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기술교사 성찰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사례 분석

        이진우,최유현 한국기술교육학회 201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expertise of technology teachers by developing and applying ‘technology teachers reflection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For this, the programs were developed and verified, of which the processes he analyzed after applying them at the workshops. This study utilized Yin’s(2016) methods of case study. Eight of the national technology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snowball sampling method. The technolog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workshop wrote out class reflection records before and after the workshop. Research participants were also interviewed before and after the workshop, and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eneral process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of Kim Young – chun. (2014, pp. 528~543) Through the interviews conducted before the workshop, the technology teachers found that they had five difficulties as follows; being chased by change, fear of failure, thirst for learning, poor empathy, and lack of confidence. Reference to the design thinking workshop and the previous researches suggested the solution to the five difficulties,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also sympathized with the solution. The design thinking workshop enabled the technology teachers to have "ten mindsets." Ten mindset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nd the precedent study (d. school 2018a; Dweck, 2017; Schweitzer et al., 2016).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technology teachers’ five difficulties can be solved by having ten mindsets. The ten mindsets helped the technology teachers to have creative confidence. The technology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research were recovering their creative confidence by getting over the fear of failure in the process of making rapid prototypes. The technology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research were growing up into "reflective practitioners" of Schön (1983) based on their creative confidence. In brief, design thinking helps technology teachers to solve ‘their difficulties', change ‘mindsets' through the process, restore ‘creative confidence' again, and ultimately grow as r ‘eflective practitioners'. This is also confirmed in the outputs of the precedent research (d.school, 2018a; Dweck, 2017; Johansson‐Sköldberg et al., 2013; Schweitzer et al., 2016; Straker & Wrigley, 2014; Wrigley & Straker, 2017). 이 연구의 목적은‘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기술교사 성찰 프로그램(Technology teachers reflection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을 개발하고 적용해 기술교사의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당화했으며 워크숍을 통해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그 과정에 대해 분석했다. 이 연구는 Yin(2016)의 사례연구(case study) 방법을 활용했다. 연구 참여자는 전국의 기술교사 중 8명을 눈덩이 표집(snowball sampling) 방법으로 선정했다. 워크숍 전에 실시한 면담을 통해 기술교사들은 변화에 쫓김, 서툰 공감, 실패에 대한 두려움, 배움에 대한 갈증, 자신감 부족의 다섯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발견했다. 디자인 씽킹 워크숍과 선행연구들을 참고해 다섯 가지 어려움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안하였고, 연구 참여자들도 해결방안에 공감했다. 디자인 씽킹 워크숍을 통해 기술교사들은 ‘10가지 마음가짐(mindset)’을 갖게 되었다. 10가지 마음가짐은 수집된 자료의 분석과 선행연구(d.school, 2018; Dweck, 2017; Schweitzer, Groeger, & Sobel, 2016)를 통해 도출하였다. 10가지 마음가짐을 갖는 것으로 기술교사들이 겪는 다섯 가지 어려움은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0가지 마음가짐은 기술교사가 창조적 자신감(creative confidence)을 갖도록 하는데도 도움을 주었다. 연구에 참여한 기술교사들은 빠른 시제품 만들기(rapid prototype)의 과정에서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며 창조적 자신감을 회복해 나가고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기술교사들은 창조적 자신감을 바탕으로 Schön(1983)이 말하는 ‘성찰적 실천가(reflective practitioner)’로 성장해 나가고 있었다. 요컨대, 디자인 씽킹은 기술교사들이 ‘기술교사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그 과정을 통해 ‘마음가짐(mindset)’을 변화시키고, 다시 ‘창조적 자신감’을 회복시키며, 궁극적으로 ‘성찰적 실천가’로의 성장을 돕는다. 이는 선행 연구의 결과(d.school, 2018; Dweck, 2017; Johansson‐Sköldberg, Woodilla, & Çetinkaya, 2013; Schweitzer et al., 2016; Straker & Wrigley, 2014; Wrigley & Straker, 2017)에서도 동일하게 확인된다.

