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도지적장애 청소년의 마음이론 발달과 어휘능력 간의 관계

        천정민,이근용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2

        Theory of mind (ToM) shows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ability to accurately infer other people's thoughts, desires, and emotions and the ability to predict the behavior of others in a particular situation accurately.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the ToM is more emphasized for adolescent students with a growing demand for interaction but it works as a challenge for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level of ToM by comparing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language age-matched children.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the ToM and vocabulary a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 that identified an intimate connection between vocabulary ability and T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dolescent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in ToM capacity compare to the language age-matched children. Meaning, the development level of adolescents with a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fell behind in ToM compare to the language age-matched children but showed similarities in overall development pattern. Nex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ToM and vocabulary language,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cond-order false belief, receptive vocabulary, and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The result identified that vocabulary ability acts as a variable that makes an ac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oM, and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do not show developmental deficiencies in showing mental reality into an expressive medium of languag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laid the foundation for further research by linking the results of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evelopmental aspect of ToM and vocabulary ability of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work as a useful basis of knowledge in establishing language arbitration that applied the ToM of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마음이론은 타인의 생각, 욕구, 감정 등을 정확하게 추론하는 능력과 이를 바탕으로 특정 상황에서 타인의 행동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능력의 발달과정을 보여준다. 특히 학급에서의 상호작용 요구가 커지는 청소년기 학생에게 있어서 마음이론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지만 지적장애 청소년에게는 어려움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도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언어연령을 일치한 아동과의 비교를 통해 마음이론의 발달 수준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더불어 어휘능력과 마음이론 간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낸다는 선행 연구의 결과에 따라 마음이론과 어휘능력 간 상관관계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도지적장애 청소년 집단은 언어연령일치 아동 집단에 비해 마음이론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즉, 경도지적장애 청소년이 언어연령일치 아동에 비해 마음이론의 발달 수준은 뒤처지지만, 전반적인 발달 패턴에 있어서는 유사함을 보였다. 다음으로 마음이론과 어휘능력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이차순위 틀린 믿음과 수용어휘 및 표현어휘능력 간에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휘능력이 마음이론의 발달에 보다 적극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정신적 표상을 언어라는 표현매체로 나타내는 것에 있어 지적장애 청소년도 발달적 결함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경도지적장애 청소년의 마음이론 발달 양상과 어휘능력 간 연관성에 대한 결과를 연계하여 제시함으로써 후속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가 경도지적장애 청소년의 마음이론을 접목한 언어중재 수립에 유용한 지식 기반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조절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장애정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옥인,임양미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0 No.1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n intellectually disabled adolescents’ career explora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ex and degree of disability on the relationships. The subjects were 119 intellectually disabled adolescents attending special schools or special classes located at Daejeon Metropolitan City, Jeollabuk-do, and Gangwon-do,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on career exploration, self-regula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tellectually disabled male adolesc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career exploration(intended-systematic exploration, environment exploration, self-exploration) than female ones did. Additionally, the lower the degree of disability of adolescents,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exploration. On the other hand, intellectually disabled adolescents’ self-regula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exerted positive effects on their career exploration. Secondly, intellectually disabled adolescents’ sex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regula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Specifically, intellectually disabled adolescents’ self-regulation had a greater influence on intended-systematic exploration and self-exploration, when the adolescents’ sex was female. Further, intellectually disabled adolescent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d a greater influence on intended-systematic exploration and self-exploration, when the adolescents’ sex was male.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 in the field depending on adolescents’ sex. 이 연구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성별, 장애정도와 자기조절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탐색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자기조절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성별과 장애정도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와 전라북도, 강원도 고등학교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 111명에게 진로탐색,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조절 척도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 선정한 독립변인이 진로탐색 행동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지적장애 청소년이 여자 지적장애 청소년에 비해 진로탐색 활동(체계적 진로탐색, 환경탐색, 자아탐색) 수준이 높았으며, 지적장애 청소년의 지적장애 정도(등급)가 낮을수록 높은 수준의 체계적 진로탐색・환경탐색・자아탐색 행동이 나타났다. 또한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조절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탐색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둘째, 지적장애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자기조절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제시되었는데, 구체적으로 여아가 남아에 비해 자기조절이 체계적 진로탐색 및 자아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남아가 여아에 비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체계적 진로탐색 및 자아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청소년기 지적장애 학생에게 개인내적요인으로 자기조절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같은 자기결정 요인을 강화해주는 진로탐색 교육이 계획될 필요가 있으며, 여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기조절 변인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더 효과적일 수 있으며, 남학생의 경우 진로결정에 대한 자기효능감 변인을 활용한 진로교육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또래대화에 나타난 경중등도 지적장애 청소년의 청자역할 특성

