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 학계의 윤동주 시 연구 경향과 그 의미

        조정 상명대학교 한중문화정보연구소 2021 中國地域文化硏究 Vol.14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research trends and meanings of Yun Dong-ju's poetry in Chinese academic circles in three aspects: Patriotic Literature, Minority Literature, and Modernist Literature. The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China also suffered the invasion of Japanese imperialism, like Korea, the most prominent thing in Chinese academia when looking at Yun Dong-ju was its "resistance" to imperialism. Moreover, since Chinese literature, which has grown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ist ideology, prioritizes the politics of literature, this is the strongest basis for advocating Yun Dong-ju's poem. In China, a socialist country, what the literature demands as a national ideology is a sense of class resistance along with patriotism. Among Chinese scholars, Yun Dong-ju's politics is derived from the viewpoint of resistanc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and resistance against feudal forces including the exploiting class. What is remarkable here is that since socialism is based on atheism, even the religious elements of Yun Dong-ju's poems are read as a political metaphor. In addition, there is a view that reads Yun Dong-ju's resistance as resistance to everything that destroys the harmony of the world, and behind this, there is also a national voice of human destiny and community consciousness. In 2012, the ‘community consciousness of human destiny’ was first raised, and in a report of the 19th Party Congres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n 2017, peace was said to be a prerequisite for building a sense of community destiny for humanity. The view of Chinese scholars that this is related to the consciousness of human destiny and community has not only expanded the range of resistance in Yun Dong-ju's poetry, but also had the effect of expanding the politics of Yun Dong-ju's poetry literature to the horizon of global universality. Since the 2000s, “Chinese” Koreans have emphasized their affinity with China, and national identity has been emphasized in front of national identity. As the psychological element of diaspora was attached to this, studies of Yun Dong-ju's poems as minority literature began to emerge. Until now, research on Yun Dong-ju's poetry as minority literature has been larg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to look into the life and works of Yun Dong-ju with the inclusion of Chinese literature in mind in a large frame, and the other is to approach the works centering on the uniqueness and uniqueness of the Korean-Chinese as a minority. Yun Dong-joo is a poet who receives special attention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China and Japan, and in the case of China, he is a representative poet who has a special meaning when trying to embrace Chinese minority literature into the interior of Chinese literature. The study of Yun Dong-joo's poetry as a minority literature in Chinese academia an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diaspora character of the Korean-Chinese group will give interesting implications to the Korean academia. The research on Yun Dong-ju's poetry as a modernist literature has focused on the study of imageism. In the 1930s and 40s, when poet Yun Dong-ju was active, a literary school called Modern Passi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ntemporary Chinese literature. It was a literary movement influenced by Western symbolism and imageism, but above all, the unique character of this school was the rediscovery of the tradition of imageism in the poetry of the Tang Dynasty including Lee Sang-eun. Therefore, in the discussions linking the poetry of Yongdong-ju with the modern poetry, the poetry of Yun Dong-ju and the traditional Chinese poetry are linked. There is no definite evidence that Yun Dong-ju introduced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poeticly, so even though it contains some leaps, it seems that a more in-depth discussion would be possible if we look into the case of Jung Ji-yong, who aroused poetic inspiration to Yun Dong-ju. In the future, I look forward to a more in-depth study of Yun Dong-ju's poetry while studying the image movement in Korea and the modernist literature movement in China from a comparative literary perspective. 본고에서는 애국주의문학, 소수민족문학, 현대주의문학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중국 학계의 윤동주 시 연구 경향과 그 의미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중국 또한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본 제국주의의 침탈을 겪었기 때문에 중국 학계에서 윤동주 시를 바라볼 때 가장 부각한 것은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성’이었다. 더욱이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의 영향 아래 성장한 중국문학은 문학의 정치성을 우선하기 때문에 이 점은 윤동주 시를 옹호하는 가장 강력한 근거가 된다.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에서 국가적 이데올로기로 문학에 요구하는 바는 애국주의와 더불어 계급적 저항의식이다. 중국학자 사이에서 윤동주의 정치성은 일제를 향한 저항성이라는 관점과 착취계급을 비롯한 봉건세력을 향한 저항성이라는 관점에서 도출된다. 여기에서 특기할 만한 것은 사회주의는 무신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윤동주 시의 종교적인 요소까지 정치적인 메타포로 읽는다는 점이다. 이외에도 윤동주의 저항성을 세상의 조화로움을 파괴시키는 모든 것을 향한 저항성으로 읽는 관점이 나타나는데, 이 또한 그 뒤에는 인류 운명 공동체 의식이라는 국가적 목소리가 깔려 있다. 2012년에 ‘인류 운명 공동체 의식’이 처음으로 제기되었고 2017년 중국공산당 제19차 당대회 보고에서 평화는 인류 운명 공동체 의식을 구축하는 일의 전제조건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인류 운명 공동체 의식과 연관된다는 중국 학자들의 관점은 윤동주 시의 저항성의 범위만 확대시킨 것이 아니라 윤동주 시 문학의 정치성을 세계적인 보편성의 지평으로 넓히는 효과를 가져왔다.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부터 ‘중국’조선족이라는 중국과의 친연성이 강조되었고 민족적 정체성 앞에 국가적 정체성을 부각시켰다. 여기에 디아스포라라는 심리적 요소가 결부되면서 소수민족문학으로서의 윤동주 시 연구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현재까지 소수민족문학으로서의 윤동주 시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대별된다. 한 가지는 큰 틀에서 중국문학으로의 포섭을 염두에 두고서 윤동주의 생애와 작품을 들여다보는 것이고, 다른 한 가지는 소수민족으로서의 조선족의 독자성과 고유성을 중심으로 작품에 접근하는 것이다. 윤동주는 한국에서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서도 특별한 관심을 받는 시인이며 중국의 경우 중국 내 소수민족문학을 중국문학 내부로 끌어안고자 할 때 각별한 의미를 갖는 대표적인 시인이다. 중국 학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소수민족문학으로서의 윤동주 시 연구와 조선족이라는 집단의 디아스포라 성격의 역사적 맥락을 살피는 일은 한국 학계에도 흥미로운 시사점을 던져줄 것이다. 현대주의문학으로서의 윤동주 시 연구는 이미지즘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해왔다. 윤동주 시인이 활동하였던 1930-40년대에는 현대파시(現代派詩)라는 문학유파가 중국현대주의 문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서구 상징주의와 이미지즘의 영향을 받은 문학운동이었지만, 무엇보다도 이 유파의 특이한 성격은 이상은(李商隐) 시를 비롯한 당(唐)대 시에서 이미지즘의 전통을 재발견한 것이었다. 따라서 현대파시(現代派詩)와 융동주 시를 연관시키는 논의들에서는 윤동주 시와 중국 한시 전통을 연결시킨다. 윤동주가 중국 고전문학을 시적으로 도입했다는 확실한 증거는 없어서 다소간의 비약을 내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윤동주에게 시적 감흥을 불러일으켰던 정지용의 경우와 함께 들여다본다면 좀 더 심층적인 논의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한국의 이미지즘 시운동과 중국의 현대주의문학운동을 비교문학적 관점에서 연구하면서 윤동주 시에 대한 한층 더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누스바움의 감정철학으로 본 윤동주의 ‘시적 정의(正義)’

