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포츠 능력믿음, 2×2 성취목표와 동기조절과의 관계: 성별과 학교급간 다집단 분석

        박중길(JungGilPark) 한국체육학회 2010 한국체육학회지 Vol.49 No.1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남녀 운동선수들의 성별과 학교급 간 스포츠 능력믿음과 2×2 성취목표 및 동기조절 성향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853명의 선수들(여학생 420명, 남학생 433명)이 스포츠 능력믿음개념, 2×2 스포츠 성취목표와 스포츠 행동조절을 측정하는 검사지에 응답하였으며, 자료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실시되었다.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숙달접근, 수행접근과 동기조절 성향이 더 높지만 수행회피목표는 더 낮으며,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실재 믿음이 더 높았다. 또한 성별과 학교급에서 증가된 믿음과 관련된 숙달접근목표가 동기조절 성향과 직·간접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코치들은 중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자기결정적 동기를 촉진시키기 위해 성과 학교급 간에 다른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e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port ability beliefs, 2×2 achievement goals, and motivational regulation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athlet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terms of gender and grade difference. 854 athletes (420 females, 434 males)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 on the Conception of the Nature of Sport Ability, 2×2 Achievement Goals for Sport, and Behavioral Regulation for Sport. Multi-group factor analysis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latent mean analysis indicated that males appeared to have higher levels of mastery-approach, performance-approach, and motivational regulation, but less performance-avoidance goal than females. High school students appeared to have higher level of entity belief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lso incremental belief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motivational regulation and mastery-approach goal partially mediated this relationship. In conclusion, different strategies considering gender and grade difference are necessary to help adolescent athletes to promote their self-determined motiv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sport contexts.

      • KCI등재

        수구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치-선수간의 상호작용과 스포츠 능력믿음 및 팀 응집력의 관계

        허진영(Huh, Jin-Young),송기현(Song, Ki-Hyun) 한국체육과학회 2012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coach-athlete interaction, sports ability belief, and team cohesion perceived by water polo players. To obtain the purpose, water polo players who are enrolled as an athlete answered questionnaire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 Data which is obtained through self-administration was analyzed using by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lationship between coach-athlete interaction and sports ability belief, all variables of coach-athlete interaction have influenced on entity beliefs. The skill instruction and trust of coach-athlete interaction have influenced on the incremental beliefs. Second, relationship between coach-athlete interaction and team cohesion, communication, skill instruction, and trust, and know-how factors have influenced on individual society cohesion. Only communication factor has influenced on group society cohesion. The encouragement factor has influenced on individual task cohesion. Finally, the trust has influenced on group task cohesion. Third, the only incremental beliefs have influenced on all variables of team cohesion.

      • KCI등재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스포츠 능력믿음과 운동탈진의 관계에서 열정의 매개효과 검증

        송기현(Song, Ki-Hyun),김승용(Kim, Seung-Yong) 한국체육과학회 2018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ructural relations among the sport ability beliefs, passion, and athletic burnout of adolescent athlet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assion on relations between their ability beliefs and athletic burnout.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distributed a questionnaire to male and female athletes at physical education and general high school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and the Chungcheong region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Total 346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as final valid samples. Collected data was tested for the fitness of the overall model and hypotheses with the SPSS 20.0 and AMOS 20.0 program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cremental belief, a subfactor of sport ability beliefs,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passion (harmonious and obsessive passion), whereas fixed belief had significant negative (-) effects on it. Second, both harmonious and obsessive passion had negative (-) impacts on athletic burnout in relations between passion and athletic burnout. Third, incremental and fixed belief had negative (-) and no significant influences on athletic burnout, respectively, in relations between sport ability beliefs and athletic burnout. Finally, only harmonious passion had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sport ability beliefs and athletic burnout.

      • KCI등재

        여자체조선수들의 2×2 성취목표성향과 스포츠능력믿음, 체조효능감 간의 관계에 자기관리 조절효과

        곽선행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2 체육과학연구 Vol.23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moderatoring effects amo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management, sport ability beliefs and gymnastics efficacy with female gymnasts. The participants were 120 female gymnast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concerning the each variable. Descriptive analysis, One-way MANOVA, M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are showed as follows: First, athletes were appeared to have higher levels of mastery-avoidance than common athletes but common athletes were appeared to have higher of performance-avoidance. On the other hand, athletes showed higher scores in all sub-factor self-management and incremental belief of sport ability belief and gymnastics efficacy. Second,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self-management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port ability beliefs, gymnastics efficac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n athle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sport ability beliefs and gymnastics efficacy. However, the extent of its influence on the play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management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이 연구는 여자체조선수들의 우수정도에 따라 성취목표성향, 자기관리, 스포츠능력믿음, 체조효능감이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능력믿음과 체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자기관리에 의해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총 124명의 여자체조선수들에게 성취목표성향, 자기관리, 스포츠능력믿음, 체조효능감 질문지를 배포해서 자료를 수집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일변량 및 다변량분석을 실시했으며, 상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통해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체조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의 숙달회피는 우수선수가 수행회피는 비우수선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관리의 모든 하위요인과 스포츠능력믿음의 증가된 믿음, 그리고 체조효능감에서는 모두 우수선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조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과 스포츠능력믿음에 대한 자기관리의 조절효과, 그리고 체조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과 체조효능감에 대한 자기관리의 조절변수효과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능력믿음과 체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력의 정도는 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나 자기관리변인에 따라 크게 다르지 않다.

