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가구의 밤 구매 및 소비행태 분석(2010-2015)

        장철수 ( Cheol-su Chang ),은종호 ( Jong-ho Eun ) 한국산림경제학회 2016 산림경제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도시가구 소비자들의 밤에 대한 구매 및 소비행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밤 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밤의 구매 및 소비행태의 분석결과, 밤 구매 시기는 명절 및 햇밤 출하시기에 높았으며 생밤을 구매하는 비중이 높았으나 군밤, 가공밤에 대한 구매도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밤 구매횟수는 분기에 한번 구매한다는 의견이 높았으며 망, 비닐 등 소포장 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밤 구매 시 우선고려 사항은 신선도, 외형, 가격 등으로 나타났다. 소비행태를 살펴보면, 가구당 소비량은 매년 비슷하다는 의견이 70%로 나타났으며 소비증가 원인은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 소비감소의 원인은 ‘소득감소’와 ‘먹기 불편해서’라는 의견이 많았다. 현재 우리나라 밤 소비는 정체상태에 머물러있는데 앞으로 밤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요구에 부합하는 고품질 밤 생산과 다양한 소비층을 겨냥한 가공식품 개발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urban households' chestnut purchase and consumption behavior and present policy implications to continually develop the chestnut industry based on the survey. The analysis results of chestnut purchase and consumption behavior show that chestnuts are more purchased in holidays and the shipping season of newly harvested chestnuts, and although the proportion of raw chestnut purchases is high, roasted and processed chestnut purchases have increased every year. Consumers generally purchased chestnuts once per quarter, and preferred meshor plastic-wrapped small size packaging. They first considered freshness, appearance, prices and so on when purchasing chestnuts. The survey results on consumption behavior are as follows: household chestnut consumption is similar every year according to 70% of the respondents, and many consumers point out their family's health as a reason for chestnut consumption increases and income reduction and inconvenience in eating as reasons for consumption decreases. Currently, Korea's chestnut consumption seems to be stagnant, a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estnut industry, it is needed to produce high-quality products that meet consumer demand and develop processed foods targeting various consumers.

      • 밤 껍질에서 분리 회수한 밤가루를 이용한 밤묵에 관한 연구

        조숙자 서원대학교 응용과학연구소 2003 응용과학연구 Vol.12 No.1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making use of the edible portion on the inner layer of chestnut, which is produced as wastes in the chestnut processing, into a food resource. As a method, the chestnut powder, which is separated and collected from the inner layer, was used to make chestnut-mooks with 60∼90% of different ratio. Then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usability of the chestnut-mook. The chestnut-mooks made by 60∼90% of the chestnut powder was evaluated its flavor, hardness, elasticity, cohesiveness, adhesiveness, chewiness, gumminess, and acceptability;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90% of chestnut-mook and acorn-mook. It would be issue in terms of its price if the quantity of chestnut powder will be raised, because it was collected from the wastes of chestnut layer.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chestnut-mook using over 90% of chestnut powder as local food or traditional food being competitive to acorn-mook.

