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놀이치료자의 대인관계 성향 및 전문적 특성과 아동과의 치료관계

        선우현,조윤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2 놀이치료연구 Vol.16 No.1

        This research conduc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86 of both play therapists and children who were participating in child psychotherapy treatment at the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order to investigate how play therapists’relationship and professional experiences impact to the child's therapeutic relationships. The standards applied for this research are the examinations of relationship and professional experiences restructured by Bum-Hee Ahn(1985), and therapeutic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play therapist from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standard (Kronmüeller, Hartmann, Reck, Victor, Horn, & Winkelmann, 2003; Shirk & Saiz, 1992) adapted and validated by Eun-Ryung Bang and Myung-Sun Choi(2004)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t shows that the more sympathetic-accommodative and social-favorable tendencies the play therapists have, the more positive emotions the therapists feel with children in therapeutic relationships. Also, the more defiant, and mistrust tendencies the therapists have, the more negative emotional relationships the therapists feel. Second, if the play therapists have more experiences, total sessions, and supervision numbers, the therapists appear to feel higher therapeutic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children. Third, if the play therapists have lower dominant-superior and competitive-aggressive characters, the children influence the positive emotional relationships into their play therapists but if the therapists are dominant-superior, competitive-aggressive, and conspicuous-intoxicated, the children influence the negative emotional relationships into their play therapists. In therapeutic relationship by the personal characters of therapist, there is a correlation in therapeutic cooperative relation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and personal training analysis of play therapist. Therefore, it is able to say professional characters and experiences of play therapist impacts a lot to therapeutic relationship of play therapy with children and this result implies that gaining a lot of experience and training in clinical trial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의 치료자 특성이 치료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아동심리치료기관에 다니는 놀이치료자 86명과 내담아동 8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실시한 척도로는 안범희(1985)가 재구성한 대인관계 성향검사와 방은령과 최명선(2004)이 치료관계척도(Kronmüeller, Hartmann, Reck, Victor, Horn, & Winkelmann, 2003; Shirk & Saiz, 1992)를 번안하여 타당화한 아동과 치료자간의 치료관계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놀이치료자의 동정적-수용적 성향, 사교적-우호적 성향일수록 놀이치료자는 아동과의 치료관계에 긍정적인 감정관계를 느끼고 있고 반항적-불신적 성향일수록 부정적 감정관계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치료자는 치료자의 경력, 총 회기수, 수퍼비전 횟수가 많을수록 아동과 치료적 협력관계를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놀이치료자의 지배적-우월적이고 경쟁적-공격적인 성향이 낮을수록 아동은 치료자와의 긍정적 감정관계에 영향을 미치며, 치료자가 지배적-우월적이고 경쟁적-공격적 성향이며 과시적-도취적인 성향일수록 아동은 치료자와의 부정적 감정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은 놀이치료자의 전문적 특성에 따른 치료관계에서 치료적 협력관계는 놀이치료자의 총 회기수, 개인교육분석 횟수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놀이치료자의 대인관계 성향과 전문적 특성은 놀이치료에서 아동과의 치료관계와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놀이치료자가 임상에서 많은 경험과 훈련을 쌓는 것이 아동과의 치료적 관계에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놀이치료 내담자의 상담 전 특성이 아동-치료자 치료관계에 미치는 영향

        임진영 ( Jin Young Lim ),김광웅 ( Kwang Woong Kim ),조유진 ( You Jin Cho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아동과 치료자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내담자의 상담 전 특성으로 아동 개인적 변인의 영향력과 아동심리치료에서 제 2의 내담자인 부모와 치료자가 맺는 치료관계에 따라 아동-치료자의 치료관계가 어떠한지 포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놀이치료 초기단계에 내담아동과 치료자가 치료관계를 효과적으로 맺을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치료자의 치료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 개인특성 변인을 살펴본 결과, 치료자가 지각한 치료관계는 내담아동의 성별, 형제유무, 내담아동의 문제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이 지각한 치료관계에 있어서는 내담아동의 성별, 연령, 형제유무, 이전 상담경험에 따라 치료관계에 차이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치료자 치료관계가 아동과 치료자의 치료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놀이치료 초기단계에 치료자가 지각한 치료관계에 있어서, 부모-치료자 치료관계가 아동과의 치료관계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개인적 변인의 영향력을 제거하고 부모-치료자 치료관계가 아동-치료자 치료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부모-치료자 치료관계는 아동과 치료자 지각 모두에서 아동-치료자 치료관계를 예측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s of Client`s variables in Pre-therapy, which are children`s personal variables and parent-therapist`s therapeutic Relationship, on child-therapist`s therapeutic relationship in the playtherap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therapist`s perception on therapeutic relationship to children`s personal variables(sex, sibling, major complaint). Also,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child`s perception on therapeutic relationship to children`s personal variables(sex, age, sibling, pre-therapy`s experience). Second, parent-therapist`s therapeutic relationship influenced only therapist`s perception on therapeutic relationship. Finally, parent-therapist`s therapeutic relationship, removing influences of children`s personal variables on therapeutic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therapist, influenced child-therapist`s therapeutic relationship independently.

