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공벽 유지장치를 이용한 미고결 충적층의 수리특성 평가

        원경식 ( Kyoung Sik Won ),김천수 ( Chun Soo Kim ),채수용 ( Soo Yong Chae ),신동민 ( Dong Min Shin ) 대한지질공학회 2016 지질공학 Vol.26 No.1

        충적 대수층의 수리지질특성 시험을 위한 충적층 공벽 유지장치를 개발하여 변수위법 투수시험(Falling Head Test) 및 순간충격시험(Slug Test)을 수행하였다. 모래, 자갈을 비롯한 실트층이 주를 이루는 국내 충적층 수리시험은 시험구간의 공벽유지와 시험 중 토사층의 공벽붕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투수시험과 순간충격시험 등의 수리시험 수행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개공율이 안정적인 필터가 장착된 공벽 유지장치를 시험공에 삽입하여 시험구간 공벽붕괴를 최소화하고 시험시 정확한 단위면적의 산출로 토사층에서의 수리시험 신뢰성을 증대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의 변수위법 투수시험에 의한 투수계수는 8.82 × 10.5m/sec로 산출되었으며, 동일한 지층, 심도, 시간적인 조건에서 상기 공벽 유지장치 설치 후 투수시험 결과는 4.00 × 10.4m/sec로 나타나 최대 4.5배 가량의 투수계수 증가현상을 보인다. 이는 시추굴진 중 발생된 세립질의 슬라임이 투수시험 시 시험구간에 피복 또는 충전되어 토사층의 투수성을 저하시키고 시험구간 형성과정에서 최초 원기둥 형태의 시험공벽이 점진적인 붕괴로 인해 토사로 충전되고 시험구간 면적감소에 기인한 현상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미고결 충적층의 공벽 유지장치를 현장에 적용하여 시험구간 굴진 시 발생되는 점착력이 낮은 모래, 자갈층의 공벽붕괴에 따른 시험면적 변화가투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연구로써, 충적 대수층 수리특성 평가의 신뢰성 및 적용성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Hydraulic falling head and slug tests were carried out in an alluvium aquifer using a borehole stability device. The hydraulic testing had proved difficult in alluvial formations of sands and gravels due to borehole collapse and unstable borehole walls within the test section.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hydraulic test results by using a borehole stability device. The device can minimize the collapse of borehole walls, and the use of a filter with a constant opening ratio improves the calculations per unit area of the test section. Permeability obtained from the falling head test without a borehole stability device was 8.82 × 10.5m/sec. When the borehole stability device was installed in the same test section the measured permeability increased to 4.00 × 10.4m/sec, which is 4.5 times that obtained without the borehole device. The relatively low permeability obtained using the conventional test method is attributed to the presence of a fine-grained slime generated during drilling and a reduction of the test area in the test interval due to a gradual collapse of the borehole walls. This study considers how the use of a borehole stability device to prevent borehole collapse can influence the results of hydraulic tests in alluvial form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and applicability of hydraulic tests performed in alluvial aquifers.

      • 1톤급 메탄엔진 연소시험장치 검증

        임병직(Byoungjik Lim),이준성(Junseong Lee),임성혁(Sung-Hyuck Lim),이기주(Keejoo Lee),박재성(Jaesung Park) 한국추진공학회 2021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5

        액체메탄엔진 핵심기술 선행연구를 목적으로 연소시험을 위한 시험장치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장치에 대한 기밀시험, 냉각시험, 센서 검증, 화재방지용 물 공급시험, 자동시퀀스 시험 및 액체질소를 활용한 극저온 수류시험 등의 검증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검증시험을 통해 설비 작동 안정성 및 사용 부품 적절성이 검증되었으며, 연소기를 장착한 수류시험 및 연소시험에도 활용되고 있다.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preceding research on the core technology for a liquid methane engine, a device for the hot firing test had been implemented. Subsequently, various tests including leak test, cool down test, sensor verification, fire preventing water supply test, auto sequence test, and cold flow test with liquid nitrogen were successfully conducted. These acceptance test results validated that the device is composed of appropriate components and safe for testing operation. In addition, a thrust chamber attached to the device was used for a cold flow test and a hot firing test.

