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로소득세 공제 및 감면 제도의 귀착효과 분석

        김우철 ( Woocheol Kim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4 질서경제저널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근로소득세제의 다양한 공제와 감면 제도가 소득계층에 따라 실질 소득세부담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실제 자료에 기초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득세의 각종 공제나 감면제도가 실질적인 세제혜택의 크기는 물론 소득계층별 세부담 귀착효과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먼저 조세함수의 개념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 소득공제를 소득의 함수로 정의한 후 이의 구체적인 형태를 도출하기 위해 통계적 방법과 더불어 제도적인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 주로 이용된 통계적 방법은 국세청의 소득세 자료에 삼차 스플라인 회귀분석을 실시하는 것이다. 자료의 크기가 안정적인 비모수적 추정치를 담보할 만큼 충분히 크지 않기에, 공제함수에 대한 현실적인 추정치를 얻기 위해 조세 및 연금제도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통해 통계적 추정치를 보정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추정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주요 소득공제 함수들은 대체로 소득수준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를 띠고 있어, 공제의 대부분이 고소득층에 크게 집중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소득공제의 실질적인 혜택은 납세자의 소득세 한계세율에 의해 결정되기에, 높은 한계세율에 직면하고 있는 고소득층이 얻는 소득공제의 조세경감 효과는 더욱 커지게 됨이 확인되었다. 공제 혜택의 고소득층 집중화 경향은 우리나라 소득세의 재분배효과를 약화시키고 세수를 위축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법 중 하나인 소득공제의 세액공제 전환 조치가 정부의 새로운 정책 대안으로 최근에 구체화되고 있다. This paper analyses empirically the effects of income deductions and credits for individual taxpayers on the incidence of the Korean income tax. An explicit form of deduction function, defined in the same way as tax function, plays a pivotal role in characterizing the effect of deductions on tax incidence. The data of income taxes from National Tax Service is applied to estimate the dedution function, based on the nonparametric method of cubic spline. Since the size of data is not enough for reliable estimation of deduction functions, we make extensive use of institutional information in correction for the possible bias of nonparametric estimates. In a case of deductions for labor income or pension, for example, we can easily derive their closed form of deduction function, instead of estimation them statistically. Our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most of main deductions are increasing with respect to income, implying that they tend to concentrate on the group of high-income earners. It is well known that the effective benefits from deductions determined by the marginal income tax rates facing taxpayers. Thus, the highly progressive income tax of Korea magnifies greatly the benefits from deductions to the taxpayers on high incomes, which, in part, explains the large amount of deductions in Korean personal income tax. The redistributive role of income tax is also weakened by the ever-growing deductions w.r.t. incomes. One of remedies for this problem lies in making the steep deduction function somewhat flat, or placing a cap on some of important deductions. As a realistic alternative, one can try to transform main deductions to tax credits to nullify the magnification effect of marginal tax rates, which begins to be a part of a new trend in the recent tax reform of Korea.