      • KCI등재

        교실친화적 중등 기술 교사 양성과 임용 시험의 연계성 분석

        김진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0 敎員敎育 Vol.26 No.5

        2008년부터 한국교원대에서는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에 대한 이론적 준거를 연구해 왔으며, 2009년에는 교실친화적 교사의 개념을 정립하고 각 교과별로 실제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교실친화적 ‘기술’ 교사의 양성과 교원 임용 시험의 연계성을 분석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와 전문가 협의회 및 포럼 논의의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교실친화적 기술 교사’의 개념은 ‘학교의 기술실 및 교실에서 바람직한 교육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문적 능력을 지니고 이를 실행하는 기술 교사’로 정의하였다. 교실친화적 기술 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한국교원대 기술교육과에서는 교육과정을 개편하였으며, 임용시험에서의 논술형 문제에 대비하기 위하여 ‘기술 논술’ 과목도 신설하였다. 그리고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원 양성을 위한 기본이수과목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술교육과 교육과정을 개편하였다. 2009학년도 기술 교사 임용시험 문제를 분석한 결과, 대학의 교육과정 과목과 임용 시험의 출제 비율 및 출제 범위가 일치되지 못하는 부분은 추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s been researching to set up a theoritical criteria for the development of classroom-friendly teachers since 2008. And then, the concept of classroom-friendly teachers was defined in 2009 and also practice for each subject was researched. In this article,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development of classroom-friendly technology teachers and the employment examination of teachers was studied. To do that, research of related literature, interviews with experts in the field of technology teacher education, and discussion of forum were conducted. A concept of the classroom-friendly technology teachers was defined as 'technology teacher who have the professional ability and is able to perform it at technology laboratory and classroom of school for desirable education activity. In order to develop the classroom-friendly technology teachers,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at KNUE was reorganized, and a new subject of 'technology essay' was created to correspond the essay test of employment examination of teachers. Especially, the structure and many of the subject name of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were reorganized to adapt the fundamental completion subject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On analysis the employment examination of technology teachers of 2009, I concluded that improvement was needed in the future to the mismatch between subject of college curriculum and a range of question of employment examination.

      • KCI등재

        학교 환경이 외국어 교사들의 테크날러지 활용에 미치는 영향

        홍광희 ( Kwang Hee Hong ),게이코사미미 ( Keiko K. Samimy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09 외국어교육연구 Vol.23 No.1

        외국어 교사들의 컴퓨터 테크날러지를 활용한 교실 수업은 여러 가지 변인들의 영향을 받지만, 관련 연구결과들은 이러한 다 변인들을 세 가지 범주화 된 요인들로 요약하여 고려할 수 있다고 한다. 범주화 된 세 가지 요인들은 CALL 교사 교육, 외국어 교사들 개인과 관련된 요인들, 그리고 환경적 요인들이다. 사전 연구 조사 결과에 의하면 외국어 교사들이 컴퓨터 테크날러지를 활용한 교실 수업을 실행하는데 있어, 환경적 요인들이 주요한 영향을 나타내는데도 불구하고, 체계적으로 환경적 요인들의 영향을 조사한 연구들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교사들의 CALL 교사 교육 경험과 컴퓨터 테크날러지를 활용한 수업의 관계를 조사하는데 있어, 상대적으로 외국어 교사들 개인과 관련된 요인들에 중점을 두는 사전 연구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전 연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어 교사들 개인과 관련된 요인이 아니라 환경적 요인 (각 학교 외국어 교사들의 전반적인 CALL 교사 교육의 정도) 와 교사들의 컴퓨터 테크날러지를 활용한 수업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미국 중서부에 위치한 한 개 주(州)에 속한 한 개 카운티 전역의 중, 고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454명의 외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응답을 조사하였다. 교사들의 설문 응답을 분석 한 결과, 외국어 교사들의 전반적인 CALL 교사 교육의 정도가 더 높은 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이 교실 수업에서 컴퓨터 테크날러지를 더 자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espite numerous variables involved in L2 teachers` technology integration into the classroom, the collectiv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on CALL teacher education bring into view that multi-dimensional aspects of L2 teachers` technology integration can be considered as three categorized factors: CALL teacher education, teachers` individual factors (e.g., computer literacy skills and attitude toward CALL), and contextual factors (e.g., technology infrastructure and administrative support). The literature suggests the significance of contextual factors in understanding individual teachers` use of computer technology in the classroom coupled with their technology education experience. However, little systematic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influence of contextual factors. Relatively mor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eachers` individual factors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rior technology education and their use of computer technology for instructional purposes. The present study addresses this gap in the literature. Of particular interest is a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limate (i.e., overall teachers` technology education experience) and teachers` use of computer technology in the classroom. Data were collected from 454 public secondary school L2 teachers from an entire county in a Midwestern state in the U.S. The results show that teachers working in a school where overall teachers` technology education is higher used computer technology more frequently in the classroom.