        김지현 ( Kim Ji Hyun ),김화수 ( Kim Wha Soo ),이근용 ( Rhee Kun Yo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2

        이 연구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대화 속 청자역할 특성을 분석해보고 청자역할을 수행하는데 부족한 하위영역이 무엇이며 대화를 방해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도 지적장애인 7명, 중등도 지적장애인 7명, 일반인 7명의 의사소통을 분석하였다. 대화 상황에서 청자역할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청자역할점검표를 이용하였다. 이 청자역할 점검표는 5개의 상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주제에 따라 하위항목 30개로 구성되어 있다. 경중등도 지적장애 청소년의 청자역할 총점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5개의 영역에 대하여 one 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경도와 중등도에 따른 청자특성 빈도수를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자역할에서 세 집단 간 ‘경청하기’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맞장구치기’, ‘말하는 중 돕기’, ‘응대하기’, ‘끝난 뒤 돕기’, ‘화제의 진행’ 모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여러 항목 중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 항목은 ‘응대하기’였는데, 경도 집단의 지적장애 청소년이 중등도 집단의 지적장애 청소년보다 적극적으로 대화를 이어나갈 수있도록 유도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지적장애인이 가지고 있는 인지적 결함으로 인한 의사소통의 제한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경도와 중등도 집단이 지니는 화용적 특성에 따라 의사소통중재 방법을 달리해야 함을 시사해준다. 아울러 지적장애 청소년의 의사소통을 위해 더 많은 기초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stener role of the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conversation and learn about what is the subarea insufficient to perform the Listener’s role and what are the factors of obstructing conversation. This purpose become basic data for intervention program suited for conversation aspects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For this study, analysis was made using data of a survey of 14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tudents of ○○ University located in Gyeongsan city, Gyeongbuk, and 7 ordinary persons in the same age group, with the following chief results of the study. repeating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in subareas for 3 groups was compared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Listener role during conversation between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nd ordinary persons. For the 3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all items except ‘listening.’ This verified that in Listener role the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the same performance in ‘listening’ as ordinary persons. To conclude, communication-related factors clarified in this study can have a large suggestion in guiding the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communication. Besides, since each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s a large individual difference, intervention target should be set by evaluating personal communication ability and following the results.

      • KCI등재

        지적 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인지행동 미술치료 사례연구

        손혜란,손혜주,이상경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single case study to examine the impact of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on improving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in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mildly intellectually disabled female who was a second-year student at a special education high school, living in city D, receiving cognitive and speech therapy. In this case, a total of 100 sessions of 50 minutes were conducted 5 to 6 times a week at Y Treatment Center in D City from June to December 2022. To examine changes in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in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KHTP drawing test, self-expression scale test, and self-esteem test were conducted pre-and post-test, and compared and analyzed. In addition,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y recording observations for each session.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firstly, that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xpress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ly, cognitive-behavioral art therapy positively influenced the self-esteem of these adolescents. Thirdly, qualitative analysis of session-by-session observations indicated positive chang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in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practical possibilities and empirical case study data for activities in counseling settings. 본 연구는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을 두고 단일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D시에 거주하는 특수고등학교 2학년 여자로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장애 정도로 분류되며 인지, 언어 치료를 받고 있다. 본 사례는 2022년 6월부터 12월까지 D시의 Y 치료센터에서 주 5~6회 50분씩 총 100회기를 실시하였다.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KHTP 그림 검사와 자기표현 척도 검사, 자아존중감 검사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을 4단계로 설정하여 회기별 관찰지를 기록하고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기별 관찰지를 통한 질적분석 결과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연구는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며, 상담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 및 경험적 사례 연구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 KCI등재

