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통신사 필담창화집의 일본 출판

        허경진(Hur Kyong Jin),박혜민(Park Hea Min) 동악어문학회 2010 동악어문학 Vol.54 No.-

        德川 幕府 이후 평화가 지속되면서 인구가 증가하고 물자 생산이 증대되면서 町人이라는 상인 계층이 대두하였고 이들에 의해 교토, 오사카, 에도 三都는 도시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그 중 옛 수도로 인구 면에서나 문화 면에서나 기반이 어느 정도 이루어져 있었던 교토에서 가장 먼저 상업 출판이 발아했다. 조선통신사 관련 필담창화집의 출판은 4차 사행부터 시작된다. 그 후 11차 사행까지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11차 사행에서 23종으로 정점을 이루었다. 12차 사행 때는 역지빙례가 적용되어 에도까지 가지 못하고 對馬에 머물렀기 때문에 단 2종만이 간행되었다. 발행처 혹은 서점의 소재지가 4차 사행과 8차 사행까지 교토에 한정되었음에 반해 8차 사행 때부터 오사카, 에도로 확대된다. 그리고 11차 사행에 이르러서는 三都뿐만이 아니라 名古屋,長門의 서점도 등장한다. 교토, 에도 서점은 필담 창화가 이루어진 장소와 문사들의 출신을 불문하고 필담창화를 수집?편집하고 있다. 반면 오사카, 나고야, 나가토는 발행처의 지역에서 이루어진 필담창화나, 발행처의 지역 문사들에 의한 것만을 다룬다. 오사카 本願寺에서 필담창화한 기록인 《兩東唱和錄》, 《和韓唱和》, 《韓?塤?集》, 《和韓文會》 등은 모두 오사카의 서점에서 간행되었고 나고야의 文士들이 필담창화 기록물인 《表海英華》, 《和韓醫談》, 《三世唱和》, 《殊服同調集》의 간행에 모두 나고야의 서점이 관여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한일 문사들의 교유의 결과물이 적극적으로 상업 출판되었다는 것은 조선통신사를 통한 문화의 향수층이 당시 현장에서 필담한 사람뿐만 아니라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광범위하게 늘어남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조선통신사에 관한 문화가 당대에 끼친 영향력을 짐작할 수 있다. Peace last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okukawa Bakuhu(德川 幕府). As The population and productivity grew, the merchant class called ‘Choning(町人)’ rose. By Choning, Kyoto(京都), Osaka(大阪), and Edo(江?) took shape as cities. First among these cities, in Kyoto, commercial publishing sprouted, since this former capital city contained sufficient population and had cultural basis. The publishing of responsory writings between Joseon Tonshinsa and Japanese kept increased from the 4thvisit of Joseon Tongshinsa to the 11th visit.After the 11th visit, 23 varieties of titles were published, which was the largest number ever. Until the 8th visit, Publishers were only in Kyoto, but since the 8th visit, publishers in Edo(江?) appeared. They published (or at least engaged in publishing) 9 titles of responsory writings during the 29 years between the 9th and the 10th visit, and this number of publishing is surpassing those of other publishers’ who were in other cities. After the 11th visit, the number of publishing and the variety of titles of responsorywritings were the largest and the widest. In the same time, the publishers appeared also in other regions like Nagoya(名古屋) and Nagato(長門). Publishers locating in Osaka(大阪), Nagoya(名古屋) and Nagato(長門) particularly published those responsory writings which were writtenin their regions, or in which writers from their regions engaged, while publishers from Kyoto(京都) and Edo(江?) did not much care where the responsory writings took place or who were the participants. For examples, those responsory writings like 《兩東唱和錄》, 《和韓唱和》, 《韓?塤?集》 and 《和韓文會》 were exchanged in Honganzi(本願寺), Osaka(大阪), and they all were published only in Osaka(大阪). And to talk about 《表海英華》, 《和韓醫談》, 《三世唱和》 and 《殊服同調集》, writers from Nagoya(名古屋) participated in these responsory writings, so publishers in Nagoya(名古屋) were engaged in publishing these titles. We can see the responsorywritings between Joseon Tonshinsa and Japanese were very actively published. It means that wide range of Japanese, regardless the region or era, could share the cultural exchanges between writers from Joseon and Japan. It shows how influential the visits of Joseon Tongshinsa were to Japanese culture.

      • KCI등재후보

        하야시 라잔(林羅山)의 창수시를 통해 본 한일문사 초기교류의 양상

        허경진(Hur Kyong Jin),김성은(Kim Seong Eun) 동악어문학회 2009 동악어문학 Vol.53 No.-

        본 논문은 초기 한일문사교류를 대표하는 하야시 라잔(林羅山, 1583~1657)의 시집 속에 기록된 창수시를 통해, 조선통신사와 일본문사의 초창기 문학교류를 검토하였다. 하야시 라잔은 첫 사행에서부터 6차 사행에 이르기까지 조선통신사 일행과 교류하며 시를 지어 주고받았다. 이들의 문학적 교류는 사행시기가 지날수록 하야시 라잔의 일방적인 창화에서 본격적인 창수로 발전하며 점차 활성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하야시 라잔은 대부분의 시를 서찰로 주고받았는데, 이 역시 후대의 창수양상과는 다른 특징이다. 하야시 라잔은 삼사신을 비롯하여 다양한 통신사 일행과 시를 지었는데, 그 기록의 일부는 조선 측 사행기록에서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하야시 라잔 시집에 언급된 시의 양에 비해 조선쪽의 기록은 훨씬 적다. 이는 일본문사에 대한 조선통신사의 태도와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6차 사행에 이르면, 하야시 라잔은 문학적으로 조선에 이름을 알리며 초기 한일문학교류의 중심적인 축을 담당하였다. 이는 후에 조선통신사와 일본 문사 사이의 창수가 활발해지도록 하는 계기가 되었다. This paper aims to observe the early literary exchange between Joshun Tongsinsa(朝鮮通信使) and Japanese intellectual. In treating their early literary exchange, I will be concerned with the advocated poems of Hayashi Razan(林羅山) who associated with Joshun Tongsinsa for about 30years. As times went by, the literary exchange had changed from one-way writing to interactive advocacy. Hayashi Razan exchanged poems by letters, and this is a different characteristic from the later period. He wrote poems with various members of Tongsinsa as well as Samsasin(三使臣). However, most poems which were mentioned in his collection couldn't be found in Joshun's records. This is because the members of Joshun Tongsinsa didn't set a high value on Japanese poems at that time. At the 6th trip, Hayashi Razan became a well known intellectual to Joshun so that he could play a important role in literary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