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학 분야의 연구 현황과 미래 방향—『민족문화연구』를 중심으로—

        전성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101 No.-

        이 글은 그동안 간행된 『민족문화연구』창간호부터 제99집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그 가운데 철학 분야의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미래 방향을 전망해보고자 작성된 것이다. 총 1,225편 가운데 철학 분야의 연구 성과는 대략 121편이다. 철학 분야는 크게 동양철학, 서양철학으로 구분하였고, 다시 동양철학은 한국철학, 중국철학, 일본철학으로 구분하였으며, 한국철학은 다시 유교학, 불교학, 노장학으로 구분하였고, 유교학은 성리학, 실학, 경학, 경세학, 예학, 종교학, 명리학, 풍수학 및 유교학일반으로 구분하였다. 『민족문화연구』에 게재된 연구 논문 가운데 철학 분야는 역시 유교학에 대한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또 필자의 전공이 유교학 분야이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유교학의 하위 범주 가운데 성리학과 실학, 경학과 경세학, 그리고 예학과 종교학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1960-1970년대 ‘민족과 근대에 관한 담론’에서 시작된 철학 분야의 연구 성과는, 1980-1990년대 실학과 전산화에 대한 논의로 진전하였고, 2000-2020년대 남북한 철학과 유교문화 콘텐츠로 확장되었는데, 그 가운데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증가하고 향상된 분야는 역시 성리학과 실학을 포함하는 유교학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민족문화연구』는 200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확장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그 가운데 핵심적인 것은 이른바 탈근대성(Post-Modernism)이라는 시대의식에 따라 융합(Fusion), 수렴(Convergence), 통섭(Consilience) 차원의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예컨대, AI에 기반한 Chat-GPT가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기술윤리적 문제나 인간학적 문제를 제시하고, 그에 대한 공동연구나 학제간연구를 진행시키는 등 현재적 문제를 주제화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史料를 찾아 연구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was written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in the field of philosophy and to forecast the future direction from the first issue of Korean Cultural Studies published so far. Out of a total of 1,225 articles, research results in the field of philosophy are approximately 121. The field of philosophy was largely divided into Eastern philosophy and Western philosophy, and Eastern philosophy was further divided into Korean philosophy, Chinese philosophy, and Japanese philosophy, and Korean philosophy was further divided into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Confucianism was divided into Neo-Confucianism, Silhak, Gyeongsehak, Yehak, Religious Studies, Myeongni Studies, Feng Shui, and Confucianism in general. Among the research papers on Korean Cultural Studies, the philosophy field also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Confucian studies, and since my major is Confucian studies, this article focused on Neo-Confucianism and Silhak, Gyeonghak and Gyeongsehak, Yehak and Religious Studies among the subcategories of Confucian studies. The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philosophy, which began in the 1960s and 1970s in the Discussion on Nationality and Modernity, progressed to discussions on Silhak and computerization in the 1980s and 1990s, and expanded to South and North Korean philosophy and Confucian culture contents in the 2000s and 2020s. Among them, the field that increased and improv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s the study of Confucianism, including Neo-Confucianism and Silhak. It can be seen that Korean Cultural Studies has been expanding in earnest since the 2000s, and the key of which has come to the conclusion that research at the level of confuson, convergence, and consilience is needed in accordance with the so-called post-modernism consciousness. For example, one way could be to topicalize current problems and find and study historical data to solve them, such as presenting potential technical ethical or anthropological problems of AI-based Chat-GPT and conducting joint 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them.

      • KCI등재

        근대전환기 한국 유교의 성찰과 전망 - 우리철학 총서 집필내용을 중심으로 -

        김윤경 ( Kim Yun-kyeong ),홍정근 ( Hong Jung-geun ),이종란 ( Lee Jong-lan ),김현우 ( Kim Hyon-wo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56

