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문학과 번역의 맥락 속에서 살펴 본 한국문학의 오늘

        정명교 ( Myeong Kyo Jeo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3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1 No.2

        이 논문은 한국문학이 자국어문학의 울타리에서 벗어나 세계문학의 구도 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세계화의 급속 한 진행 속에서 한국문학이 자신의 독자성을 지켜나가면서 동시에 세계 문학의 중요한 자원으로서 자신을 위치시키는 일이 여하히 가능할 것인 가?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구하기가 어려운 것은 무엇보다도 한국문학 이 한국어라는 한국인만의 독자적인 언어를 통해 생장해 왔기 때문이다. 만일 한국문학과 한국의 문학인들이 한국어라는 매체를 포기할 수 없다 면 세계문학과의 소통을 위해 별도의 중개 장치를 개발할 수밖에 없는데, 그것이 ‘번역’이라는 것을 한국의 문학인들은 본능적으로 알아차렸다. 따 라서 1990년대 이후 선구적인 번역가들이 출현해 한국문학을 세계에 알 리기 시작했고, 그 후 ‘번역을 통한 한국문학의 세계화’는 가장 보편적인 공식으로 받아들여져 20년 동안 지속적으로 적용되고 확산되었다. 그 노 력은 일정한 성과를 거두어 내, 한국문학의 공간을 세계문학의 지형 내에 조성하는 데에 얼마간 성공하였다. 그러나 그 성공은 아직 초보적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또한 유럽이라는 특정 지역에 국한된 것이었다. 따라서 현재의 시점에서 이 번역 작업의 경과를 살피는 한편, 번역이라는 활동의 의미와 그 가능성을 재점검하고 이 번역 작업에 부응할 만한 현 단계 한국문학의 문학적 성취와 그 의의를 고찰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본고 는 그러한 성찰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번역’은 단순히 주변국의 정신문 화만의 문제가 아니라, 인류사의 전 시대에 걸쳐 문학을 포함한 모든 정 신적 교류의 핵심적 방법으로 기능해온 보편적 기제임을 확인하고, 번역 의 궁극적인 의의는 이질적인 두 정신 세계의 교섭과 더 큰 새로운 정신 세계의 창출임을 인지하여, 그런 의미에서 이상적 수준의 번역은 ‘직역’ 도 ‘의역’도 아니라 ‘문자 대 문자’의 텍스트 수준에서의 통째 번역이라는 것을 추론해 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번역의 이상에 근접하기 위해서는 출발어 문학과 도착어 문학 사이의 ‘호환성’의 정도가 최고도로 증대되어 야 하며, 그것은 결국 번역의 정확성의 차원을 넘어 출발어 세계와 도착 어 세계 사이의 정신적 교류를 촉진하기 위한 출발어 문학의 사유의 깊이 와 사유의 변별성을 요구한다. 필자는 두 여성시인의 시 텍스트를 분석하 여 그러한 사유적 수준과 변별성의 양태를 살피는 것으로 이 논문을 메지 대었다.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a critical view that the Korean literature now should be understood within the sphere of World Literature beyond the enclosure of national literature. Is it possible that, in the rapid progress of the globalization, Korean literature would be situated in the sphere of World Literature as one of the important constituents of it, maintaining her own originality? The response can`t be given easily especially because of the fact the Korean literature has developed in a unique language that only Koreans use as their everyday language. If Korean writers couldn`t and shouldn`t give up the Korean language, then they need a separate equipment to communicate with the readers around the world. Many Koreans perceived that this equipment is merely translation. Therefore, since, in the early 1990s, some pioneers translated the important works of Korean Literature into world languages (English, French…), the translation became the almost sole principle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this principle has been proliferated laboriously over 20 years. Fortunately, these endeavors made a good result in a certain degree. Nevertheless this success is simply an early stage and furthermore is limited to Europe. Therefore, at the present point of time, it is necessary to, while looking over the development of these translations so far, re-inspect the significance and the possibility of the translation, and inquireinto the accomplishments of the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enough to correspond to the efforts of the translators. Through such reflections, we can confirm that the ‘translation’ is not the obsession of minor culture but the universal device as core method for all sorts of the spiritual interchanges in all ages of the humanity, recognized that the ultimate goal of the translation is the harmony of the two heteroclite spiritual worlds and the creation of the new culture through the synthesis of two, and inferred that the ideal translation is neither “word[-]for[-]word” translation, nor translation of the core meanings, but “text for text(lettre-a-lettre)” according to the insight of Paul Ricoeur. These reflections also show that, to arrive in this ideal level of translation,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languages and, in addition to it, between the literatures of both sides must be maximized, and for this that, above the correctness of the translation, both the level and the uniqueness of the thinking, expressions, figures … etc. of the literature of the departure language should be worth to be interchanged with the literatures around the world. In conclusion, we affirmed the coincidence of the Korean Literature with this demand by analyzing the poems of the two contemporary Korean women poets, Kim Seung-hee and Kim Hyesoon.