      • KCI등재

        하나의 큰 태양전지판에 적합한 전개시험장치 개발

        문홍열(Hong-Youl Moon),박상호(Sangho Park) 한국항공우주학회 2018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6 No.7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큰 태양전지판 전개시험을 위해 새로운 전개시험장치를 제안하였다. 지상에서 전개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궤도에서와 유사한 무중력 환경을 만들기 위해 중력 보상을 고려한 장치를 사용해야 한다. 기존에 주로 사용되는 전개시험장치를 시험하고자 하는 태양전지판 전개에 적용 가능한지 판단하기 위해 간단한 개념설계, 해석 그리고 시험 등을 통해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지상 시험의 문제점인 공기저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미 프레임을 제안하였으며 중력축과의 정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개 장치에 자동조심 베어링 및 조절나사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테잎 스프링 힌지축의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반지름 방향 이동을 위한 수평 이동 베어링이 적용되었다. 이로부터 본 논문에서 전개하고자 하는 태양전지판에 특성화된 새로운 전개시험장치를 개발하고 검증함으로써 기존 전개시험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deployment test equipment that is characterized for the deployment test of single large solar panel with tape spring hinge. To perform the deployment test on ground, a device that takes gravity compensation into account should be used to create a zero gravity environment similar to that in orbit. We analyz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most commonly used deployment test equipment in the past through simple conceptual design, analysis, and tests to judge whether it is applicable to the deployment of the solar panel to be tested. A dummy frame was proposed to reduce the air drag effect during on-ground test and a self-aligning ball bearing and adjusting screws were applied to the deployment test equipment to solve the alignment problem with the gravity axis. And a horizontal bearing for radial movement applied to compensate for the change of the axis of the tape spring hinge. From these, we solved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deployment test equipment by developing and verifying the new deployment test equipment characterized for the solar panel to be deployed in this paper.

      • 파력발전장치 성능시험을 위한 육상용 시험벤치의 개발

        천호정(Hojeong Cheon),김재환(Jaehwan Kim),최종혁(Jonghyeok Choi)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2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6

        파력발전장치의 에너지 흡수부는 타 신재생에너지원과 다르게 에너지변동폭이 매우 크다. 이러한 에너지 흡수부를 모사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계속되었지만, 표준화 되어 있는 시험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유압식 파워팩을 기반으로 하고, 회전식 베인펌프를 활용한 파랑에너지의 입사를 모사하기 위한 전용의 시험기를 개발하였다. 파랑에너지의 변동을 모사하기 위한 밸브블럭을 설계하였고, 유량제어밸브, 릴리프밸브를 이용해 입사되는 파랑에너지를 구현하였다. 규칙파, 불규칙파 파랑 입력에너지를 구현하기 위하여, 비례제어식 유량제어밸브를 도입하여 시험자가 요구하는 파고, 주기를 모사할 수 있게 개발하였다. 또한, 유압식 에너지변환장치에 직접 입력되는 유압에너지 뿐만 아니라, 1차에너지 흡수장치의 형태에 따라 유압파워팩을 거쳐 발생된 유압에너지를 RVM(회전식 베인 모터, Rotary Vane Motor)를 통해 회전 왕복운동하는 기계에너지 형태로 변환하여 에너지 형태를 모사할 수 있게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작된 육상용 시험기는 실해역 시험이전에 파력발전장치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될 계획이다. The energy absorbing part of the wave energy converter has a very large energy fluctuation range, unlike other renewable energy sources.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simulate this energy absorbing part, but there is no standardized test method. To supplement this, based on a hydraulic power pack, a dedicated tester was developed to simulate the incidence of wave energy using a RVP(Rotary Vane Pump). A valve block was designed to simulate fluctuations in wave energy, and incident wave energy was realized using flow control valves and relief valves. In order to realize regular and irregular wave input energy, a proportional control type flow control valve was introduced and developed to simulate the wave height and period required by the tester. In addition, not only the hydraulic energy directly input to the hydraulic energy converter, but also the hydraulic energy generated through the hydraulic power pack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rimary energy absorbing device is rotated and reciprocated through the RVM (Rotary Vane Motor). The onshore test bench manufactured through this study is planned to be used to check the performance of the wave energy converter before the actual sea test.

