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뉴딜 정책에 부응한 전남 진도군의 문화관광 정책추진 방향과 과제연구

        이웅규 ( Lee Woong-kyu ),구정대 ( Goo Jung-dae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1

        본 연구는 여가나 관광의 문제가 여행의 문제가 아닌 삶의 질 문제로 접근하는 시대가 되면서 전남 진도군의 문화관광 정책도 거시적, 미시적 트렌드 변화를 반영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급변하는 관광 트렌드에 따른 관광객들의 관광행태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최근 각종 트렌드 변화를 반영하고 중앙정부의 디지털뉴딜 정책에 부응한 전남 진도군이 추진해야 할 문화관광 정책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정보통신기술(ICT)의 급격한 발전이 가져다준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인해 정치·경제·사회·문화·환경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는 인터넷과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을 활용해 유·무형의 콘텐츠들을 국제적으로 거래하는 디지털 컬쳐 트레이드(Digital Culture Trade)의 시대를 열었을 뿐만 아니라 다종다양한 관광플랫폼의 확산으로 글로벌 관광시장의 효율화, 투명화로 관광객의 참여와 교류확대를 견인하면서 국제관광시장과 국내관광시장을 급성장시키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는 여성의 소득 및 지위 향상, 1인 가구의 증가, 더욱 확대된 개인주의 성향, 일보다 삶의 질을 중시하는 라이프스타일의 확산으로 인하여 관광의 기본가치라고 할 수 있는 융합, 모바일, New 3S(Safe, Sustainable, Social)가 주요한 핵심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들과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최근 트렌드변화와 정부의 디지털 뉴딜 정책에 부응한 전남 진도군의 문화관광 정책 추진 방향과 과제를 6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우수한 해양역사문화관광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둘째, 진도군의 관련 관광상품에 대한 홍보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다. 셋째, 진도군 문화관광 정책을 전담하기 위한 조직구성과 인력 충원, 그리고 인력양성정책의 추진이다. 넷째, 진도군 문화관광 정책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재원확보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다섯째, 진도군 문화관광 정책 추진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적 장치의 마련이다. 여섯째, 진도군 문화관광 정책의 사업지원 범위의 확대 추진을 제안하였다. 이는 미래 성장 잠재력이 무궁무진한 전남 진도군의 관광 가치를 다시 파악하는 것이 될 것이며 진도군의 문화관광 정책의 기본적인 추진 방향과 과제 해결에 기본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started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cultural tourism policy of Jindo-gun, Jeollanam-do should reflect changes in macro and micro trends as the issues of leisure or tourism are approached not as a matter of travel but as a matter of quality of life.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various cultural tourism policies in order to respond to the changes in tourism behavior of tourists according to the rapidly changing tourism trend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particular, the aim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tasks of cultural tourism policy that Jindo-gun, Jeollanam-do, in response to the government's digital new deal policy. Due to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rought about by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ICT), the Internet and SNS(Social Network Service) are being used in almost all fields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environment. It means that the era of digital culture trade, in which tangible and intangible contents are traded internationally, has begun. In particular, the spread of a variety of tourism platforms has made the global tourism market more efficient and transparent, and is leading the expansion of tourist participation and exchange. This is a major factor in rapidly growing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tourism markets. In Korea, a lifestyle that emphasizes the quality of life rather than work is spreading, improving the income and status of women, increasing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expanding individualistic tendencies, and placing emphasis on quality of life over work. For this reason, convergence, mobile, and New 3S(Safe, Sustainable, Social), which are the basic values of tourism, are emerging as key trend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six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promotion of cultural tourism policy in Jindo-gun, Jeollanam-do, in response to recent trend changes and the government's digital new deal policy,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big data analysis. First, it is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to develop excellent marine history, culture and tourism contents. Second, the promotion policy of Jindo-gun related tourism products is actively promoted. Third, it i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manpower recruitment, and manpower training policy to be in charge of the Jindo-gun cultural tourism policy. Fourth, it is important to secure sustainable and stable financial resources for the Jindo-gun cultural tourism policy. Fifth, it is the provision of a legal mechanism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promotion of Jindo-gun cultural tourism policy. Sixth, it was proposed to expand the scope of project support for the Jindo-gun cultural tourism policy.

