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의 시민교육 역량 강화 교육방안 연구

        김국현 ( Kim Kuk-hyeon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9 倫理硏究 Vol.125 No.1

        초·중등학교 교사교육은 예비교사의 시민 정체성 발달과 이에 기초한 학교 시민교육 역량발달을 목표로 포함한다. 예비교사의 시민교육 역량 강화교육은 교원양성대학별 여건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표준 모델을 구안하고 타당한 접근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시민교육 역량발달은 전공 및 교양과정, 생활관교육과정, 현직교사의 협업교육 같은 학부-대학원 연계, 대학별 연수 프로그램과 연계할 수 있다. 시민교육 역량 강화교육은 예비교사의 학교 시민성, 지역 시민성, 국가 시민성, 세계 시민성, 디지털 시민성 발달과 함께 학교 시민교육을 설계 및 실행하는 전문성을 함양하는 시민교육 역량강화 교육과정 신설 및 개선을 통해 추진할 수 있다. 특히 예비교사의 시민 정체성 자각과 공동체 삶에서의 변혁적 실천을 위해서는 민주적 자기 결정권과 책무성을 구체적인 삶의 체험으로 학습하도록 교수와 예비교사 수강생의 시민교육 교육과정 공동설계(citizenship curriculum co-design)와 같은 시민교육의 민주적 혁신이 중요하다.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 education aims to develop the citizen identity of the pre-service teachers and to develop the civic education competencies based on it. The education for strengthening the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i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universities. However, the standard model should be developed and a proper approach should be sought.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ies development can be linked with undergraduate-graduate linkage and university-based training programs such as majors and liberal arts courses, dormitory education courses, cooperative education of in-service teachers. To strengthen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it is important to cultivate professionalism to design and implement school citizenship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school citizenship, local citizenship, national citizenship, global citizenship, digital citizenship. In particular, in order for the pre-service teachers to be aware of the citizenship identity, to implement the transformational practice in the community life, and to learn democratic decision and responsibility, there should be a system for co-designing citizenship education course by professors and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

        청소년의 시민성 관련 활동, 시민적 효능감, 미래 정치참여 의식 간 구조적 관계 분석

        길혜지 ( Kil Hye-ji ),박지민 ( Park Ji-min ),조효제 ( Cho Hyo-j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시민성 관련 활동, 시민적 효능감 그리고 미래 정치참여 의식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제 시민성 및 시민의식 비교조사(ICCS: International Civic and Citizenship Study)’의 2016년 한국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 2학년 2,536명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성 관련 교내외 활동, 시민적 효능감, 미래 정치참여 의식 간 모든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시민성 관련 교내 학습경험이 교외 활동참여보다 시민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정치참여 의식에 미치는 영향 또한 크게 나타났다. 둘째, 시민성 관련 교내외 활동이 시민적 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미래 정치참여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녀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모두 유의한 가운데 교내 학습경험이 시민적 효능감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더 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내용은 청소년들의 미래정치참여 의식을 제고하기 위해 수업 중 개방적 분위기를 만들어 가고 다양한 시민성 관련주제 학습 기회를 부여하며, 청소년들이 시민적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성공 경험을 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 among citizenship-related activities, citizenship self-efficacy, and future political participation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this end, Korean data from the International Civic and Citizenship Study 2016(ICCS 2016) was utilized; 2,536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pathways among citizenship-related activities, citizenship self-efficacy, and future political particip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the impact of citizenship-related inside school activities on citizenship self-efficacy was relatively greater than outside school activities, and the impact on the future political participation was also greater. Second, the indirect effects of citizenship-related activities mediating citizenship self-efficacy on the future political particip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ird, when comparing by gend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at the direct effect of the learning experience in the school on the citizen's efficacy was greater in the male students than in the female stu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create an open climate during classes, provide opportunities for learning various topics related to citizenship, and to have successful experiences that can increase citizenship self-efficacy in order to raise future political participation in adolescents.