        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특수교사의 성교육 실태분석: (2005-2014년의 연구를 중심으로)

        박근필 ( Keun Pil Park ),이영철 ( Young Chul L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2005년부터 2014년까지) 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특수교사의 성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련된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총 14편의 선행연구를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 청소년들이 보이는 성행동 특성 중 빈도가 높은 것은 타인 만지기, 자위행위, 옷벗기이며, 지적장애 청소년들의 성 관련 질문 및 요구도, 성지식에서 높은 빈도를 나타내는것은 신체 구조와 변화, 결혼과 결혼 생활이다. 둘째, 지적장애 청소년을 가르치는 특수교사가 생각하는 성교육 실시 목적에서 빈도가 높은 것은 부적절한 성행동 감소, 성의식ㆍ성윤리 습득이고, 특수교사들은 지적장애 청소년들의 성적 권리로 성적으로 이용당하지 않을 권리, 사회적ㆍ성적 행동에서 교육ㆍ훈련 받을 권리, 사회적으로 허용된 성을 표현할 권리, 자신의 개인적 사생활을 가질 권리로 다양하다. 셋째, 지적장애 청소년에 대한 성교육 내용에서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성폭력 예방과 대처, 성역할의 특징과 차이점(양성평등 포함), 임신과 출산ㆍ양육이고, 성교육 자료로는 슬라이드ㆍ비디오ㆍ영화가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한다. 넷째, 지적장애 청소년에게 성교육을 실시할 때 어려운 점에서 가장 빈도가 많은 것은 교사 자신이 내용과 방법을 몰라서이다. 다섯째, 성교육 개선방안으로 전담교사 확보 및 배치, 교사 연수 기회의 확대가 가장 많은 빈도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es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recognition of teachers on sex education who are conducting the sex education on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for the past 10 years.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total 14 precedent studi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sex behavior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o touch others, masturbation, and to take clothes off showed highest frequency among sex behavior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physical structure, physical changes, marriage, and married life showed high frequency in questions related to sex, demand, and sexual knowledge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econdly, reduction in inappropriate sexual behavior and acquisition of sexual consciousnessㆍsexual ethics showed high frequency in purpose of sexual education conducted by teachers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eachers considered privilege against to be used sexually, right to receive education and training for social and sexual behavior, right to express socially acceptable sex, and right to have personal private life as the sexual right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irdly, contents that showed highest frequency in sexual educat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prevention and coping methods for sexual violence, characteristic and differences of the gender role(including gender equality), pregnancy, childbirth, and rearing of children, and slide, video, and film showed highest frequency for materials of sexual education. Fourthly, for difficulty in conducting the sex education to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eachers not having knowledge in contents and method showed highest frequency. Fifthly, procurement and placement of responsible teachers and expansion of teacher training opportunity showed highest frequency for the improvement plan of sex education. Suggestions for a follow-up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A Relationship between Theory of Mind and Pragmatic Language in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천정민,김화수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21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1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ragmatic language ability, which is known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level of mind-reading ability of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theory of mind,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m. Methods: A total of 40 (20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ged 19-21 years; 20 children with language age-matched) participated in this study. Mind-reading ability and pragmatic language ability of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ose of children with language age-matched were evaluated and compared. Results: The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mind-reading ability and pragmatic language ability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mong subtasks of pragmatic language ability, only nonverbal communic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ux pas of mind-reading ability.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mind-reading ability can be related to pragmatic language ability in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e believe that current findings support to understand essential Knowledge required to develop and establish language intervention and communication-related assessment tools that encompass the mind-reading ability of adolesc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경도 지적장애 여성들은 어떻게 학교에 다녔을까?: 경도 지적장애 여성들의 학교생활 경험 탐색