      • KCI등재

        몽골의 관광산업 정책 개발에 관한 연구

        아마르툽신(Lkhagvasuren Amartuvshin),변정우(Jeoung Woo Byun)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2 호텔경영학연구 Vol.21 No.2

        This paper examined tourism policy development in Mongolia because few studies on Mongolian tourism policydevelopment have been undertake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inbound tourism policies and their effects on tourism industry development in Mongolia after the economic transition to a market economy in 1990. The study was divided into two periods (1990-2000; 2001-2011), which were distinguished by different levels of tourism policy development in Mongolia. During these periods, the tourism sector became one of the main industries of the national economy of Mongolia. The periods were identified in terms of tourism policy demands, policy decisions and the impact of tourism policies. The core framework of this study is based on Hall`s model (Hall,1994) and a structural model of tourism policy (Goeldner & Ritchie, 2009), which suggested how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tourism policy components and elements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Findings indicate core changes and main indicators of the tourism industry of Mongolia. They show how these indicators changed during the two periods by comparing the contents with all policies and their results. The roles played by the Mongolian government are also discussed and som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tourism policy of Mongolia are represented for other developing countries.

      • KCI등재

        지역사회기반 섬 관광정책의 성과와 과제 -행정안전부 ‘찾아가고 싶은 섬 사업’을 중심으로-

        강신겸,이진형 동북아관광학회 2018 동북아관광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기존의 문헌에서 나타난 지역사회기반 관광의 개념과 원칙을 토대로 행정안전부의 찾아가고 싶은 섬 관광 정책의 성과와 과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해 본 탐색적 성격의 연구이다. 분석결과 찾아가고 싶은 섬 사업은 기존 섬 개발정책과 차별화된성과를 거두었으나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도 없지 않았다. 첫째, 찾아가고 싶은 섬 사업은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정책과 차별화된다. 특히시설조성 중심에서 주민참여와 역량강화사업 중심으로 섬 관광정책의 방향을 전환했다는 점은 섬 관광정책에 있어 큰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찾아가고 싶은 섬 사업이 주민의 주체적 참여 및 주민 역량 강화에 기초한 지역공동체사업의 추진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였지만 섬 지역의 취약한 인적자원으로 인해 그 실행에는 한계가 있었다. 셋째, 찾아가고 싶은 섬 사업의 경우 계획수립단계에서 전문가 컨설팅제를 도입하는 등 기존의 관 주도 섬 관광정책 추진방식에서 진일보한 측면이 있지만상시적인 중간지원체계 구축으로 이어지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넷째, 찾아가고싶은 섬 사업의 경우 추진과정에서 동일한 규모의 사업비가 사업대상 섬에 일률적으로 지원되다보니, 예산규모에 맞추어 사업을 기획하고 추진되는 경향이 있었다고 할수 있다. 마지막으로 찾아가고 싶은 섬 사업은 사업의 시설 및 공간의 개발이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개발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방향성은 바람직했지만 구체적인 실천전략이 부족했다. 이러한 평가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역량 강화, 고유 자원에 기반한 섬 여행 방식과 가치창출, 경쟁력 있는 관광사업 발굴과 지속가능한 관리운영모델 구축, 자원 및 경관의 보전, 이해관계자 네트워크 및 중간지원 조직구성이라는 다섯 가지 측면에서 섬 관광 정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보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achievements and future tasks of Korean island tourism policy based on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community based tourism.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first, previous researches on the concept of and principles of community based island tourism were critically reviewed. Then, ’The Attractive Island Tourism Development Policy of the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ty based tourism. The development policy started in 2011 and a total of 37 sites were selected for island tourism development using tax money. The achievements of the policy are as follows. First, the policy differs from previous island tourism policies in that it is based on the sustainable tourism policy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Korean island tourism policy. Second, the policy was remarkable in that it took the bottom up approach and emphasized resident participation and community empowerment. Third, the policy employed the expert consulting system from the planning stage and it could be considered one step forward from the previous government initiative island tourism development. Fourth, same amount of tax money was evenly allocated to each of the island tourism project and it caused ineffective island tourism planning. Future tasks of community based island tourism development were also suggested at the end.