      • KCI등재

        한국 고전문학 학술서 영역(英譯)의 실제와 방향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를 중심으로

        정혜경 ( Jung Hye-kyung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8 No.-

        한국 고전문학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작품의 英譯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집적된 관련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현재 해외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이들 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및 보완 작업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의 영역 양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한국 고전문학 학술서 영역의 과제와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는 오늘날까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영미문화권에서 유통되고 있는 영문으로 된 몇 안 되는 한국문학 개론서로서 유의미할 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중요하게 활용되는 한국문학 개론서로서 자료적 가치가 있다. 또한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한국어 교육 전공자에 의해 번역된 이 책은 초창기 학술서 번역의 중요한 모형으로서 향후 한국 고전문학 영역의 문제와 전망을 탐색하기에 유용하다.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의 영역 방식을 살핀 결과, 이 책은 원어(Source language)가 목표어(Target language)로 충실히 구현되었으며, 독자 중심의 번역을 구사함으로써 텍스트가 독자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했다. 특히 텍스트의 체제 재구성, 디테일구현, 현대 문체의 적용 및 의미중심 번역을 통해 영미문화권 독자가 느낄 이질감을 최소화하고 가독성(readability)을 높였다. 하지만 이러한 꼼꼼한 번역에도 불구하고 기계적 오역에서부터 단어와 문맥의 오독, 장르에 대한 이해 부족, 의미중심 번역의 문제, 번역의 비일관성, 그리고 본문과 인용문의 비유기적 번역에 이르기까지 제 문제가 존재했다. 이러한 내용적 오류를 교정하고 실천적 차원에서 학술서 번역의 문제를 다루려면 한국의 고전문학 전공자들과의 협업 체계가 구축되고 번역서를 수정·보완해줄 수 있는 시스템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아울러 학술적 차원에서 번역 양상을 재점검하고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는 등 활발한 논의가 이어져야 한다. 특히 고전문학 학술서는 저자의 장르론과 문학관이 투영되어 있으므로 저자와의 충분한 문학적 소통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고전문학 학술서에 인용된 작품은 개별 작품의 번역과는 다르게 의미적 해석을 넘어 독자로 하여금 저자의 해석과 비평이 타당한지 판단할 수 있도록 축자역을 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인용문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본문과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번역되어야 할 것이다. To globaliz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its English translation and previous studies conducted on the works. The materials regarding Korean literature circulated in the global market should be systematically examined and improved as well. This study investigates English translation of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 and proposes ways to improve English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general.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 which is an 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 is one of the rare works translated in English and distributed in British and American societies through various channels. Moreover, it is a material of great value in that it is widely used as an 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 in Korea. This book was translated in English by an English native speaker, who studied Korean education, and therefore, represents a prototype of English translation of studies on Korean literature. It also helps to examine the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English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Judging from the examination of English translation of 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 the source language is well translated into the target language in the book. The translation was done from readers` viewpoint so that the text can be approachable. In particular, it minimizes the chance of British and American readers feeling different/foreign and increases readability by reorganizing the text, realizing the details, using a modern style of language, and translating liberally. Despite the meticulous translation, however, various problems are present including simple errors, misreading of words and contexts, misunderstanding of the genre, issues of free translation, inconsistency in translation, and lack of correlation between the text and the quotation in translation. To correct and practically deal with such errors in English translation of studies on Korean literature, cooperation with Korean classical literature majors and a system which can additionally correct and improve the English transl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addition, academically,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English translation and make an effort to offer a new method of its improvements. In particular, studies on classical literature reflect the authors/researchers` view of literature and genre argument, and therefore, translating them requires sufficient literary communication with the authors. Finally, unlike translating individual works, works quoted in studies on classical literature should be translated literally, rather than liberally, to allow readers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authors` interpretation and criticism. Such works should also be translated in connection with the text so that they could perform their function as quotations.

