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위험이 수출과 채산성에 미치는 효과 분석

        이상호 ( Sang Ho Lee ),최용재 ( Yong Jae Choi ) 한국국제통상학회 2011 국제통상연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환율변동성 또는 환위험을 가정한 수출가격 및 수출물가 방정식의 추정과 벡터오차수정모형을 통해 환율의 변동성이 수출가격 및 물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패널분석을 통해 산업별, 기업규모별, 수출비중별로 환율변동성이 기업 채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추정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위험회피적인 기업들이 수출시 환율변동성이 확대되는 등 환위험 부담이 커질 경우 수출물량을 축소시키고 내수 물량을 확대시킴으로써 채산성을 보전하며, 수출단가를 상승시켜 환위험 상승에 따른 손실가능성을 보전하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환위험 증가 시 우리나라 기업은 환헤지, 결재통화 다변화, 단위노동비용 절감을 통해 환위험에 대처하기 보다는 주로 수출가격과 물량의 조정을 통해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조업을 대상으로 한 추정결과에 따르면 환율증가율 1%p 증가는 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을 약 0.5%p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원화절하는 기업의 채산성을 증가시키나 반대로 원화절상은 채산성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환율변동성 1%p의 증가는 기업 수익성을 0.12%p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환율 변동 뿐만 아니라 환율변동성 역시 기업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환율변동성의 1%p 증가는 중소기업의 채산성을 대기업보다 약 0.01%p 더 악화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어 환위험이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 채산성에 악화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수기업보다는 수출기업의 채산성이 환율변동성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foreign exchange rate volatility or exchange rate risk on the prices and volume of international trade and the manufacturing firm`s profit. To do this, we estimated export price and volume function and implemented the vector auto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how exchange rate volatility can affect the export prices and volume in Korea manufacturing industry. In addition, we also analyze the impacts of exchange rate volatility on Korean manufacturing firm`s profit defined as operating profit over sales. The main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isk averse firms reduce their export volume and increase export prices to avoid increasing foreign exchange volatility. This implies that firms try to keep their profit expanding the domestic supplies in the face of increasing foreign exchange risk.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related to exchange volatility and firm`s profit, the 1 percent point increase of foreign exchange change causes firm`s profit to increase by 0.5 percent pont. More importantly, the 1 percent point increase of exchange volatility causes it to decrease by 0.12 percent point. Finally, the 1 percent point increase of exchange volatility leads small and medium size firms` profit to decrease by 0.01 percent point more than large size firms.

      • KCI등재

        기업수명주기가 연구개발비 지출과 기업성과 및 이익변동성의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유지연,이상열,박삼복 한국회계정책학회 2018 회계와 정책연구 Vol.23 No.2