      • KCI등재

        저장온도와 박피방식에 따른 ‘축파’ 박피밤의 품질특성 변화

        오성일,김만조 한국자원식물학회 2014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는 마찰과 칼날 박피방식과 저장온도에 따른 박피밤의 품질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박피밤의 중량감소율은 저장기간 동안 모든 처리구에서 관찰되었으며, 박피방식에 따른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그러나 박피밤의 수분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마찰박피밤이 모든 처리구에서 칼날박피밤 보다 수분함량이 높았다. 박피밤 색도의 경우 a, b, ΔE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 동안 증가한 반면, L값은 저장기간 동안 감소하였다. 다만, 마찰 박피밤의 갈변정도가 칼날 박피밤보다 높게 나타났다. 과육경도는 마찰박피와 칼날박피에서 –1℃ 처리구의 밤이 가장 높았으며, 당함량은 저장직후부터 감소하였으나 저장 24일째부터 당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박피밤의 식미와 식감은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늘어날수록 감소하였으며, 저장 15일 이후로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위의 결과를 볼 때 마찰과 칼날 밤피밤의 품질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4℃와 2℃에서 저장한 박피밤은 15일 이후 품질이 급격하게 감소한 반면–1℃에서 저장한 박피밤은 천천히 감소하여 품질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마찰 박피밤의 갈변을 줄일 수 있으면 고품질의 우수한 박피밤이 생산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changes in quality of peeled chestnut according to peeling method, including abrasion and knife, and 3 kinds of storage temperatures. The weight loss rate of peeled chestnut during storage period was observed in all treatment groups, peeling methods showed no difference of the loss. However, the moisture content of peeled chestnut during storage in all treatment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Moisture content of the abrasion peeled chestnut in all treatmen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knife peeled chestnut. In the case of a, b, and ΔE value of peeled chestnut chromaticity increased during storage in all treatments, whereas, L values decreased during storage. But, browning of abrasion peeled chestnu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knife peeled chestnut. The hardness of the abrasion and knife peeled chestnuts were the highest in –1℃ storage, soluble solid content was decreased with storage time in all treatments, but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within 24 days. Palatability and texture of peeled chestnuts decreased in all treatments during storage period, 15 days after storage decreased rapidly. Thus, results showed that peeled chestnuts stored at 4℃ and 2℃ were rapidly decreased in the quality after 15 days, whereas, peeled chestnuts stored at –1℃ slowly decrease in the fruit quality. It can be recommended that chestnut in vacuum film is good to maintain at –1℃ storage for 15 days. Also, if we can reduce the browning of abrasion peeled chestnut, we will produce peeled chestnut of high quality.

      • KCI등재

        밤을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 연구

        이현숙 ( Hyun-sook Lee ),장영주 ( Young-joo Jang ),김선효 ( Sun-hyo Kim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6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1 No.2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processed foods with chestnut and support their commercialization. Interview was performed with owner of Gongju chestnut food processing company and sensory 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103 male and female adults aged 20-70 using Likert 5 point scale-scoring test for chestnut processed food items developed. Nutrient contents of processed foods with chestnut were analyzed by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Commercialization support contents were high calorie · low nutrition distinction, nutrition facts production and expiration date