      • KCI등재

        시민권, 포함의 역사 혹은 배제의 역사

        이선주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13 영어영문학연구 Vol.55 No.1

        Citizenship is a concept having universal persuasiveness. Citizenship, the sign of the full membership, ensures citizens to be legally free and equal person. The reason why scholars explore how far citizenship has expanded and how much the specific rights of citizenship have been realized and how well each citizenship of each age is compatible with the principle of equality is that citizenship is a realistic law to perform human rights. To investigate the following questions—is citizenship fair, is citizenship a law to include as many as possible or a law to exclude the others by situating them as exception—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of citizenship. From ancient Greek age to modern age, citizenship developed and expanded to more universal and more equalitarian forms. Secondly, this paper explores the tension between citizenship of the universal status and the nation-state of the exclusive community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French Revolution and modern citizenship. While the modern citizenship which limited citizens to national people endowed its own people considerable equality and freedom, that system has been based on the exclusion and disadvantage of the foreigners and migrants. Thirdly, this paper proves that competitive capitalism took advantage of the modern citizenship which focused on the civil rights to pacify the inequality. Furthermore, this paper asserts that in the present global age, for citizenship to be faithful to its inner logic of being universal and equalitarian, the human rights of non-citizens must be included in citizenship.

      • KCI등재

        체육전공 대학생들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세계시민성 현황 및 세계시민성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박선영 ( Park Sunyoung ),김예성 ( Kim Yesung ),이미리 ( Lee Meery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3 스포츠사이언스 Vol.41 No.3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서 세계시민성 함양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체육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특성에 따른 세계시민성 수준은 어떠하며, 세계시민성이 실제 자아정체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체육전공 대학인 서울소재 H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 20일에서 11월 30일 기간 동안 온라인 설문을 통해 세계시민성 수준, 인구학적 특성, 학교생활 특성, 자아정체감수준에 대해 조사하여 235명의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성별, 학년, 소속 전공에 따른 세계시민성 수준을 비교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저학년보다는 고학년이, 체육전공 보다는 생활체육전공 학생들의 세계시민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교생활 경험에 따른 세계시민성 차이를 검증해본 결과 동아리활동과 자원봉사활동 경험을 지니는 학생일수록 세계시민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세계시민성 수준이 체육전공 대학생들의 자아정체감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구학적 변인들의 영향력을 통제한 이후에도 세계시민성은 자아정체감을 높이는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체육전공 대학생들의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해 세계시민성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을 쌓고 실질적인 세계시민성 함양 경험을 제공하는 방안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level of global citizenship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whether global citizenship affects actual self-identity development, and furthermore, what direction university education should be in order to cultivate global citizenship.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targeting students at H University, a college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bout their level of global citizenship,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chool life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self-identity, and analyzed the responses of 235 peopl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evel of global citizenship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department amo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level of global citizenship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in upper grades than in lower grades, and in the College of Health and Human than in the College of Sports Science. It was confirmed that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global citizenship according to school life experience,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with more experience in club activities and volunteer activities had a higher level of global citizenship.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level of global citizenship on the level of self-ident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global citizenship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increasing self-identity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variabl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ways to build basic knowledge about global citizenship and provide practical experiences in cultivating global citizenship in order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문화시민성 개념의 탐색 :문화예술교육의 시민교육적 의의

        김재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5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concept of ‘cultural citizenship’ and also to understand cultural-ar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itizenship education. For the sake of it, the study formulated the purpose of cultural-art education as ‘cultivating cultural citizen and fostering the cultural citizenship.’ Then we explored the concept of ‘cultural citizenship’ to better understand the cultural citizen as well as cultural-art education. Cultural citizenship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ultural citizenship as membership’ is the first category. Traditionally, this type of membership was cherished as a key for the social cohesion. But in the era of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citizenship which embraces multiple identities and memberships carry higher importance. Second category is ‘Cultural citizenship as basic rights’. This includes a freedom from the oppression of art and cultural expression, a right to practice art and cultural activities, and a right to enjoy art and cultural works. Last category is ‘Cultural citizenship as virtues’. It requires cultural citizen to voluntarily as well as critically participate in an art and cultural community. Creativity, openness to the others, and ethical responsibility are also parts of the citizenship as virtues. The concepts proposed here, however, need to be challenged and revised consistently as the society changes. Researches that inquire into the contexts of cultural-art education as citizenship education, that further elaborate the concepts of cultural citizenship need to be conducted in the following researches. 본 연구에서는 ‘문화 시민성’의 개념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시민교육적 의의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문화시민성의 개념은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지위와 자격으로서의 문화시민성(cultural citizenship as membership)이다. 전통적 의미에서 이러한 멤버십은 문화공동체의 통합과 결속을 가져올 수 있었지만, 다문화사회에서는 다양한 문화적 정체성을 포용하는 다문화적인 시민성 개념이 요구된다. 두 번째는 시민의 기본적 권리로서의문화시민성 (cultural citizenship as basic rights)이다. 소극적 의미에서 문화예술적 표현에 대한 억압으로부터 자유로울권리, 그리고 적극적 의미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요구할 권리, 문화예술활동을 실천할 권리, 문화예술작품을 향유할권리 등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자질과 덕목으로서의 문화시민성 (cultural citizenship as virtues)이다. 문화시민에게는주체적이며 비판적인 문화공동체에의 참여, 문화예술적 독창성과 창의성, 그리고 타자에 대한 열린 태도와 윤리적책임 등이 요구된다. 그리고 시민교육적 맥락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은 이와 같은 문화시민성을 담지한 문화시민을양성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삼아야 한다. 후속연구들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시민교육적 맥락을 보다 깊이 있게탐구하려는 시도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로서 문화 시민성의 개념을 보다 정교화 시키고자 하는 연구들이 이어질 필요가 있다.