      • KCI우수등재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코로나19 관련 관광이슈 및 정부 정책 분석: 정부 정책자료와 온라인 뉴스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송혜민,김홍범 한국관광학회 2022 관광학연구 Vol.46 No.3

        It is recognized that the public's interests are required in the policy-making process, so there is much to investigate regarding the specific topics that have emerged regarding COVID-19 and tourism. As a result,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omprehend the tourism issues that the general public is interested in, as well as the topics of the government's tourism policy in the COVID-19 era. This study used topic modeling methods to analyze 13,686 online news articles and 143 government policy data. This study identified five major topics through data analysis on online news data (revitalization of tourism economy, domestic travel, regional quarantine policy, tourism employment, international travel). The analysis of press-released tourism policy data, on the other hand, resulted in dimensions such as industry change response strategy, safety, international tourism revitalization, tourism content development, and system improvements.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similar economic topics such as employment and recovery emerged as key dimensions from online news. Quarantine policy-related topics, on the other hand, have emerged as critical topics from tourism policy data. It indicates that there were gaps between issues that drew public attention and government policy that addressed them. By examining the issues of interest in COVID-19 and tourism,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 foundation for systematic exploration of social issues and policy establishment in future tourism crisis circumstances. 코로나19 대유행이 장기화됨에 따라 관광 분야의 사회적, 경제적 타격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발표하고 있고 이러한 정책 결정 과정에 있어 대중들이 관심을 갖는 사회이슈의 정책과정 반영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와 관련된 이슈가 빠르게 변화하고 의료, 방역등 다양한 분야와 밀접한 연관을 띈다는 특성으로 이와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코로나19 의 확산이라는 사회적 이슈의 발생에 따라 대중들이 관심을 가지는 이슈의 세부 주제 및 정부 발표 관광 관련 정책에 대해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토픽 모델링 기법 중 LDA 모델을 적용하여 2020년 02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보도된 뉴스 자료 13,688건과 정책 보도자료 143건을 분석한 결과 일반 대중들이 코로나19 및 관광과 관련하여 관심을 가지는 주제는 관광경제 회복, 국내 관광, 지역방역, 관광고용, 해외여행으로 나타났으며 문체부 정책보도자료 분석결과 관광 산업 변화 대응, 여행지 안전 및 방역, 국제관광 회복, 관광 콘텐츠 개발, 제도개선의 주제가 파악되었다. 온라인 뉴스와 정부 정책 보도자료 비교 분석결과 온라인 뉴스에서는 관광고용 및 관광경제 회복 등 유사한 토픽이 주로 도출되어 특정 주제에 대한 논의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정부 정책에서는 방역과 관련된주제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중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이슈와 이에 대응하는 정부 정책의 세부 주제 간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 및 관광 관련 대중들이 관심을 가지는 이슈를 세부적으로 살펴보고 정부의 정책적 대응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향후 관광 위기 상황에서의 사회 이슈의 파악과 정책수립에 대한 체계적 탐색을 위한 기반을 제공했다는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 KCI등재

        관광경찰제도의 정책집행영향요인 연구

        이연택(Youn Taek Lee),김형준(Hyung Joon Kim)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4 觀光硏究論叢 Vol.26 No.3