determination. We suggested 27 kinds of feasible chestnut processed foods. Among these, 10 items, chestnut pudding, chestnut glutinous rice cake bread, chestnut poundcake, chestnut burrito, chestnut millet pancake, chestnut soup, yulpyeon, chestnut yakgwa, chestnut yeot, and chestnut yanggaeng were selected after consultants’ assessment. Considering sensory evaluation, consultants’ opinions, and company owners’ opinion and status, chestnut poundcake and chestnut yakgwa were ultimately selected for commercialization support. Nutrient contents showed that chestnut pound cake and chestnut yakgwa were not high calorie · low nutrition food. Expiration date was 10 days for chestnut pound cake and 6 months for chestnut yakgwa. By developing chestnut processed foods with high marketability, and supporting immediate commercialization, it is expected to increase high added value of chestnut.

      • KCI등재

        밤을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 연구

        이현숙,장영주,김선효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6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1 No.2

        본 연구는 밤의 고부가치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국내 주요 밤 생산지인 공주의 밤 가공업체에서 제조 가능 하고 상품성이 높은 밤 가공식품을 개발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공주시 밤 가공업체를 대상으로 심층면접법 을 통해 실태조사를 하였다. 밤식품으로 밤음료 3종, 밤빵/밤 과자 9종, 테이크아웃 푸드 8종, 밤떡/밤한과 4종, 밤엿/밤양 갱 3종의 총 27종을 개발 가능한 품목으로 제안하였고, 이들 중 자문진 평가를 거쳐 10종-밤푸딩, 밤찰떡빵, 밤파운드케이크, 밤브리또, 밤수수부꾸미, 밤스프, 율편, 밤약과, 밤엿, 밤양갱-이 선정되었다. 이들 10가지 품목의 시제품을 제작하 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자문진 의견, 업 체 의견 및 업체 여건을 반영해 상품화에 가장 적합한 제품 으로 밤파운드케이크와 밤약과가 선정되었다. 이 두 제품의 상품화를 돕기 위해 영양성분 분석을 통해 고열량·저영양 식품의 여부를 판별하였고 영양성분표시를 제작하였으며, 유 통기한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밤 가공업체의 실정과 요구 도에 맞는 식품을 개발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들 제품의 등 록과 판매 등 즉시 상품화가 가능하도록 지원한 데 의의가 있다. 이후 연구에서는 건강기능성을 좀 더 고려한 레시피의 개발과, 관능검사 외에 객관적인 제품 평가 방법 등이 추가 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밤 가공식품 고급화와 다양화를 위해 최종 제품 개발에만 치우치지 않고 밤을 주재료로 한 중간식재료도 개발해 밤 가공식품의 다양화와 판로 확대를 기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processed foods with chestnut and support their commercialization. Interview was performed with owner of Gongju chestnut food processing company and sensory 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103 male and female adults aged 20-70 using Likert 5 point scale-scoring test for chestnut processed food items developed. Nutrient contents of processed foods with chestnut were analyzed by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Commercialization support contents were high calorie · low nutrition distinction, nutrition facts production and expiration date determination. We suggested 27 kinds of feasible chestnut processed foods. Among these, 10 items, chestnut pudding, chestnut glutinous rice cake bread, chestnut poundcake, chestnut burrito, chestnut millet pancake, chestnut soup, yulpyeon, chestnut yakgwa, chestnut yeot, and chestnut yanggaeng were selected after consultants’ assessment. Considering sensory evaluation, consultants’ opinions, and company owners’ opinion and status, chestnut poundcake and chestnut yakgwa were ultimately selected for commercialization support. Nutrient contents showed that chestnut pound cake and chestnut yakgwa were not high calorie · low nutrition food. Expiration date was 10 days for chestnut pound cake and 6 months for chestnut yakgwa. By developing chestnut processed foods with high marketability, and supporting immediate commercialization, it is expected to increase high added value of chestnut.