        [Purpose]Recently, R&D investment is considered as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firms for maximizing of firm value and continuous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tial effect of R&D expenditures in the firm’s future profitability and future earnings volatility according to firm life-cycle. [Methodology]For the analysis, we employ the Dickinson (2011) method to measure the firm life-cycle and verify the differential effect of R&D expenditures according to firm life-cycle. R&D investment should be carried out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 and circumstances of the firm, which may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firm performance. Firms differ in strategy and situation by firm life-cycle. As a result, there is a difference in future profitability and uncertainty due to R&D expenditures by firm life-cycle.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effect of R&D expenditures on future profitability and earnings volatility will be different for each life-cycle stage. In this study, our samples consist of firms listed on the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KOSPI) during the period 2000-2015. [Findings]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R&D expenditures have a different effect on future profitability by firm life-cycle. In the introduction stage, R&D expenditures have a negative (-) effect on future profitability of the firm, while in the maturity stage, R&D expenditures have a positive effect on future profitability. The growth and decay stages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Second, the effect of R&D expenditures on future earnings volatility is significant (+) in the introduction and maturity stages. This implies that the R&D investment in the introduction and maturity stages has highly uncertain. [Implications]Our findings show that R&D expenditures should be constantly invested in consideration of the firm’s accounting and financi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 result that R&D expenditures differentially affect firm performance according to firm life-cycle is considered to be a great help when managers decide on R&D investment. [연구목적]최근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핵심역량의 하나로 연구개발 투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는 기술혁신 및 신제품 개발을 통해서 미래 수익성을 증대시키는 긍정적인 효과 이외에, 연구개발 투자의 시차(time lag), 고비용(costliness), 비전유성(non-appropriability) 등의 특성으로 인해서 미래 이익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부정적 측면도 존재한다.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개발 투자의 양면성이 기업이 처한 환경과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기업수명주기(Firm Life Cycle)에 따라 연구개발 지출이 기업의 미래수익성과 미래이익변동성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분석을 위해서 Dickinson(2011)의 방법을 이용하여 기업수명주기를 측정하였으며, 기업수명주기별로 기업이 처한 환경과 상황 그리고 선택하는 전략이 다르기 때문에 연구개발 지출이 기업의 미래 수익성과 미래 이익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은 수명주기별로 차이가 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표본의 기간은 2000년부터 2015년까지이며,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12월 결산 제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결과]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개발 지출이 미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수명주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도입기에 속한 기업의 연구개발 지출은 기업의 미래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성숙기의 경우에는 연구개발 지출이 미래수익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기와 쇠퇴기의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개발 지출이 미래 이익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은 도입기와 성숙기에서 모두 유의한 양(+)의 결과가 보고되었고 이는 도입기와 성숙기의 연구개발 투자는 미래 불확실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성장기와 쇠퇴기의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고하지 않았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이 처한 환경과 상황에 대한 고려를 통해서 연구개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구체적으로 기업수명주기에 따라 연구개발 지출이 기업의 미래수익성과 이익변동성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담당자는 기업이 속한 기업수명주기에 따라 연구개발 투자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기업의 환경경영과 수익변동성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김학건 ( Hakkon Kim ),강윤식 ( Yun-sik Kang ) 한국재무관리학회 2018 財務管理硏究 Vol.35 No.2

        최근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와 함께 기업의 환경경영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추세에도 국내기업을 대상으로 환경경영과 수익변동성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아직 제한적이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환경경영이 수익변동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이러한 영향이 제조업과 서비스업에서 차별화되어 나타나는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기업의 경우 환경경영활동 수준이 높아질수록 수익변동성이 증가함을 발견하였다. 이는 미국과 일부 유럽 선진국을 대상으로 환경경영의 긍정적 효과를 주장한 선행연구와 달리 국내기업의 경우 환경경영이 수익변동성을 높이는 부정적 효과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는 환경경영과 제조업 더미변수의 교차항의 부호가 부(-)의 값을 가지고 있으나 환경경영과 서비스업 더미변수의 교차항의 부호는 정(+)의 값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환경경영의 부정적 효과가 제조업에 비해 서비스업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며 환경경영활동의 효과가 산업별로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기업의 환경 관련 정책입안에 있어 산업별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정책이 수립되어야 함을 의미함과 동시에 기업의 환경경영을 유도하기 위하여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lthough the concern and investing for environment are increasing, the study of relation between Korean firms’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their volatility of profitability is limited.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ssociations between Korean firms’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the volatility. Furthermore we also show that the different effect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on the volatility of profitability between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The results show that better environmental practices exhibit higher volatility of profitability. Our empirical findings also provide evidence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environmental activity are stronger in service sector than manufacturing sector. Hence, we suggest that policy makers should provide more political support to Korean firms for making firms’ aggressive environmental investing and activities.

      • KCI등재

        정보의 활용도에 따른 육계농가의 리스크 프리미엄 변화와 경영안정 효과 분석

        남경수(Kyungsoo Nam),안병일(Byeong-il Ahn) 한국농식품정책학회 2020 농업경영정책연구 Vol.47 No.2

        This study focuses on the ways for stabilizing broiler-breeding farmers profits through the vertical integration. When broiler-breeders use price information of broiler and production inputs, the risk premium decrease due to the declining volatility of profit. In other words, volatility and risk premium turn out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therefore risk-aversion coefficient is estimate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risk premium. The risk premium for the scenarios that assume farmers use the least amount of information is estimated to be 7.0~30.4 won per broiler depending on the risk-aversion coefficient and the risk premium for the scenarios that posit farmers use the most information is estimated to be 3.4~15.0 won per broiler.