      • KCI등재

        기술과 수업에서 교사의 교과교육학지식에 관한 사례연구

        송일민,정철영 한국기술교육학회 201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chnolog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resented in their classes. To accomplish the purpose,this study investigated a model for technology teachers' PCK through a process of literature review and explored the features of the secondary school technology teachers' PCK by their instructional objectives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etor domain). This study was performed by a case study methodology.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echnology teachers' PCK through analyzing the cases of the practical in-service technology teachers. This study considered technology teachers who are excellent in implementing practical technology classes research participants and firstly chose 15 technology teachers who met the selection criteria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10 technology teachers were finally confirm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the individual interview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0 technology teachers who taught in diverse school grades (3 participants for 7th grade, 4 participants for 8th grade, 2 participants for 9th grade, and 1 participant for 10th grade)The participants' instructional objectives were analyzed into 3 areas such as affective domain, cognitive domain, and psychometor domain. The result appeared to be 1 lesson on the affective domain, 4 lessons on the cognitive domain, and 5lessons on the psychometor domain. The study was involved with the administration of two interviews (before the class and after the class) and class observation for the participants's technology class. Data collected from 10technology teachers were lesson plan, instructional material, portfolio paper,interview before the class, class observation, and interview after the class and analyzed to investigate key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teacher's PCK. In a synthesis of these findings, technology PCK was accordingly organized by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affective domain, cognitive domain, and psychomotor domain) and the PCK composed of knowledge on technology curriculum,instructional methods and evaluation, students' learning, and class environment could be presented in the integrative manners. Recommendations derived from these findings and conclusions were as follows:(1) development study of the instruction consulting criteria and consultant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cases of technology teachers' PCK presented in their classes,(2) development study for facilitating technology teachers to implement diverse PCK, and (3) program development to improve the technology classes of the in-service technology teachers by setting the database of the PCK by instructional type and letting many technology teachers utilize it.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사들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기술교과교육학지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기술교사들을 위한 기술교과교육학지식의 모형을탐색하였으며, 기술교사들의 수업실천에서 나타난 기술교과교육학지식을 구명하여 기술교육의 목표(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에 따른 기술교사들의 기술교과교육학지식의 특징을 탐색하였다. 이 연구는 사례 연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실제 학교 현장에서 기술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교사들을 통해 기술교과교육학지식을 탐색 하였다. 기술교육의 목표에 따른 기술교과교육학 지식의 차이를 구명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의 수업 단원 학습목표를 분석한 결과, 정의적 영역 1개, 인지적 영역 4개, 심동적영역 5개의 수업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10명의 교사들로부터 확보된 자료는 수업 지도안, 수업자료, 학습지, 사전 면담지, 수업 촬영 동영상, 수업 후 면담 자료 등이었다. 또한 연구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기술교과 수업에서의 정의적, 인지적, 심동적 영역 등 기술교과 학습목표에 따라 수업을 조직하고 실천하는 중에 교사의 기술교과교육학지식이 다양한 형태로 발현되었으며, 기술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 기술교과 교수방법에 관한 지식, 기술교과 학습 평가에 관한 지식, 기술교과 학습에 관한 학습자 이해 지식, 기술교과 수업 환경에 관한 지식 등 기술교과교육학지식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이 상호 복합적, 융합적인 형태로 결합되어 수업에서 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① 수업에서 발현되고 있는 기술교과교육학지식의사례를 중심으로 수업컨설팅 기준 및 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 등의 개발 연구, ② 다양한 기술교과교육학지식이 발현될 수 있도록 촉진하는 프로그램 개발 연구, ③ 기술교과의 수업 형태에 따른 주제별 교과교육학 지식 DB를 구축하여 많은 교사들이 이를 접하게 함으로써 교사 자신의 교수활동 지식 기반을 확장시켜 더 좋은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수업개선 프로그램 개발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한국 기술교사 자격기준에 터한 신규기술교사의 교육요구도