        본 연구는 융합정책의 대표적인 유형인 관광경찰제도의 정책집행영향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관광경찰제도, 정책집행, 정책집행영향요인 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이루어졌다. 이를 토대로 하여 종속변수인 집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을 정책내용, 집행조직, 정책환경 영역의 범주에서 도출하여 인과관계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미시적 접근에서 설문조사법이 적용되었으며, 서울지역 관광경찰대에 소속된 일선실무담당자를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정책내용 영역에서는 정책의 소망성과 적용성 요인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행조직 영역에서는 담당공무원의 업무역량이, 정책환경 영역에서는 정책대상집단의 지지와 관광인프라 구축이 각각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일선실무담당자의 업무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었으며, 정책대상집단의 지지확보가 강조되었다. 이와 함께 관광인프라 구축이 중요 과제로 제시되었다. 이론적 기여로는 통합적 집행방식이 적용되었다는 점과 관광정책의 특징을 반영한 관광정책집행 모형의 구성을 들 수 있다.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policy implementation of tourism policy system. The literature review covered the concepts of tourism police system and policy implementation,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se topics. A research model was designed to establish the research hypotheses. The survey method was applied from the micro level approach, and the research sample was street-level officials of Seoul Tourism Police unit.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desirability and applicability of policy in the field of policy content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level of policy outcomes, and that the task capacity of street-level officials in the field of implementing organiz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over the level of policy outcomes, and that the support of policy target group and tourism infrastructure in the field of policy environment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level of policy outcomes. Theoretically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ourism policy implementation model incorporating the aspects of tourism policy. Practic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task capacity of officials, the support of policy target group, and the tourism infrastructure be enhanced and strengthened.

      • KCI등재

        연구논문 : 지역 수상관광개발의 관광거버넌스 형성과정 정책네트워크 분석 - 낙동강 생태탐방선 도입 및 뱃길복원 관광자원화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김아진 ( Ah Jin Kim ),김이태 ( Yi Tae Kim ),박태준 ( Tae Jun Park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5 觀光硏究 Vol.30 No.5

        본 연구는 2012년부터 지방정부 주도로 시작된 낙동강 하천유람선 도입 구상에서부터 2015년 낙동강 생태탐방선 도입과 낙동강 뱃길복원 관광자원화 사업에 이르기까지의 수상관광 정책결정과정을 사례로 선정하여 정책네트워크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정책결정과 정을 정책도입기, 정책추진기, 정책집행기로 나누어 각 시기의 정책네트워크 구조와 정책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친 주요 정책환경과 이를 통해 산출된 정책변동을 살펴보았다. 정책도입기에 반대입장을 표명했던 어촌계가 정책집행기에 찬성입장으로 바뀌어 사회적기업인 ‘낙동강 관광두레’를 조직하고 지방정부와 협력하여 관광거버넌스를 구축한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각 정책결정단계에서 정책행위자의 출현과 네트워크 구조 변화에 영향을 미친 주요한 정책환경이 있었다. 특히, 어촌계의 태도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사회·경제적인 정책환경과 ‘낙동강 뱃길복원 시민협의회’를 통한 민주적인 협의과정을 들 수 있다. 시민협의회의 구성에 있어서 정책연구기관인 BDI가 주축이 되어 어느 정도 갈등을 감소시키는 중간자 역할을 하였으며, 이로 인해 어촌계의 협력을 좀 더 용이하게 이끌어낼 수 있었다. 또한, 상향식 관광개발의 형태로 나아가려는 정부정책의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금까지의 내륙관광개발의 사례에서 벗어나 수상관광개발에서의 거버넌스 구축과정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향후 정책결정과정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pplied and analyzed policy network models by selecting policy making procedures of water based tourism as cases from the plan of introducing a cruise on Nakdong River which has been started by the lead of a local government since 2012 to the introduction of an eco-tour ship on Nakdong River and also the business of tourism resources by restoring a waterway on the river in 2015. The procedures were divided into the introductory period, acceleration period, and execution period of policy. Then, policy network structure of each period, main policy environment which influenced policy networks, and policy changes produced by them were looked into. Extracted implications are like the next. There was an important policy environment which affected emergence of policy actors and changes of network structure in each policy making stage. In particular, as factors that had effect on attitude changes in fishing village societies, a socio-economic policy environment and a democratic cooperation course through a ‘citizen conference for the waterway restoration on Nakdong River’. In the construction of the citizen conference, BDI as a policy research institute formed a pivot role and played an intermediate role in decreasing conflict somewhat. Owing to this, cooperation of the fishing village societies could be elicited more easily. Also, a tendency of governmental policies which were intended to go into the form of bottom-up tourism development could be confirmed. Out of the case of inland tourism development until now, in that governance construction processes in water tourism development were examined, a lot of implications will be provided in future policy making procedures.