      • KCI등재

        한국기업의 배당성향에 대한 재해석과 이익의 질에 관한 배당정보효과 분석

        김지홍,서영미,이재홍 한국회계정보학회 2012 회계정보연구 Vol.30 No.4

        Dividend signaling hypothesis is based on a premise that managers’ dividend decisions convey information of their firms’ earnings prospects. We investigate the dividend signaling hypothesis with respect to earnings quality changes and dividend distribution here covers a broad range of cash dividends as well as repurchases. To begin with, we analyze the impact of dividend on the accounting earnings persistence by investigating future earnings through comparison of one-year head earnings and two-year ahead earnings. Also we adopt a different measure of dividend payout ratio that faithfully reflects the notions in Korean commercial law. The conventional dividend payout ratio is computed as cash dividends over net income, yet the measure taken in this paper is calculated as cash dividends over income available for dividends. This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earnings persistence with both conventional and the latter measures. Third, based on the fact that propensity to dividend is affected by current net income, we examine whether informativeness of dividends about the quality of earnings are different according to earnings attributes. Finally, we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regular payout policy, which includes both dividends and repurchases, and earnings quality. Finally, we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regular payout policy, which includes both dividends and repurchases, and earnings quality. The following results are drawn from future earnings persistence modelpresented by Skinner and Soltes(2011). The first results show that earnings persistence is higher for dividend payers than for nonpayers. These trends are also shown in the case between magnitudes of dividends and earnings persistence. The signaling of dividend payout ratio measure with income available for dividend was not more notable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dividend payout ratio. Such result is induced by the reduced volatility that was under the influence of net income, a component of the conventional dividend payout ratio. Signaling of earnings intensity and earnings volatility, the proxies for earnings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estimated using the conventional and the newly computed dividend payout ratios. Relatively bigger signaling effect may be interpreted with the fact that the conventional dividend payout ratio is under a heavy influence of earnings intensity and volatility. A new proxy for propensity to dividends show little signaling effect compared to existent payout ratio. Finally, the nature of firms’ payout policy-meaning the extent to which firms pay regular dividends-is useful in emphasizing firms’ earnings quality, with regular dividends being more incremental signal than occasional or none-payers. This study reflects the recent dividend policies and the signaling of dividends through analysis with accounting earnings persistence considering different cases of dividend payouts. We complement and make additional interpretation to the prior studies by taking a more sophisticated measure of dividend payouts since the conventional one may be distorted with various factors. 본 연구는 경영자가 기업에 관한 사적 정보를 배당정책을 통해 투자자에게 신호한다는 배당의 신호가설을 배당정책과 미래 회계이익지속성과의 관계를 통해 검증하였다. 우선, 배당의 지급 유무가 미래 회계이익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차기와 차차기의 지속성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기존의 배당성향 외에 한국 상법의 개념에 충실한 배당성향에 따라서도 기업의 향후 이익지속성에 차이가 나는지 분석하여 기존의 배당성향으로 측정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셋째, 배당성향이 기업의 당기순이익에 따라 크게 영향 받는 사실에 기초하여 이익의 특성에 따라서도 배당이 가지는 미래이익지속성에 대한 신호효과가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배당정책이 일관적인지 아닌지에 따라 배당이 가지는 미래이익지속성에 대한 신호효과가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Skinner와 Soltes(2011)가 제시한 미래이익지속성관련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배당의 지급 유무는 미래이익지속성에 대한 신호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배당의 크기로 측정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상법의 개념에 기초한 배당가능이익 대비 배당금으로 측정한 배당성향은 기존의 배당성향으로 측정한 연구결과에 비해 신호효과가 크지 않았다. 이는 배당성향에 대한 정교한 측정을 통해, 기존의 배당성향이 당기순이익에 크게 영향 받던 변동성이 줄어든 데서 기인한 것으로 보여 진다. 다음으로 이익의 특성인 이익집중화 경향과 이익변동성에 따른 신호효과는 기존의 배당성향으로 측정한 결과와 배당가능이익대비 배당금의 비율로 새로이 측정한 배당성향의 결과에 차이가 있었다. 새로운 배당성향의 측정치는 기존의 배당성향에 비해 신호효과가 작게 나타났다. 이익집중화 경향과 이익변동성에 따라 기존의 배당성향은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신호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고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지속적으로 배당을 지급하면 추가적인 신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의 최근 배당정책을 반영하여 배당의 신호효과를 회계이익지속성과 관련하여 분석하고, 다양한 경우의 배당지급상황을 고려하여 분석의 타당성을 높였다. 또한 기존의 배당성향이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아 연구결과가 왜곡될 가능성을 보완하여 보다 정교한 배당성향 측정치를 가지고 기존 선행연구의 결과를 재해석한 점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고기술산업에서 선도기업과 후발기업의 연구개발비가 미래 수익성과 이익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유지연 단국대학교 미래산업연구소 2023 산업연구 Vol.47 No.1