        이지원 한국어문학회 2019 語文學 Vol.0 No.143

        This study tries to grasp the orien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world of Yun Dong-ju focusing on feelings of pity. An emotional circuit shown in order of ‘shame → self-pity → public pity’ reveals that Yun Dong-ju's poems are built based on poetics of pity. Public pity is the key mechanism to practice ‘poetic justice.’ And poetic justice appears as the orientation and detailed method of resistance in Yun Dong-ju's poems. In Yun Dong-ju's poems, shame is a feeling of stigmatizing oneself by censoring the practice of public pity and distancing oneself. The stigmatization means the shameful punishment of Yun Dong-ju who shows how a poetic judge punishes his stigmatized self by making his way to a desert or keeping himself in a well or a grave. Yun Dong-ju's shame is special because it works as the instinctive feeling which makes the poet allowing in self-pity a major aim for a more public pity. 'Loss' that Yun Dong-ju realized in shame leads to self-pity by causing a deficient ego. Especially, 'shedding tears' and 'sorrow' which often appear in Yun Dong-ju's poems are the self-awareness that he lost precious things, the poetic responses to pain of his loss, and the poetic mechanism of self-pity. Yun Dong-ju tried to get over the reality in a way, by holding his hand to himself and requesting tears and comfort rather than sinking into the abyss of loss. He could perceive at the public pity beyond the boundary between 'himself and others' when he embraced the deficient ego with pity. In short, Yun Dong-ju's self-pity means his way of embracing his deficient ego in the pain of loss and power to restore the fragmented people. Yun Dong-ju showed an aspect of a poetic judge by embodying the public pity with the imagination of light. He tried to sympathize with our people who lived with the sorrowful reality under the Japanese oppression and to rescue them from the abyss of darkness by shining them all with a light. Poet Yun Dong-ju's effort to tune the damaged age by bringing light to them is shown as a poetic justice where he takes the position as a poetic judge. The way to listen to the pain of the people and tune the age of darkness is by bringing in the light, which is the point that meshes with the compassionate ethics that Nussbaum emphasized, in other words, the role of the poetic judge and justice. Public pity and the age tuning through a symbol of the light are the way to practice Yun Dong-ju's unique poetic justice which is difficult to be found from other poets. In this sens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Yun Dong-ju is the poet who proved the qualities of 'a poet as a judge' emphasized by Nussbaum with the most exemplary poetic texts. His effort to take a close look at those who are under-privileged and have suffered but now have their damaged lives fully restored to them is the practice of poetic justice. Therefore, poetic justice through the public pity is the token which reveals resistance of Yun Dong-ju's poems and the poetic orientation based on pity. Poetic justice pursued by poetics of pity i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Yun Dong-ju's poetic world which is difficult to explain enough exhaustively from the self-reflection or the religious perspective. 본고는 연민의 감정을 중심으로 윤동주 시세계의 지향점 및 특성을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수치심→자기 연민→공적 연민’으로 나타나는 감정 회로는 윤동주 시가 연민의 시학을 토대로 구축돼 있음을 드러낸다. 공적 연민은 ‘시적 정의(正義)’를 실천하는 핵심 기제이며, 시적 정의(正義)는 윤동주 시의 지향점이자 저항의 구체적 방식으로 나타난다. 윤동주 시에서 수치심은 공적 연민의 실천과 괴리된 자신을 검열하여 스스로 낙인찍은 데 따른 감정이다. 낙인은 수치심 처벌을 의미하는데, 시적 재판관의 면모를 보이는 윤동주는 낙인찍힌 자아를 우물이나 무덤 속에 유기하거나 감금하는 방식으로 징벌을 내린다. 윤동주의 수치심이 특별한 이유는 그것이 죄의식에 침잠하는 감정이 아니라, 시인으로 하여금 자기 연민을 거쳐 공적 연민을 지향하게 하는 원초적 감정으로 작용한다는 데 있다. 윤동주가 수치심 속에서 깨달은 ‘상실’은 결핍된 자아를 야기함으로써 자기 연민을 유도하고 있다. 특히 윤동주 시에 자주 등장하는 ‘눈물짓다’, ‘슬픔’ 등은 소중한 것을 잃었다는 자각, 그 상실의 고통에 대한 시적 반응이자 자기 연민의 시적 기제이다. 윤동주는 상실의 심연에 빠져들기보다는 스스로에게 손을 내밀어 눈물과 위안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현실을 넘어서고자 하였다. 결핍된 자아를 연민으로 감싸 안을 때라야 ‘나/타인’의 경계를 넘어서서 공적 연민을 지향할 수 있었던 것이다. 요컨대 윤동주의 자기 연민이란 상실의 고통 속에서 결핍된 자신을 포용하는 방식이자 파편화된 민족을 복원하는 동력이라 할 수 있다. 윤동주는 빛의 상상력으로 공적 연민을 형상화함으로써 시적 재판관의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일본의 폭압에 비통한 현실을 살아가는 우리 민족을 연민하고, 그들을 빛으로 하나하나 비추어 어둠의 구렁에서 구해내려 했던 것이다. 이처럼 빛을 소환하여 훼손된 시대를 조율하려는 노력은 시적 재판관의 입장에서 시인 윤동주가 취하는 시적 정의(正義)로 나타난다. 민족의 고통에 귀 기울이고 빛을 끌어들여 어둠의 시대를 조율하는 방식은 누스바움이 강조한 연민 윤리, 다시 말해 시적 재판관의 역할 및 시적 정의(正義)와 맞물리는 지점이다. 빛의 상징을 통한 공적 연민과 시대 조율은 다른 시인들에게서는 찾기 힘든 윤동주 특유의 시적 정의(正義)의 실천 방식이다. 이러한 점에서 윤동주는 누스바움이 역설한 “재판관으로서의 시인”의 자질을 가장 모범적인 시텍스트로 입증한 시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소외되고 고통받는 자들을 세세히 들여다보고 그들의 훼손된 삶을 바로잡아 온전한 것으로 복원하려는 노력은 곧 시적 정의(正義)의 실천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공적 연민을 통한 시적 정의(正義)는 윤동주 시의 저항성을 드러내는 징표이면서, 연민을 근간으로 하는 시적 지향점이다. 연민의 시학으로 추구되는 시적 정의(正義), 이것이야말로 자아성찰이나 종교적 관점으로는 충분히 설명하기 어려운, 윤동주 시세계의 특수성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윤동주에 대한 기억 -2017년 3월 인터넷 사용자의 윤동주 인식 : 윤동주 연구.10