      • KCI등재

        놀이치료자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성향, 놀이성이 치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황세영 ( Hwang Se-young ),노남숙 ( Roh Nam-sook ) 한국놀이치료학회 2021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성향, 놀이성이 치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아동과의 치료적 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능력의 하위요인 중 관점수용이 높을수록 치료적 협력관계와 긍정적 감정관계는 커지고, 부정적 감정관계는 줄어드는 반면 정서적 공명이 커질수록 부정적 감정관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감적 관심이 높을수록 긍정적 감정관계는 커지며 부정적 감정관계는 줄어들었다. 둘째, 대인관계 성향 중 독립적-책임적 성향이 강할수록 치료적 협력관계와 긍정적 감정관계를 형성하며 부정적 감정관계는 낮추었다. 또한 반항적-불신적 성향일수록 긍정적 감정관계는 낮아지고 부정적 감정관계가 커졌으며 마찬가지로 지배적-우월적 성향일수록 부정적 감정관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놀이성의 하위요인인 유머감각과 익살스러움이 높을수록 긍정적 감정관계를 맺게 되며, 유머감각은 치료적 협력관계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익살스러움이 높을수록 부정적 감정관계는 작아졌다.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the influences of empathetic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ies, and playability o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as perceived by the play therapist. We also sought to investigate important factors i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childre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elements of empathetic ability, acceptance of perspective is stronger, its positive emotional relationship is higher while the negative relationship is decreased. Despite this, emotional resonance is higher, and the negative emotional relationship is higher. Moreover, as empathetic concern is higher, positive emotional relationship is decreased. Second, as independent-responsible relationship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ies increase, they have a positive emotional relationship with the therapeutic ones, in turn, decreasing the negative ones. Additionally as a resistant-distrusting relationship grows stronger, positive emotions become lower and negative ones are increased, and as the dominant and superior relationship also becomes higher, so too does the negative emotional relationship become stronger. Third, as the sense of humor and wit, sub-elements of playability become higher, positive relationships are made, and the sense of humor increases therapeutic relationships. In addition, as wit is higher, negative relationships are decreased.

      • KCI등재후보

        상담관계의 두 가지 측면: 작업동맹과 실제관계

        최한나 ( Han Na Choi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0 人間理解 Vol.31 No.2

        본 연구는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상담자와 내담자가 형성하는 상담관계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자와 실무자들이 상담관계에 대한 모호하거나 편협한 이해를 가지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특히 국내에서 이루어진 상담관계와 관련된 연구들은 상담관계의 한가지 특성으로 이해될 수 있는 작업동맹에 국한되어 있으며, 그 용어에 있어서도 작업동맹을 치료적 동맹, 혹은 치료적 관계라는 용어와도 혼용하여 사용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담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적 측면 중에서 작업동맹과 실제관계에 대해 변별적으로 살펴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작업동맹과 실제관계에 대한 개념, 연구동향, 그리고 상담실제에서 해당 개념들의 측정에 대한 항목으로 나눠 경험적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상담관계의 상담자-내담자 간 인식차이, 상담과정을 통한 상담관계의 발달적 특성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작업동맹과 실제관계 간의 상호관련성 등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상담관계에 대한 세분화된 이해를 높이고 상담자들을 위한 임상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ew two theoretical perspectives of understanding therapeutic relationship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herapeutic relationship has been confused with working alliance or therapeutic alliance in previous studies on counseling relationship. In this paper, we explained how these concepts have been developed and why they have been used with confusion. We attempted to clarify therapeutic relationship using two primary perspectives: working alliance and real relationship, which are similar but theoretically different. We provided the definitions of working alliance and relationship, research trend, and empirical research in the related field. We particularly examined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counseling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and clients, change of therapeutic relationship across the counseling sessions,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working alliance and real relationship. We also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on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치료적 관계 안에서의 내담자의 변화와 성장

        김영근(Kim, Youngkeun)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6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7