        Companies strive to secure core competencies to maximize corporate value. As technology advances and the technology life cycle shortens, the ability to develop technology is becoming a core competency of companies. As a result, many companies are setting strategies for R&D investment. However, R&D investment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a company, but failure to invest due to high costs can act as a big negativ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mpact of R&D expenditure on future profitability and future profit volatility was analyzed based on the high-tech industry. In this thesis, the purpose of R&D was considered to be innovation or imitation,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If a company is in a leading position, R&D investment i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nnovation, and in the position of a latecomer, it can be said that imitative R&D i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n the high-tech industry, if the nature of R&D is innovation, it has a more positive effect on future profitability than imitation R&D. In the case of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R&D investment on the future earnings volatility of a company, it was found that R&D investment for innovation has greater future earnings volatility than R&D investment for imitation.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fact that innovation R&D has greater uncertainty about technology development and market entry than imitation R&D. This paper believes that the reason why the impact of R&D investment has been mixed so far is that the purpose of R&D investment is not analyzed in detail, and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hat the purpose of R&D investment is divided into innovation and imitation. 기업은 기업가치의 극대화를 위한 핵심역량의 확보를 위해 노력한다. 최근에 기술의 고도화와 기술수명주기가 짧아짐에 따라 기술개발에 대한 능력이 기업의 핵심역량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많은 기업들이 연구개발 투자에 전략을 세우고 있다. 그러나 연구개발 투자는 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많은 비용으로 인해 투자에 실패하면 큰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개발비 지출이 미래수익성과 미래이익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기술 산업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개발의 목적이 혁신 또는 모방에 있다고 보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업이 선도적인 위치에 있을 경우 연구개발 투자는 혁신을 목적으로 수행되고, 후발주자의 위치에서는 모방의 연구개발을 행한다고 할 수 있다. 실증분석 결과, 고기술 산업에서는 연구개발의 성격이 혁신일 경우 모방의 연구개발보다 미래수익성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낸다. 연구개발 투자가 기업의 미래수익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의 경우 혁신을 위한 연구개발 지출이 모방을 위한 연구개발 지출보다 더 큰 미래이익변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혁신의 연구개발은 모방의 연구개발에 비해 기술 개발, 시장 진출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 크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그동안 연구개발투자의 영향이 혼재되어 있는 이유를 연구개발 투자의 목적을 세밀하게 분석하지 않음에 있다고 생각하여, 연구개발 투자의 목적을 혁신과 모방으로 나누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리츠 이익 공시에 따른 주가반응에 대한 이익예측오차, 내재변동성, 고유변동성, 투자심리의 영향