        김응교 ( Kim Eung-gy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7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2

        2017년 대산문화재단 탄생100주년 기념문학제의 의뢰로 시작한 이논문은 2017년 3월 1일부터 30일까지 한 달간 구굴 설문방식을 통해 윤동주 시를 대하는 독자의 의식을 분석한 연구다. 과연 이런 연구가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까. 이 논문은 설문조사를 통해서 윤동주에 대한 편견을 확인하는 것 이상의 내용을 보여주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 그런데 필자가 보기엔 그것은 능히 짐작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가령, 첫째, 윤동주에 대한 이미지는 예상하고 있는 고정관념과 차이가 있었다. 저항시인, 민족시인, 기독교시인 같은 용어들, 시인의 세계를 좁힐 수 있는 규정에 대해 독자들은 반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이나 교과서에서 윤동주를 `자기성찰`의 시인으로 가두고 있는 점도 지적할 수 있겠다. 현재 많은 응답자들이 윤동주를 `자기성찰하며 실천하려는` 시인으로 `성찰=실천`, 이렇게 성찰과 실천은 같은 무게로 보고 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 둘째, 좀더 넓게 윤동주 시를 교육해야 한다. 좋아하는 시, 외우는 시에는 「서시」가 절대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서시」 외에도 뛰어나고 외우기 쉬운 시들이 많건만, 「서시」에 집중해 있다. 「서시」만 강조해서 교육해 오지 않았나 반성해야 할 것이다. 문화콘텐츠에서 인용되고 작곡된 노래들이 대부분 「서시」처럼 이미 주목받고 있는 노래들을 반복해서 만드는 데에도 원인이 있을 수 있겠다. 윤동주에 대한 대중적 편견이라는 것이, `시 교육`을 통해서 교정될 수 있을까. 필자는 그것이 가능 하다고 본다. 가령 윤동주 시 중에 좋아하는 시로 「나무」가 11위, 「반딧불」가 13위로 오르고, 그것을 선택한 이들의 이유를 쓴 란을 보면 이 시들을 강조하느 강연을 듣고 인상 깊어 선택했다는 언급을 볼 수 있다. 특히 응답자들은 윤동주의 동시를 모르고 있었다. 윤동주는 `동시 시인`이라 할 만치 많은 동시를 썼다. 아쉽게도 문화콘텐츠 중 동시를 등장 시킨 연극, 뮤지컬, 영화는 없다. 주목받지 못해 왔지만 다시 조명해야 할 윤동주 시를 더 알리고 노래로 만들어 알리는 일이 필요하다. 셋째, 윤동주 시집 정본 확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독자들이 시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기억하는 경우들이 있었다. 심한 경우는 윤동주 시가 아닌데 윤동주 시인 줄 알고 외워서 답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설문을 마치면서 우리의 시 교육이 너무 관념적으로 시를 가르치지 않았나 생각해 보았다. 독자들은 윤동주 시를 시험 대비나 관념적인 용도가 아니라, 지금 자신의 `삶`에 구체적으로 적용시켜 나가고 있었다. This paper, which commenced with the commemoration of the Birth 100th anniversary of Daesan Foundation in 2017, is an analysis of the reader`s consciousness about the Yun Dong-ju poetry through a one-month Google questionnaire from March 1 to 30. How can such research contribute? I do not think this paper shows more than confirming the prejudice of Yun Dong-ju through the questionnaire. By the way, I could not possibly guess. For example, first, the image of Yun Dong-ju differs from the stereotype that is expected. Readers seem to be rebelling against the terms such as resistance poet, ethnic poet, Christian poet. I can point out that Yun Dong-ju is a poet of `self-questioning` in media and textbooks. But many respondents(51%) are looking at Yun Dong-ju as a poet who has self-questioning and Practice Will. Second, we have to educate the poetry of Yun Dong-ju city more widely. "Foreword(序詩)" had an absolute position in favorite poem, poem to memorize. There are many poems that are excellent and easy to memorize besides "Foreword" but concentrate on "Foreword" . It is necessary to reflect whether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only by "Foreword". Most of the songs cited and composed in cultural contents can be cause for repeatedly making songs that are already attracting attention such as "Foreword" . Can popular prejudice against Yun Dong-ju be corrected through `poetry education`? I think it is possible. For example, in the Yun Dong-ju poem, the "Tree(나무)" is the 11th place, the "firefly(반딧불)" is the 13th, and when you look at the list of reasons for choosing them, you can hear the lecture emphasizing these poems is. Particularly, respondents did not know children`s verse written by Yun Dong-ju. Yun Dong-ju wrote many children`s poetry. Unfortunately, there are no children`s verse in the movie and Musical on Yun dong-ju. It is necessary to inform the children`s verse by Yun Dong-ju. Third, we confirmed that a definitive Canon of the Yun Dong-ju poetry is necessary. There were cases where readers remember slightly differently according to poetry. At the end of the questionnaire, I wondered if our poetry education was too ideologically taught poetry. The reader was applying Yun Dong-ju poetry specifically to his "life" now, not as a test or an ideologi.