        본 논고는 조선대학교 우리철학연구소의 총서사업인 “근대전환기 한국철학의 도전과 응전”의 유교분야 중간 연구 성과를 정리한 것이다. 유교분야 연구는 ‘리(理)의 철학’, ‘심(心)의 철학’, ‘기(氣)의 철학’, ‘실(實)의 철학’으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이론적 계승과 변용, 실천적 대응을 고찰하였다. 리(理)의 철학은 전통 성리학을 중심으로 선행연구에서 미처 다루지 못했던 후기 호락논변(湖洛論辨)의 전개와 변용을 심도있게 검토하였다. 호락논변은 인간과 동물의 성(性)에 대한 이견에서 출발하였으나 후기로 갈수록 양자의 종합을 지향하며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학설로 이어졌다. 심(心)의 철학은 조선의 대표적인 양명학자인 하곡학파의 후기 사상과 실천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후기 하곡학파의 사상은 개인수양을 넘어 사회비판론을 포함한 일진무가(一眞無假)의 실학(實學)으로 확장되어 1930년대 조선학(朝鮮學)운동을 주도하였다. 기(氣)의 철학에서는 양명학과 노장학을 매개로 서학을 수용하여 현실에 접목시킨 홍대용, 이규경, 최한기 등의 기 철학을 고찰하였다. 이들은 서양의 신(神)관념을 비판하고 전통적인 음양오행론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주체적이고 독창적인 기 철학을 수립했다. 실(實)의 철학에서는 현재 통용되는 ‘실학(實學)’ 개념의 형성과정을 고찰하고, 그 보다 상위 개념으로써 실의 철학을 분석하였다. ‘실학’이란 말은 『중용장구(中庸章句)ㆍ서(序)』에서 처음 언급되었고, 현재까지 4가지의 범주로 발전해 왔다. 본 논고에서는 그 중 근대시기 형성된 ‘실학’ 개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근대이후 형성된 ‘실학’ 개념 속에 있는 맹목적 서구 수용관을 비판하고, 동시에 국가와 민족을 중시하는 새로운 실의 철학의 등장도 함께 고찰하였다. 본 논고는 근대전환기 전통 유교철학의 논리적 심화와 현실대응을 통섭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다. 당대 유교지식인들의 철학적 고민과 대응은 현재 우리들의 삶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과거 전통의 몰락과 극복, 그리고 재구성의 문제는 현재까지도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우리 철학을 세워나가는데 중요한 선례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This thesis is a summary of the mid-results of the interim study, "Woori Philosophy, How do we study it?" of the Confucianism field of Woori Philosophy Institute, Chosun University. In the field of Confucianism, we studied the theoretical assumption, the change, and the practical question of each, by subdividing into ① the philosophy of Li(理), ② the philosophy of Sin(心), ③ the philosophy of Gi(氣), and ④ the philosophy of Sil(實). The philosophy of Li studied deeply about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the late Ho-Rak theory(湖洛論辨) which could not be explained in previous studies. The theory was originally born out of difference in perspectives on human and animal, but in the late period, it became a new theory that reflects the changes of the two, focusing on the synthesis of the two schools. We will continue to explore the modern values contained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Ho-Rak theory. The philosophy of Sim examined the later thought and practice of the Hagok school(霞谷學派) of the Yangming school(陽明學) of Joseon. The late Hogok school expanded the realist school(實學) included social criticism, and led the movement of Chosun Studies(朝鮮學) in the 1930s. In addition to the Hagok school, we also search for and sort out the modern Yangming scholars who have not been known. The philosophy of Gi studied philosophy such as Hong Dae-yong(洪大容), Lee Gyu-Gyeong(李圭景), and Choi Han-gi(崔漢綺), which received and accepted the West School(西學) which was valued as a heretic in the traditional philosophy. They denied the idea of worship in the West and the theory of traditional pentagram, and instead established a fundamental and philosophy of Gi. In this study, we will proceed with a deeper examination of the philosophy of Gi and its contemporary application. In the philosophy of Sil, we first clarifi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Silhak(實學) and the original Silhak(實學). Silhak have come out in Moderation(中庸) and do not simply mean science technology. In this study, we criticized the current "practice" or “reality” concept known only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xplained the development of philosophy of Sil, which criticizing blind Western acceptance in modern times and giving priority to the nation and the people. we will examine the changes in the concept of Silhak and the view of the nation after the 1920s.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each field are different, but it is the same as that which emphasized Korea's subjective awakening and fulfillment in the modern period through the inheritance and change of the traditional philosophy. And the philosophical works to deal with the actual change is very effective in modern times.

      • 지역과 세계, 상대성 보편성의 경계에 선 철학

        박치완(Tchi wan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3 철학과 문화 Vol.26 No.-