      • KCI등재

        섬 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 추진 단계 고찰

        이웅규 한국도서(섬)학회 2024 韓國島嶼硏究 Vol.36 No.1

        본 연구는 섬 관광 활성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중앙이나 지방정부 차원에서 섬 관광 활성화 및 발전을 위한 정책 추진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섬 관광이 아닌 섬 여행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중앙 및 지방정부가 섬 관광정책 추진 차원의 접근이 아닌 섬 여행에 대한 정책과 비전을 가지고 접근해야만 이에 대한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섬 여행자 관점 또는 시선에서 ‘섬 관광’을 바라보는 시도나 접근을 해야 한다. 섬 관광콘텐츠를 적극적으로 발굴하면서 섬 관광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정책 추진 방안들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중앙 및 지방정부는 관광객이 공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섬 관광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여, 낙후하여 소외되어 가는 섬 지역의 소멸을 방지하는 장기적이고 전략적이면서 체계적인 접근을 하는 현명한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본 연구는 관광과 여행을 굳이 구분하지 않고 일반적인 차원의 관광 논리를 펼치면서 섬 관광시설도 관광객의 일상적인 공간과 유사한 환경으로 조성되어 섬 주민의 주거 공간까지 영향을 미칠 정도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길 기대하며 문헌 고찰을 집중적으로 실시하였다. 관광과 여행에 대한 이해로부터 섬 관광 활성화 문제는 시작해야 한다. 그것이 섬 관광 난제(難題)를 해결하는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섬 관광’이 언제부터 우리나라에서 쓰였는지 몰라도 ‘섬 관광’ 대신에 ‘섬 여행’이라는 표현이 훨씬 더 적합하다. 왜냐하면, 일반적인 관광행태와는 전혀 다른 양상으로 접근해야 가능한 곳이 ‘섬’이기 때문이다. 관광은 일상생활권을 떠나 다시 돌아갈 예정으로 쾌(快, pleasure)를 목적으로 즐겁고 편안하고 행복하고 쾌적하게 다녀오는 사람 활동이지만, 여행은 고통, 고생, 고민을 통한 자유(自由)를 갈구하는 인간 행동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유사한 관광지가 관광객(tourist)에게 주목을 받게 되는 이유이다. 왜냐하면, 사람 대부분이 싸이코센트릭스(psychocentrics), 즉 Psychocentrics Dependables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단체여행을 선호하고 이미 잘 알려진 대중적인 관광지를 선택하는 경향을 지녔다는 점에서 비교적 잘 알려지지 않은 섬에 가서 화장실과 인터넷 통신 등의 불편함을 참으며 관광 활동을 하는 사람은 없다는 의미이다. 그런 측면에서 섬을 방문하는 사람은 관광객이 아닌 여행자(traveller)의 관점에서 여행하러 온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그런데도 본 연구는 ‘섬 관광’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정부 정책의 시급성과 섬 지역 주민의 염원을 고려하여 ‘섬 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 추진 단계’연구를 진행했다. 물론, 연구자는 학자의 양심을 비켜나가 연구업적평가를 위해, 그리고 지자체 장(長)이나 대통령이 자신의 치적 쌓기나 정치적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저지른 과욕이었음을 밝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소외당하고 낙후하여 가는 섬 지역 주민을 위한 섬 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이라는 차원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 결과, 중앙 및 지방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섬 관광 활성화 정책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 본 연구는 다음의 대전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섬 관광객이 섬에 입도(入島)하는 순간 익명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섬 지역이 협소하다는 특징에서 비롯된 것이다. 둘째, 섬이 ... This study presented matters to be considered at the policy implementation stage for revitalizing and developing island tourism at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 level. In particular, in order to revitalize island travel rather than island tourism, it must be kept in mind tha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can only achieve results if they approach it with a policy and vision for island travel rather than an approach that promotes island tourism policy. To this end, an attempt or approach must be made to look at ‘island tourism’ from the island traveler’s perspective or perspective. While actively discovering island tourism content, we proposed several policy implementation measures to revitalize island tourism. Through thi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prepared practical plans to revitalize