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再榮과 『秇苑詩話』

        김창호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0 漢字 漢文敎育 Vol.2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Jae-young Lee's life and his literacy work.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introducing his unknown critical essay on poetry Yewonsihwa(秇苑詩話). Jae-young Lee from a child by a concubine was a writer who work a period of King Seonjo(宣祖)-Kwanghaegun(光海君). He failed to enter to nobility(士大夫) society so his works were headed to abnormal. He was regarded as one of the best poets of the day but his literary ability degenerated as the means of unjustice and plot in struggled times. Yewonsihwa(秇苑詩話) is a good material to investigate about Jae-young Lee's literary world. But his literature has a weak point because not only just 20 works are remained but also most of works are included within the Siinoksul(詩人玉屑). But his literature treats the general problems of Sino-Korean poetry such as the nature and composition of poem. It is very special that he explained about the history of poetry of the Song Dynasty period as citing the Yewonchieun(藝苑卮言) which is a Se-jeong Wang's work. This is the evidence that Jae-young Lee had read the works of advocate of reaction of Myoung Dinasty. This fact is different from Pil Kwon, who carried out mutual exchange of opinions about literature with Kyun Hur, didn't write the works related on advocate of reaction. There is possibility that Kyun Hur discussed with not Pil Kwon but Jae-young Lee about literature of Myung Dynasty period. 본 논문은 宣祖∼光海君 연간에 활동했던 서얼 문인 李再榮(?∼1623)의 삶과 문학 활동을 해명하는 데에 목표를 둔다. 특히 이 과정에서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그의 詩話集 秇苑詩話의 내용을 소개하고 그 성격을 밝힘으로써 당대 문학사의 실상에 다가설 하나의 입지점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재영은 뛰어난 文章 能力에도 불구하고 신분적 한계로 인해 사대부 사회의 일원이 될 수 없었다. 다만 漢吏學官의 職을 수행하면서 문장 능력을 인정받았고, 또 발휘할 기회를 가지면서 점차 자신의 입지를 다져나갔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許筠과 절친한 사이였다. 광해군 집권 이후에는 당시 권력의 핵심으로 부상하던 李爾瞻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이 무렵 廢母 論議에 동조하고 이를 확산시키 위한 여론 형성에 노력하는가 하면, 이이첨 아들들의 과거 답안을 代述하기도 한다. 이러한 행적은 당시 士類의 지탄으로 이어졌고, 癸亥反正이 일어나면서 체포되어 죽음을 당한다. 사대부 사회의 진입에 실패하면서, 그는 자신의 문학 능력을 비정상적인 방향에서 펼쳤다. 李達 문집의 편찬을 담당했으며, 「前五子詩」의 대상 인물로 당대에 으뜸가는 시인으로 언급되기도 했지만, 자신을 받아들이지 않는 세상에서 그의 문장 능력은 不正과 謀議의 道具로 전락하게 된다. 대표적인 예가 許蘭雪軒 문집에 있는 「白玉樓上樑文」의 위작에 관여한 일이다. 이재영의 ꡔ예원시화ꡕ는 그의 문학 견해에 대해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다. 다만 20개의 항목이라는 적은 분량에다 대부분의 자료가 詩人玉屑의 범위 내에 있다는 한계가 있다. 그렇지만 전체적으로 詩體로부터 시작하여 실제 작품의 예시를 통해 종결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시의 본질, 창작과 비평상의 고려점 등 한시 일반의 주요 문제를 두루 포괄하고 있다. 양적인 면에서 宋代 자료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지만, 창작과 비평상 송시를 典範이나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있지는 않다. 한편 明末 王世貞의 藝苑卮言에 수록된 내용을 인용하여 宋代의 詩史를 설명한 부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이재영이 明末 復古派의 저작을 독서 범위 안에 두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근거로, 허균과 문학 교유를 나누었던 권필이 復古派 관련 내용을 남기지 않은 사실과 대비되는 부분이다. 복고파와 관련한 방대한 작업이 개인적인 애호와 정리 차원을 넘어서는 것이라 할 때, 이에 수반되는 의견 교환이나 토론 등에 있어서의 누군가의 역할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말하자면 허균이 명말 문단에 대한 관심이나 수용과 관련한 문제에 있어서, 권필과 공유할 수 없었던 부분을, 이재영과 함께 했을 가능성에 대해 생각할 수 있을 듯하다.

      • KCI등재후보

        하야시 라잔(林羅山)의 창수시를 통해 본 한일문사 초기교류의 양상

        허경진(Hur Kyong Jin),김성은(Kim Seong Eun) 동악어문학회 2009 동악어문학 Vol.53 No.-

        본 논문은 초기 한일문사교류를 대표하는 하야시 라잔(林羅山, 1583~1657)의 시집 속에 기록된 창수시를 통해, 조선통신사와 일본문사의 초창기 문학교류를 검토하였다. 하야시 라잔은 첫 사행에서부터 6차 사행에 이르기까지 조선통신사 일행과 교류하며 시를 지어 주고받았다. 이들의 문학적 교류는 사행시기가 지날수록 하야시 라잔의 일방적인 창화에서 본격적인 창수로 발전하며 점차 활성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하야시 라잔은 대부분의 시를 서찰로 주고받았는데, 이 역시 후대의 창수양상과는 다른 특징이다. 하야시 라잔은 삼사신을 비롯하여 다양한 통신사 일행과 시를 지었는데, 그 기록의 일부는 조선 측 사행기록에서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하야시 라잔 시집에 언급된 시의 양에 비해 조선쪽의 기록은 훨씬 적다. 이는 일본문사에 대한 조선통신사의 태도와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6차 사행에 이르면, 하야시 라잔은 문학적으로 조선에 이름을 알리며 초기 한일문학교류의 중심적인 축을 담당하였다. 이는 후에 조선통신사와 일본 문사 사이의 창수가 활발해지도록 하는 계기가 되었다. This paper aims to observe the early literary exchange between Joshun Tongsinsa(朝鮮通信使) and Japanese intellectual. In treating their early literary exchange, I will be concerned with the advocated poems of Hayashi Razan(林羅山) who associated with Joshun Tongsinsa for about 30years. As times went by, the literary exchange had changed from one-way writing to interactive advocacy. Hayashi Razan exchanged poems by letters, and this is a different characteristic from the later period. He wrote poems with various members of Tongsinsa as well as Samsasin(三使臣). However, most poems which were mentioned in his collection couldn't be found in Joshun's records. This is because the members of Joshun Tongsinsa didn't set a high value on Japanese poems at that time. At the 6th trip, Hayashi Razan became a well known intellectual to Joshun so that he could play a important role in literary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 KCI등재