      • KCI등재

        양방향재하시험에서 재하장치 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윤민승(Minseung Yoon),김준우(Junwoo Kim),김명학(Myunghak Kim)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3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4 No.10

        양방향재하시험의 성공여부는 상향력과 하향력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재하장치 위치 선정에 달려있다. 상향력과 하향력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발휘되는 단위주면마찰력과 단위선단지지력의 산정이 중요한데, 국내에서 시행되는 양방향재하시험은 주로 사용말뚝에 적용되어 극한지지력까지 재하되지 않고 설계지지력을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국내.외 제안된 암반층의 극한단위주면마찰력 및 허용단위주면마찰력 산정식은 암반의 일축압축강도를 기반으로 되어있고, 또한 국내 풍화암층과 RQD가 극히 낮은 연암층은 일축압축강도시험을 할 수 있는 코아를 얻기가 어려워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행되었던 양방향재하시험에서 얻은 각 지층별 발휘된 단위주면마찰력과 환산된 SPT N/cm과 관계도표를 제안하고 이 관계도표를 이용하여 실제 국내 현장의 양방향재하시험을 위한 상향력과 하향력의 균형위치를 선정하였다. 또한 선정된 균형위치에 양방 향재하장치를 설치한 후 재하시험을 실시하여 측정된 각 지층의 발휘된 단위주면마찰력 값들과 균형위치 선정 시 적용한 관계도표의 값들을 비교하여 관계도표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풍화토층과 풍화암층에서는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였고, 연암층에서는 재하장치 상부연암층과 하부연암층에서 발휘된 측정값(상부 1,151kN/㎡, 하부 1,500kN/㎡)의 평균값(1,325kN/㎡)도 산정값(1,250kN/㎡)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관계도표는 적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Success or failure of the bi-directional pile load test for drilled shaft depends on point selection for loading cells, that is balanced location both uplift force and downward force. Methods to evaluate the ultimate unit side resistance in rockmass layer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are based on the uniaxial compression strength of rock core, which can hardly be obtained in domestic rockmass layers which are weathered rockmass layer and soft rockmass layer with very low RQ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relation charts between the revised SPT N values and developed unit side resistance of each different layers, which were obtained from bi-directional pile load tests in various domestic sites.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lation charts, the developed unit side resistances from the relation charts were used to select the loading cell position and compared with the measured unit side resistances from field pile load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developed side resistance from relation charts and the measured side resistance of weathered soil layer and weathered rock layer were very close. Average developed side resistance(1,325kN/㎡), which are average of upper soft rock layer of loading device(1,151kN/㎡) and lower(1,500kN/㎡), was similar with the estimated value(1,250kN/㎡).

      • KCI등재

        연소안정성 평가시험 기법을 위한 펄스건 압력파 유도장치 개발 실험

        이광진(Kwangjin Lee),김홍집(Hongjip Kim),서성현(Seonghyeon Seo),문일윤(Ilyoon Moon),김형모(Hyungmo Kim),이수용(Sooyong Lee),고영성(Youngsung Ko) 한국항공우주학회 2005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3 No.3