        철학의 세계성(globality)은 실제 철학의 지역성(locality)이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지역성, 상대성이 높을 때 세계성, 즉 보편성에 다가갈 확률이 높다는 것을 증험(證驗)한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사람들은 철학을 논할 때면 예외없이 비지역적이고 초시간적인 보편성만을 사유의 모범으로 고집한다. 보편성, 세계성은 물론 시공간을 초월하며,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과연 그런 인문 지식의 보편성이 존재할까? 서구인들을 위한 서구적 보편성이 동양이나 한국에서도,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에서도 타당한 담론일까? 본고에서 우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지역학으로서 철학(philosophy as a localology, the study of localness)의 밑그림을 제시해보았다. 지역학으로서 철학은 기본적으로 철학에 대한 지리ㆍ문화적 해석에 기초한 것이며, 실제 우리가 구분하곤 하는 독일고전철학, 프랑스현상학, 영미분석철학, 한국불교철학 등도 이에 기초한 것이다. 이렇듯, 서로 다른 지역에는 서로 다른 철학이 존재한다. 한국철학도 결국 자신의 지역성, 상대성을 모태로 연구될 때 이제까지의 외부에 의해 강요된 타자의 시선으로부터 독립되어 자발적ㆍ창조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지역학으로서 철학'을 통해 본고에서 우리가 강조해보려고 했던 것은 다음 명제다: 철학이란 지역성에 도달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지역성에서 출발한다. 즉 땅의 정령이 숨 쉬는 지역이 철학의 출발지요, 모태라는 것과 지역성의 표현이 철학의 최종 목적지라는 것은 구분되어야 한다. 지역의 독립은 결코 세계로부터의 고립을 의미하지 않는다.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philosophical globality is controlled by the philosophical locality. This has proved that the provability to approach to the globality, in other words universality is getting higher when the locality, the relativity is higher. But for what reason, people stick to the non-local and trans-temporal universality as the norm of rational faculty of the mind without exception when discussing philosophy. Of course it can be said that the universality, in other word globality is transcend time-space, and applied to everyone. By the way, really can such a universality of the knowledge of humanities be existing? Can the western universality for Westerners be a rational discourse in the East, Korea and Ethiopia in Africa? In this study, under this critical mind, the rough sketch of the philosophy as the study of localness has been proposed. The philosophy as the study of localness is fundamentally based on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interpretation of philosophy, and German classic philosophy, French phenomenology, Anglo-american analytic philosophy, and Korean Buddhism, practically classified by us are also based on this concept. So, every different region has its own philosophy. Eventually Korean philosophy, when its location, locality and relativity are the matrix of studies, can be independent from the forced external eye-line and spontaneously and creatively restructured. Through Philosophy as the study of Localness the propositions intended to emphasize is: "A locality is not the destination of/to philosophy, but the starting point." In other word, the fact that the region, where the spirit of the soil is breathing, is the starting point as well as the matrix of philosophy and the fact the expression of localness is the final destination of philosophy shall be segregated.