      • KCI등재

        「군밤타령」의 신해석 - ‘바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

        정상홍 한국민요학회 2016 한국민요학 Vol.47 No.-

        <국문초록> 「군밤타령」은 한국 국민이면 누구나 다 알 정도로 유명한 신민요이다. 그러나 대개는 그 곡조와 가사를 따라 부를 뿐 그 내용에 대해서는 깊이 생각하지 않는다. 그래서 「군밤타령」은 군밤 장수가 군밤을 팔면서 관중을 모으기 위한 전략이거나 스스로 흥에 겨워 생활 주변의 일을 주섬주섬 주워다 노래한 것이라는 방향으로 주제가 모아졌었다. 앞 부분에는 거의 군밤과는 무관한 내용이며, 제창 부분에 와서야 군밤에 관련되는 내용이 있기 때문이었다. 노래가 불러지는 근본 매력은 곡조에 있기는 하지만 가사의 일차적인 전달력을 무시할 수 없다. 가사의 기본적인 내용을 위시한 언어문자 속 은밀한 의미나 이미지, 또는 그 반복되는 가사의 중독성 있는 전달력 등은 물론 나아가 예술적 기교면에서의 문자유희적 요소를 배제할 수 없다. 민요나 신민요는 일반 대중을 상대로 일차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기 때문에 그리 깊고 폭이 큰 비유나 상징 수법 및 예술적 문학적 기교가 사용될 리는 거의 없어 보인다. 그리고 이 「군밤타령」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러나 「군밤타령」에는 다른 민요와는 또 다른 느낌의 그 무엇이 있다. 교묘하게 사용한 은유적 화법 뒤에 주제의식이 은닉되어 있기 때문이다. 전수린 작곡의 신민요 「군밤타령」과 「횡성 군밤타령」, 황해북도 「군밤타령」 등 세 「군밤타령」을 비교하고 교차 검토하면서 분석한 결과 핵심 단어는 지극히 당연하게도 ‘군밤’이었다. 여기에서 해석 방향이 달라졌다. 이 군밤은 단적으로 말해서 곧 여성의 대체물이다. 밤이 생태적으로 지니고 있는 특징들이 바로 여성과의 성적 문제로 적용되었고 나아가 노래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 내용이 야하고 노골적인지라 그 대체물인 군밤을 활용해서 제목으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황해북도 「군밤타령」에 조각밤과 삶은 밤과 생율밤과 군밤 등이 낙엽 위에 있다고 하면서 여러 종류의 밤이 출현하는 것도 여인과의 접촉 과정에서 발생하는 난이도나 감수성 측면에서 분류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모든 경우에 대한 ‘좋지!’일 수도 있다. 그 다음의 중요 단어는 ‘바람’인데, 비록 ‘연평 앞바다의 돈바람’으로 한 겹 덧씌워 놓았지만 그 속에는 음양의 천지 사이를 자유롭게 흘러다니는 바람기와 성충동(리비도)과 풍류와 노래 등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 점은 특히 「횡성 군밤타령」에서 ‘바람[風]-밤[栗]-노파람(새끼)’의 쌍성 첩운 현상을 교묘하게 작동한 것으로 뛰어난 수사법을 활용한 것이다. 결국 「군밤타령」 세 작품은 ‘군밤’과 ‘바람’의 두 단어를 중심으로 에로티시즘의 일단을 펼쳐낸 매우 흥미로운 민요이다. 그래서 신민요 「군밤타령」은 밤을 구워서 파는 장사행위이기보다는 어쩌면 군밤을 손에 쥐고 까먹으면서 여인과의 그 은밀한 행위 과정을 빗대어 연상하고, 바람기 있고 풍류 있는 유사한 사설들을 두루 모아 부르면서 함께 즐기는 노래일 것이다. 「Gunbam Taryeong (A roast chestnut ballad)」 is a New Folk Song(sinminyo) which any Korean nation knows. However, they usually sing in the fashion of a melody and words and don't think deeply of its contents. Therefore, theme is collected as a method that 「Gunbam Taryeong」 is a strategy for his gathering crowd as a roast chestnut dealer sells roast chestnuts or singing by finding things of living surroundings overwhelmed with mirth by themselves. The forepart is almost contents unrelated to a roast chestnut. There being contents related to a roast chestnut at a chorus part, it is difficult to agree. Though the basic appeal that a song is sung is a melody, a primary delivery of lyrics can't be ignored. The elements of playing with letter in artistic technics aspect as well as secret meaning or image in linguistic scripts including a basic contents of lyrics, or addictive delivery of repeated lyrics can't be excluded. As a folk song or new one conveys a primary message, it seems that deep and wide metaphor, a symbol method, and srtistic literary technics can's be used. Perhaps, the same can be said of 「Gunbam Taryeong」. However, there is something of feeling other than a different ballad or new one in 「Gunbam Taryeong」. The key word is naturally ‘a roast chestnut’ by analysis comparing and crossingly reviewing a new ballad, 「Gunbam Taryeong」 composed by Jeon Su-rin, 「Hoengseong Gunbam Taryeong」, Whanghaebukdo 「Gunbam Taryeong」, etc. Previous many scholars seem to have missed these respects. This roast chestnut a substitute for women. The features a chestnut has ecologically applied to sexual issues with women and became the object of song by extension. Its contents was so gaudy and explicit that they couldn't annex title, ‘Women Taryeong’, which made them take up a title utilizing a substitute for a chestnut. A variety of chestnuts like a slice chestnut, a boiled chestnut, a raw chestnut, and a chestnut, etc in Whanghaebukdo 「Gunbam Taryeong」 appear, which can be assorted in the degree of difficulty or sensitivity aspect that occurs in contact process with women or be good for every case. A subsequent important word is ‘wind’. Though it is hidden beneath a thin layer of ‘a money-wind of Yeonpyeong sea’, it includes factors of flowing wind between sky and ground, fickleness, a sexual impulse(libido), elegance(pungnyu), and song in it. This respect especially is to artfully operate binary folded rhyme phenomenon of ‘baram(風)-bam(栗)-noparam’ in 「Hoengseong Gunbam Taryeong」 and utilize excellent rhetoric. After all, three works of 「Gunbam Taryeong」 is a very interesting folk song which spreads a group of eroticism centering on two words ‘a roast chestnut(gunbam)’ and ‘wind’. Therefore, a new folk song 「Gunbam Taryeong」 may be a song enjoyed by all gathering flirtatious, elegant, similar editorials holding, peeling, and eating chestnuts associating furtive action process with woman rather than business behavior of selling by roasting chestnut.