        민기연 ( Min Kiye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3 지적장애연구 Vol.25 No.4

        이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교육 받았던 경도 지적장애 여성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일상생활 경험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경도 지적장애 여학생들의 학교생활과 일상생활 전반에서 의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대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통합교육 환경에서 학창시절을 보낸 초기 성인기 경도 지적장애 여성 3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 지적장애를 가진 여성들이 통합교육 환경에서 ‘경도’ ‘지적장애’ ‘여학생’ 으로서 경험한 학교생활은 어떠하였는가? 둘째, 경도 지적장애 여학생들의 학교생활 및 일상생활에서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현실적인 지원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 참여자별로 2회의 공식면담을 진행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텍스트로 변환하여 질적내용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 하였다. 자료의 분석결과 1) 학창시절의 기억, 2) ‘지적장애’ ‘여학생’으로서의 나, 3) ‘청소년’으로서의 나, 4) ‘나’를 위한 지원요구 4개의 핵심주제 아래 8개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분석결과를 통해 경도 지적장애 여학생의 학교생활 및 사회적응의 실제를 확인하였고, 당사자의 지원요구 실현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school adaptation and everyday experiences of women possessing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taught in a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study aims to identify alternative method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wom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during their school and everyday routin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women who had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during their early adulthood. They received their education in a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How did the wom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experience school life as ‘mild,’ ‘intellectual,’ and ‘girls’ in an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What practical support measures can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and daily life for wom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wo form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participant, and the resulting data underwent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fter analyzing the data, we identified eight sub-themes that fall under four core themes: 1) School day memories, 2) Identity as a young woman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3) Adolescence, and 4) Support requirements. Our analysis revealed the realities of school life and social adaptation for girl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discussed methods for addressing their support needs.

      • KCI등재

        지적장애 청소년 어머니의 자녀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 수준과 영향 요인

        이유리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지적장애 청소년을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 수준을 알아보고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장애자녀 관련 요인(연령, IADL), 어머니 개인적 요인(결혼상태, 가족수입, 종교유무), 어머니 관계적 요인(장애자녀와의 친밀감, 전문가 지지, 비공식적 지지)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전남, 전북 지역에 있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학부와 고등부에 재학 중인 학생의 어머니 337명이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 청소년 어머니의 자녀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 수준은 5점 척도에서 중간점수(3점)에 근접하는 2.981점으로 나타나 자녀양육의 긍정적 측면이 실재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어머니의 자녀양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 수준의 영향요인을 예측하기 위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의한 영향력을 가진 변수는 어머니-자녀 친밀감, 가족수입, 비공식적 지지, 결혼상태, 전문가 지지, IADL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적장애 청소년 어머니의 양육과정에 대한 긍정적 인식 증진을 위한 개입에서 돌봄제공자-돌봄대상자 사이의 친밀감, 전문가 및 주변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한 지지 그리고 어머니의 개인적인 측면, 장애자녀의 기능수행 수준 등이 다양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mothers' positive perception level of rearing adolesc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nalyzed the factors impacting on mothers' positive perception of rearing. This study subjects were 337 mothers who rear their adolescent-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mothers' positive perception of rearing was 2.98 in 5 rating scale and mothers with intellectually disabled adolescent-children perceived there were some positive effects of rearing their children. Second, in the final regression model,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mpacting on mothers' positive perception of rearing adolesc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the intimacy between mothers and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dolescent-children', 'family income', 'informal support from family, friends and significant others', 'marital status', 'professional support', 'IADL'. Through this research, comprehensiv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인문계 고등학교 통합 환경의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역할극 활용 자기옹호 교수의 효과