      • KCI등재

        윤동주의 죽음과 바다 이미지

        김명석(Kim, Myung-Seok)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6

        이 연구는 윤동주의 삶과 시를 재현한 다양한 매체와 장르의 OSMU 텍스트에서 혈액 대신 바닷물을 주입하는 생체실험에 희생되었다는 윤동주의 죽음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를 조사하며 출발했다. 연구대상인 뮤지컬 〈윤동주, 점점 투명해지는 사나이〉에서 윤동주의 죽음이 어떠한 문학적 상상력으로 새롭게 형상화되고, 거기서 ‘바다’ 이미지가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다. 시인 윤동주의 삶과 죽음은 바다와 많은 인연을 갖고 있으며, 바다를 노래 한 시들도 적지 않다. 그러나 ‘바다’의 상징적 이미지는 ‘하늘’과 ‘바람’과 ‘별’에 비해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윤동주, 점점 투명해지는 사나이〉는 해수 투입 생체 실험을 당하는 시인 윤동주가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죽기 하루 전에 일어났던 일을 간호사 요코의 기억과 상상으로 재구성하였다. 작품의 초반부터 전편에 흐르는 ‘바다’ 이미지는 윤동주의 혈관에 흐르는 바닷물을 극화한 것이다. 작품은 가상 인물인 간호사 요코와 환자인 동주가 나누는 대화와 윤동주의 시 13편에 곡을 붙여 뮤지컬의 주요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 요코는 윤동주의 최후를 목격한 관찰자이자 전달자이며, 두 인물은 대화적 관계를 이룬다. 이들의 대화는 식민지 조선인과 지배자 일본 국민의 대화이면서 윤동주의 시 원고를 읽는 시인과 독자의 대화이다. 대화와 노래(시)를 통해 그들의 관계는 점점 변화해간다. 작품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와 바닷물의 대비를 통해 민족적 정체성과 일제의 비인간적 폭력성을 다룬다. 생체실험이 인류 진보라는 제국주의적 논리를 따르는 요코 앞에서 동주는 생체실험의 비인간성과 피 대신 바닷물로 민족적 정체성을 박탈하는 폭력성을 비판하며, 자신의 이름이 ‘윤동주’가 아닌 일본명 ‘히라누마 도주’로 기억되기를 거부한다. 둘째, 작품은 생물학적 죽음과 문학적 죽음의 문제를 대비한다. 동주가 생각하는 시인의 죽음은 몸의 죽음이 아니다. 조선말로 된 자신의 시가 일본어로 번역될 때 시도 죽고, 시인도 죽는다는 논리다. 셋째, 과학적 호기심과 시적 그리움의 대비이다. 극중에 등장하는 일본인 의사는 과학자의 사명과 인류의 발전을 말하지만 결국 전쟁광들을 돕고 있고, 힘없는 실험 대상이 되어버린 동주는 인류 평화를 위한 희생양이 된다. 여기서 요코는 의사와 동주 사이에 있다. 일본의 제국주의 논리를 대변하고, 과학적 호기심을 신봉하는 의사의 목소리 대신 요코가 자신의 목소리를 찾게 된 것도 동주를 만나서일 것이다. 요코는 모든 죽어가는 것들을 사랑했던 동주로부터, 그의 시로부터 그리움을 배웠다. 넷째, 구원의 공간으로서의 바다와 바다가 되어버린 사나이 윤동주의 의미이다. 작품 속 ‘바다’의 이미지는 이중적이다. 바다는 동주를 죽음까지 몰고 갔지만, 한편으로는 고향으로 인도하는 길이다. ‘내가 바다 안에, 바다가 내 안에’ 있듯이 바다와 하나가 되어 끝없이 침전하는 점점 투명해지는 사나이 동주는 시와 함께 다시 부활한다. 괴로웠던 사나이 행복한 예수 그리스도처럼 십자가 대신 바다에 못 박힌 제물이 될 때 동주의 바다는 구원의 공간이 된다. 생물학적 희생과 문학적 구원이 교차하는 지점에 바다가 있다. 동주에게 바다의 궁극적 의미는 죽음을 넘어 구원에 있으며, 동주의 시는 일본인 요코와 같은 독자를 변화시키는 문학적 구원의 힘과 가치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작품은 바닷물 주입부터 시작해 마침내 몸 전체가 바다가 된다는 극적 상상력, 바다가 갖는 구원의 의미를 드러내주는 주제 전달력, 대사와 노래에서 ‘바다’ 이미지를 일관되게 보여주는 디테일의 충실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 작품은 시인 윤동주의 삶과 죽음이 탄생 100주년을 맞아 현재의 독자들에게 어떻게 기억되는가 알려주는 의미 있는 윤동주 콘텐츠의 하나가 될 것이다. In the life and death of Yun Dong-joo, the image and meaning of the poem did not work well enough for other symbolic images of his poems, namely “heaven”, “sky” and “star.” This paper examines the creative musical performances of Yun Dong-ju, a musical depicting Yun Dong-ju’s death, and a more transparent man. The lyrics of the musical were written by Yun Dong-ju. A total of thirteen chapters are used to depict a total of 13 poems from Yun Dong-ju. From the beginning of the movie, the image of the sea is that of a bio-viewing vessel that enters the blood vessels of Yun Dong-Ju.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musical performance of the performances and examine how the death of Yun Dong-ju is viewed as a literary feature, as well as how the sea image functions. The musical depicts the life of a poet, Yun Dong-ju, who died in Fukuoka prison, and imagines the memory of a nurse, Yoko. Blaming sea water instead of blood is a symbolic act of removing human traits and rejecting human dignity in the face of a physiological experiment. The Japanese nurse, Yoko is an observer and messenger who witnessed the death of Yun Dong-ju. Before his death the poet and Yoko are in an interactive relationship. Their conversations are symbolic of dialogues between the Korean colonial rulers, the Japanese colonial rulers, and readers of Yun Dong-ju. Through dialogue and poetry, their relationship gradually changes. At first, Yoko believes and respects Japan’s imperialist logic. However, gradually these belifs changing. The work is a significant piece of Yun Dong-ju’s creations in terms of how to remember and record the death of Yun Dong-ju.