      • KCI등재

        각 사업연도소득에 대한 과세표준 산출체계에 관한 연구-과세표준 계산시 순차공제를 중심으로-

        안연환 한국세무학회 2012 세무와 회계저널 Vol.13 No.4

        For taxable income, there are income taxes that taxes personal income and corporate taxes that taxes corporate income. When a domestic profit corporation calculates incomes by business year,the assessment standard is calculated by deducting the deficit carried forward, tax-free income,and income tax deductions sequentially from each business year's income. When calculating the assessment standard as stated by sequentially deducting in the order of deficit carried forward, taxfree income, and income tax deductions, it is called sequential deduction. Such sequential deduction has been accepted without criticism when calculating the assessment standard of corporate taxes, and there are very few related rulings on this as well.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verifying whether the sequential deduction method is a rational and feasible calculation system in calculating the corporate tax assessment standard, and whether it is a reasonable legislation according to tax equality and the legal principles on taxes. This study summed up the concepts of deficit carried forward, tax-free income, and income tax deductions that are deducted in that order, and organized deduction methods suitable to the logic of tax laws based on literary resources. Finally, comparativ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tax laws and regulations of Japan, US and Germany. Through this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current sequential deduction method contradicts the reasoning of tax laws and is a national-treasury oriented regulation that impedes upon tax equality, and hence, must be reformed. First, tax-free income shoul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he term, not be deducted from each business year's income, and should not be included in income subject to taxation from the beginning like the income tax law. Second, in the case of taxation by calculating the corporate income after converting to each business year for the corporate tax and taxing a single time for income of the complete period that the corporation is in existence, and the deficit deduction method that can be identical to the tax effect are the deficit methods like that of Germany, and there is a need to make reforms on laws so that this deficit carried forward method is recognized as an exception. In this case, the deficit retroactive deduction period should be the same as the period for exercising claim of reassessment, which is three years. Third, the Enforcement Regulation of Corporate Tax Laws Article 5, which prohibits tax-free income and income tax from being received as deficit carried forward, violates the delegated legislation, and thus, regulations for grounds of delegation are necessary. Special purpose companies are only paper companies and simply act as a conduit of income that flows into shareholders, and thus, since there is no reason to defer the company's profits, it would be more reasonable to make deductions after deducting the deficits. However, it would be reasonable for deductions for income on national home leasing of self-managed real estate investment companies and deductions for small & medium businesses that maintain employment to be taken from income before deficit deductions. In conclusion, when calculating corporate tax assessment standards, tax-free income should be excluded from income subject to taxation such as exclusion from gross revenue, and deficit deductions should be revised being of retroactive deduction in principle, and placing its priority after deficit carried forward deductions. Or, deductions should be separated as deducting from income before or after deficit deductions depending on the objective of the legislation and the subject of deductions. 소득과세에는 개인소득에 과세하는 소득세와 법인소득에 과세하는 법인세가 있다. 영리내국법인이 매 사업연도 단위로 소득을 계산할 때 각 사업연도소득금액에서 이월결손금․비과세소득․소득공제액을 순차적으로 공제하여 과세표준을 산출하게 된다. 이렇게 과세표준을 산출할 때 이월결손금부터 비과세소득, 소득공제 순서로 순차적으로 공제하는 방식을 순차공제라고 한다. 이러한 순차공제는 법인세 과세표준을 산출할 때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져 왔으며 이에 대한 관련판례도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법인세 과세표준을 산출함에 있어서 순차공제방식이 논리적으로타당한 산출체계인지 또한 조세공평과 조세법리에 따른 적정한 입법인지를 연구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과세표준에서 순차로 공제되는 이월결손금, 비과세, 소득공제에 대한 개념정리와조세법의 논리에 적합한 공제방법을 문헌을 바탕으로 정리하였으며 일본, 미국, 독일의 세법규정을비교법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현행 순차공제방식은 조세법의 논리에 모순되며 과세의 공평을 저해하는 국고주의적인규정임으로 개정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첫째, 비과세소득은 그 용어의 정의에 맞게 각 사업연도소득에서 공제할 것이 아니라 소득세법과 같이 처음부터 과세대상소득에 포함시키지 말아야한다. 둘째, 법인세가 매 사업연도 단위로 법인소득을 계산하여 과세한 것과 법인이 존속하는 전(全)존속기간의 소득에 1회 과세하는 경우와 조세효과가 동일하게 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손금 공제방식은 결손금 소급공제방식이다. 따라서 독일과 같이 소급공제방식을 원칙으로 하여야 하며 이월공제방식을 예외로 인정하는 법 개정이 필요하다. 이 경우 결손금 소급공제기간은 경정청구권 행사가능기간인 3년으로 하여야 한다. 셋째, 비과세소득과 소득공제를 이월공제를 받을 수 없도록 규정한 법인세법 시행규칙 제5조 규정은 위임입법에 위반됨으로 위임근거규정이 필요하다. 유동화전문회사 등이 서류상의 회사이고 단순히 주주 등에게 흘러들어가는 소득의 도관역할만 행하며, 그 회사자체의 이익을 유보할 이유가 없으므로 결손금 공제한 후 소득공제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다. 그러나 자기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국민주택임대소득에 대한 소득공제와 고용유지중소기업에 대한소득공제는 결손금 공제전 소득에서 공제함이 타당하다. 결론적으로 법인세 과세표준을 산출할 때 비과세소득은 익금불산입과 같이 과세대상소득에서 제외하여야 하며 결손금공제는 소급공제를 원칙으로 이월공제를 후순위로 개정되어야 한다. 또는 소득공제는 입법취지와 공제대상에 따라 결손금 공제전 또는 결손금 공제후 소득에서 공제하는 것으로 나뉘어져야 한다.