        최유현,이정균,이소이,강경균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ducational needs(EN) of secondary school fresh technology teacher by importance degree(ID) and current self competence degree(SCD) about education contents of Standards for Technology Teacher.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previous studies and Standards for Technology Teacher concerned were reviewed and questionaire survey method was used. A population is all secondary school fresh technology teacher of the hole country and a sample is 81 first-class licensed teacher qualification training of technology subject. Data analyses are ID, SCD, and E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ly, secondary school fresh technology teacher generally acknowledged contents of Standards for Technology Teacher momentously and nothing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distinction of sex. Secondly, secondary school fresh technology teacher generally acknowledged lack of current self competence degree(M=3.50) than ID(M=4.31) about contents of Standards for Technology Teacher and six units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distinction of sex. Finally, the educational needs about education contents of Standards for Technology Teacher came out in next order; 'Development Professionalism(4.17)', 'Ability of Lessons(4.03)', 'Development curriculum and management(3.79)' area. But the educational needs of 'Constructing Learning condition(1.69)' area came out very low. The results of this article help University of Training Technology Teacher manage curriculum systematically and supplement it.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과 신규교사의 기술교사 자격기준에 대한 중요도와 자신의 능력 정도를 분석하여 교육요구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조사 내용은 ‘기술교사의 자격기준’이었고, 모집단은 교육경력 5년 이하의 전국 기술교사이며, 표집된 대상은 기술교사 1정 자격 연수를 받고 있는 신규기술교사이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교사 자격기준 대한 중요도, 현재 자신의 능력 정도, 교육요구도 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규기술교사는 기술교사 자격기준에 대하여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성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신규기술교사의 기술교사 자격기준에 대한 자신의 능력 정도는 평균 3.50으로 대체로 보통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자격기준의 중요도 평균 4.31보다는 낮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기술교사 자격기준에 대하여 성별에 따른 능력 차이는 6개 세부기준에서 확인되었다. 셋째, 신규기술교사의 기술교사 자격기준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영역별로는 ‘전문성 개발영역(4.17)’, ‘수업능력 영역(4.03)’, ‘교육과정 개발 운영 영역(3.79)’ 순으로 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학습환경 조성과 관련된 영역에서는 1.69로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교육요구도 값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인 교육요구도는 기술교사 양성기관이 교육과정 및 수업을 개선하거나 보완하여 체계적으로 양질의 기술교사를 길러내는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기술교육의 쟁점과 실천 전략: 우리나라 기술교육 현장 전문가의 인식

        성의석,권혁수 대한공업교육학회 2014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ritical issues and practicalstrategies that Korean technology teachers perceive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this study,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ritical issues and practicalstrategies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targeted on Korean technology teachers. Apurposeful sampling for choosing technology teachers was used for this study withthree selection conditions: 1) 'Excellent Korean technology teacher' award winningteachers, or 2) technology teachers actively involved in both on-line and off-lineteachers' association, and 3) leaders in local technology teachers' association. Thisstudy conducted exploratory in-depth interviews with selective 15 technology teachersregarding critical issues and practical strategies of Korean technology teachers. Theinterpretation of the interview content was conducted by two researchers using thethematic analysis which analyzed the frequency of concepts, words, and meaningsheld from collected data. In the conclusion, critical issues researchers identified were 1) curriculum problems,2) education environment and facilities problems, 3) teachers' problems, 4) students'problems, 5) related research institution and college problems, 6) social problems. Secondly, Korean technology teachers agreed with following practical strategies 1)separating technology education from home economic education, 2) sharing practiceson managing and improv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laboratory for technologyeducation, 3) actively involving in technology teachers’ group, 4) motivating studentsusing hands-on activity 5) improving the quality and the quantity on technologyteachers preparatory institution, 6) advertising the values of technology education tothe public. Lastly, the positive factors to succeed technology education were 1)technology education satisfying social needs and 2) technology teachers' will orpassion toward improving their technology classrooms. The negative factors to hindertechnology education were 1) low self-respect of Korean technology teachers and 2)rejection or retarded acceptance toward social transition. Several recommendations based the conclusion were suggested as 1) implementingsupplementary study toward selected critical issues and 2) conducting exemplary casestudies regarding concrete practical strategies for improving challenges of Koreantechnology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기술교육의 쟁점과 그에 대한 실천전략을 연구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우리나라 기술교사들이인식하는 기술교육의 쟁점과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기술교사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하나의 질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기술교사 전문가 그룹을 선정하기위하여 의도적 표집방법이 다음의 세 가지 조건을 가지고 사용되었다: 1) 대한민국기술교사상 수상자이거나 2) 온라인 오프라인 상의 기술교사모임을 이끌고 있는 교사들이거나 3) 지역의 기술교사 모임 운영진들. 이 연구는 한국의 기술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쟁점과 실천 전략에 관하여 선택된 15명의 기술교사들과 탐색적인 집중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인터뷰 내용에 대한 해석은 2명의 연구자들에 의해 주제분석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는 선택된 자료에서 개념, 단어, 의미 등의 빈도수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찾고 있는 기술교육의 쟁점은 1) 교육과정의 문제, 2) 교육 환경의 문제, 3) 교사 문제, 4) 학생 문제, 5) 관련 연구 기관 및 대학 문제, 6) 사회적 문제 등이 있었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1) 기술과 가정교육의 분리, 2)교육환경 개선 사례 공유, 3) 교사모임과 교사운동 활성화, 4) 체험학습을 통한 흥미유발, 5) 교사 양성 기관의 질적/양적 향상, 6) 기술교육의 가치를 대중에게 홍보 등이 있었다. 또한 기술교육 관련 긍정적 요인으로는, 1)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기술교육, 2) 교사들의 교실수업 개선 의지 또는 열정 등이 있었으며, 부정적 요인으로는1) 기술교사들의 낮은 자존감, 2) 시대의 변화에 대한 거부 또는 늦은 수용 등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토대로 다음 몇 가지 제언으로는 1) 도출된 기술교육의 문제에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2) 전문가들이 언급한 해결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책에 대한 대표적인 사례들을 밝히는 연구의 실행 등이 있다.