      • 윤동주 시에서의 시공간적 시야로 본 “하늘”의 이미지 연구

        유은종 ( Liu Yinzhong ),유성림 ( Liu Chenglin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11 No.1

        윤동주 시 연구에서 지금까지 도입한 방법은 대체로 윤동주의 생애를 통하여 시대적 배경과 그가 처한 구체 환경들에 기대여 시를 부석하려는 태도가 주를 이루고 시세계와 주제 의식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초창기에는 윤동주 시집의 서문이나 발문 등을 통해 이력이나 회고담을 중심으로 한 일반적인 연구가 진행되었다. 윤동주의 인생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윤동주의 “평전”을 펴냈고 윤동주를 연구하기 위한 자료로서 문예지에서 윤동주 특집이 마련되기도 했다. 80년대 들어와서 윤동주 관련 박사학위 논문(마광수, 1983)이 적지 않게 나왔고 윤동주 관련 연구저서가 연속 출간되기 시작하였다. 연구의 초점은 저항 시인으로 모아졌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송우혜의 “윤동주 평전”이 푸른역사에서 펴냈다(송우혜, 1998). 그 후 홍장학의 윤동주 전집 원전연구 성과(홍장학, 2004)가 선을 보이고 사전연구에서는 “윤동주 시어사전”(조제수, 2005)이 출간되기도 하였다. 윤동주를 저항시인, 민족시인, 서정시인, 또 어떤 이들은 기독교시인, 애국시인(이누가이 미쯔히로, 1998, 외고계영 역)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윤동주 연구는 북한이나 중국, 일본에서도 많이 이루어졌다. 중국 연변은 윤동주 시인이 1917년에 명동에서 태어나서 연희 전문학교에 진학하던 1938년 이전까지 살던 곳이고 일본에서 옥사한 후 유해가 돌아와 묻힌 곳이다. 윤동주 행적에 관한 연구는 일본의 오무라, 중국연변의 권철에 의해 묘지가 발굴되고 40여 년 동안 묻혀있던 시인의 문학사적 위치가 정해졌다(권철, 2000)고 할 수 있다. 윤동주 시인 행적에 대한 연구와 시세계에 대한 연구에서는 주제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윤동주 시 연구에서 주요 시어 분석을 통한 이미지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윤동주 시에서의 시어와 시의 연관 속에서 윤동주 시세계의 주제의식을 파악하고 시공간적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윤동주의 시세계를 더욱 깊이 이해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하늘”은 윤동주 시어에서 빈도수가 “별”(16개)보다 더 많이 쓰여 “나”(85개)를 제외하고 두 번째로 많이 쓰인 시어이다. 윤동주 시에서 “하늘”이 차지하는 빈도수(30개)를 찾아내고 구체적인 시들에서 어떻게 쓰이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윤동주 시세계를 이해하는데 통로가 될 수 있으며 문학적으로나 언어학적 측면에서 윤동주의 시세계를 새롭게 연구하는 중요한 소재로 되며 시세계를 파악하는데 적지 않은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 한다. Method that have introduced in study poem of Yun Dong-ju is generally some. It was achieved much that form a main attitude that want to study poem lean against on period background and that him is placed specific environments through Yun Dong-ju's life and grasps poem world and subject consciousness . The general study was has been proceeded through preface or epilog of Yun Dong-ju poetical works and revolve around the background or reminiscence in early days. Scholars, who study Yun Dong-ju's life, published Yun Dong-ju's 'Critical biography' and Yun Dong-ju special edition was prepared in literary magazine as the data to study Yun Dong-ju. Yun Dong-ju connection doctoral dissertation was published considerable entering the 80 and Yun Dong-ju connection study book was begun to publish continuously. Focus of study commanded by resistance poet. Son-woohye's 'Yun Dong-ju critical biography' published in Pureunyeoksa entering in 21th century. After that, Hong-janghak's result of Yun Dong-ju complete collection research of the original text shows and 'Yun Dong-ju poetic language dictionary' of joejesu was published. Yun Dong-ju has been called poet of resistance, national poet, lyric poet and some people calls Christian poet and patriotic poet . Yun Dong-ju study was achieved much in North Korea or China, Japan. Yanbian of China is the place that Yun Dong-ju poet is born in 1917 and go to the yeonhui professional school in 1938 and return remains is buried after death in the prison in the Japan. Study of Yun Dong-ju's past include Omula of Japan and Quanzhe of Yanbian of China, and graveyard of Yun Dong-ju was dig up by them. So that I can say that poet's literature historical position was located, who lies for 40 years. I can say the study that figure out to subject made mainstream in the Yun Dong-ju poet's past and poem world. Image study through main poetic language in Yun Dong-ju poem study analysis was hardly achieved.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ing sense of subject of Yun Dong-ju's poem world in connection of poetic language and poetic language in Yun Dong-ju poem and understanding more deeply Yun Dong-ju's poem world through image analysis of space-time. The frequency of "star" In Yun Dong-ju poetic language is used more than "star"(16) is poetic language and used much secondarily except "I"(85). I think that it become many helps that find out the frequency of "star" occupies in Yun Dong-ju's poem and examine closely how to use in the detailed poem to became a path to understanding Yun Dong-ju's poem world and became a important material in the newly study Yun Dong-ju's poem world at the ways of literature and language.

      • KCI등재

        키에르케고어 ‘종교적 실존’ 개념을 적용한 윤동주 시의 신학적 분석 — 1940년대 윤동주 후기 시를 중심으로

        이정희 한국기독교학회 2022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24 No.-

        Readers who share and understand the pain of Yun Dong-ju’s time, as well as regular readers who love his poetry, are fascinated by his images and poetic language interpreted which “His Life” obtained through his poetry. In this aesthetic phase, the poem Yun Dong-ju takes us to the stage of religious existence. Since Yun Dong-ju’s was lived mainly Japanese Colonial Period in 1940, His “Poetry” which was written during Yun Dong-ju’s Yeonhee College is filled with the grief of an elite intellectual who is powerless before imperialist colonial rule. This Article isn’t about Kierkegaard’s Religious Existence but Yun Dong-ju’s religious thought. If we look at why Yun Dong-ju’s poems written in the context and language of 1940 are sympathized with and loved even by people living in the 21st century, It is a hermeneutic horizon that I think. Yun Dong-Ju’s Text was connected Gadamer’s hermeneutics. The tradition of the past can be understood and shared as a hermeneutic horizon by interpreting texts and transcending temporality and historicity. Yun Dong-ju’s life and thoughts are melted in the horizon of tradition, and Yun Dong-ju’s poetry will continue to live on in readers who share and interpret this tradition and in the community that interprets Yun’s poetry. And through Yun Dong-ju’s poetry. 윤동주의 시를 사랑하는 일반적인 독자들뿐만 아니라, 윤동주가 살았 던 시대의 아픔을 공유하고 공감하는 독자들에게 그의 ‘삶’ 즉, 그의 일생(一 生)에 대한 해석을 담고 있는 시적 이미지와 언어는 매력적이다. 이러한 매력적인 어구들은 독자인 우리를 종교적인 실존의 영역까지 이끌어간다. 윤동주가 살았던 일제 강점기 시대에 그의 시들은 연희전문학교에서 주로 창작되었다. 윤동주의 시는 나라를 잃은 슬픔과 식민지 현실을 보며 무기력할 수밖에 없었던 지식인의 현실을 담고 있다. 이 논문은 키에르케고어의 종교적 실존에 관한 것이 아니라 윤동주의 실존을 다룬 것이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들이 1940년대 시를 보면서 공 감할 수 있는 것은 바로 해석학적 지평의 역할이 크다고 생각한다. 윤동주의 시, 다시 말해서 윤동주의 텍스트는 철학적 해석학자인 게오르규 가다머의 해석학적 지평에 유사하다. 전통은 해석된 텍스트에 대한 시간성과 역사 성을 초월한다. 윤동주의 삶과 사상은 전통의 지평에 섞여 있고, 윤동주의 시는 윤동주의 시와 사상에 대한 해석을 공유하는 전통을 가지는 공동체에 계속 살아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윤동주와 윤석중의 동시(童詩) 및 그 상관성 연구