      • KCI등재

        한중 문화의 소통과 횡단에 관한 일 고찰 : 중국의 한국문학 번역·출판의 예

        임춘성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9 외국문학연구 Vol.- No.33

        이 글은 중국의 한국문학 번역·출판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중 문화교류의 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했다. 현재 한중 문화 교류는 심각한 불균형 상태를 노정하고 있다. 한류 현상으로 인해 한국->중국의 흐름이 주된 것처럼 보이지만 그것은 대중문화에 국한된 일시적 현상일 뿐이다. 한류 이외의 분야, 교육과 번역 그리고 관련 서적의 출판 수량에서 보면 중국->한국의 흐름이 압도적이다. 포스트식민주의 번역 이론가인 자크몬드(R. Jacquemond)에 의하면, 헤게모니 문화는 피지배 문화 속에서 번역에 의해 재현되는데, 그 번역은 그 역의 경우보다 수적으로 훨씬 많고 폭넓은 독자 대중에게 흥미로운 것으로 인식되며 그들이 헤게모니 문화에서 나온 이유 때문에 선택된다고 한다. 반대로 피지배 문화도 헤게모니 문화에서 번역에 의해 재현되기 마련인데, 이 번역은 그 역의 경우보다 수적으로 훨씬 적고 어렵고 전문가의 관심에만 적합하 며 헤게모니적 전형들에 순응하는 것만 선택된다. 한국과 중국의 문화교류는 외형적으로 전형적인 번역의 불평등 관계를 노정하고 있다. 물론 한국과 중국의 관계를 피지배 문화와 헤게모니 문화로 규정할 수 없고 양국 문화에서 헤게모니를 행사하는 것은 영어권 문화라 할 수 있으며 한중 문화 교류는 전지구적 시야에서 볼 때 피지배 문화 사회의 교류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국 문화의 두터움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불균형의 흐름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문학 범주에 국한시켜 말하자면, 한중 교류의 근본적인 패러다임을 수정해야 한다. 한국의 경우 지금껏 중문학자들이 소개하던 단계에서 한 걸음 나아가, 한국의 국문학자들이 왕샤오밍(王曉明)과 다이진화(戴錦華) 등 중국 학자들의 글을 직접 대면해 필요한 부분을 인용하고 중국의 중문학자들에게도 백낙청과 김윤식 등의 글이 읽히고 논의되는 지적 풍토가 조성되어야 한다. 동조든 비판이든 상호간에 읽기를 통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교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양국 작가들의 대면은 개방적 자세로 양적 축적이 지속된다면 진정한 소통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esent my opinion to supplement the explan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examples in the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China. First is the problem of selecting the work. It would be good to listen to the opinions of as many different people as possible before selecting the text. After the first round of selections of works for continued long-term translation, the priority of which work should be translated first should be decided through a conference of all people concerned including writers, Korean literature experts, translators, examiners, and people from the target country’s publishing field. Second is the assessment of the literary value of the work. Yan Fu always comes up when talking about translation standards in China. M. Lederer's langue, parole, and text as the three dimensions of translation), J. R. Ladmiral's final frontier of translation(not word translation or material translation but the translation of thought) etc. Third is the system and criteria of screening. The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carries out a screening process while inviting new translations and when the completed translation is submitted. There is a need to reform the system and criteria of screening, keeping these points in mind. Fourth is the need for a mediator or agency. For example, the Korea Culture & Content Agency has an agency in Beijing. The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should intensify promotional activities abroad in cooperation with such organizations. At the same time, it should consider creating agencies abroad. Through this a network of local experts can be created and actively used to for promotion when needed. Fifth is the knowledge of the Chinese publishing field. From a layman’s perspective, publishing in China fall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Propaganda Department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Another thing to be noted is that the publisher has a large number of experts in its staff. Their expertise is not limited to publishing but also extends to the academic world. Thus we have to fostered it or who understand the value and context of Korean literature. Sixth is the expansion of the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At present, the responsibilities of the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are one-sided.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its role is limited to the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To rectify this situation the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s role should be extended to the translation of foreign literature. A balance would be created by the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andling translations of both Korean and foreign literature allowing it to be faithful to the job of literary translation.