        정희승,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1 특수교육학연구 Vol.4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role-play based self-advocacy instruction on the performance of self-advocacy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clusive high schools. The participants were 30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in the first and the second grade in 4 inclusive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 group of 15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t had participated in the role-play based self-advocacy instruction was compared with the similar group of 15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d not. The instructions were given to the participants through the total of 17 sessions during a winter vacation. The instructions were as follows: (1)instructing self-advocacy in physical bullies; (2)instructing self-advocacy in verbal attack and harrassment; (3) instructing self-advocacy in sexual molestation; (4)instructing self-advocacy in being stolen. A self-advocacy evaluation scale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was used to measure the students' self-advocacy in bullied or coercive situations. The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self-advocacy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sed by the t-test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had participated in the self-advocacy instruction displayed the higher total score of self-advocacy than the control group did. Seco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an be found in every score of each four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extend the previous research literature in the self-advocacy, decision-making in coercive situations, and the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especially in the area of students who have intellectual disabilitie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nd for secondary education were provided. 지적장애 학생들은 신체적, 정신적, 성추행, 물질적 피해를 입는 상황에서 자신을 적절하게 옹호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을 때가 많다. 이에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역할극 활용 자기옹호 교수’를 개발하여 그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옹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여 15명의 실험집단 학생들에게 총 17회기 역할극 활용 자기옹호 교수를 제공하였다. 실험집단 학생들의 자기옹호 총점과 자기옹호의 4가지 하위영역(신체적 공격을 당하는 상황, 언어적 공격 및 유인을 당하는 상황, 성추행을 당하는 상황, 자기 물건을 빼앗기는 상황에서의 자기옹호)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역할극 활용 자기옹호 교수는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자기옹호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보였으며 유효한 교수전략임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통합 환경의 지적장애 학생과 성인 지적장애인들에게 필수적 능력의 하나인 자기옹호 교수의 중요성을 제기하였으며 동시에 지적장애인의 부적절한 사회적 반응과 판단을 보완할 자기옹호 교수 프로그램 제공의 중요성도 지적하였다. 또한 학교 폭력에 대해 가해 학생과 피해 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교 구성원을 위한 예방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나아가 비폭력적 학교 문화 조성의 중요성도 제기하였다. 국내에 자기옹호만을 집중적으로 교수한 연구가 부족한 가운데 본 연구는 지적장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옹호의 17가지 역할극 상황을 활용하여 각 상황에 적합한 자기옹호를 교수하고, 각 학생의 자기옹호 적합성을 점수화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긍정적 효과를 보고한 첫 연구라는 의의를 지닌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 및 교육 현장을 위한 제언이 제공되었다.

      • KCI등재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정서지능, 사회성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진미령 ( Meiling Chan ),김윤주 ( Yoonjoo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정서지능, 사회성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일반 중학교의 특수학급과 사회복지시설을 이용한 지적장애 중학생을 대상으로 무선할당하여 치료집단 30명과 통제집단 30명을 배정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1회, 6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고 통계적 분석 방법으로 SPSS 25.0을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정서지능, 사회적 기술 및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사전·사후에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두 집단의 치료효과 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반복측정 변량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치료집단의 정서지능, 사회성 및 주관적 안녕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동물과의 유대관계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정서지능, 사회성 및 주관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이 되었고 향후 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을 연구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된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animal assisted therapy (AAT) program affects on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of study were randomly assigned by 30 treatment group and 30 control group who were in special classes of the middle school and using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Seoul. The AAT program was conducted 8 sessions and an hour per session. The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for effect verification were analyzed by perform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the social skills ration system,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fact. SPSS 25.0 was used as a statistical analysis for data processing and in order to compare the interaction effects of two groups, a repeated measure ANOVA was conducted.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of treatment group.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intimate relationship with animal acquired by animal assisted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can be used on a basic data when studying the effectiveness of animal assisted therapy programs for the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