        김지연 사단법인 방정환연구소 2024 방정환연구 Vol.6 No.1

        윤동주의 동시는 대부분 밝고 긍정적이다. 그의 성인시 전반에 흐르는 부끄러움과 같은 애상적인 분위기와는 전혀 다르다. 윤동주의 동시를 형식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단어와 음운을 반복하여 운율을 형성하는 특징을 보이는데 이러한 반복은 동시의 분위기를 밝고 경쾌하게 만든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한 편의 동화처럼 순수한 아이들의 생활을 표현하고 있으며 평화로운 정서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그가 썼던 성인시와 확실히 구분되는 지점이다. 이처럼 윤동주의 동시는 전반적으로는 아이다운 밝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주로 보인다는 특징이 있다. 윤동주의 이러한 동시의 특징은 방정환으로 시작되어 윤석중으로 이어진 동심의 형상화 방식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 당시 방정환으로 시작된 어린이 운동은 윤석중 등으로 이어져 어린이다움을 드러내는 순수아동문학을 지향하며 동심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동요와 동시의 형태로 창작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당시 이러한 방정환의 아동문예운동은 많은 소년문예가를 낳았고 윤동주 역시 소년문예가로서 다수의 동시와 동요를 창작하였고 윤석중이 주간을 맡았던 순수아동문학 잡지인 어린이와 소년 지를 구독하여 읽었으며 윤석중의 잃어버린 댕기를 탐독하였다. 따라서 윤동주는 윤석중의 민족주의적이며 낭만적인 동시를 더욱 선호하였던 것이며 윤석중 동시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고 자신의 동시 역시 윤석중의 다양한 동요의 형식을 이어받아 동심을 표현하려 하였다. 이러한 윤석중의 영향 아래 동시를 창작하였을 것이라는 추측은 두 시인의 시를 비교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었다. 윤석중과 윤동주의 작품에서 공통적인 특징은 어린이의 생활을 드러내는 현실 생활시로 밝고 긍정적인 동심을 표현하려고 했으며 아이다운 창의적인 발상으로 익살스러움이 드러냈다는 점이다. 또한, 순우리말의 멋을 살리는 의성어ㆍ의태어와 같은 감각적인 시어를 통해 운율을 만들고 어린이의 입말체를 주로 사용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감각적인 시어를 통한 운율 형성뿐만 아니라 3음보와 같은 민족적인 운율을 주로 사용하면서 자유율의 형식이라고 하더라도 노래로 부르기 알맞도록 반복과 대구의 방법으로 운율을 형성하였다는 점이다. 여기에 더하여 한 편의 동화를 보는 듯한 이야기 형식의 ‘동화시’는 작품 내의 인물 간 대화뿐만 아니라 시적 화자와 독자 간 대화 등의 생동감 넘치는 표현을 활용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작품성의 측면에서 보자면 윤동주의 동시는 아동문학의 대가였던 윤석중의 작품성에 미치지 못하는 것은 사실이나 소년문예가로서 존경하는 선배 작가의 작품을 보고 다양한 방식으로 동시 작품에 투영한다는 것은 매우 유의미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작품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동요 전성기를 맞이한 근대 아동문학장을 파악하고 한국 현대 아동문학이 형성되고 확장되는 지점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Yun Dong-ju’s poems are mostly bright and positive, which contrasts with the melancholic tone flowing through much of his adult poetry. Examining Yun Dong-ju’s poetry from a formal perspective, it shows a characteristic of forming rhythm by repeating words and sounds, which contributes to a cheerful and lively atmosphere. Moreover, in terms of content, his poems depict the pure lives of children like a fairy tale and are based on a peaceful sentiment, clearly distinct from the adult poetry he wrote. Thus, Yun Dong-ju’s poetry generally exhibits a childlike, bright, and positive image. The characteristics of Yun Dong-ju’s poems are noteworthy in the sense that they follow a method of expressing the inner child, starting from Bang Jung-hwan and continuing to Yun Seok-jung. The children’s movement initiated by Bang Jung-hwan at that time aimed to reveal the purity of children’s literature and advocated for creating various songs and poems based on inner-childhood. At that time, this children’s literary movement led by Bang Jung-hwan gave rise to many young literary figures, including Yun Dong-ju, who as a young literary figure, created numerous poems and songs. Yun Dong-ju also subscribed to and read children’s magazines such as “Children(어린이)” and “Youth(소년)”, where Yun Seok-jung was the editor-in-chief, and he read Yun Seok-jung’s “Lost Wings”. Therefore, it can be speculated that Yun Dong-ju preferred Yun Seok-jung’s nationalistic and romantic poems, and he was greatly influenced by Yun Seok-jung’s poems, inheriting various forms of songs from Yun Seok-jung to express his inner child. This speculation could be confirmed by comparing the poems of the two poets. A common characteristic of the works of both Yun Seok-jung and Yun Dong-ju is their attempt to express a bright and positive inner child through realistic poems depicting childre’s lives and displaying childlike creative ideas. They mainly used children’s language and created rhythm through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in their poems, preserving the charm of the Korean language. Furthermore, they primarily used ethnic rhythms like 3/4 time signatures, even when adopting a free verse format suitable for singing, they formed rhythm through repetition and antithesis. Additionally, the narrative style of ‘fairytale poetry’, which resembles reading a fairy tale, includes various attempts such as expressing dialogues between characters or between the poetic persona and the reader to enhance realism within the work. In terms of artistic merit, although Yun Dong-ju’s poems cannot match the stature of Yun Seok-jung, who was a master of children’s literature, it is still significant that as a young literary figure, Yun Dong-ju admired and projected various aspects of his senior writer’s works into his own. Therefore, comparing and analyzing their works would provide insights into the modern children’s literature scene and identify the points wher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was formed and expanded.