        김세진(Se Jin Kim),정정현(Chung-Hyun Chu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리츠의 이익공시정보가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익 공시전후의 기간 동안에 리츠 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이익예측오차, 내재변동성, 고유변동성, 투자심리 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분석대상기간은 2010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이며, 이 기간 동안에 한국거래소(KRX)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모든 리츠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기별 리츠의 이익 공시에 따른 누적초과수익률에 이익예측오차, 내재변동성, 고유변동성, 투자심리, 그리고 이러한 변수들 간의 상호작용이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츠의 이익 공시에 따른 주가반응을 분석한 결과, 이익공시일 전후에 누적초과수익률이 약간 상승하는 패턴을 보였다. 특히, 이익공시 이전의 D-27일에서 D-2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상당한 수준의 양(+)의 누적초과수익률이 존재하였다. 또한 이익 공시에 따른 주가반응은 이익예측오차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익예측오차가 양(+)인 표본에는 이익 공시 전후에 양(+)의 주가표류 현상이 존재하며, 이익예측오차가 음(-)인 표본에는 음(-)의 주가표류현상이 존재하였다. 둘째, 리츠의 이익 공시에 따른 누적초과수익률은 이익예측오차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내재변동성, 고유변동성, 투자심리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익예측오차는 내재변동성, 고유변동성, 투자심리 등의 변수와 상호작용하여 리츠의 이익 공시에 따른 누적초과수익률에 영향을 미치지만, 영향의 방향에 대해서는 일관성 있는 결과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그리고 투자심리는 내재변동성, 고유변동성 등의 영향을 통제한 경우에만 리츠의 이익 공시에 따른 누적초과수익률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analyze effects of earning prediction error, information uncertainty, and investor sentiment on REITs returns. Using event study methodology, abnormal returns of REITs earning announcement are measured with market model, and then cumulative abnormal return (CAR) is regressed on the variables known to have influence on stock return.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s around disclosure of the REITs" earning information are investigated. After then to determine the effect on REITs" cumulative abnormal return, CARs measured on various horizons are regressed on earning prediction error, uncertainty of market information, corporate information uncertainty, and investor sentiment. Period of analysis i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3. All the REITs listed on Korea Exchange (KRX) are investigated. The data of earning announce information were obtained from corporate information disclosure site DART of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FSS). Profit prediction errors are calculated based on the simple prediction model for earnings forecasts. KOSPI 200 implied volatility index of KRX are used as proxy of market information uncertainty. The idiosyncratic volatility measured on 3-factor model are used as proxy of corporate information uncertainty. Investor sentiment is calculated using the monthly consumer sentiment index announced by Economic Statistics System (ECOS) of the Bank of Korea. Average abnormal returns and cumulative abnormal returns of entire sample are investigated, though stock returns exhibit a slight increase around disclosure, it"s hard to state that there are stock return drift phenomena around earning disclosure of REITs in Korea. However, significant return reaction is observed during the period between D-20 and D-27 prior to earning information disclose. The stock market reaction to REITs earning information release occurs mainly by investors" prediction of earning. The impact on cumulative abnormal returns are investigated when profit prediction error, market information uncertainty, company information uncertainty, and investor sentiment are combined and applied as interacting variables. The prediction error appeared to affect the positive effect to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s. And also, market information uncertainty, company information uncertainty, and investor sentiment are found to be effecting cumulative abnormal returns. Influence was different for each independent variable, market information uncertainty and corporate information uncertainty showed positive effect consistently, investor sentiment differed based on types of interaction. Market information uncertaint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o REITs disclosure, when interacting with profit prediction error. Corporate information uncertainty was found to affect the largest effect on positive cumulative abnormal returns of REITs among the variables examined in this study. Even when it adding profit prediction error, upon interaction, market information uncertainty and investor sentiment by strong positive influence. Investor sentiment interacting with profit prediction error has negative influence to cumulative abnormal returns. And when market information uncertainty and corporate information uncertainty are added, the influence of interaction is amplified and may have greater impact on cumulative abnormal returns.