      • KCI등재

        俛宇 郭鍾錫의 「入德門賦」에 대하여

        최석기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5 남명학연구 Vol.47 No.-

        이 논문은 俛宇 郭鍾錫의 「入德門賦」가 어떤 시대상황과 배경 속에서 창작되었으며 글의 전개방식과 주제의식은 무엇일까라는 문제의식으로 접근한 글이다. 필자는 이 글에서 우선 시대상황과 창작배경을 살피고, 이 글의 구성방식을 굴원의 「어부사」와 비교해 분석하였으며, 이 글의 내용전개에 나타난 작가의식을 몇 가지 특징으로 포착하여 드러내었다. 그리고 경상우도 지역에 면면이 전승된 남명의 도학자상이 이 글을 지은 작가에게 어떻게 투영되어 나타나고 있는지를 함께 살폈다. 이 글의 요지를 간추려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19세기 후반의 역사적 전환기에 경상우도의 대표적인 학자 면우는 21세 때 晦窩라 자호하고서 「晦窩三圖」를 그렸는데, 요지는 주자학을 배우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면우는 10여 년 동안 타향살이를 하다가 28세 때 고향으로 돌아와 새로이 구도적 의지를 다짐하여 「沙上賦」를 지었고, 그 이듬해 정월 초 남명의 도학세계로 들어가는 입구에 있는 입덕문에 이르러 「입덕문부」를 지었다. 이 글은 면우가 구도적 의지를 새롭게 다짐하던 시기에 남명의 도학을 새롭게 인식하고 表章하여 남명정신을 이어가고자 지은 것이다. 「입덕문부」의 구성방식은 외형적으로 屈原의 「漁父辭」와 닮아 있다. 그러나 내용전개의 측면에서 보면 문답의 주체가 바뀌고, 주제의식이 전혀 다르다. 「어부사」는 혼탁한 시속에 휩쓸려 사는 어부와 홀로 청렴하고 홀로 깨어 있는 굴원의 가치관이 대립적 구조로 설정되어 있다. 반면 「입덕문부」는 어부가 작가에게 일방적으로 남명의 도학, 남명학의 전승, 구도의 방법 등을 상세하게 일러주는 전개방식으로 되어 있다. 즉 「입덕문부」는 序에 작가의 憂道意識을 말하고, 결어에 작가의 求道意志를 드러내고, 본문에 어부가 남명학 및 구도방법에 대해 일러주는 삼단구조로 되어 있다. 어부는 남명의 도학을 누구보다 잘 아는 은자의 모습, 난세에 학자의 임무가 무엇인지를 일깨워주는 인물로 그려져 있다. 이를 보면 「입덕문부」의 주제의식이 남명의 도학을 표장하고 그 도를 이어가고자 하는 의지를 다짐한 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입덕문부」에 나타난 作家意識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序에서 憂道意識을 말하고 本文에서 남명의 도학을 말하고 結語에서 求道意志를 천명하고 있는 점이다. 이는 도가 무너진 시대에 남명을 본받아 구도의지를 새롭게 다짐한 작가의식을 투영한 것이다. 둘째, 본문에 남명의 도학자상을 부각시켜 우리나라 도학을 연 인물로 본 점이다. 특히 퇴계와 나이도 같고 道도 같고 德도 같고 淵源도 같다고 한 점은 남명의 도학을 퇴계의 도학처럼 正脈으로 본 것이다. 셋째, 남명의 도학이 후세에 면면히 전승되어 내려온 점을 매우 구체적으로 부각시킨 점이다. 이는 남명의 도학이 남명학파가 와해된 뒤에도 경상우도 지역에 그대로 전승되어 내려온 점을 드러낸 것이다. 특히 남명을 제향한 덕천서원을 도산서원·옥산서원과 함께 거론함으로써 영남 도학이 晦齋·退溪·南冥 세 선생에게 발원한 점을 부각시킨 것, 남명의 도학세계로 들어가는 입덕문 주변의 낙락장송을 남명정신을 상징하는 것으로 핍진하게 그려낸 것 등이 돋보인다. 넷째,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70년 덕천서원이 훼철되어 남명의 도학이 의지할 데가 없게 된 시대의 위기의식을 표출하고 있는 점이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narrative structure and writer's consciousness of Ipdeokmunbu by Gwak Jong-seok through its analysis. The main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One of the utmost scholars in Gyeongsangwoodo during a historical transition time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Myeonwoo Gwak Jong-seok called himself Hoiwa at the age of 21 and painted Hoiwasamdo, which mainly depicted his determination to study the teachings of Zhu Xi. After ten years of living away from home, he returned home at the age of 28 and created Sasangbu out of his reinforced determination to seek morality. In early January of the next year, he visited Ipdeokmun, which was the gate to the morality seeking world of Nammyeong and created Ipdeokmunbu, which revealed his will to inherit and continue Nammyeong's spirit by perceiving his moral philosophy anew and promoting it widely at the time when he renewed his determination to seek morality. The narrative structure of Ipdeokmunbu resembles that of Eobusa by Gulwon externally, bu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terms of content development since the former has a change in the subjects of questions and answers and totally different thematic consciousness. Eobusa presents a confrontational structure between the fisherman, who is swept by the turbid customs of the times, and Gulwon, who is upright and awakened by himself, in terms of values. In Ipdeokmunbu, on the other hand, the fisherman offers the writer detailed explanations about the moral philosophy of Nammyeong, transmission of Nammyeong studies, and methods to seek morality in a one-sided manner. That is, it is in a triple structure of mentioning the writer's Woodo consciousness in the introduction, revealing the writer's determination to seek morality in the conclusion, and the fisherman explaining the Nammyeong studies and method to see morality in the body. The writer's consciousness can be mainly summarized in four aspects in Ipdeokmunbu: first, the introduction presents the Woodo consciousness, the body talks about the moral philosophy of Nammyeong, and the conclusion proclaims the determination to seek morality. It projects the writer's consciousness to renew his determination to seek morality by modeling himself on Nammyeong at a time when morality collapsed. Second, it introduces Nammyeong as a figure to open the world of moral philosophy in the nation by highlighting his aspects as a moral philosopher. It states that Nammyeong was the same as Toigye in terms of age, morality, virtue, and origin, which particularly indicates that the moral philosophy of Nammyeong is considered to be in the right line like that of Toigye in the book. Third, it highlights very specifically the fact that the moral philosophy of Nammyeong was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later generations, which shows that the moral philosophy of Nammyeong continued to be transmitted in the Gyeongsangwoodo region even after the collapse of Nammyeong School. It particularly stands out that it highlights the fact that the moral philosophy of Yeongname originated in Hoijae, Toigye, and Nammyeong by mentioning Deokcheonseowon, where they held a sacrificial rite for Nammyeong along with Dosanseowon and Oksanseowon and that it realistically depicts the tall and exuberant pine tree near the Ipdeokmun open to the world of Nammyeong's world of moral philosophy as a symbol of his spirit. Finally, it expresses the consciousness of crisis those days when the Deokcheonseowon was demolished by Daewongun's order to abolish Seowons in 1870 and, accordingly, there was no place for the moral philosophy of Nammyeong to depend on. Ipdeokmunbu well shows how one of the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s of Gyeongsangwoodo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re-perceived Nammyeong studies. It was written by the writer to renew his determination to seek morality by inspiring the spirit of Nammyeong at a time when morality was collapsing. It thus specific...