      • KCI등재

        부가가치세법상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의 매입세액 불공제 제도 고찰 ― 작성 연월일이 사실과 다른 경우를 중심으로 ―

        김홍수,안창남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조세와 법 Vol.10 No.1

        Value-added tax (VAT) is calculated by deducting the input tax amount from the output tax amount for the taxable period. Article 39 of the Value-Added Tax Act defines the “input tax amounts not to be deducted,” which include cases where the required information provided on the tax invoices differs from the actual facts (misrepresented tax invoices). One of the reasons a tax invoice may be deemed misrepresented, however, is a discrepancy between the taxable period, into which the preparation date for the tax invoice falls, and the period in which the taxed goods were supplied. In this particular case of denying the deduction of input VAT for the reason of a discrepant invoice date, there are no theoretical basis to exclude such deductions, and there is reason to believe that this system is applied solely for the conveniences of tax administration. Meanwhile,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Supreme Court of Korea support the system of excluding input VAT deductions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order in the issuance of tax invoices. In other words, their argument is that it is justifiable to apply this system to maintain order in tax administration. However, if the aim of the system is to penalize the issuance of misrepresented tax invoices for causing disorder in tax administration, then imposition of additional taxes would be more reasonable than excluding the input VAT deductions. VAT, considering its nature, is a tax item that precedes the income tax and corporate tax calculations. However, in the case of income tax and corporate tax, when a taxpayer underreports the necessary expenses and deductible expenses, the tax burden may be reduced through a claim of reassessment. In fact, if such cases are discovered during a tax investigation process, the necessary expenses and deductible expenses are additionally included, even if the taxable period has lapsed, as long as it is within the period of exclusion from imposition of national taxes. In contrast, excluding the input VAT deductions for the elapse of the taxable period in the case of misrepresented tax invoices is not only an infringement of the property rights of taxpayers, but also a system applied for the sole purpose of making taxation more convenient. Thus, there is a need to amend the tax laws to enable deductions of input VAT, in principle, as long as the purpose of preparing misrepresented tax invoices is not to evade taxes in an unlawful manner. 부가가치세 납부세액은 과세기간 중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을 공제하여 산출된다. 현행 부가가치세법 제39조에서는 매입세액 중 ‘공제하지 아니하는 매입세액’을 규정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세금계산서의 필요적 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르게 적힌 경우(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를 들고 있다. 한편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의 발생 원인으로 매입세금계산서 상 ‘작성 연월일’이 속한 과세기간과 실제 해당 과세물건의 공급시기가 속한 과세기간이 다른 경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단지 작성 연월일이 다르다는 이유로 부가가치세 매입세액을 공제해주지 않는 것은 그 이론적 근거를 찾아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는 편의적인 세무행정을 위한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 한편, 이 조문과 관련된 헌법재판소나 대법원의 입장은 세금계산서를 주고받는 질서를 확립할 목적이라는 이유로 매입세액 불공제를 지지하고 있다. 즉, 과세행정질서를 유지하는 목적상 타당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가 과세행정질서를 문란하게 했다면, 매입세액 불공제 보다는 오히려 가산세 부과가 더 타당하다. 부가가치세는 그 성질상 소득세나 법인세의 선행 세목이다. 그런데 소득세나 법인세의 경우 납세의무자가 필요경비나 손금을 과소 신고하였다면, 경정청구를 통해 세금부담을 줄여주고 있다. 심지어 세무조사 과정에서 그 사실을 발견하였다면, 국세부과제척기간 내에서 과세기간이 경과하였다고 하더라도 적극적으로 필요경비나 손금으로 추가적으로 산입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 중 단지 과세기간이 경과되었다는 이유로 매입세액을 불공제하는 것은 납세의무자의 재산권 침해는 물론 과세편의주적 제도라고밖에 볼 수 없다. 따라서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의 작성목적이 부당하게 조세를 회피할 목적이 아니라면 원칙적으로 매입세액공제가 가능하도록 세법이 개정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세금계산서와 매입세액 공제