island tourism with which tourists can sympathize. Namly, we wanted to provide a wise opportunity to take a long-term, strategic, and systematic approach to prevent the extinction of underdeveloped and neglected island regions. The issue of revitalizing island tourism must begin with an understanding of tourism and travel. This is because it is a shortcut to solving the island tourism problem. I don’t know when ‘island tourism’ was used in Korea, but the expression ‘island travel’ is much more appropriate than ‘island tourism’. Most people prefer group travel and choose well-known and popular tourist destinations. This means no one goes to a relatively unknown island and engages in tourist activities while enduring inconveniences such as bathroom access and internet communication. In that respect, people who visit the island often travel from the perspective of a traveler rather than a tourist. Nevertheless,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Policy implementation steps for revitalizing island tourism’ by considering the urgency of government policy to revitalize ‘island tourism’ and the aspirations of island resi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order for the various island tourism revitalization policies promoted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o achiev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major premises. Firstly, the anonymity of island tourists is not guaranteed the moment they enter the island. This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island area is small. Secondly, given that the island is small and has limited capacity, attracting excessive tourists can lead to various social, cultur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over-tourism, so a reservation system and thorough construction of tourism infrastructure were suggested. Thirdly, the convenience of island tourists is improved by systematizing the island tourism process in a comfortable, fast, and one-stop way, including modernization of the passenger terminal and fare discounts until entering the island, strengthening of ticket services, and provision of transportation convenience within the island after entering the island. Lastly, a system and platform that can respond to climate change must be established to create a comfortable island tourism space to revitalize island tourism. Namely, island tourism in all four seasons is impossible throughout the year. Meanwhile, it was suggested that the steps to promote island tourism revitalization policies include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preemptive island tourism policy investment plans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step-by-step business progress according to the investment plan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phase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to accommodate island accommodation. The second stage proposed the promotion of the island transportation network and parking lot expansion project. The third stage proposed the modernization of ports and passenger terminals and promoting port maintenance projects. The final step suggested that the perception that MICE events such as island festivals are a way to overcome the off-season should be st...

      • KCI등재

        Multi-Criteria Approach for Measuring Stakeholder Perception on the Impacts of Tourism Policy

        Martin Luš,tický,Daria Gunina,Martin Oberhel People&Global Business Association 2017 Global Business and Finance Review Vol.22 No.3