      • KCI등재

        경상남도 남해군 밤나무 종실해충의 우화시기와 피해율

        조양희,이총규,하만릉,김현 한국도서(섬)학회 2024 韓國島嶼硏究 Vol.36 No.1

        남해 섬 지역에서 밤나무를 재배하고 있는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밤 종실해충인 복숭아명나방 성충의 우화 시기를 파악하고 피해율을 조사하여 방제 적기를 구명하여 약제 방제를 하므로서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조사지역에 따른 우화 시기별 개체 수는 남해 섬 지역의 경우 설천면 비란 지역의 우화 시기는 7월 13일에 우화를 시작하여 9월 14일에 종료되었다. 남해 남면 평산지역의 우화 시기는 7월 10일에 우화를 시작하여 9월 14일에 종료되었다. 남해 서면 대정지역의 우화 시기는 7월 13일에 우화를 시작하여 9월 11일에 종료되었다. 남해 이동면 다정지역의 우화 시기는 7월 16일에 우화를 시작하여 9월 11일에 종료되었다. 남해 창선면 서대 지역의 우화 시기는 7월 16일에 우화를 시작하여 9월 14일에 종료되었다. 섬 지역과 대조지역으로 내륙에서 밤 재배지역이 가장 많고 재배자의 관심도가 높은 합천군 가회면 외사 지역의 경우에 우화 시기는 7월 31일에 우화를 시작하여 9월 17일에 종료되었다. 남해 섬 지역에서 재배하고 있는 밤나무 임지에서 결실되어 수확하는 시기별로 피해율을 조사한 결과 수확시기가 9월 7〜8로 초순인 밤은 조생종으로 단택, 삼조생의 경우 조사지역 모두에서 피해율이 높게 조사되었고 특히 대조구로서 내륙지역인 가회면 외사리에서 40.7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남면 평산 지역과 창선면 서대 지역의 피해율이 38.40과 38.02로 조사되었고, 설천면 비란 지역이 34.32%이었고, 이동면 다정 지역이 27.12%로서 피해율이 가장 낮았다. 수확시기가 9월 23〜24일로 하순인 밤은 중생종으로 유마, 축파는 섬 지역의 설천면 비란 지역과 남면 평산 지역이 각각 35.42%와 35.12%이었고, 대조구로서 합천군 가회면 외사 지역이 유사한 35.04%이었다. 다음으로 서면 대정 지역과 창선면 서대 지역이 각각 34.83%와 34.21%이었고, 가장 피해율이 낮은 지역은 이동면 다정 지역으로 36.73%이었다. 마지막으로 수확시기가 10월 3〜4일경 초순으로 만생종인 박미, 은기는 대조구로 합천군 가회면 외사 지역이 32.9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서면 대정 지역과 창선면 서대 지역이 각각 31.03%, 30.28%이었고, 남면 평산 지역이 29.74%이며, 가장 낮은 피해율은 이동면 다정 지역으로서 26.81%이었다. 따라서 수확 시기별의 밤에 발생하는 복숭아명나방의 피해율은 조생종>중생종>만생종의 순으로 피해율이 많이 조사되었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adult eclosion period of the peach pyralid moth, a chestnut pest, in some chestnut orchards in Namhae Island and investigated the damage rates of chestnut fruits to find the optimum timing for insecticide pest control to minimize damages. To this end, we installed sex pheromone traps and scrutinized the period and amount of adult eclosion of peach pyralid moths over 4 months from June to September. The number of the species attracted was analyzed by area and eclosion period. For Namhae Island, the eclosion period in Biran-ri, Seolcheon-myeon, started on July 13 and ended on September 14. The eclosion period in Pyeongsan-ri, Nam-myeon, started on July 10 and ended on September 14. The eclosion period in Daejeong-ri, Seo-myeon, started on July 13 and ended on September 11. Similarly, the eclosion period in Dajeong-ri, Idong-myeon, started on July 16 and ended on September 11. The number of catches in the peak period was 5. Eclosion period in Seodae-ri, Changseon-myeon, started on July 16 and ended on September 14. For Oesa-ri, Gahoe-myeon, Hapcheon-gun, the control area inland with the most significant number of chestnut orchards and the most attention from chestnut cultivators, the Eclosion period started on July 31 and ended on September 17. We also thoroughly inspected damage rates by chestnut harvest season in the chestnut orchards on Namhae Island. It was found that cultivars harvested in early September (between 7th and 8th) were early-growing chestnuts. Cultivars Tanzawa and Castanea crenata showed high damage rates in all study areas, with the highest damage rate of 40.71% in the inland control area Oesa-ri, Gahoe-myeon, 38.40 % in Pyeongsan-ri, Nam-myeon, 38.02% in Seodae-ri, Changseon-myeon, 34.32% in Biran-ri, Seolcheon-myeon and the lowest 27.12% in Dajeong-ri, Idong-myeon. Cultivars harvested in late September (23th-24th) were middle-growing chestnuts. Cultivars Arima and Tsukuba revealed damage rates of 35.42% and 35.12% in Biran-ri, Seolcheon-myeon and Pyeongsan-ri, Nam-myeon, respectively. The inland control area Oesa-ri, Gasan-myeon, Hapcheon-gun, showed a similar damage rate of 35.04%. Damage rates in Daejeong-ri, Seo-myeon and Seodae-ri, Changseon-myeon were 34.83% and 34.21%, respectively. The damage rate in Dajeong-ri, Idong-myeon, was the lowest at 36.73%. Lastly, late-growing chestnuts Parkmi and Gynyose with harvest season of early December (3th-4th) showed the highest damage rate of 32.9% in the control inland area Oesa-ri, Gahoe-myeon, Hapcheon-gun, followed by 31.03 % in Daejeong-ri, Seo-myeon, 30.28% in Seodae-ri, Changseon-myeon, 29.74% in Pyeongsan-ri, Nam-myeon and the lowest 26.81% in Dajeong-ri, Idong-myeon.