        강성모(Kang Sungmo) 한국세법학회 2018 조세법연구 Vol.24 No.3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지 않으면 관련 거래의 매입세액을 공제할 수 없다. 세금계산서의 일정한 기재사항이 적히지 않거나 사실과 다르게 적혀도 마찬가지다. 이러한 제도가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입법과 해석에서 바른 대안을 제시한다. 모든 매입세액이 공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실제로 거래가 있었고 그것이 과세사업과 관련이 된 것이라면 공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활용되는 것이 세금계산서다. 거래 사실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호교차를 통해 검증하고 감시하는 기능도 한다. 이 때문에 세금계산서의 발급을 매입 세액 공제의 요건으로 한다. 하지만 세금계산서의 잘못을 이유로 매입세액을 공제하지 않는 데는 신중해야 한다. 공급자 또는 공급받는 자의 특정과 관련해서는 일정한 사항이 기재되지 않거나 사실과 다르게 기재되었더라도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누구인지 알 수만 있으면 된다. 공급자와 공급받는 자가 달라져도 면세, 영세율 등의 적용이 문제가 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세 부담에 차이가 없다. 법률행위의 해석 또는 실질과세의 적용은 사후에 판단되는 것이고, 따라서 거래 시점에 언제나 제대로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세금계산서에 적힌 공급가액이 실제와 달라도 공급자가 매출세액으로 인식하는 금액과 공급 받는 자가 매입세액 공제를 받는 금액이 같으면 전체 세수에는 차이가 없다. 세금계산서가 공급시기에 맞춰 발급되지 않는다고 해도, 실제 거래내용에 따른 세금계산서가 발급 되고 공급자가 매출세액을 인식하는 때와 공급자가 매입세액을 공제받는 때가 같은 과세기간에 속하면 큰 문제는 없다. 이러한 이유에서 예외 규정을 두기도 하고, 해석을 통해서 균형을 유지하려는 노력도 있었다. 하지만 아직은 거래의 ‘실질’보다 세금계산서 제도 자체에 한결 더 무게가 실리고 있다. 지금의 틀을 유지하면서 문제가 되는 상황을 줄이는 방향으로 개선할 수도 있다. 하지만 한결 더 근본에서, 세금계산서의 잘못 때문에 매입세액 공제를 할 수 없도록 하는 것 자체를 바꾸는 편이 낫다. 반드시 규율해야 할 부분에 대해서는 예외 규정을 두면 된다. 그리고 이러한 예외적 사정에 대한 증명책임은 과세관청에 있다고 해야 한다. 추가로 제재가 있어야 한다면, 가산세나 형벌로 충분하다. An input tax from a transaction cannot be deducted unless the taxpayer has a tax invoice issued for the transaction, or if the tax invoice is missing any certain information or contains incorrect information. This paper looks into how the system of input tax deduction operates and, based on the findings, proposes right legislative and interpretative alternatives. It would not be reasonable to maintain that all input tax should be deductible. However, if a transaction did exist, and it was conducted in relation to a taxable business, the input tax from the transaction should be deductible. Tax invoices are used to prove that these requirements are met. A tax invoice provides crucial means to prove the existence of a transaction. It also allows for verification and monitoring through cross referencing. For this reason, the issuance of a tax invoice is one of the preconditions for input tax deduction. However, caution is required when refusing to deduct input tax on account of a faulty tax invoice. For example, with regard to the specification of the supplier or the recipient, a tax invoice that is missing certain information or contains incorrect information can be acceptable as long as the supplier or the recipient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 relevant circumstances. Even if the actual supplier or the recipient is not the person indicated in the tax invoice, the resulting tax amount would not be different unless the transaction is eligible for an exemption or zero tax rate. Interpretation of juristic acts and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transaction was applied by actual taxation take place a posteriori. Therefore, it would be difficult to expect all tax invoices to be properly issued at the time of the transactions. Even if the value of supply in the tax invoice differs from the actual, the total tax revenue dose not change if the amount that the supplier recognises as sales and the amount that the recipient deducts as input tax is the same. Even if a tax invoice is not issued in time with the supply of goods or services, it would not be a serious issue as long as a tax invoice conforming to the substance of the transaction is issued, and the supplier becomes aware of his/her output tax in the same taxation period in which the supplier has the input tax deducted. For these reasons, legislators have introduced exceptions to address the issue, and courts have attempted to maintain the balance by interpreting the relevant provisions in certain ways. However, these efforts have put more emphasis on the system of tax invoices rather than the substance of transactions to date. Granted, it is possible to reduce potentially problematic situations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framework. However, a more fundamental approach would be to reform the current system that refuses input tax deduction on account of faulty tax invoices. If there exists certain issues that need to be regulated, it can be achieved by introducing provisions that provide for exceptions. In such cases, it should fall on the taxation authorities to prove the existence of exceptional circumstances. In addition, if certain conducts need to be sanctioned, it will suffice to introduce penalties or punishments for such conducts.