        액체로켓엔진 개발에서 필수 단계인 연소안정성 확인을 위한 연소안정성 평가시험 (stability rating test) 방법의 개발을 위해서는 압력교란장치의 특성과 더불어 안전한 연소시험 절차(sequence)의 확립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소안정성 평가시험을 위해 개발된 펄스건을 액체로켓엔진의 연소시험에 실제로 적용하기 위한 단계로서, 적절한 연소 시험 절차를 개발/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펄스건을 실제로 연소실 외벽에 장착하게 되는 압력파 유도장치를 설계하고, 펄스건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압력파 유도장치 내부의 냉각시스템의 설계 및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연소시험 단계를 통하여 실물형 액체로켓엔진에서의 연소안정성 평가시험이 가능한 적절한 시험 단계를 국내 독자적으로 개발하는데 성공하였다. The SRT(stability rating test) technique, which is indispensable for the development of a LRE(liquid rocket engine), essentially requires a development of a combustion test sequence as well as artificial perturbation devices. For the development of an indigenous SRT technique, several combustion tests of sub-scale LRE were performed to search a proper combustion test sequence. At first, a pressure-wave inducing device which is used for adapting pulse gun was designed and a cooling gas supply system for the pressure-wave inducing device was set up to prevent a malfunction of pulse gun. Through the several combustion tests which included cooling procedure of a pressure-wave inducing device, a proper combustion test sequence was found out. It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disturbance at normal combustion process. Finally, an indigenous SRT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successfully.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자료에 나타나는 결속 장치 사용 연구

        안령주(An, Lingzh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에서는 말하기 자료에 나타나는 한국어 학습자의 결속 장치 사용 유형과 빈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양적 통계와 질적인 서술로 숙달도별에 따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험자들의 한국어 말하기 시험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어 결속 장치 사용 양상과 경향을 살펴보았다. 제3차 한국어능력시험 말하기 평가개발 연구에서 실시한 말하기 시험을 참석한 초,중급 학습자 60명을 대상으로 시험 문항에 대한 녹음 파일 360개를 전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고는 결속 장치를 ‘지시, 접속, 어휘 반복’으로 분류하여 그 사용과 특징을 양적인 통계와 질적인 서술로 규명하였다. 결과 지시, 접속, 어휘 반복 결속 장치를 분석한 결과, 지시 표현에는 두 집단 모두 “그>이>저” 순서로 많이 사용하였으나 “그” 계열의 지시 표현을 잘못 이해하거나 감투사로 사용하는 것이 빈번히 발견되었다. 접속 표현 같은 경우에는 초급 학습자는 확대>강화>설명 순서로 사용 빈도가 높았고 중급 학습자의 경우 강화>확대>설명 순서로 자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휘 반복 표현은 세 가지 결속 장치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는데 중급의 경우 초급보다 2배 가량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의어나 유사한 단어, 상하위어 항목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에게 지시 표현을 정확하게 이해를 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하고, 내용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동일어만 반복하는 것보다 유의어나 상하위어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여 다양한 어휘 반복을 할 수 있도록 가르칠 필요가 있겠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s the Korean speaking test by Korean language learners to examine discourse cohesion shown upon using cohesive device. Methods The data collected 60 beginner and intermediate learners, 360 recorded files of test question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It focuses on the use of conjunction, reference and lexical reiteration devices as a cohesive device.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conjunction, reference, lexical reiteration cohesive devices, both groups used a lot of “그>이>저”, but it was mainly found misunderstanding and use of reference expressions of the “그”. In the case of conjunction, beginner learners have mainly used ‘expansion> reinforcement> explanation, and intermediate learners frequently used reinforcement> expansion> explanation. Lexical reiteration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three cohesive device, but the intermediate learners was twice as high as that of the beginner learners. In addition, there were almost no synonyms, similar words, or upper and lower words. Conclusions Through this paper, the study was able to identify the condensation systems needed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herefore, It should be taught more actively at the teaching site.