      • KCI등재

        아랍권의 한중일 문학 번역 및 한국 문학의 위상

        ELEWA Alaa F. 한국비교문학회 2022 比較文學 Vol.- No.88

        The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to Arab readers came much later than other East Asian works of literature, especially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South Korea was less fortunate in establishing early active cultural exchange with the Arab world, while early trade and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Arabs, Chinese, and Japanese contributed to the consolidation of early cultural ties between the two parties.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some real-world problems with the translation activities of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in addition to examining the reasons for the uneasy translation activities of Korean literature into Arabic, and accordingly, it examines the situations and some of the problems of translating Korean literature into Arabic. This paper also aims to highlight various efforts made to activate and solve the problems of Arabic translation activities of Korean literature. This paper is general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discusses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the Arabic translation of Chinese and Japanese literary works, as well as the challenges it faces. While the second part focuses on the history of translating Korean literary works into Arabic, its current status, and the efforts made to improve the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It also reviews some of the practical problems facing translating Korean literature into Arabic including publishing, promotion, etc. 한국 문학의 아랍어 번역은 중국과 일본 문학의 아랍어 번역보다 약 50 년 늦게 출발하였다. 중국과 일본 문학의 아랍어 번역은 일찌감치 활성화된 아랍 세계와 중국, 그리고 아랍 세계와 일본 간의 교역 및 외교 관계의 영향 때문이라고 볼수 있다. 오래된 번역 역사임도 불구하고 두 나라 문학의 번역이 그리 순조롭지 못한 측면들이 있었고 아직도 극복해야 할 문제점들이 있다. 한정된 독자층, 재판 문제, 이슬람권에 어울리지 않은 문화요소, 국제수상작을 중심으로 한 작품선정 등의 체계적인 번역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다양한 현실적 문제를 본 논문에서 자세히 알아본다. 이는 역시 한국 문학 아랍어 번역에서도 나타나고있다. 2000년대 중반에 시작된 한국 문학의 아랍어 번역 활동은 지속적으로 활성화되고 있으나, 독자층의 성립, 올바른 홍보, 한국문화와 역사에 대한 아랍인의 인식 등과 같은 문제점들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는 한국 문학의 번역 활동을 이어가려면 작품 번역 외에도 한국 문학, 역사, 문화 등을 소개하는 ‘아랍어로’ 된 도서와 다양한 행사를 통해서 한국 문학 알리기 활동 등의 홍보가 필요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번역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평을 통한 번역 검증도 시급하다. 이 같이 본 논문은 먼저 중국과 일본 문학의 일찍이 시작된 번역 활동의 현황 및 문제점을 다룬 후, 이를 바탕으로 한국 문학의 아랍어 번역 활동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완성된 번역 활동을 위해 실행되고 있는 노력들을 조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중역과 혁명, 비상시의 세계문학과 그 사명 - 김남주의 시와 번역을 실마리로 -