      • KCI우수등재

        개인의 소득공제와 포괄적 소득개념과의 정합성과 그 한계

        김현동 ( Hyun Dong Kim ) 법조협회 2016 法曹 Vol.65 No.2

        Individual income tax law does not define the concept of income. The method to define income seems to follow the income-source theory. However, individual income tax law would be close to the comprehensive tax base considering the taxable base and the direction of current amendments. This study tries to confirm that several personal deductions are under comprehensive tax base. The comprehensive tax base has its own theoretical problems and conflicts with the constitution. Thus it would be impossible to promulgate tax law under the comprehensive tax base. To accept the comprehensive tax base means introducing the conceptual and legal limitations of the comprehensive tax base. It could not be said that the change from deductions to credits is accord with the comprehensive income tax. Several personal deductions that should not be would undermine the effect of progressive tax rates and eventually harm equity one of governing principles in tax law. There are many problems about the scope of taxable income because tax law does not clarify the general concept of income. Accordingly, the scope of taxable income or deductions, credits are not aligned to the conceptual consistency.

      • KCI등재

        근로소득세의 공제제도 유형에 따른 세부담 효과 분석

        정유석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연구 Vol.30 No.5

        The scope and limit of each deduction type on earned income, according to the Earned Income Tax Act, have continuously changed. Most deduction items have been applied in the form of earned income deduction thus far. However, most existing earned income deduction items have been converted to employment income tax credit type from the year-end tax adjustment of 2014 through recent tax act amend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compare the difference of tax burden in the year-end tax adjustment, according to the earned income deduction and employment income tax credit of each income earner bracket by reflecting such recent revised bill.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find out problems and future improvements in the deduction type conversion on earned income tax.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s the literature review method comparing and reviewing the application differences of earned income deduction and employment income tax credit under the current earned income systems of Korea and some major countries.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differences of tax burden support effects by income earner bracket, according to recent earned income tax deduction system conversion, using virtual examp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are presented:First, it is desirable to simplify deduction mod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r criteria of each spending item. Second, earned income deduction should be conducted by acknowledging the expenses burdened by income earners as necessary expenses, while avoiding budget credit type earned income deduction to ease earned income tax deduction system’s differential application. Lastly, the duplicate support exclusion of earned income deduction and employment income tax credit or the downward adjustment of deduction rate is required in linkage with the second improvement measure above. 소득세법상 근로소득에 대한 공제유형별 범위와 한도는 계속해서 변화되어 왔다. 그동안 대부분의 공제항목이 소득공제 형태로 적용되어 왔었다. 그러나 최근 세법개정을 통해 2014년 귀속소득에 대한 연말정산부터 기존의 소득공제 항목들이 대부분 세액공제 형태로 전환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최근 개정안을 반영하여 근로소득자 계층별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에 따른 연말정산에서의 세부담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근로소득세에 대한 공제유형 전환의 개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및 향후 개선점을 찾아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우리나라와 일부 주요국들의 현행 소득세체계상의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적용의 차이점을 비교․검토하는 문헌조사 방법과 동시에 최근 소득세 공제제도의 전환에 따른 근로소득자 계층별 세부담 지원효과의 차이를 가상 예시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연구의 분석 결과 다음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지출항목별 특성이나 기준에 따라 공제방식을 단순화시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소득세 공제제도의 차등적용 완화를 위해 개산공제 방식의 근로소득공제를 지양하고 근로자가 직접 부담한 비용을 필요경비로 인정하여 소득공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두 번째 개선방안과 연계하여 근로소득공제와 근로세액공제의 중복지원 배제 또는 공제율 하향조정이 필요하다.

      • KCI등재

        소득세 특별공제 한도 규정에 따른 문제점과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세제 지원방안

