용할 것인가이다. 먼저 권위주의 체제를 전면적으로 수용하는 혁명적 헌법개정은 물론 입헌주의를 점차적으로 고사시키는 부분적인 헌법개정에 대해서도 종합적 관점에 기초한 위헌심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헌법개정절차를 거치지 않은 헌법교체의 경우에도 그것이 헌법의 ‘개정’이 아닌 ‘교체’라는 이유로 위헌심사가 전적으로 배제되어서는 안 된다. 아울러 사법권 독립 없는 입헌주의는 생각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사법권 독립을 저해하는 헌법개정은 가장 엄격하게 심사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