      • 다원주의 시대에서 대순사상의 세계시민성 가치연구

        김용환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4 대순사상논총 Vol.23 No.-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the value of the world citizenship in the perspective from the root meaning that is stressed as the behavior style of Daesoon thoughts in relation with ‘desirable attitude of life in education of morality. Traditional root meaning of Daesoon thoughts turned out to be proper moral behavior principle such as Yin Yang harmonious virtue, God Humane keeping unity, and conviviality with regrets settlement. Such three principles of Daesoon Thoughts show the characteristic of global code such as respect of life, solidarity unity, and tolerant trust. To revise the phenomenon of duality, and to realize the human awakening in radically changing reality, we need to cultivate world citizenship based on the root meaning of Daesoon thoughts. Daesoon thoughts covering the East and the West, especially the key features of religion, can cultivate the world view of citizenship in the era of plural society based on folk beliefs toward Gucheon Sangje faith as the essence of the multiplism. The world citizenship of human society is necessary to unite the world in the unified construction cooperative spirits. All beings need to be away from antagonistic confrontation with the practice of mutual conviviality. The diameter of acquired joining world citizenship can have the opportunity to realize of Gucheon Sangje’s Heaven and earth construction. The root meaning of Daesoon thoughts can contribute to moral practicality with world citizenship by practice of heavenly truth and human truth. First, cultivating heavenly truth by means of insight can develope the profound world citizenship. Secondly, the solidarity of the public and private can cultivate public citizenship. Thirdly, in the crisis of the mankind, this awakening conviviality can be foundation for world citizenship of public communication. Fourthly, the spirit that would not deceive ownself can be contributed to cultivating the world citizenship by means of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Daesoon thoughts. Nowadays in the plural society demanding world citizenship, the public citizenship can deepen the spirit of respect of life, solidarity unity, and tolerant trust in the process of world citizenship cultivation. In the future, the world citizenship can be deepen the alternative of practice in the continuous cultivation of world citizenship. In this process, we can form the culture of coexistence which can contribute to human society as well as korean society by developing the value of living together happiness through the guide of this phonesis.

      • KCI등재

        세계 시민성 함양을 위한 예술적 시민 교육 방안 탐색: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중심으로

        최진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rtistic citizenship education methods for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Methods After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artistic citizenship to global citizenship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cepts of global citizenship and artistic citizenship, and designing the content system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to educate artistic citizenship in schools, based on this, the methods reconstruction of music curriculum for the the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as presented. Results The content system of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for artistic citizenship is based on three areas: artistic responsibility, artistic competence, and participatory art. Artistic competence is the 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of oneself/others through artistic expression, artistic responsibility is imagining, reflecting and empathizing with the world through art, while participatory art is expressing a voi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through bonding, caring, and service through art.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in connection with art subjects, subject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in the process, self/other understanding, imagination, reflection, empathy, care, and service have values. Conclusions Artistic citizenship enables global citizenship to be cultivated through empathic and a divergent approach. however to this end, flexibility in curriculum operation, collaboration and empowerment of teachers, and provision of school facilities for participatory arts, and continuous research on artistic citizenship is requir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 시민성 함양을 위한 예술적 시민 교육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세계 시민성과 예술적 시민성의 개념을 비교⋅분석하여 예술적 시민성이 세계 시민성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확인하고, 예술적시민성을 학교 안에서 교육하기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의 내용 체계를 설계한 후,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음악과교육과정 재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예술적 시민성을 위한 교육과정 재구성의 내용 체계는 예술적 책임, 예술적 역량, 참여적 예술의 세 영역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예술적 책임은 예술을 통해 세계를 상상하고, 공감하고, 성찰하기, 예술적 역량은 예술 표현을 통한 나/타자의 탐색과 이해, 참여적 예술은 예술을 통한 유대, 배려, 봉사로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 목소리를 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술 교과,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연계한 교육과정 재구성이 필요하며, 그 과정에서 자기/타자 이해, 상상, 성찰, 공감, 배려, 봉사라는 가치를 갖는다. 결론 예술적 시민성은 공감적⋅확산적 접근으로 세계 시민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운영의 유연성, 교사들의 협업과 역량 강화, 참여적 예술을 위한 학교 기반 시설 마련 그리고 예술성 시민성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시민권(citizenship) 개념의 의미 확장과 변화