        明初中朝人文交流與相互认知研究 - 以诗歌酬唱, 诗画交流为中心

        방비 한국시가문화학회 202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7

        The exchanges between China and Korea have a long history. The envoy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early Ming Dynasty witnessed and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paper will mainly focus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Confucian scholars and officials with a higher status in Korea and people of the Ming dynasty, involving Korean scholar’s acquaintances with Ming official envoys in Korea and with Ming people they met while travelling in China. This paper gives priority to analyzing Korean literati’s understanding of the Ming Dynasty in poetry and essay exchanges and the causes behind cognition variation, thus revealing the interaction and exchanges between literati of the two countries in politics, thought, culture, and art, and reproducing a three-dimensional picture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China and Korea in the early Ming Dynasty. Through poetry interaction and prefaces & postscripts writing exchanges with envoys of the Ming Dynasty Guozi Xuelu Zhang Pu, Guozi Dianbo Zhou Zhuo, and Liaodong envoy Sang Lin, Korean literati showed their favorable cognition of Ming dynasty in clothing, military generals and Confucian officials, the doctrine and impact of Ming Dynasty, etc. Envoys of the Ming Dynasty and the Korean literati communicated in poetry and painting art through poetry writing to each other, poems inscribed on painting and presenting painting as gifts, thus deepening the friendship and mutual cultural cognition of the two countries. When Korean envoys travelled to the Ming Dynasty, they saw the mountains, rivers, customs and culture of the Ming Dynasty with their own eyes, and forged a deep friendship with people from the Ming Dynasty. They showed more admiration for the Ming Dynasty and a high recognition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in their poetry singing interaction with Ming scribes. Of course, as “others”, these Korean scholars also had aunique perspective and viewpoint in observing China. They selectively accept and criticize Chines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hen the Korean envoys travelled to China of the Ming Dynasty, they associate with monks and Confucian scholars and experienced the immortal culture in the land of Denglai, for which they showed more criticism. Besides, they also expressed a derogatory attitude towards Buddhism, while admiring Confucianism. The frequent exchanges and mutual cognition between Chinese and Korean scholars have made positive contributions to eliminating barrier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friendly relations. 한중 양국 간 교류의 역사는 유구하고 그 연원은 깊다. 명나라 초기에 양국을 왕래하던 사신(使臣)들이 두 나라의 관계건립과 발전을 목격하고 참여하였다. 본 원고는 조선의 비교적 신분이 높은 벼슬을 역임한 문신들과 명나라 인사(人士)간의 교유를 중심으로 조선문인들이 시문(詩文)교류 중에 명나라에 대한 인식과 그 뒤에 숨어있는 이유를 분석하고자 한다. 양국 간 문인들이 정치, 사상, 문화와 예술방면의 교류를 통해 명나라초기 한중문화교류의 입체적인 화면을 회복시키고자 노력하였다. 고려시기의 문인들은 명나라의 사신인 국자학녹장부(國子學錄張溥), 국자전부주탁 (國子典簿周倬), 요동사신(遼東)상린(桑麟)등과 필담(筆談)으로 시가수창(詩歌酬唱)과 제사의 서문과 발문(題寫序跋)을 통해서 명나라의 의관과 복식(衣冠服飾), 문신과 무장(文臣武將), 대명성교(大明聲教) 등에 관해서 올바른 인식이 생겨났다. 또한 명나라의 사신들과 시가수창(詩歌酬唱), 제화시(題畫詩), 작품증여(贈送畫作) 등의 시화(詩畫)예술 교류로 양국문인들은 깊은 우정과 서로의 문화에 대해 문화적 인식을 같이 하게 되었다. 조선사신들이 명나라에 도착한 후에 직접 중국의 자연을 보고 민속문화를 체험한 후에 많은 명나라의 인사들과도 깊은 우호관계를 맺었다. 그들은 서로 시를 주고받으면서 명나라에 대한 칭송과 중국전통문화에 대한 높은 평가도 아끼지 않았다. 물론 조선사신들은 “타자(他者)”로서 중국을 관찰하는 독톡한 시각을 가지고 있어서 중국의 유교, 불교와 도교(儒釋道)문화에 대해 다양한 태도를 표출하였다. 그들은 명나라에 와서 승려나 유사와의 왕래 및 산동 등주(山東登州)의 도교(仙道)문화를 직접 접하고 나서 오히려 더 많은 비판을 하였고, 불교 사상에 대해서도 배척하는 태도를 보였으나 유교사상은 더욱 추종하였다. 한중문인들의 빈번한 교류와 소통은 양국 간의 모순과 마찰을 해소시키는 동시에 관계를 돈독히 하는데 적극적인 공헌을 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