        김수성,문성훈 한국세무학회 2014 세무학 연구 Vol.31 No.1

        The revised tax on 2012 established the regulation regarding income tax special deduction total limit. Therefore, the tax burden would be raised because the benefit of income deduction for large-income earner decreased with wide range than in the past. The income deduction limit items are the insurance, medical expenses, educational spending, home loan, designated contribution, subscription deposit, employee stockholders association, establishment investment association etc. investment, credit card etc. and these items were included in total limit and the donation deduction item in income deduction would be much decreased. Since 2013, the tax burden of high-income earner would be raised even though some high-income earner expenses the donation because of limit regulation of income deduction, so the donation expenses would be reduced than in the past. Afterward the donation income deduction would be reduced, therefore the donation culture would be hindered and the financial condition of donation organization would be much affected. So, this study research the problems of income tax special deduction total limit regulation establishment and find the improvement scheme for donation culture vitalization and examine the improvement plan for tax revision regarding donation. This study draw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for tax revision plan which limit the excessive income deduction to establish the income tax special deduction total limit by revising the special tax treatment control law since January 01, 2013.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hat this study researched the problem for special deduction limit regulation and analyzed the effect of tax burden by applying the revised tax and find the improvement plan of income tax. The insistence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gulation for income deduction total limit should be deferred. Specially, the limit regulation of income deduction regarding donation should be surely abolished. Second, the donation could be deducted carried forward when exceeded deduction limit, then the donation which expensed in pertinent year should be deducted in relevant year. To achieve this, there is need to taxation support which could be deducted in one side of husband and wife by issuing the donation statement of husband and wife joint name. Finally, regarding donation deduction, it is need to reinforce the rules of punishment for issuing the donation statement of institution or individual lyingly.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in that this study prevents the sudden increase of tax burden for high-income earner through the revision of tax deduction limit and spreads the free will donation culture and researches improvement plan for decrease of tax burden. 2012년 개정세법은 소득세 특별공제 종합한도 규정을 신설하였다. 이에 따라 고액소득자의 소득공제 금액이 과거에 비하여 대폭 감소하여 세부담의 증가가 예상된다. 특별공제항목 중에서 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주택자금, 지정기부금, 청약저축, 우리사주조합 창업투자조합 등 출자, 신용카드 등을 종합한도에 포함시켰는데, 이중에서 소득공제가 가장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는 항목은 기부금 공제가 될 것으로 본다. 2013년도부터 일부 고소득자들은 과거와 동일한 규모의 기부금 지출을 함에도 불구하고 소득공제 한도 규정으로 인하여 세부담이 과거에 비하여 다소 늘어날 가능성이 커졌다. 이에 따라 과거에 비하여 기부금 지출이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소득공제 한도 규정은 기부문화를 저해하고 기부금 단체의 재정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소득세 특별공제 종합한도 규정 신설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보고 기부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기부금 관련 세제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1월 1일부터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을 통해 소득세 특별공제 종합한도를 신설하여 과도한 소득공제 적용을 제한한 세법 개정안에 대한 문제점과 개정세법 적용으로 인한 세부담의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장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우선, 소득공제 종합한도의 규정적용을 유보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기부금과 관련한 소득공제의 제한 규정 적용은 유보되어 할 것이다. 둘째, 기부금은 공제한도를 초과시 이월공제를 허용되고 있지만, 가급적 당해 연도에 지출한 기부금은 당해 연도에 소득공제받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부부공동명의의 기부금 명세서를 발급하여 부부 중에서 일방이 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보다 강력한 세제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기부금 공제와 관련하여 허위로 발급한 기관이나 개인에 대한 처벌규정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소득공제 한도 규정의 개정을 통하여 고액소득자의 세부담의 급격한 증가를 방지하고 하며, 자발적인 기부문화를 확산하고자 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근로소득세에 관한 연구

        최보람(Choi Bo-ram) 한국국제회계학회 2015 국제회계연구 Vol.0 No.63

        본 연구는 2014년 소득세법개정에 따른 2015년의 연말정산 파동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2014년의 세법개정은 근로소득자의 소득공제의 상당부분을 세액공제로 전환하는 대대적인 개정이었으나 이에 대한 국민적 이해는 낮고 조세효과는 컸기 때문에 강력한 조세저항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14년 귀속소득에 대한 연말정산 파동의 원인과 연말정산 보완책으로 인한 결과를 분석한 후 아직까지 존재하고 있는 근로소득세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5년 연말정산 보완책 이후 면세자의 비율이 46%에서 48%로 증가하였다. 이는 세액공제 전환으로 면세점이 확대된 결과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일정 급여 이상의 근로소득자에게 최저한세를 적용하는 방안을 개선안으로 제시하였다. 근로소득공제의 축소는 사업자와의 형평성을 악화하고 부양가족에 포함되는 기본공제대상자를 감소시키는 이차적인 문제도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2015년 세법 개정시에는 근로소득공제 축소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장기적인 해결책으로 인적공제액과 기본공제대상자의 소득금액을 일치시키는 방안을 함께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총급여 제한 공제 규정에 대해서는 실효성에 문제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분석 결과 총급여제한 소득공제는 다른 소득공제에 비해 소득공제 인원이나 소득공제액, 세액효과 모두 정책적 실효성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안으로 우리나라도 미국 등에서 이용되고 있는 phase-out(소득 증가에 따른 공제 점감) 방법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금년 소득세 개정시에 정책 입안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Income Tax Act of 2014 Tax reform and the related affairs regarding year-end tax adjustment in early 2015. This 2014 Income Tax reform is a major development involving transition from tax deduction to tax credit. However, taxpayers don’t understand the related tax amount difference and they complain the increased tax payment.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s of the issues and the results from the supplementary policy of year-end tax settlement 2014. Since 2015 year-end tax-settlement, tax-exempt employee rate increases from 46% to 48%.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adopting an alternative minimum tax. Reduction of the earned income deduction was also analyzed, for it has the secondary problem that can increase the unfairness between earned income and business income, and reduce tax-deductible dependent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reconsidering the reduction of the earned income deduction policy.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revised tax act which dependent deductible tax income equals to the tax deduction from the dependent. Finally, this study argues that the effects of the deduction which have limit by income level are doubtful.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se deductions are not effective in comparison other non-limit deduction.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consideration of phase-out rul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useful to policy makers who are responsible for revising future Income Tax Act.