      • KCI등재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에 관한 연구

        양유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8 No.1

        This study aims to diagnose the technology knowledge level and capacity of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23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281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chnology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level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education and had a parti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ducation career.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chnology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level differed very much depending on field training experience, the type of school and grade. Third, as a result of a comparison of the technology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level of the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former had a high level of the overall ‘technology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as compared to the latter. This study discussed suggestions for the field of teacher education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is. 본 연구는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 수준과 역량을 진단하고 적절한 미래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 각각 233명, 28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유아교사의‘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수준은 학력이 높을수록 차이를 보였으며, 교육경력에서는 부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수준은 현장실습경험, 학교의 유형, 학년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수준을 비교한 결과, 현직유아교사가 예비유아교사에 비해‘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전체에서 높은 수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교사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기술 · 가정 교과의 ‘기술과 발명’ 단원 도입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

        이은형,은태욱,김진수,이명의 한국기술교육학회 200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technology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 about introducing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subject of 2007 revision curriculum. For this purpose, Population is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achers who are at 16 city and provinces. Method of sampling is clustering and the size of sample is 218 pers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chnology teachers(54.6%) of tota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achers have known introduction of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into Technology · Home Economics Subjects of 2007 revision curriculum. Second, In contents of Invention Education, Technology teachers' priority ranking is that 'invention and thinking skills' is 4.78, 'invention and foundation' is 3.91,'invention and problem solving' is 3.91,'invention and design' is 3.39, 'invention and patent' is 3.78. Third, In teaching methods of Invention Education, Technology teachers identified that priority ranking is 'field trip(4.06)','brainstorming(4.04)','project method(4.01)','cooperating learning(3.92)','discussion method(3.80)'. Fourth, In evaluation/assesment method of Invention Education, Technology teachers identified 'portfolio(4.19)' and 'observation method(3.78)'importantly. Fifth, Technology teachers demanded 'financial support(4.35)','learning material(4.35)','study and training(4.29)' ,'development of programs(4.11)' and development of equipment and web-site' as introduction of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7차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된 후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기술과 발 명’ 대단원이 도입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장의 기술교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에서 ‘기술과 발명’ 대단원 도입에 대한 인식과 발명교육내용에 대하여 잘 모르고 있어 발명교육의 도입 취지에 맞는 기술과 발명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기술 · 가정 교과의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기술 과 발명’ 대단원 도입에 대하여 기술교사의 발명과 발명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를 분석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 16개 시도의 기술 · 가정 교과 담당교사를 모집 단으로 하였으며, 군집표집에 의해 218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 ‘기술과 발명’ 대단원의 도입에 대해 알고 있는 기술교사는 전체의 54.6%로 거의 절반 이상의 교사가 ‘기술과 발명’ 대단원 도입을 모르고 있었다. 둘째, 발명 교육내용에서 ‘발명과 사고기법(4.78)’, ‘발명과 기초’ · ‘발명과 문제해결(3.91)’, ‘발명과 설계(3.39)’, ‘발명과 특허(3.78)’순으로 중요 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발명 교육의 수업방법으로는 현장학습(4.06), 브레인 스토밍(4.04), 프로젝트법과 문제해결법(4.01), 협동학습(3.92), 토의법(3.80)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넷째, 발명 교육의 평가방법으로는 포트폴리오법(4.19)과 관찰법(3.78)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기술과 발명’ 대단원 도입 시 재정적 지원(4.41), 학습자료(4.35), 연수(4.29), 프로그램개발(4.11), 기자재와 웹사이트 개발(3.92) 등 모든 면에서 요구도가 높게 나왔다.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과 테크놀로지 활용 방법 탐색