      • KCI등재

        마찰식 박피기를 이용한 밤 과실의 내피박피 최적조건 및 품종간 박피특성

        주석현,김민조,이욱 韓國林學會 2013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2 No.1

        본 연구는 효율적인 박피 밤 생산을 위한 마찰식 박피기의 최적조건과 품종별 밤 과실의 내피박피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마찰식 박피기의 최적조건은 박피시간 50분, 드럼 회전속도 27 rpm이었으며, 내피박피율도 89.3%로 가장 우수하였다. 최적의 박피조건(27 rpm/50분) 하에서 "축파" 등 8품종에 대한 내피박피율을 조사한 결과, "축파"가 89.3%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단택(72.2%)", "석추(70.9%)" 등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I등급 밤의 비율은 "축파"가 77.2%로 가장 월등하였으며, "석추(46.7%)", "단택(45.0%)" 등의 순으로 높았다. 상품화 비율도 "축파"가 90.5%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단택(74.8%)", "석추(74.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박피 시 과육 파손 및 흠집 발생 비율은 "미풍"이 37.2%로 가장 많은 반면, "축파"는 5.9%로 가장 적어 "축파" 품종이 마찰식 박피기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가공 밤 생산을 위한 적합한 품종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timum condition of abrasion peeling machine and pellicle peeling ability of chestnut (Castanea spp.) varieties for the efficient production of peeled chestnuts. The optimum conditions were 50 minutes peeling time and 27 rpm of drum rotation speed and chestnut pellicle peeling ratio was 89.3%. Among 8 Korean chestnut varieties which were peeled under the optimum condition (27 rpm/50 min), "Tsukuba (89.3%)", "Tanzawa (72.2%)" and "Ishizuchi (70.9%)" showed the highest ratio of pellicle peeling ratio. "Tsukuba" had the most excellent peeled (grade I) chestnuts (77.3%), followed by "Ishizuchi (46.7%)", and "Tanzawa (45.0%)". Regarding the chestnuts quality for commercialization, "Tsukuba" had the most excellent peeled chestnuts (90.5%), followed by "Tanzawa (74.8%)", and "Ishizuchi (74.3%)". "Mipung (37.2%)" had the most broken and injured chestnuts and "Tsukuba (5.9%)" had the least broken and injured chestnut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sukuba" was the superior variety for producing high value-added processed chestnuts.

      • KCI등재

        Prediction of Soluble Solids Content of Chestnut using VIS/NIR Spectroscopy

        ( Soo Hyun Park ),( Ki Taek Lim ),( Ho Young Lee ),( Soo Hee Lee ),( Sang Ha Noh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3 바이오시스템공학 Vol.38 No.3

        Purpose: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estimation of soluble solids content (SSC) of chestnut using reflectance and transmittance spectra in range of VIS/NIR. Methods: Four species intact/peeled chestnuts were used for acquisition of spectral data.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spectra were used to develop the best PLS model to estimate SSC of chestnut. Results: The model developed with the transmitted energy spectra of peeled chestnuts rather than intact chestnuts and with range of NIR rather than VIS performed better. The best R2 and RMSEP of cross validation were represented as 0.54 and 1.85° Brix, The results presented that the reflectance spectra of peeled chestnuts by species showed the best performance to predict SSC of chestnut. R2 and RMSEP were 0.55 and 1.67° Brix, Conclusions: All developed models showed RMSEP around 1.44 ? 2.54° Brix, which is considered not enough to estimate SSC accurately. It was noted that R2 of cross validation that we found were not high. For all that, grading of the fruits in two or three classes of SSC during postharvest handling seems possible with an inexpensive spectrophotometer.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estimation of SSC by each chestnut species could be considered in that SSC distribution is clustering in different range by species.