      • KCI등재

        상속공제 적용 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두형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33 No.2

        거주자의 사망으로 인하여 상속이 개시되는 경우에 상속인 등은 상증세법에 따라 각종 상속공제를 적용받아 상속세 과세표준 및 세액을 산출한다. 그런데 상증세법 제24조는 상속공제를 전면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적용 금액을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유증 등을 받은 재산, 사전증여재산가액등을 뺀 잔액을 한도로 제한하고 있다. 이 글은 상증세법상 상속공제의 취지에 비추어 볼 때 상증세법 제24조공제적용의 한도 규정에 가혹하거나 불합리한 점은 없는지에 대한 의문을제기하면서 시작한다. 그리하여 상증세법 제24조에 대한 타당성과 법적 쟁점을 찾아보고 그 개선에 필요한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살펴본바 분명한 것은 상증세법 제24조 규정이 사실상 배우자공제 등을 제한함으로써 사실상 상속세를 중과하는 징벌적 방법으로 사전증여행위를 억제하거나 민법상 상속포기를 억압적으로 금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속공제 한도를 규정한 상증세법 제24조 전체를 삭제하는 방안이 제시되기도 하지만 이에 동의할 수 없다. 사전증여재산가액 등을 상속세과세가액에 합산하여 과세하는 점에 비추어합산되는 사전증여재산가액 등은 공제 한도에 포함시키지 않아야 법의 취지에 부합하는 면이 있다. 또 상속포기의 경우 후순위 상속인에게 불리하게 입법되었다 하더라도 위헌은 아니라는 헌법재판소의 입장을 존중한다면 해당 법조항이 불필요하거나 위헌성을 띠고 있어 부당하다고 주장하는것은 논리적으로 무리한 태도이다. 다만, 상증세법 제24조의 입법목적이정당성을 가진다고 하여도 시행상의 문제점과 불공평한 점은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렇다면 상속공제 적용 한도에 관한 개선방향은 상증세법 제24조의 입법취지를 크게 훼손하지 아니한 채 다른 조항과의 법적 정합성을 도모하는 방법이 되어야 무리가 없고 효과적일 것이다. 따라서 법형식의 근간을유지하면서 정책적 판단이 개입된 조항을 현실에 맞게 개선하거나 다른법조항의 개선을 통해 상속공제 제도를 보완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여야한다. 이와 같은 전제를 토대로 이 글에서는 상속공제 적용 한도에 관한 개선방안으로 현행 상증세법 제24조가 전체적으로 입법취지에 타당한 면이 있으므로 그대로 존치되는 것으로 하면서 약간의 변화를 모색해보았다. 즉상속공제 적용 한도 폐지를 대신하여 가능하다고 생각되는 상속공제 제도의 개선 방법을 여러 각도에서 찾아본 것이다. 결론적으로 일괄공제를 폐지하고, 기초공제와 가업상속공제를 상속공제 한도 적용과 무관하게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이에 따라 상증세법 제24조 법문에서 “제18조부터 제23조까지 및 제23조의2에 따라 공제할 금액~”라는 부분을 개정하여 “제19조·제20조·제22조 및 제23조의2에 따라 공제할 금액~”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heir shall calculate the tax base and amount of inheritance tax by applying various inheritance deductions under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However, Article 24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does not apply the inheritance tax deduction entirely, but limits the amount of the deduction from the amount of the inheritance tax to the amount of the assets received from the inheritance tax, the value of the property received from the prior gift. This article begins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limit of deduction application is harsh or unreasonable to taxpayers in light of the purpose of inheritance deduction.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validity and legal issues of Article 24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and to find a reasonable solution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In some cases, it is clear that Article 24 results in curbing gifts or oppressive abandonment of inheritance under civil law as a punitive method of imposing inheritance taxes, such as limiting spouse deductions. In order to remedy these problems, some suggest but disagree with the elimination of the entire Article 24. Given that property donated before death is taxed by adding up the amount of inheritance tax, the value of the gift property, etc. should not be included in the deduction limit to comply with the purpose of the law. It should also respect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not to be unconstitutional, even if it was legislated against the next heir in the issue of giving up inheritance. Therefore, it is also not right to argue that the relevant legal clause is unnecessary or unconstitutional. However, even if the legislative purpose of Article 24 is justifiable, it is desirable to improve the problems and unfairness in the implementation. If so, the improvement direction on the limit of the application of inheritance deduction should be a way to promote legal convergence with other clauses without significantly infringing on the legislative intent of Article 24. Therefore, while maintaining the basis of the legal form,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consider ways to supplement the inheritance deduction system by improving the provisions involving policy judgments to suit reality or by improving other legal clauses. Based on this premise,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limit of application of inheritance deduction in this article was found to be a little change while maintaining Article 24. In other words, I have looked at the ways to improve the inheritance deduction system, which is thought to be possible instead of abolishing the inheritance deduction limit. In conclusion, it is reasonable to abolish the collective deduction and to recognize the basic deduction and the family business inheritance deduction regardless of the application of the inheritance deduction limit. Accordingly, I would like to propose a plan to change the amount to be deducted under Articles 19, 20, 22, and 23-2 by amending the part in Article 24 of the Tax Credit Act, “the amount to be deducted under Articles 18 through 23 and 23-2.”