        소효정,박은혜,김효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 Vol.1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special classroom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how they integrate technology in practic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PACK and technology integration. Metho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6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pecial classroom teachers nationwide. The survey tool was developed to measure basic background information, five TPACK knowledge types(CK, PK, TK, TCK, TPK), and three methods of technology integration(as an information tool, as a computer basic tool, and as a learning tool). Group comparisons were also made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special classroom teachers. Results: Overall, teachers’ TPACK levels were not high. These TPACK level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classroom groups. The level of technology integration was also not very high either. Secondary teachers used technology more frequently than elementary tea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PACK and technology integration. Conclusion: Considering that the overall levels of TPACK and technology integration are not high, it is necessary to design a program that helps special education teachers better integrate technological knowledge, content knowledge and pedagogical knowledge in special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Some area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suggest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학급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수준과 테크놀로지 활용 방법, 그리고 지식과 활용간의 관계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편의 표집 방법을 통해 전국의 초등학교 및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도구는 기본 배경정보, 다섯 가지 TPACK 지식 유형(CK, PK, TK, TCK, TPK), 세 가지 테크놀로지 활용방법(정보도구로 활용, 컴퓨터 기본 도구로 활용, 학습 도구로 활용)을 측정하도록 구성하였고, 초등 및 중등 특수학급 교사간의 집단 비교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연구참여 교사들의 TPACK 수준은 높지 않았으며, 초등과 중등간의 그룹간 차이는 없었다. 테크놀로지 활용 수준도 그리 높지 않았으며, 전반적으로 중등이 초등보다 더 많이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PACK과 테크놀로지 활용 방법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전반적으로 특수학급 교사들의 TPACK 수준 및 테크놀로지 활용도가 높지 않음을 고려할 때, 향후 특수교사 교육 및 현장교사 연수에서 테크놀로지와 교과내용지식, 교수방법론적 지식을 통합적으로 가르치는 프로그램의 구성이 필요하며,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TPACK)에 대한 연구 : TPACK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중심으로

        이다희 ( Lee Da-hee ),황우형 ( Whang Woo-hyu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8 수학교육 Vol.5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tilization of technology and TPACK in mathematics teachers, and to analyze needs and retentions, difference between needs and reten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TPACK in mathematics teachers. Furthermore, we will prioritize TPACK items that mathematics teachers want to change,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TPACK in the future. To do this, we analyzed 328 mathematics teachers nationwide by using survey on the utilization of technology, averages of TPACK’s needs and retentions, t-test of two averages, Borich’s educational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ctual utilization rate was lower than the positive recognition of utilization of technology by mathematics teachers, and many mathematics teachers mentioned the lack of knowledge related to TPACK. Secondly, the characteristics of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needs and retentions for TPACK were clear, and TPACK’s starting line of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 can be different from pre-mathematics teacher’s. The retentions was high in the order of CK, PCK and PK, and the needs was higher in the order of TPACK, TCK, TK and TPK. All of the higher retentions were knowledge related to PCK, and the value of CK was extremely high among them. In addition, mathematics teachers recognized needs for integrated knowledge related to technology, and they needed more TCK than TPK. The difference between needs and retentions showed that all items except two items in the PK were significant. Retentions of all items in CK was higher than needs, needs of all items in TK, TCK, TPK and TPACK was higher than retentions, PK and PCK were mixed. Thirdly, based on the analysis of Borich’s educational need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eacher education on TPACK for mathematics teachers needs to focus on TPACK, TK, TCK, and TPK. Specifically, TPACK needs to combine technology in terms of creativity-convergence, mathematical connections, communication, improvement of evaluation quality, and TK needs to new technology acquisition, function of utilizing technology, troubleshoot problems with technology, TCK needs to mathematical value(esthetic, practical) with technology, and TPK needs to consider technology in terms of evaluation method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mprovement of pedagogy. Therefore, whe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TPACK in the future, if they try to reflect these items in detail, the teachers could participate more actively and receive practical hel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