        황호덕 ( Hwang¸ Ho-duk ) 반교어문학회 2020 泮橋語文硏究 Vol.0 No.56

        세계문학은 대개 이질성의 도입(해외문학), 세계성의 성취(세계문학), 언어횡단적 실천(번역문학)이라는 측면에서 각각 문명, 교양, 주체라는 뚜렷한 지향들 속에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혁명적 상황이나 예외상태와 같은 비상시에는 세계문학의 사명이나 역할도 변화할 수밖에 없다. 1970~1980년대의 한국과 같은 비상시의 사회에서 세계문학은 혁명적 상상력의 유력한 경로가 될 수도 있었다. 이 시기의 대표적 시인인 김남주는 해외의 혁명문학에 대한 독서와 번역을 통해 세계문학을 혁명의 번역가능성으로 각인시켜 나갔다. 김남주는 작가로서의 삶 이전에 투사로서 살았으며, 지하 활동의 과정에서 시와 번역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시가 혁명을 위한 이데올로기적 준비가 될 수 있고, 번역이 세계 곳곳의 싸움을 국지화된 운동의 의지로 재점화할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된 것이다. 세계문학의 번역가능성은 당대 한국의 혁명 가능성이기도 했다. 한편 운동의 조건과 투옥자로서의 물리적 환경으로 인해 라틴아메리카, 알제리, 베트남을 위시한 각지의 혁명문학에 관한 김남주의 번역은 대개 영어 혹은 일본어를 매개로 한 중역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파블로 네루다, 오시마 히로미츠(大島博光), 김남주 간의 ‘언어적 이행’이 그런 경우이다. 하지만 김남주의 사례에서 보이듯, 중역이란 혁명의 가능성들 사이에 필연적으로 개재된 제국들의 힘 혹은 흔적이었기에 후기식민지인으로서는 그 자체를 무기화하는 일도 가능했다. 복합적 모순들의 거처에는 복합적 번역 경로-역로(譯路)가 구조화된다. 문제는 김남주가 이를 한계로 보지 않고 수중의 무기로 삼았다는 사실이다. 중역이란 밖으로 나가려는 운동의 잠정적 단계이자 후기식민지의 유산과 탈식민화의 지향 사이의 아이러니한 전진이기도 했다. 비상시의 세계문학은 제국들의 언어와 그 체제를 관통하며 시험된다. 그런 의미에서 중역은 독이자 약-파르마콘이다. World literature has been generally understood in distinct orientations of civilization, culture[Bildungs], and universal subjectivation. Terms such as 'overseas literature' meaning the acceptance of heterogeneity, 'world literature' aiming at the achievement of universality, and 'translational literature' emphasizing translingual practice represent a typical understanding of world literature in modern Korea. However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add another concept of world literature like this: “world literature in the state of exception" or "translatability of revolution". In an emergency state like South Korea in the 1970s and 1980s, world literature could be a powerful path for revolutionary imagination. Kim Nam Ju(1946-1994), a representative poet of this period, re-imprinted world literature as 'translatability of the revolution' through translation of revolutionary world literature. Kim Nam Ju lived as a revolutionary before a poet, and discovered the revolutionary possibility of poetry and translation in the course of his underground activities. He came to think that poetry could be an ideological preparation for the revolution, and that translation could reignite fights around the world with the will of a localized movement. For him, the possibility of translation meant the possibility of revolution in Korea at the time. However, due to the conditions of the movement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as a prisoner, Kim Nam Ju’s translations of revolutionary literature in Latin America, Algeria, and Vietnam were usually double-translations through English or Japanese. For example, the translation of the poem of Pablo Neruda appeared as a "linguistic transition" between Hiromitsu Oshima and Kim Nam Ju. On the other hand, since the double-translation was a trace of the empires inevitably intervened between the possibilities of revolution, it was possible to weaponize itself for the post-colonial subject. Complexity of translational pathways are structured in the topos of complex contradictions. Kim Nam Ju tried to use it as a paradoxical weapon rather than a limitation of the post-colonial rule. World literature in the state of exception is tested by passing through the imperial languages and systems. In that sense, double-translation is both poison and drug-parmacon.