      • KCI등재

        근대 이후 한국의 양명학 연구

        한정길 ( Han Jeong-gil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7

        이 글은 근대 이후 한국의 양명학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새로운 연구 방향과 방법을 모색한 것이다. 근대 이후 한국의 양명학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성을 지닌다. 1) 양명학을 마음 공부의 측면보다는 경세의 측면에서 읽어내고 있다. 2) 양명학을 주관유심주의로 읽어내려는 조류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것은 중국의 양명학 연구 경향과 비교할 때 특징적이다. 3) 근대 이후 각 시대마다 다양한 방면에서 나타나는 사회문제들에 대한 해법을 양명학에서 찾고자 했다. 4) 양명학의 전개를 중국-한국-일본의 동아시아 지평에서 조명하려는 관점이 형성되었다. 한국의 양명학 연구가 취할만한 방향과 방법으로 다음 몇 가지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1) 양명학을 동아시아의 지평에서 보다 폭 넓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동아시아에서 양명학이 전개된 양상을 폭 넓게 살피기 위해서는 양명학의 이론이 변이를 일으키는 내적 과정만이 아니라, 그것의 외적 배경이 되는 한·중·일의 특수한 정치문화와 사회문화 및 심리양태와의 연관 속에서 조명할 필요가 있겠다. 2) 양명학의 공부와 경세 두 측면을 통일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양명학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內聖과 外王의 두 측면 가운데 한쪽에 치우친 감이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양명학에 대한 균형 있는 시각을 갖기 위해서는 양명학을 공부와 경세의 통일이라는 시각에서 읽어낼 필요가 있다. 3) 양명학에 관한 연구주제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겠다. 이를 위해서는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냉철히 직시하고, 그에 대한 대응방안을 끊임없이 모색해야 한다. 이러한 분투 과정에서 양명학이 새롭게 되살아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특기할만한 것은 근래 束景南 선생이 『陽明年譜長編』을 출간함으로써 양명학 연구에 새로운 사유와 공간을 열어주었다는 점이다. 이 저술은 양명 자신과 그 사상에 관한 방대한 자료들을 수집하고 세밀하게 고증하여, 錢德洪의 『양명선생연보』를 전면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정한 책이다. 앞으로의 양명학 연구는 기본적으로 이 『陽明年譜長編』을 토대로 진행될 것이다. 그 이전에 얼마동안은 이 『長編』 자체와 束景南의 양명학 이해를 탐구대상으로 삼을 필요가 있겠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achievements of Yang-ming Studies in Korea since the modern era and sought new research directions and methods. Since the modern era, Korean Yang-ming studies have several characteristics. 1) They understand Yang-ming studies, in terms of governance, rather than aspects of mind study. 2) There was no tendency to read Yang-ming studies as a subjective spiritualism. This is characteristic when compared with China's Yang-ming studies trend. 3) They wanted to find a solution to various social problems in Yang-ming studies since the modern era. 4) In the Korean Yang-ming studies, the viewpoint of study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Yang-ming studies in the East Asian horizon of China-Korea-Japan was formed.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points in the direction and method that Korean Yang-ming Studies can take. 1) It is necessary to study Yang-ming Studies more broadly in East Asian horizons.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study Yang-ming Studies not only in the internal process of its theory variation, but also in relation to the particular political culture, social culture,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Korea, China and Japan that are the external background of it. 2) In both aspects of mind study and governing, it is necessary to study Yang-ming Studies in a unified way. Previous research on Yang-ming Studies was biased toward self-discipline rather than ruling the world.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have a balanced view of Yang-ming Studies, it is necessary to read it from the perspective of unification of mind study and governing. 3)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study subject of Yang-ming Studies. To this end, we must constantly look at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and look for ways to solve them. What is remarkable about the research topic is that Professor Shu Jing-nan(束景南) has recently opened a new thought and space in Yang-ming Studies by publishing “陽明年譜長編”. This book is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revision of Qian de-hong(錢德洪)'s “陽明先生年譜” by gathering and thoroughly examining the vast amount of data about Yang-ming himself and his thoughts. Future research on the annals of Wang Yang-ming will be based on this “陽明年譜長編”. For some time before tha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Shu Jing-nan(束景南) on Yang-ming Studies as well as the study of “陽明年譜長編” itself.