        장미경(Jang Mi Kyoung) 한국사회학회 2001 韓國社會學 Vol.35 No.6

        시민권이란 근대 국가를 구성하는 시민들에게 '보편적 권리이자 자격권'으로서의 의미를 지닌 개념이다. 이러한 시민권 개념은 근대 이래 가장 먼저 자유주의 사상가들에 의해 정초되었지만, 이후 역사적 발전에 따라 노동계급, 여성, 혹인 등 다양한 집단들에 의해 도전을 받게 된다. 자유주의자들이 정의한 '보편적인 성격‘을 지닌 근대적 시민권은, 실제로 현실세계 속에서는 오로지 백인 남성 부르조아 개인의 권리 보장으로 귀결되었고 노동계급을 비롯한 기타 다른 소수집단들을 배제하는 협소한 개념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자유주의적 시민권 개념의 한계를 지적하고, 역사적 발전에 따라 시민권 개념이 의미하는 바가 달라졌음을 주장하고 있다. 나아가 자유주의적 시민권 개념을 뛰어넘어 새로운 차원에서 시민권 개념이 재정의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즉 부르조아 남성 재인에 기초한 자유주의적 시민권 개념은 노동계급을 포함하여 기타 다른 소수집단을 포용하는 개념으로 바뀌어야 하며, '국가로부터 부여되는 법적ㆍ형식적 권리에 국한되었던 시민권 개념' 또한 평등이나 사회정의, 시민적 가치나 원리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개인적ㆍ독립적 권리에 국한되었던 시민권 개념도 집단적ㆍ관계적 권리개념을 포괄하는 것으로 재정의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리고 시민적ㆍ정치적 권리뿐만 아니라 경제적ㆍ사회적ㆍ문화적 권리개념을 포괄해야 하며, 국가가 위로부터 부여해주는 소극적 개념으로서가 아니라 시민들이 아래로부터의 요구를 통해 적극적으로 쟁취해나가는 '아래로부터의 동학적 개념'으로 재정립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민권 개념의 수정과 확장은 결국 민주주의 실현을 앞당기는 길이기도 하다. 특정 소수만이 아니라 사회를 구성하는 다수의 이익과 관심에 기초하여 시민권 개념이 재정의 될 때, 진정한 민주주의는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자유주의적 시민권 개념은 사회의 변화를 반영할 뿐 아니라 현대 사회를 구성하는 보다 많은 개인과 집단들을 포용하는 보다 확장된 시민권 개념으로 재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In modern state, citizenships mean universal rights and entitlements which citizens have. The concept of citizenship, having early been made by liberal thinkers after an establishment of modern society, has been challenged in the courses of historical developments by various groups such as labor classes, women, blacks and so on. The concept of modern citizenship recognized with universal characteristic by liberals, meant eventually a concept of guaranteeing individual man's rights belonged to bourgeois classes and an only narrow concept excluding rights of labor classes and other minor groups in real world. Therefore, this article points out limits of the concept of liberal citizenship and argues that its meaning has differed from over time.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citizenship, passing over notion of liberal citizenship, be redefined in new level. To put it other way, this article stresses that the concept of liberal citizenship based on an individual man belonged to bourgeois classes has to change into one including other minority groups such as labor classes and other minor groups, and its meaning limited to legislative and formal rights granted by the state, has also to enlarge into one including equality or social justice, civil values or principles. This article also maintains that the concept of citizenship limited to individual and independent citizenship has to be redefined into one including collective and relational citizenship. It maintains that the concept of citizenship has to include not only civil and political rights but also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nd to reestablish as active and dynamic concept being formed through demands of citizens from below, not just negative one granted by the state. Consequently, to amend and enlarge the concept of citizenship leads us to the way towards an achievement of democracy. If we redefine its concept as one based on interests and concerns of the majority not a specific few, we can achieve true democracy. The concept of liberal citizenship, thus, has to be redefined to the more enlarged one, not only reflecting change of society but also including more individuals and groups, the members of modem socie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세계시민성에 미치는 비교과 활동에 관한 종단연구: 잠재전이분석