      • KCI등재

        식물유체로 본 선사,고대 견과류 이용의 변화 -도토리,참나무와 밤,밤나무를 중심으로-

        안승모 ( Sung Mo Ahn ) 호남고고학회 2012 湖南考古學報 Vol.40 No.-

        이 글에서는 종실, 목재(수종분석), 화분의 세 가지 식물유체에 근거하여 선사~고대의 견과류 이용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신석기시대는 낙엽성 참나무(Quercus sp.) 중심의 숲이 형성된 시기로 수종분석에서도 참나무속이 다수를 차지한다. 많은 유적에서 도토리 열매가 출토되고 있고 저장혈도 발견되었다. 밤은 출토되지 않았으며, 밤나무도 유일하게 비봉리유적에서 한 점 보고되었다. 밤은 일본에서는 繩文시대부터 중요한 식료로 이용되었으나 우리 신석기시대는 그렇지 아니하다. 청동기시대 농경이 본격화하면서 식량으로서의 도토리 중요성은 크게 감소한다. 밤 역시 유적에서 검출된 예가 없다. 수종분석에서는 여전히 참나무가 압도적이며 밤나무는 일부 유적에서 확인되나 비중이 미미하다. 밤은 원삼국시대부터 채협총, 다호리 1호분 등 무덤에서의 부장 뿐 아니라 취락 유적에서도 빈번하게 출토되고 있다. 원삼국·삼국시대 수종분석에서도 많은 유적에서 밤나무가 확인되었다. 밤과 밤나무의 비중이 특히 증가한 것은 기원후 3~4세기부터이다. 충청남도, 전라남·북도, 경상남도의 3~5세기 유적 수종분석에서 밤나무가 우점종인 경우가 많고 그 비중이 50%에서 100%까지 이른다. 밤나무 육성이 마한 뿐 아니라 백제, 가야 지역까지 확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반면 중부지방에서 밤과 밤나무의 출현율은 미약하다. 남한 각지의 화분분석 역시 원삼국시대와 삼국시대에 해당하는 단계부터 참나무속이 급감하고 소나무속과 벼과 및 문화지표식물이 급증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식생변화는 기후의 한랭건조화 또는 경작지·취락 확대 등 인간 간섭 증대에서 비롯된 것인데 2차림으로서의 밤나무 비중이 점증하면서 가공이 쉽고 맛도 좋으며 영양가도 높은 밤이 새로운 식량 자원으로 각광을 받게 되고 결국 적극적 보호와 관리의 대상이 되었다. This paper tries to study the nut -esp. acorns and chestnuts- exploitation patterns from Neolithic to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periods based on the plant remains including seeds, woods and pollens. Acorns which were important food resources during the Neolithic became special or emergence foods from the Bronze age when divers crops such as rice, millets, barley, wheat, soybean and red bean became to be cultivated. Nevertheless oak trees were still used as main materials for buildings. Decline of oak trees from Proto-Three Kingdoms because of both climatic changes and intensive agriculture made people search for the alternatives instead of acorns. They found it from chestnut which could provide more delicious, more energetic (in terms of calories and nutrition) foods and easy to process. Chestnut tree can be easily grown in secondary forests. Chestnut remains have not been reported from Neolithic and Bronze age sites except a few reports of chestnut wood charcoals in very low quantities. However, chestnut remains appeared frequently from the 3rd to 4th century AD both in flotation samples, wood charcoals and waterlogged woods, and occasionally even in pollen records. Some communities in ancient Mahan and Baekche polities of southwest region changed nearby forests into chestnut dominated landscape. Chinese ancient text record that Mahan and Baekche yield chestnut as large as pear. Chestnut were frequently found from Lelang tombs during 1st century BC to 4thcentury AD in northwestern region. Han Chinese food culture and customs of offering fresh fruits such as chestnut and peach might have diffused into Korean peninsular via Lela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