      • KCI등재

        논문 : 한국철학사상연구회와 『시대와 철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재현 ( Jae Hyun Kim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2 시대와 철학 Vol.23 No.1

        이 논문은 한국철학사상연구회(한철연)가 생겨나는 시대적 배경과 그 창립과정, 구성원의 특징 등에 대해 살펴보고 기관지인 『시대와 철학』을 지성사 또는 사상사적 맥락에서 그리고 한국철학계와 연관시켜 시대적으로 서술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우선 2장에서는 1970, 80년대의 한국의 사회철학계의 개괄적 상황에 대해 간략하게 고찰하고 3장에서는 한철연의 창립 배경과 과정, 구성원의 특징, 이념 등을 살핀다. 4장에서는 『시대와 철학』의 두 권의 창간호와 2호(1991, 봄)에 대해 상세하게 분석하면서 한철연의 정체성에 대해 고찰한다. 5장에서는 『시대와 철학』3호(1991,가을)부터 14호(1997, 봄)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민주화와 소련의 몰락이라는 시대의 변화에 따른 한철연의 사상적 고민과 모색에 대해서 살펴본다. 6장에서는 『시대와 철학』이 비매품이 되는 과정과 15호(1997, 가을) 이후의 내용에 대해 고찰한다. 7장에서는 한철연 활동과정과 『시대와 철학』의 편집과 간행 과정에서 제기되었던 중요한 쟁점들을 몇 가지 살펴보면서 『시대와 철학』에 대한 평가와 전망을 한다. 한철연이 학술운동단체로서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정적 문제의 해결도 중요하고, 현실에 이론적·실천적으로 개입하기 위한 새로운 통합적 이론의 창출과 ``삶에 대한 비평``을 위한 ``사상자원``의 확보 등도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한철연 스스로가 『시대와 철학』을 포함해 이제까지의 자신의 활동에 대한 철저한 반성과 평가를 통해 새롭게 거듭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foundation of Korea Association for Studies of Philosophical Thought(KASPT). The beginning of KASPT is an academic movement in quest of a philosophy of producer(labour), a critical(Marxist) philosophy as a spirit of epoch and insurgent of social contradiction. Also this article tries to analyse and evaluate Epoch and Philosophy (KASPT`s own journal) critially in the context of Korean intellectual history. At first, Chapter 2 surveys the overview of Korean social philosophy in the 1970`s and 1980`s. Chapter 3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foundation and members of KASPT. Chapter 4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initial issues(two Epoch and Philosophy) and the identity of KASPT. Chapter 5 examines the new pursuit and change of Epoch and Philosophy(from No.3 to No.14) in face of the democratization of ROK and the downfall of The Soviet Union. Chapter 6 tries to analyse the changing contents of Epoch and Philosophy since No.15(1997. Spring). Chapter 7 examines some issues which has been debated from the beginning and evaluates Epoch and Philosophy This essay asserts that KASPT has to reflect his own history, recover the critical attitude, and try to present what efforts are needed for the new creative social, critical philosophy.

      • The Mind in Process: Meaning of Chinese philosophy of Mind on Mind Ecology Studies

        Zhang Xiuhua 한국마음학회 2013 한국마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

        Traditional Chinese Philosophy is different with the Western Philosophy as metaphysics of substance and epistemology for inquiry cosmos, world and knowledge. Its interest lies i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rld, man and man, man and himself, in order to construct ethic aesthetical and value world of meaning. Therefore, Chinese Philosophical Human Studies of humanism directly concern the issue of mind. There is not only theory of Mind-Nature, but also many scholars regard Confucianism as Philosophy of Mind, so that some see Chinese Philosophy as Philosophy of Mind. These understanding are coincident with postmodern Mind Ecology Studies in the perspective of Process Philosophy, so we. can say that Chinese Philosophy of Mind has the meaning of Mind Ecology Studies, and the latter further demonstrates the contemporary theoretic value and meaning of practice from Chinese Philosophy of Mind. Hence, three issues have to be discussed in this paper. First one is the Mind as Absolute Subject and Its Characters. The traditional Chinese Philosophy always see mind as an absolute subject which dominates everything, concerns everything in the universe, moreover, the mind as absolute subject has characters of wholeness and introversion. Second one is The Mind with Praxis Function for Growing and Developing. The growing and developing is a process, so the mind is not entity but spiritual praxis for actualizing Sage Realm of morality. In the course, various factors and relations of the mind get synergy in the thinking of organism and holism. Third one is Seeing Chinese Philosophy of Mind from Mind Ecology Studies.