      • KCI등재

        정지용 시가 윤동주에게 미친 영향

        이숭원(Lee, Soong-won)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6

        1935년 10월 27일에 출간된 『정지용 시집』은 많은 문학 지망생에게 읽힌듯하다. 윤동주는 1936년 3월 19일에 이 시집을 구매하여 시를 읽으며 시집여백 여기저기에 자신의 감상을 적어놓았다. 정지용의 시를 정독하며 한 구절한 구절을 깊이 음미하려 한 것이다. 정지용의 시는 윤동주만이 아니라 다른 시인들에게도 영향을 끼친 사례가 보이는데, 윤동주에게는 영향의 흔적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정지용 시의 영향은 습작기의 작품인 1938년까지의 시에 많이 나타나는데, 이 작품들은 발표를 염두에 둔 것이 아니라 노트에 메모해둔 것이어서 정지용 시에서 읽은 구절을 무의식적으로 활용한 대목이 많다. 정지용의 시는 언어 표현에 주력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고, 윤동주는 자신의 고민과 사색을 표현하는 데 주력했기 때문에, 두 시인의 시상이나 주제는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영향의 흔적은 주로 시어나 표현의 차원에 국한되어 나타난다. 이것은 정지용 시에 심취한 윤동주의 독서 체험이 복잡하게 재구성되어 나타난 것이다. 1939년 9월 이후 본격 창작기의 작품들은 윤동주 자신의 독자적 사유에 바탕을 둔 성숙한 표현을 구사하고 있다. 이 시기에 이르러 윤동주는 타인의 영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시인으로 자신을 정립하게 된 것이다. 이 논문에서 13편의 작품에 나타난 영향의 흔적을 검토했는데, 이것은 상당히 많은 숫자다. 이것은 정지용의 시가 지닌 강력한 문학적 영향력을 방증하는 일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런 사실 때문에 윤동주 시의 가치가 절하되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여기서 검토한 윤동주의 시 13편이 모두 그가 노트에 적어놓은 습작품이기 때문이다. 최초의 윤동주 시집에 비해 현재 나온 최종 판본에는 88편이 추가되어 있는데, 이 작품들은 대부분 윤동주가 노트에 적어 놓은 습작품들이다. 이 작품들이 윤동주 시집에 그대로 들어와 다른 작품들과 대등한 자리를 차지한다는 것은 재고할 문제다. 그런 점에서 윤동주의 경우 연구용 시 전집과 독자 보급용 시 선집을 따로 내는 것도 바람직해 보인다. The Poetic Works of Jeong, Ji-yong published on October 27, 1935 has probably been read by many literature aspirants. Yun, Dong-ju purchased this collection on March 1, 1936 and as he read the poems, he wrote his own sentiments in the blank spaces of the book. It was his way of intensively reading and appreciating each line of Jeong, Ji-yong’s poems. The poetry of Jeong, Ji-yong influenced poets other than Yun, Dong-ju as well but his influence on Yun, Dong-ju appears to be more distinct. The influence of the poetry of Jeong, Ji-yong can be seen a lot in his early works written before 1938 and because these works were written as memos in his notes rather than for the purpose of being made public, there are many passages which unconsciously use lines read from the poetry of Jeong, Ji-yong. The poetry of Jeong, Ji-yong was developed in a direction that mainly concentrates on linguistic expression and Yun, Dong-ju concentrated on expressing his own concerns and meditations so the thoughts and topics of the two poets show incredibly different aspects. Because of this, the traces of influence are mostly limited to poetic diction and dimensions of expression. This is a complex reconstitution of the reading experience of Yun, Dong-ju as he was absorbed in the poetry of Jeong, Ji-yong. Pieces written in the creative stages after September of 1939 have a good command of mature representations based on Yun, Dong own grounds. By this period, Yun, Dong-ju had broken away from the influences of others and had established himself as an independent poet. This thesis reviewed the traces of influences in 13 pieces and this is a considerably high number. This is also proof of the strong literary influence that the poetry of Jeong, Ji-yong possesses. However, the poetry of Yun, Dong-ju should not be devalued because of this fact. The reason is because all 13 poems reviewed here were early pieces written in his notes. Compared to the first Yun, Dong-ju poem collection, the current and final manuscript has an addition of 88 poems and most of these are early works which were written in Yun, Dong-ju’s notes. The fact that these pieces are equally placed alongside Yun, Dong-ju’s other works in his poetry collection is an issue worth of reconsideration. At this, it seems proper that in the case of Yun, Dong-ju, collections should be separately presented, with one for research and one to be supplied to readers.