      • KCI등재

        외부 가변차양 장치의 내풍성능 시험 방법 도출

        이동석(Lee, Dong-Seok),구성한(Koo, Sung-Han),조재훈(Jo, Jae-Hun) 대한건축학회 2015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1 No.9

        Exterior shading devices can easily be affected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snow, rain, wind, and outside temperature. Therefore, it has to be tested and reviewed whether the exterior shading devices are safe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Especially, wind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exterior shading devices is important because the deterioration or falling parts of the devices can be dangerous for the person. There are several test methods for wind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exterior shading devices, however they are limited to the lab 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field test method for wind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exterior movable shading devices such as a exterior venetian blind, roll blind, shutter, and awning. As a first step, various purposes of international standards for the shading devices were reviewed in order to derive compulsory test items which should be conducted in the field related to the construction quality including safety. And, it was found that wind resistance, operation in frosty condition, and snow resistance are crucial items for the field test items. In order to develop field test method for wind resistance performance, the major field issues such as setting apparatus and finding proper test wind speed were discussed with the current lab test methods. Finally, field test set about the wind speed measuring point and the location of the apparatus were proposed, and also three of test wind speed for safety, operation, and control were proposed.

      • KCI등재

        인명구조용 소방대원 근력 지원장치의 양중성능 및 내환경 시험 방법

        Minsu Lee,Chan Park,Seonmin Lee,Dongeun Lee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3 No.3

        전세계적으로 재난에 의한 피해가 급증하면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한 장비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소방안전 및 119구조․구급기술연구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인명구조용 소방대원 근력지원장치 개발(2015 ~ 2018)” 과제를 통하여 재난환경 및 재난 대응 시나리오를 고려한 리프팅 성능(양중하중 100 kg 이상, 양중높이 1 m 이상, 양중거리 60 cm 이상, 양중속도 0.2 m/s 이상)을 만족하는 장비를 개발 중에 있다. 본 연구는 장치의 유용성을 판단하기 위해 양중성능 및 내환경 시험법을 제안하였고, 양중성능시험의 동역학 해석을 통해 근력지원장치의 상세사양을 분석 및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안한 시험 방법은 근력지원장치의 안정적인 성능 구현여부를 평가하는데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s the damage caused by disasters increases rapidly around the worl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technology for equipment to reduce human injury. Therefore in the support of fire safety and 119 rescue and rescue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in the "Development of a power assist device for a fireman to rescue humans(2015 ~ 2018)" for life saving restoration, we are developing equipment that satisfies the lifting performance considering the disaster environment and the disaster response scenario(Amount of load over 100 kg, height of over 1 m, height over middle 60 cm, speed over 0.2 m/s). In this study, we propose a lifting performance and environmental test metho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power-assisted device and analyze and verify detailed specifications of the device through dynamics analysis of the lifting performance tes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posed test method can be applied practically to evaluate whether a stable performance of a power-assisted device is achieved.

      • 트램 운행을 위한 차상장치와 관제실간 인터페이스 시험항목 개발

        김진철(Jin-Cheol Kim),이부현(Boo-Hyeon Lee),이정운(Jeong-Wun Lee),최경선(Kyeong-Sun Choi),황현철(Hyeon-Chyeol Hwang) 한국철도학회 2014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10

        현재 국내 최초로 무가선 트램 실용화 단계에 있으며 이를 위해서 오송차량기지에 트램 시험선을 구축하고 있다. 시험선이 완성된 후 전체적인 시스템 기능 시험들을 시행하고 트램 운행의 안전성 보장을 위해 각 장치별 시험을 통하여 안전하고 정확하게 동작하는지 검증해야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한 각각의 시험 항목들이 필요하며, 이 논문에서는 차상장치와 관제실간 인터페이스 시험에 필요한 시험항목들이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조사하고 본 트램 운행을 위해서 필요한 시험항목들을 정의하고자 한다. Korea’s first wireless tram is on the practical steps now and the test line is under construction at Osong depot. After the test line is finished, system function test should be carried out and it should be verified if the system operates safely and correctly to ensure the safety of Tram operation through tests for each items of equipment. Therefore each item of tests is needed to be defined. This study examines test items required for the interface test between On-board system and Control center and defines test items for Tram 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