        인간은 인생에서 다양한 관계를 맺어가면서 살아간다. 이러한 과정 가운데 인간은 관계 안에서의 변화와 성장을 경험하기도 한다. 본고는 특히 상담자와 내담자라는 특수한 관계 안에서 변화와 성장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관해 조명하였다. 이는 상담 관계 또는 치료적 관계라고 불리는 특수한 관계로 상담 장면에서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호작용 가운데 맺어지는 변화를 일으키는 관계이다. 내담자는 주양육자로부터 시작하여 삶에서 다양한 관계를 맺어가는 가운데 관계 안에서의 상처나 외상을 경험하면서 살아간다. 내담자가 상담자를 처음 만나는 순간부터 맺어지는 치료적 관계는 내담자의 과거의 경험으로부터의 관계 문제를 지금-여기의 관점에서 새로이 풀어나가는 관계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상담자가 보이는 수용적 태도와 함께 안전한 환경으로서의 분위기를 조성해 나가는 것을 포함하는데, 내담자는 이러한 치료적 관계 안에서 변화와 성장을 경험해 나갈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내담자의 변화와 성장이 치료적 관계 안에서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을지에 관해 논하였다. Human lives his/her life within various relationships. Human experiences transformation and growth in these various relationships. This study illuminated how transformation and growth can be achieved in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This specific relationship refers to the counseling relationship or therapeutic relationship which causes change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in the counseling setting. Clients live their lives through experiencing relational wounds or traumas from main caregiver to other various relationships.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which starts as client meets counselor at the first time, is the new relationship that is aimed to resolve relational problems from the client’s past experiences in the perspective of here-and-now. This includes accepting attitudes of the counselor and creating secure environment. Therefore, the client can experience transformation and growth through this therapeutic relationship. This study discussed how the transformation and growth of client can be achieved i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 KCI등재

        아동이 지각한 부모 관계 특성과 치료 동맹의 관계

        김미정,노혜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4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 between the children’s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e therapeutic alliance.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166 elementary school children clients(1st-6th grade) and their counselor. The counselor has career more than three years and has got the certificate for professional counselor.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more child got positive parent-child relationships, the more child and their counselor reported positive therapeutic alliance. The difference of therapeutic alliance perceived by child was significantly connected with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child, who had high level of relationships with father and mother than that of low level of relationships, reported more positive therapeutic allia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multi-regression analysis, mother’s social-support predicted the emotional-bond and intimacy with father predicted therapeutic collaboration. Children’s gender and grade had the difference of the prediction variables.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 관계 특성이 아동과 상담자가 보고한 치료 동맹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정서, 행동 및 사회성과 관련된 문제로 개인상담(예: 놀이치료)을 받고 있는 초등학교 1~6학년 상담사례를 수집하였고, 상담 관련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3년차 이상의 상담자가 진행하는 사례로 제한하여 상담자 변인을 통제하였다. 아동-상담자 166쌍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아동과 상담자는 아동이 부/모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좋은 치료 동맹을 형성한 것으로 보고했다. 두 변인 간의 관련성은 누가 치료 동맹을 평가했느냐와 아동의 성과 학년에 따라 다소 달라졌다. 부/모 관계 특성 수준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비교했을 때, 부모와의 관계를 모두 긍정적으로 지각한 아동은 부모와의 관계를 모두 부정적으로 지각한 아동에 비해 치료 동맹을 더 잘 맺는 것으로 보고했다. 아동과 상담자가 보고한 치료 동맹의 각 하위 요인을 가장 잘 예언하는 부/모 관계 특성 요인을 살펴본 결과, 정서적 유대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치료적 협력은 아버지와의 친밀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 동맹을 예언하는 부/모 관계 특성 요인은 아동의 성과 학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놀이치료사가 지각한 자기효능감이 치료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성향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유미숙,전정미,백소윤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3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사 98명을 대상으로 놀이치료사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성향이 치료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자기효능감이 치료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성향의 중재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척도의 Cronbach α 계수, 빈도와 백분율, 단계적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놀이치료사의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 성향 (반항적-불신적, 독립적-책임적)보다 치료관계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더 영향력이 있었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치료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대인관계성향(지배-우월, 경쟁-공격, 과시-도취 성향)이 중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놀이치료사가 치료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자신의 심리적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통찰력을 지니고 전문적인 지식 및 기술, 가치와 윤리 등 상담자로서의 자질과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ich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positions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therapist's self-efficacy and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exercise collected relevant data by surveying ninety-eight play therapists. The data which was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2.0 and this was followed by Cronbach α Factor analysis,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therapist's self-efficacy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than the resistant-distrustful and independent-responsibility of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positions. Secondly, the play therapis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position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cause and effect associ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for play therapists to development stronger therapeutic relationships understanding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 and using this understanding to develop insight and to foster quality and professionalism based on professional knowledge, skills, qualities values and ethics as a therapist are necessary.