      • KCI등재

        일본 근대 인도철학의 성립과 하라 탄잔(原坦山)의 역할

        이태승 ( Tae Seung Lee ) 인도철학회 2014 印度哲學 Vol.0 No.42

        일본에서 초창기의 인도철학은 불교학 내지 불교철학의 이름으로 강좌가 개설되고 진행된 것으로, 이렇게 불교학으로서 인도철학의 전개에 절대적인 역할을 한 사람이 바로 하라 탄잔이었다. 최초로 불교강좌를 담당한 이래 인도철학이란 이름으로서 학문적 지속이 이루어진 것에는 탄잔의 불교에 대한 열정이 있어 가능했다고 생각된다. 그는 조동종의 승려로서 메이지 유신의 폐불훼석의 시련 속에서도 불교를 위한 열정을 불태우고, 도쿄대학에 최초로 불교학 강사가 된 뒤에도 불교학과 인도철학의 정착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도쿄대학에서 거의 생애의 마지막까지 강의를 담당하고, 대학의 강의를 그만둔 뒤에도 조동종의 승려로서 그 역할을 다하였다. 그와 같은 탄잔의 불교에 대한 정열과 열정이 있었기에 일본 근대 폐불훼석의 불교탄압 분위기 속에서도 불교가 새롭게 인식되어 서양의 종교와 우열을 논할 수 있는 수준으로 불교의 위상이 높아졌다고 생각된다. 이렇게 탄잔에 의해 정착된 인도철학은 이후 불교학의 색채를 벗어나 독자적인 인도철학의 전개로 이어져 간다. 이러한 독자적인 인도철학의 전개로서는 1906년 다카쿠스에 의한 인도철학종교사 강좌의 개설이 꼽혀지며, 이 강좌의 개설이 실제 일본에서 본격적인 의미의 인도철학의 출범이라고 간주되는 것이다. Notwithstanding the hard times of Buddhism in early modern Japan, the establishment of the study of Buddhism was made as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at Tokyo University in 1889. The person who had an important role of formation and progression of Indian Philosophy in early times was Tanzan Hara, a monk of Soto-sect of Japanese Buddhism. He was the first lecturer of the course of Buddhism and a person that chose and used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firstly instead of the name of Buddhist philosophy. According to the his works, he took a serious view of the philosophy of Buddhism than the belief of Buddhism.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the viewpoint of philosophy, Tanzan Hara used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and since then,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was used for a long time in Japan. In early times, the Indian philosophy was one of the lectures of Departement of Philosophy in Tokyo University. Going through many changes with relation to Indian Philosophy, the departement of Indian Philosophy was estabilished independently in cooperation with the other contributors, Zenjiro Yasuda and Shaku Soen etc.. Generally speaking, the beginning of Indian Philosophy in real meaning was made by Zunjiro Takakusu on the formation of the lecture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Religion in India at 1906. During the times of Meiji Restoration, the formation of the Indian philosophy was considered as a symbol of the restoration of Buddhism.

      • KCI등재

        철학 없는 시대 또는 시대 없는 철학

        박영균 ( Young Kyun Park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9 시대와 철학 Vol.20 No.3