      • 은행의 대출 구조와 수익성 변동에 관한 연구

        강명석,신정훈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19 벤처혁신연구 Vol.2 No.2

        This study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financial statements, loanstructure, ROA and ROA volatility of domestic commercial banks, regional banks and special banks for the past five years (2012 ~ 2016).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ank's ROA is positively related to household loans and SME loans, but it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atio of loans to large companies, sector bias, and loan loss provision ratio. Second, ROA volatil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household loans and SME loans, but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arge corporate loans, sector bias ratio, and loan loss provision ratio. Third,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bles tha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OA volatility of banks were household loans, SME loans, and large enterprise loans. From these empirical results, special banks with high volatility in profits need to diversify loan types and sectors in order to achieve business performance outside of policy finance. and Especially, Suhyup Bank and Nonghyup Bank, which have a large commercial role, have a large size per unit by focusing on short-term profit and Rather than focusing on large companies or large loans that are easy to obtain financial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focus management capabilities on household loans and SME loans by developing capabilities such as screening techniques. 본 연구는 최근 5년간(2012년 ~ 2016년) 국내 시중은행, 지방은행 및 특수은행의 재무제표와 대출구조, ROA, ROA 변동성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관계분석 결과 은행의 ROA는 가계대출, 중소기업 대출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으나, 대기업대출, 업종편중율, 대손충당금 비율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ROA 변동성은 가계대출, 중소기업 대출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으나, 대기업 대출, 업종편중율, 대손충당금 비율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은행의 ROA 변동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가계대출, 중소기업대출, 대기업대출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결과로부터 이익 변동성이 큰 특수은행들은 정책 금융 외의 영역에서는 경영성과 달성을 위해 대출 형태와 업종을 분산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상업적인 역할이 큰 수협은행, 농협은행은 단기적인 수익에 집중하여 단위당 규모가 크고, 재무적 정보를 획득하기 쉬운 대기업이나 대규모 대출에 집중하는 것보다는 심사 기법 등의 역량 개발을 통해 가계대출, 중소기업 대출에도 경영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다단계 확률론적 방법론을 이용한 변액보험의 수익성 분석

        심현우 ( Hyunoo Shim ) 보험연구원 2014 보험금융연구 Vol.25 No.2

        변액보험에서 비대칭적 리스크 특성을 갖는 보증준비금의 경우 기존 연구와 실무에서 확률론적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이를 내포한 변액보험 상품 자체의 수익성은 결정론적으로 분석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보증준비금에만 확률론적 시나리오가 적용되었던 1단계 확률론적 모형화의 한계를 인식하고, 원칙론적인 다단계 확률론적 모형화의 일반적 방법론을 제시하며, 이를 변액보험의 수익성분석에 적용하여 보았다. 분석 결과, 다단계 확률론적 현금흐름을 사용하면 결정론적 시나리오에서 최적가정치 추정시 발생하는 자의성을 제거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으며, 수익성의 확률분포가 비대칭적인 모습을 띠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보증준비금 평가를 미래의 시장상황 변동에 따라 갱신하는 재산출식 다단계 확률론적 방법론을 적용한 결과, 변액보험 수익성 평가의 오차를 줄일 수 있었다. 재산출식 다단계 확률론적 방법론의 경우, 1년마다 보증준비금을 재산출하는 정도로도 수익성 평가목적으로는 충분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For variable life insurance with GMXB(Guaranteed Minimum Benefit), the reserves for GMXB as a component of profit analysis are evaluated using stochastic scenario models, but the profit analysis as a whole is still performed via deterministic modeling methodologies. In this study, we recognize limitation of the above one-step methodology where stochastic modeling is applied only to reserves for GMXB; therefore, we extend it and develop principle-based nested stochastic modeling and then adapt it to profit analysis of variable life insurance. The detailed analysis reveals that the nested stochastic modeling eliminates the arbitrariness of best estimate assumptions arising from deterministic, models and that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profit is asymmetric, Also, we show that the error in profit margin estimation can be reduced by fully-recalculating nested stochastic modeling, which recalculates the reserves for GMDB with new current market information loaded. The recalculation period of one year is found to be sufficient for the purpose of profit analysis of variable insur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