      • KCI등재후보

        한국 근대 번역문학사 성립의 기원과 역사성

        박진영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4 탈경계인문학 Vol.7 No.2

        Lee Gwang-Su and Yang Geon-Sik were the first to suggest the terminology of translated literature as a historical concept in Korea. Lee and Yang shared a modern notion of literature as introduced through Japan, and by grasping Chinese letters and Chinese literature as the other, they started to perceive the identity of the native language (national language) and native literature (national literature) in the context of literary history. Yang in particular perceived Chinese literature as foreign literature, and clearly showed a sense of identity in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modern native literature through translation. Yang Geon-Sik was the first professional translator of Chinese literature, and was the largest translating agent in the colonial period. He translated colloquial Chinese literature (báaihuàa wéenxuée) and the theory of literary revolution through double translations (second-hand translations) from Japanese, and changed the perception of Chinese literature into a modern one. Yang Geon-Sik was able to comprehend Chinese literature within the context of world literature by moving in and out of Western literature and Chinese literature, between classic and modern literature, and double translation (secondhand translation) and direct translation. By examining the beginnings of translated literature in Korea, the practicality of double translations (secondhand translations) and the historicity of world literature in East Asia can be re-evaluated.

      • KCI등재

        국내 중동문학의 번역 상황 고찰: 아랍 문학을 중심으로, 1970년대 초부터 2011년 5월까지

        김능우 ( Neung Woo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2011 중동연구 Vol.30 No.2

        This research aimed at surveying the literary works of the Middle Eastern countries which have been translated into Korean for the past about forty years since the early 1970s, and studying the course of that translation. The fact that history of translation of foreign literary works in Korea started by an adaptation of The Thousand and One Nights in 1895, demonstrates that the Middle Eastern literature has been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in world literature. Importation of the Middle Eastern literary works into Korea in the 1970s had its limits in that the translation has been conducted by non-specialists in the Middle Eastern languages, who translated them from English, French, or Japanese. My survey shows that Selection of Arab short stories translated by Song Kyong Sook from Arabic in 1984 is considered the first Korean translation from an original text of the Middle Eastern literature. In the 1990s, some Korean universities have turned out specialists in Arabic, Turkish and Iranian, who tried to translate several literary works, mostly classical works and modern novels. With regard to the translation movement of Arabic literature, I found: first, Arabic classical literary works have been translated constantly, and there is necessity to search for a new list of suchones; second, the translation of modern literary works have been concentrated regionally in Egypt and Palestine, so we should seek balanced translation between 22 Arab countries; third, in selecting literary works to translate we have taken into consideration name value of writer, importance of writings, and timeliness of works, and this criteria for selection is still available.

      • KCI등재

        번역으로서의 세계문학― 세계문학과 번역의 위치

        김용규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21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he possibility of world literature in terms of translation. The role of translation is indispensable to world literature in that it is an important process in which literary works move up to a more universal and general level beyond their specificity or locality. Goethe’s and Marx’s theory of world literature would also be hard to emerge without the international exchange and translation of literatures between cultures. Exploring world literature as translation means how literature moves around the world, how literature moves from source culture to target culture, what changes and refractions are taking place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how these crossings and migrations transform the culture. Translation needs to be understood as a ‘process’ in which texts are not only linguistically translated in the text but also across cultures and ideas. Translation as a process includes both new cultural phenomena which translated texts produce in the target culture rather than translation of specific objects or texts, and the process of refraction, hybridization, and transformation that occurs when new ideas or concepts enter into the target culture. Once based upon this view, the materiality of the translation process without obsessing with the equivalence or transparency of translation reveals itself. Translation in world literature is a major mechanism that shows its important operation, as well as the problem of inequality and asymmetry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By engaging with the location of translation in mind, world literature seeks to think of itself in a way that translates the inequality of the world literary space and revisits it through transcultural practice. 이 글은 ‘번역’의 관점에서 세계문학의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번역은 해당 작품이 그 특수성이나 지역성을 뛰어넘어 보다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수준에 도달하는 중요한 과정이라는 점에서 세계문학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과제이다. 괴테와 맑스가 말한 세계문학론 역시 문학의 국제적 유통과 문화 간 번역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등장하기 어려웠다. 번역으로서의 세계문학을 탐구하는 것은 ‘문학’이 어떻게 ‘세계’를 이동하는가, 문학이 자신의 원천문화를 떠나 목표문화로 나아가는 번역 과정 속에서 어떤 변화를 겪는가, 이런 횡단과 이동이 목표문화에 어떻게 이식, 굴절, 변형되는가에 초점을 두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말하는 ‘번역’은 텍스트 내의 언어적 번역뿐만 아니라 이념들 간의 문화번역까지 염두에 둔 ‘과정’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민주주의, 진보, 계몽, 근대성과 같은 사상이나 이념이 목표문화 속에 수용되어 야기되는 굴절, 혼종, 변형의 과정 역시 번역 개념에 포함된다. 이런 시각을 가질 때, 번역의 등가성이나 투명성에 집착하지 않으면서 번역과정의 물질성에 주목하게 된다. 번역은 중심과 주변의 불균등성과 비대칭성을 동시에 안고 있는 문제이며 세계문학의 중요한 작동을 드러내는 핵심 기제이다. 번역으로서의 세계문학은 번역의 위치를 항상 염두에 두고 세계문학 공간의 불균등성과 불평등성을 문학의 세계구성을 통해 번역하는 한편 그 번역을 통해 세계문학 공간의 불평등을 정정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터키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 문학 번역 교재 개발 연구