        변유경,박혜숙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6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university students' global citizenship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this study, 1,060 4-year university students were selected who participated in the 8th and 9th survey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Education 2005(KELS 2005). After identifying five items as constituents of the construct, we checked metric invariance assumptions to find out whether these five items are interpreted in the same way across the two time points. To find out whether there were subgroups depending on response patterns, latent class analyses were conducted each year. We identified 3 and 2 classes at each time point respectively. We also analyzed whether the probability that a student belonging to the relevant subgroup(class) was associated with gender, volunteer work, volunteer hours, and overseas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a specific class (as reflected in the levels of global citizenship) in the first time point was associated with gender; in the case of the 2nd time point, volunteer hours and overseas experienc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elonging to the high level class of global citizenship. Us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we found out both stayers and movers. The time spent on volunteer hour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elonging to either the highest or the lowest global citizenship class compared to the medium level class, but the overseas experienc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elonging to either the highest global citizenship class or the lowest global citizenship class compared to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middle global citizenship class. Among the stayers, the highest citizenship group at the time point 1 was about 17%, and movers from the lower citizenship group to the higher citizenship group were in total about 27%. Considering model simplicity and clarity of interpretation, we set two latent classes at each time point and ran LTA model. Both volunteer work and volunteer hours were related to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high global citizenship group compared to the low global citizenship group. The stayers in the high global citizenship group were 16% and movers from the high to low group were 15%. And stayers in the low group were 54%. Movers from the low to high group were 16%. In an era whe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ecomes important, this study recognizes the impact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universities on improving global citizenship and suggest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본 논문은 한국 대학생의 세계시민성과 대학에서의 비교과 활동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의 8차와 9차 설문에 응답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1,060명의 학생을 선별하였다. 세계시민성을 나타내는5개 문항이 세계시민성 구인으로 적합한지 확인하고, 두 해에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는지를 알고자 측정동일성 가정을점검하였다. 그 결과 해당 문항이 단일차원인 것이 확인되었고 측정동일성 가정 또한 만족되었다. 문항반응패턴에따른 하위그룹이 있는지 확인한 결과 8차 조사는 3개, 그리고 9차 조사는 2개의 하위그룹으로 나뉘어 질 수 있었다. 해당 하위그룹에 속할 확률이 성별, 자원봉사, 자원봉사 시간, 해외 경험 유무에 따라 변화하는지 분석한 결과 8차년도에는성별이 특정 그룹에 속할 확률에 유의한 변인이었고, 9차년도에는 자원봉사 시간과 해외 경험이 세계시민성이 높은그룹에 속할 확률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또한 잠재전이분석을 통하여 8차에 속한 그룹이 9차에 동일하게 남아있는 경우와 전이(변경)된 경우를 발견하였다. 지속적으로 높은 그룹에 속한 경우는 17%였고, 낮은 그룹에서 높은그룹으로 전이된 경우는 약 27%로 나타났다. 8차의 변인 중 자원봉사 시간은 중간집단에 비하여 세계시민성이 높은그룹이나 낮은 그룹에 속할 확률에 정적인 영향을 주나, 해외 경험은 중간 집단에 속할 확률에 비하여 높은 그룹이나낮은 그룹에 속할 확률에 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해외 경험은 중간 수준의 세계시민성 그룹에 속할 확률에는정적으로 관련되었다. 간명성을 고려하여 8차와 9차의 하위그룹을 각각 2개로 하였을 때 8차의 자원봉사 경험과시간은 세계시민성이 높은 그룹에 속할 가능성과 정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지속적으로 높은 그룹에 속한 경우는16%였고, 높은 그룹에서 낮은 그룹으로 전이는 15%였다. 그리고 낮은 그룹에서 높은 그룹으로 전이는 16%, 지속적으로세계시민성이 낮은 그룹인 경우는 54%로 분석되었다. 세계시민교육이 중요해지는 시대, 본 연구는 대학교에서의비교과 활동이 세계시민성 제고에 끼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해당 커리큘럼이 발전되어야 할 방향성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