        Recognizing the role stakeholders have in the tourism development process, this paper focuses on assessing tourism impacts related to the tourism policy priorities from the point of view of destination stakeholders in three well-known tourism destinations in the South Bohemian Region in the Czech Republic. Its aim is to analyze stakeholder perception of tourism impacts and identify such priorities which have the greatest anticipated impacts on developing a given destination. The research is based on a mix of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and innovative application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e representatives of three stakeholder groups provide the researchers with information about the importance of economic and non-economic tourism impacts and contributions of tourism policy’s strategic priorities to four categories of tourism impacts. Based on comprehensive data analysis, the researchers construct a three-level hierarchical structure mapping the importance of various tourism impacts, then sorting the priorities with respect to stakeholder preferences, and finally identifying a gap between the actual and preferred orientations of tourism policy. In such a way, the paper offers a comprehensive recipe for local governments which can be instrumental in realizing tourism policy while being able to promote the most important impacts of tourism on destination’s developm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destination stakeholder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지방정부 관광스타트업 지원정책의 정책의제설정 우선순위 분석 - AHP와 IPA 기법의 적용 -

        윤지민(Yoon, Jie-Min),허병선(Heo, Byung-Seon)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2 觀光硏究論叢 Vol.34 No.2

        본 연구는 지방정부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관광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정책에 있어 정책의제설정의 우선순위를 AHP와 IPA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관광스타트업지원정책과 정책의제설정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분석의 틀과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AHP와 IPA 기법에서는 설문에 참여하는 대상의 전문성과 실무경험을 매우 중요하게 제시하기에 지방정부 차원에서 관광스타트업 지원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지방정부 및 지역관광조직의 담당자, 실제 지방정부 지원정책 사업 참여경험이 있는 창업자, 관련 전문가, 협회 및 학계 등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 및 AHP와 IPA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전문가 응답자의 정책 우선순위는 사업 역량 강화, 성장 기회 제공, 창업 동기 유발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으며, 창업경험의 유무에 따른 집단별 정책 우선순위 분석에서는 창업경험이 있는 집단은 성장 기회 제공을, 창업경험이 없는 집단은 사업 역량강화가 제시되었다. 각 세부 정책 영역별 중요도와 수용도 분석에서는 정부에서 더 집중해야 하는 정책영역으로 성장 창업 자금 지원, 예비창업자 자금 지원, 고용유지 및 일자리 지원금, 위기 극복 사업비 지원 등 실질적인 자금 지원과 관련된 정책사업들이 제시되었다. 연구의 시사점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관광산업의 급격한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관광스타트업 지원정책에 있어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정책 자원 분배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policy priority of local governments’ tourism startup policy during the post Covid-19 situation by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method.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s and the precedent studies on tourism startup policy and policy agenda setting were analyzed. An analytical model composed of tourism startup policy was proposed and the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professionals in tourism startup polic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highest priority in local governments’ tourism startup policy was shown in the order of skill empowerment, growth opportunity, and motivation to start a business. Growth opportunity has shown a higher priority in a group of company founders while a group of non-founders has put skill empowerment as a higher priority. In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policy projects related to actual funding such as growth funding, preliminary startup funding, employment and crisis subsidy were suggested. These findings of the study have suggested a new direction for more effective and practical policy resource distribution in tourism startup policies that can respond to rapid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post Covid-19 tourism industry.

      • Community-Based Rural Tourism in Korea - Characteristics and Effects

        Si-Hyun Park(박시현),Yong-Woog Choi(최용욱) 한국농어촌관광학회 2014 농어촌관광연구 Vol.21 No.1

        Korea has been making efforts to develop rural tourism through government-driven community-based rural tourism policies. The government has spent substantial amount of money to expand the supply of rural tourism facilities in the villages. It had also relaxed sets of regulations to encourage community-based rural tourism. This orientation of policy would be a characteristic of Korea, which is rarely seen in ‘advanced’ countries where rural tourism had already been flourishing. However, Korea’s relatively extensive government-driven community-based rural tourism policy had involved several problematic issues reflecting the principles of community-based rural tourism model. This paper aims to examine community-based rural tourism policy and its effects in Korea. The focus of discussion would be, therefore, whether community-based rural tourism policy can be sustainable and whether community-based rural tourism policy can really contribute to invigorating Korean rural vill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