      • KCI등재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마음챙김과 치료관계 간의 동태적 분석

        최연희 ( Choi Yeon-hee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16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using System Dynamics. The biggest factor in psychotherapy`s treatment outcome is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including the quality of the therapist (empathy, therapeutic presence) and therapy alliance. Mindfulness practice can facilitate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In order to analyze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I measure FFMQ(Five Facet Mindfulness Questionnaire), Empathy, Therapeutic presence and Therapy alliance. Participants consist of 55 mental health professionals (doctor, psychologist, psychiatrist, counselor, social worker).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be explained. First, with the causal loop diagram research, I analyze how mindfulness can influence the quality of therapist and therapy alliance. The result of literature research indicate that mindfulness increase therapist`s empathy, congruence, therapeutic presence, flow, therapy alliance. And then mindfulness reinforces the ability of therapeutic relationship. Secondly, through the real data research and simulation analysis, mindfulness practicing period (year and hour a day) of therapist is studied. The result of the therapist experiencing mindfulness practice period is over 5 years and the daily hours of practice is 2 - 2.5 hours in order to enhance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After reviewing the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racticing period and daily practice of mindfulness. With daily practice and time, the level of mindfulness will increase and influence positively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between therapist and client.

      • KCI등재

        관계평가좌표: 상담자를 위한 제안

        김용민 한국목회상담학회 2017 목회와 상담 Vol.29 No.-

        Relationships are among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he counseling relationship or therapeutic alliance is a particularly important resource for counseling as well as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is not only a problem for the client but also a clue to solve the problem. However, the tools to measure these relationships are poor. Thus, after many years of trial and error, I have developed relationship assessment coordinates. These relationship assessment coordinates are based on a variety of counseling theories, such as the time structuring in Eric Berne’s transactional analysis, the automatic thinking of Aaron Beck's cognitive therapy, and the individuality and unity of Murray Bowen's family therapy. Also, since a mathematical diagram is used, the relationship of the client can be grasped easily and conveniently. In particular, by using polar coordinates, the relationship with an important person can be grasped clearly by two eyes through one plane. These relationship assessment coordinates are useful not merely to assess relationships, but beyond that to improve relationships. The expression of relationship assessment coordinates is an assessment of relationship recognition rather than of the relationship itself. This paper consists of four parts: theory applied to relationship assessment coordinates, preparation of relationship assessment coordinates, the interpretation method of relationship assessment coordinates, and actual cases. Relationship assessment coordinates can be used effectively by counselors. However, they are based on my personal clinical trials, so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ata more objectively.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관계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상담관계 또는 치료동맹은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상담 자체를 위한 중요한 자원이 되고 있다. 실제로 상담자와 내담자가 각각 맺고 있는 관계는 내담자에게 문제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그 문제를 해결하는 실마리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는 빈약하다. 필자는 이런 필요에서 다년간의 시행착오를 거쳐 관계평가좌표를 만들었다. 관계평가좌표는 번의 교류분석의 시간의 구조화, 벡의 인지치료의 자동적 사고, 보웬의 가족치료의 개별성과 연합성 등 다양한 상담이론에 근거해 있다. 또한 수학도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내담자의 관계를 쉽고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극좌표를 사용함으로써 중요한 인물과의 관계를 한 평면을 통해 두 눈으로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관계평가좌표는 단순히 관계를 평가하는 수준을 넘어 관계를 개선하는 데도 유용하다. 관계평가좌표는 정확히 표현하면, 관계자체에 대한 평가라기보다 관계인식에 대한 평가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관계평가좌표에 적용된 이론, 관계평가좌표의 작성, 관계평가좌표의 해석방법, 실제 사례 등 크게 네 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관계평가좌표가 상담자에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필자의 개인적 임상에 근거하고 있는 만큼 추후 연구를 통해 좀 더 객관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과의 치료에서 음악치료사의 관계형성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유예지,소혜진 한국질적탐구학회 2018 질적탐구 Vol.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litatively examine Korean music therapists’experience in their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and was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As the result of data analysis, five domains were emerged: “prejudice against children with ASD,”“experiences of therapeutic relationships building,”“difficulties in building therapeutic relationships,”“efforts to build therapeutic relationships,”“development through therapeutic relationships building with children with ASD.” These domains were further divided into 25 catego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usic therapists themselves had positive experiences of self-growth as they developed therapeutic relationships. This study also accentuates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children with ASD and provides direction for music therapists who strive to develop these relationships. 이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과의 치료에서 음악치료사의 관계형성 경험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과의 치료 경험이 있는 음악치료사 9명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교차분석결과,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사전인식’, ‘치료관계형성의 어려움’, ‘치료관계형성을 위한 노력’, ‘치료관계형성 경험’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과 치료관계형성을 통한 성장’등 총 5개의 영역과 2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음악치료사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보이는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과의 관계를 어떻게 형성하며, 치료를 통해 어떻게 관계를 형성하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여러 노력의 극복과정 및 다양한 임상적 개입에 대한 시도 등을 탐색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서 이를 통해 음악치료사로서 성취감과 직업적 보람, 동기부여 등을 경험하고 나아가 치료사로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이 연구는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과의 음악치료에서 관계형성의 과정 및 임상적 개입, 치료사의 정서적 어려움 등에 관한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이 주 대상인 음악치료사들에게 치료관계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전문적·개인적 발달에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