        하티제 쾨르올루 튀르쾨쥬(Hatice Koroglu Turkozu),괵셀 튀르쾨쥬(S.Goksel Turkozu) 중동유럽한국학회 2020 CEESOK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1 No.1

        Korean literature was an unknown world to the Turkish readers until the 1990s. Because until that time, there was no Korean literary work introduced in Turkey. The first Korean work translated into Turkish was in 1993, not translated directly from Korean, but translated from French. Because there are very few professional translators who can translate Korean literature in Turkey,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Erciyes University opened two courses in Korean translation classes at the undergraduate level in 2015. There are two courses: ‘general translation’ in the third grade and ‘literature translation’ in the fourth grade. Until now, these two courses have been done without textbooks. Now translation materials are being written so that translation classes can be done smoothly. When Korean literary textbooks are developed, firstly, customized and specialized Korean textbooks are prepared, which are tailored to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local characteristics, and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lso Korean translation class can be done more systematically and professionall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publication of Korean translation materials in Turkey will facilitate the opening of classes related to Korean translation in other universities. It is expected that the establishment of Korean translation classes in Turkey and the publication of the Korean translation materials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reliable Korean and Korean translation infrastructure in Turkey in the long term. The establishment of such a translation infrastructure is believed to lead to the expansion and promotion of communication and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t will be an important step in further strengthening and enhancing Korean and Korean studies and education programs in Turkey. Also, the translation of Turkish literature in Korea is limited within the limited scope of professional translators. The training of literary translators in Turkey is also very important in informing the Turkish literature to Korea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paratory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literary translation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the translation classes for Turkish learners. We would like to discuss the objectives, necessity, contents and writing methods of literary translation materials.

      • KCI등재

        문학 한류와 한-서 문학 번역의 새로운 전환 K-소설의 스페인어 번역출판을 중심으로

        김희진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22 통번역학연구 Vol.26 No.1

        In the last 10 years, Korean literature has drawn substantial attention from the global book publishing industry, with “K-Literature” and the “Korean Wave in Literature” entering the lexicon. Since Please Look After Mom by Shin Kyung-sook won the Man Asian Literary Prize in 2011, many Korean novels have won internationally renowned literary awards one after another, with an unprecedented amount of publishing rights sales to markets across the world. This indicates that Korean literature has shown potential as a new type of content for the Korean wave, and has entered the arena of international literature, shedding the tag of local literature. This study examines the Spanish translations of Korean literary works that have led the shif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ublishi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into Spanish.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ata from Overseas Translation Support Program (2001-2021) of the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a government-funded program for promoting translation and publishing of Korean literary works, this study identifies three major characteristics in the translation of K-Novels in Spanish-speaking countries: a) change in the role and status of English as an intermediary language for literature, b) change in translators, and tentatively, c) the potential for a system in which the works of a specific writer are translated by the same transla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