        이 논문은 한국철학사상연구회(한철연)의 역사를 `시대와 철학`이라는 모토 하에서 정체성의 변화 과정을 추적하고 있다. 한철연은 `시대의 혼`이자 `시대 모순의 반역자`이고자 하는 생산자적이고 비판적인 주체적 철학을 모색하는 `학술운동`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그러나 한철연의 잡지인 『시대와 철학』이 두 개의 창간호를 가지고 있으며 이 두 개의 칭간호가 1987년과 1991년이라는 점에서 이미 두 개의 간극, 사이 속에서 탄생했으며 이 긴장을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해 왔다. 시대와 철학은 언제나 일정한 간극 속에서 갈등을 생산한다. 그러나 철학은 시대와 연결됨으로써 `시대정신`을 생산하는 철학이 될 수 있으며 시대는 철학을 통해서 대안적 삶의 새로운 정신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한철연의 역사에서 이 두 개의 결합은 `철학 없는 시대`에서 `철학 있는 시대`로의 시도를 거쳐, `시대 없는 철학`으로 퇴색되어 왔다. `시대 없는 철학`은 대학의 신자유주의적 포섭과 한국학술진홍재단으로의 체제내화와 관련되어 있었다. 철학의 다양성이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철학은 `실적 쌓기`, `지적 유희`의 대상이 되었다. 이런 점에서 이 논문은 한철연이 `시대와 철학`의 긴장을 유지하려는 애초의 초심으로 되돌아가 사유의 풍부함을 현대화하고 가난한 자들의 철학이면서 비판적이고 주체적인 철학을 조직적으로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In this essay, I will make a search for identity of Korea Association for Studies of Philosophical Thought(KASPT) in view of the motto epoch and philosophy. The beginning of KASPT is an academic movement in quest of a philosophy of maker(labour), a critical philosophy, subjective philosophy wish to a soul of epoch and insurgent of epoch contradiction. But Epoch and Philosophy, journal of KASPT hold on abnormal history that the issue initial number is two. Identity of Philosophical Thought previously originate and inherent in a gap, an interval in between two issue initial number in that each of two issue initial number publish in 1987 and 1991. Epoch and philosophy lead to complications in a gap, an interval in between them. But philosophy can play the role of a philosophy producing the spirit of the age by interfacing epoch and epoch can realize new spirit of alternative life by interfacing philosophy. But in the history of KASPT, a connectin of both have changed from a age seek after epoch in combination with philosophy at epoch in the absence of philosophy to philosophy in the absence of epoch. Philosophy in the absence of epoch has been molded by the environment in which neo-liberalism seizure the university and Korea Research Foundation code a researcher by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ditures. Although philosophy is diversified, study of philosophy turn into a object of giving actual result , scholastic amusements. For this reason, this essay assert that KASPT go back to one s original intention pursued a state of tension between epoch and philosophy and modernize philosophy based on abundance of thinking and explore ways toward a philosophy of the poor, critical philosophy, subjective philosophy.

      • KCI등재

        박종홍에서 ‘전통’의 문제(2) - ‘우리의 철학’ ‘한국사상’을 중심으로 -

        박영미 ( Park Young Mi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63

        박종홍은 서양철학 1세대와는 달리 ‘우리의 철학’ 건립을 주장하며, 전통의 계승을 강조했고, 서양철학과 전통철학을 결합하고자 했다. 그러나 서양철학과 전통철학을 재해석하며 만들어진 박종홍의 철학은 결국 폭력적 국가권력의 통치를 옹호하는 수단이 되었다. 본 논문은 박종홍 철학의 시작과 끝을 관통하는 ‘우리의 철학’ 제안, 한국사상 연구, 철학적 ‘한국사상’과 사회적 ‘한국사상’에 관한 구상과 주장을 검토한다. 첫째, 해방 이전 박종홍의 ‘우리의 철학’에 대한 제안과 ‘우리의 철학’과 전통 계승의 입장이 결합하는 배경, 과정, 방식을 살펴본다. 둘째, 박종홍의 한국사상사와 현상윤의 한국유학사 비교하며 박종홍의 한국유학에 대한 관점 및 평가, 한국유학 연구의 특징을 살펴본다. 셋째, ‘우리의 철학’의 두 방향, 서양철학과 전통철학이 결합하는 철학적 ‘한국사상’과 한국인의 생활과 미래를 이끄는 역할이 부여된 사회적 ‘한국사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Park Zhong Hong highlights the succession of tradition and tries to combine western philosophy and traditional philosophy, claiming to establish ‘our philosophy’ unlike the first generation of studying western philosophy. However, Park Zhong Hong’s philosophy, made through reinterpreting western philosophy and traditional philosophy, became the means of defending the violent nature in which the nation’s power ruled. This thesis is to examine suggestions of ‘our philosophy,’ studies of Korean thoughts, theories on philosophical ‘Korean thoughts’ and sociological ‘Korean thoughts.’ To begin, this thesis examines Park Zhong Hong’s philosophical suggestions which formed before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Park’s suggestions surround the background, the process, and the way that resulted in the combining of western philosophy and ‘our philosophy.’ Secondly, this thesis investigates Park Zhong Hong’s perspective, criticism, and unique conclusions on Korean Confucianism by comparing Park Zhong Hong’s ‘Korean thoughts’ to Hyeong Sang Yun’s ‘Korean Confucianism.’ Lastly, this contention is to be evaluated through the lenses of three branches: the two directions of the development of ‘our philosophy,’ philosophical ‘Korean thoughts’ combined western philosophy and traditional philosophy, sociological ‘Korean thoughts’ leading to Korean people’s lives and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