      • KCI등재

        정지용과 윤동주의 시적 영향 관계

        김신정 ( Kim Shin-jung ) 배달말학회 2016 배달말 Vol.59 No.-

        한국현대시사에서 윤동주 시는 대체로 시사적 맥락보다는 작품 세계의 독자적 의미를 중심으로 논의되어왔다. 1950년대 이후 오랜 시간 동안 윤동주 문학은 주로 민족주의적 시각에서 평가되었고, 그에 대한 논의는 `일제 말기의 대표적 저항 문학` 또는 `암흑기의 별`이라는 비유적 표현을 통해 사후적으로 구성되었다. 비록 시인으로 등단한 상황은 아니었지만, 윤동주의 창작 활동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던 시기가 1930년대 중반에서 1940년대 초반에 이른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그에 대한 평가 역시 해방 이후의 사후적 관점이 아니라 시인 당대의 맥락에서 시도될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정지용은 윤동주 문학의 시사적 맥락과 당대적 의미를 고찰하는 데 중요한 매개항이 될 수 있다. 정지용은 1930년대 대표적 시인으로서 당대 문단에 깊은 영향을 끼쳤던 시인이다. 당시 시인 지망생이었던 윤동주 역시 정지용의 영향 속에서 습작을 지속했고, 정지용 문학과의 긴장과 갈등, 영향과 수용, 그리고 이탈과 창조라는 과정을 거치며 자신의 문학 세계를 형성해 나간다. 정지용 문학의 특장인 재현과 직유는 윤동주 초기 문학 형성의 주요한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윤동주의 시는 그 자신 시의 매재인 언어 자체에 주목하고 사물에 대한 예민한 지각과 표현에 몰두하며, 일상 대화의 어법을 구사하여 자연스러운 표현과 리듬을 창조하고 시의 표현 양식에 대해 고민하고 실험하면서, 정지용과 마찬가지로 그가 1930년대 시단의 당면 과제에 모더니스트로서 충실하게 대응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습작기 초기에 정지용 시의 영향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던 윤동주는 점차 그 영향권 내에서 자신의 시적 방법을 “수정주의적”으로 모색한다. 윤동주는 『정지용 시집』을 자신의 관점으로 고쳐 읽으며 정지용과 다른 자신의 시적 주제와 방법을 모색해 나간다. 시인 자신이 말했듯 “안으로 열하고 밖으로 서늘옵기”를 추구하며 자신의 내면을 잘 드러내지 않았던 정지용과 달리, 윤동주는 내적 고민의 흔적을 드러내는 시적 방법을 추구한다. 타자로서의 내면을 발견하고 그것을 재현하는 방법을 실험하며, 특히 후기로 갈수록 “시대”, “사랑”, “추억”, “역사”, “희생” 등 추상적 관념에 대한 내적 고민의 흔적을 짙게 드러낸다. 이 과정에서 윤동주는 추상적 대상이 원관념으로 사용되는 시적 비유의 일반적 방법을 뒤집어 보조관념으로 적극 활용하면서, 그 하나 하나의 관념을 주목하게 할 뿐 아니라 그러한 관념들에 대한 자신의 내적 고민의 흔적을 짙게 드러내고 또한 시적 애매성의 효과를 고양시킨다. Yun Dong Ju`s poetry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has been mostly discussed in independent meanings in its literary world rather than in the literary historical context. For a long time after the 1950s, Yun Dong Ju`s literature was criticized in a nationalist perspective, and discussion on Yun Dong Ju was later carried out after his death through the metaphor `representative resistance literature in late Japanese imperialism` or `star of dark ages`. Although he hadn`t started his literary career as a poet, considering that his creative activity was centrally conducted during mid 1930s and early 1940s, criticism on Yun Dong Ju should be attempted in a contemporary context rather than in a viewpoint after liberation after his death. In that respect, Jeong Ji Young can be an important standard to study the literary historical context and the contemporary meaning of Yun Dong Ju`s literature. Jeong Ji Young is a representative poet of the 1930s who had great influence on its contemporary literary circle. Yun Dong Ju who had been a literary aspirant during that time continued writing under Jeong Ji Young`s influence, and he formed his literary world through the process of tension and conflict, influence and acceptance, and finally breakaway and creation from Jeong Ji Young`s literature. Yun Dong Ju shows aspects of a modernist like Jeong Ji Young in that he focused on the method and effect of medium itself, focused on keen awareness and expression about objects, and contemplated and experimented about form of poetic expression. In his early years of practice, Jun Dong Ju who had embraced the influence of Jeong Ji Young`s poetry gradually sought his poetical methods in a "revisionist" way in the boundary of his influence. Yun Dong Ju interpreted Poetical Works of Jeong Ji Young in his point of view and sought his own poetical theme and method different from Jeong Ji Young. As the poet himself said, "internally enthusiastic and externally restrained“, Jeong Ji Young mostly did not reveal his inner side, whereas Yun Dong Ju pursued a poetic method that revealed the trace of contemplation. Especially towards his late years, it can be seen that he shows traces of deep contemplation on abstract concepts such as "age", "love", "memories", "history", "sacrifice", etc. In the process, Yun Dong Ju reversed the general method of poetic metaphor where abstract objects are used as tenor and actively used it as vehicle. In this way, he not only allows each and every concept to stand out but also emphasizes traces of his contemplation and elevates the effect of poetic ambiguity.

      • KCI등재

        –창작가무극 <윤동주, 달을 쏘다>에 나타난 윤동주 시 활용 양상 연구

        손미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9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5 No.3

        윤동주의 시와 그의 표상은 다양한 영상 및 극 매체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그 매체 및 장르적 특성에 따라 윤동주의 표상과 그의 시는 선택되고, 변주된다. 문학이 다양한 매체들과 통섭하는 현대에서 한 시인의 초상이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가를 검토하는 것은 텍스트가 한 인물을 통해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읽어내는 과정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윤동주의 시가 다른 장르의 예술적 텍스트들에서 활용된 방법을 검토하는 한편으로, 각 텍스트들의 시문학과의 통섭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특히 창작가무극 <윤동주, 달을 쏘다>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윤동주, 달을 쏘다>에서 윤동주의 시는 감정을 극대화하는 장치이자, 인물의 의지를 관객들에게 전달하는 대사의 형식으로 활용되었다. 창작가무극 <윤동주, 달을 쏘다>가 시를 통해 ‘윤동주’의 감정을 격정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가무극 즉, 뮤지컬은 다른 예술 장르에 비해 장르적 특성상 인물의 미세한 감정 변화를 전달하기에 제약이 따른다. 이로 인해 가무극은 인물의 감정 표현이 좀 더 격정적이며, 서사의 진행 또한 극적이며, 영화와 가무극이 조명하는 시인 윤동주의 면모 또한 차이를 보인다. 예컨대 영화 <동주>는 시인 윤동주를 순수한 문학청년으로 형상화하고자 한다면, 창작가무극 <윤동주, 달을 쏘다>는 윤동주의 시를 저항의 의미를 지닌 것으로 재조명하고 있는 것이다. Yun Dong - ju 's poetry and his representations are used in various visual and dramatic media. According to its medium and genre characteristics, Yoon Dong - ju 's representations and his poems are selected and changed. It is also the process of reading what the text is trying to convey to the public through a single person. In this study, Yoon Dong - joo 's poetry was compared with other poetry of poetry. Particularly, the discussion was focused on the creative actor <Yun Dong-ju, Shoot the Moon>. If the creative drama <Yoon Dong-ju, shoots the moon> is transmitting the feelings of Yoon Dong-ju through the city, the film <Dongju> conveys the poem of Yoon Dong-ju. Gamuplays are more restrictive than the movies because of their genre. As a result, the emotional expressions of the characters are more intense, the progress of the narrative is also dramatic, and the aspect of Yun Dong - ju, a poem illuminated by the movie and the drama, also differs. If the film <Dongju> aims to portray poet Yoon Dong-ju as a genuine literary youth, the creative poet <Yoon Dong-ju, shoots the moon> reinterprets Yun's poetry as having a meaning of resis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