      • KCI등재

        지방세 조례감면의 지방자치단체 재정수입에 대한 한계효과 분석

        주만수,박혜림 한국지방재정학회 2023 한국지방재정논집 Vol.28 No.3

        이 논문은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의한 지방세 감면이 재정수입에 미치는 한계효과를 도출하고 이 한계효과와 조례감면율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자치단체가 조례로 지방세를 감면하면 지방세 수입의 감소에 그치지 않고 조정교부금, 보통교부세 등 다양한 이전재원이 변화하는데, 그 변화 크기는 자치단체별로 달라질 수 있다. 첫째, 광역자치단체는 감면액의 일부를 조정교부금과 징수교부금으로 기초자치단체에게 전가하지만 보통교부세 제도의 자체노력 항목에 의한 페널티로 보통교부세가 감소한다. 둘째, 도의 조정교부금 교부율은 특별・광역시보다 커서 기초자치단체에게 더 많이 전가하지만, 도의 감면만 보통교부세 기준재정수요액을 감소시켜 보통교부세를 감소시키므로 도의 조례감면은 특별・광역시보다 더 큰 재원 감소를 초래한다. 셋째, 시・군의 경우 교부단체는 조례감면으로 보통교부세가 감소하므로 재정수입 감소액이 불교부단체보다 더 크다. 넷째, 자치구 조례감면은 각 특별・광역시의 일반조정교부금 배분방법 및 조정률 차이에 따라 서로 크게 달라진다. 마지막으로 2021년 결산 자료를 이용하여 조례감면의 재정수입에 대한 한계효과를 도출하고, 한계효과가 클수록 조례감면율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에 대해 다양한 사례를 검토한 결과, 이 가설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한다. 이는 시계열을 확장한 패널자료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실증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tax deduction through local ordinances on total revenue and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rginal effects and tax deduction rate. When local governments reduce local tax revenues through tax deduction by local ordinance, total fiscal revenues are changed because various intergovernmental grants such as adjustment grants and local share tax are altered. The marginal effects are as follows. First,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offset a portion of the ordinance tax deduction with a decrease in adjustment grant and collection grant revenue, but local share tax decreases due to an increase in standard fiscal revenue from the self-effort category. Second, although the adjustment grant rate in provinces is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special and metropolitan cities, the decrease in general adjustment grants and collection grants is reflected in the decrease in standard fiscal demand which leads to the decrease in total fiscal revenue being larger than that of special and metropolitan cities. Third, in the case of city and county governments that receive local share tax, the local share tax decreases due to the ordinance tax deduction, so the total revenue decreases more than that of divisions which do not receive local share taxes. Fourth, the marginal effect of the ordinance tax deduction for self-governing administrative regions on the total revenue is significantly different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method of allocating the general adjustment grant. Finally, The evidence using the 2021 fiscal year-end data on the hypothesis that the larger the marginal effect of tax deduction by local ordinance, the higher the rate of tax deduction is not strong. This raises the need for empirical analysis through panel data by extending the time se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