      • KCI등재

        유도선수들의 운동능력믿음과 인지된 경기력 관계에서 승부근성 및 스포츠자신감의 매개효과 분석

        김미정 ( Kim Mi-jeong ) 대한무도학회 2017 대한무도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유도선수들의 운동능력믿음, 승부근성, 스포츠자신감,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성별, 학년, 체급, 운동경력의 특성에 따른 평균 차이를 분석하고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요인들 간의 미치는 영향과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경기도 소재 대학 유도 종목 선수 325명에게 운동능력믿음, 승부근성, 스포츠자신감, 인지된 경기력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운동능력믿음은 여자선수들이 높고, 승부근성과 인지된 경기력은 남자선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년이 높을수록 스포츠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경력이 높을수록 승부근성, 스포츠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능력믿음, 승부근성, 스포츠자신감 요인은 인지된 경기력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승부근성과 스포츠자신감 요인은 운동능력믿음과 인지된 경기력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 유도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방법을 구성하는데 있어 성별과 운동경력, 그리고 경기력 수준을 고려하여 다양한 배경변인과의 관련성, 변인의 조절효과 또는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athletes ability beliefs, tenacity, sport confidence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the event of a college judo player. Analysis of the mean dif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the factors.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athletic ability beliefs, tenacity, sports confidence,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325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thleticism beliefs were higher in female athletes, and male tenacity and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were higher in male athletes.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sport self confidence and the higher the sports career, the higher the competitiveness and the sport self confidence. Second, athletic performance beliefs, competitiveness, and sport confidence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performance. Third,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hletic performance beliefs and perceived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a follow up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r mediating effect of gender, athletic career, and performance level in constructing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It should be done continuously.

      • KCI등재

        고등학생 사격선수의 스포츠능력믿음이 성취목표성향과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오경록(Oh, Kyung-Rok),조영현(Jo, Young-Hyun) 한국체육과학회 2012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1 No.1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port ability belief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attention of high school shooting athletes.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study, 370 high school shooters who registered to Korea Shooting Federation. The method of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ere z-test, one-way ANOVA, conclusion and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port ability belie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attention interaction in gender, item, career of winning, grade and career of shooting.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of sport ability belief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of high school shooting athletes. Third,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of sport ability belief on attention of high school shooting athletes. Forth,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on attention of high school shooting athletes.

      • KCI등재

        대학태권도선수의 스포츠능력믿음과 성취목표 및 운동열정의 관계

        오상훈(Oh, Sang Hoon) 한국웰니스학회 2020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5 No.1

        이 연구는 대학태권도선수의 스포츠능력믿음과 성취목표 및 운동열정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8월 전국대학선수권대회에 참가한 대학태권도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270명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이 중 응답의 일관성이 결여되는 11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259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학태권도선수의 스포츠능력믿음은 성취목표에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스포츠능력믿음의 하위요인인 향상은 자기목표와 과제목표에, 학습은 과제목표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태권도선수의 스포츠능력믿음은 운동열정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스포츠능력믿음의 하위요인인 안정과 향상은 강박열정에 정적으로, 학습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학태권도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은 운동열정에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인 과제목표는 강박열정과 조화열정에, 자기목표는 조화열정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선수들의 스포츠능력믿음은 성취목표성향과 운동열정을 예측할 수 있는 변수로 규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ability beliefs, achievement goals, and athletic enthusiasm for college taekwondo athletes. In this study, 270 taekwondo athletes selected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university championships in August 2019 as a participants. However, excluding 11 data that lacked consistency in response, 259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3.0 program. First, sports ability beliefs had a positive effect on achievement goals. Specifically, improvement, which is a sub-factor of sports ability belief, had a positive effect on mastery and performance orientation, and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mastery goals. Second, sports ability belief of college taekwondo athlet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xercise passion. Specifically, stability and improvement, which are sub-factors of sports ability beliefs, had a positive effect on obsession and learning. Thir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passion. Specifically, mastery goal orientation affected obsession and harmony passion, and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ffected harmony passion. In conclusion, sports ability belief is identified as a determinant to predic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exercise passion.

      • KCI등재

        초등체육수업에서 아동의 유능성 믿음과 지각, 운동가치 인식이 성취동기와 체육수업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인수 한국초등체육학회 2013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아동의 유능성 믿음과 지각, 운동가치 인식이 성취동기와 체육수업 참여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3년 현재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5학년 이상 368명(남: 182, 여: 186)을 대상으로 각 변인에 대한 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유능성 지각에서 자신의 운동능력을 적정하게 평가한 이동과 과대평가한 아동이 과소평가한 아동에 비해 고정믿음, 내적흥미, 성취동기와 체육수업 참여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체육수업에서 아동들에게 유능성 지각을 높게 하는 것이 체육수업 참여의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둘째, 유능성 믿음과 지각, 운동가치인식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능성 믿음은 성취동기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유능성 지각은 숙달-접근 목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가치 중 중요성은 숙달접근과 수행접근목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능성 믿음과 지각, 운동가치 인식과 성취동기기 체육수업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증가믿음, 유능성 지각, 내적 흥미, 중요성, 숙달접근과 수행접근이 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체조선수들의 운동열정이 마루운동 연기구성에 미치는 영향

        이수근(Lee, Soo-Keun),김동화(Kim, Dong-Hwa) 한국체육교육학회 2018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3 No.1

        이 연구는 체조선수들의 운동열정이 마루운동 연기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스포츠 능력믿음과 스포츠수행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대한체육회에 선수등록 된 선수들 중 제72회 전국종별체조선수권대회 마루운동 종목에 참가한 남․여 체조선수 280명 중 불성실한 응답자 13명을 제외한 총 26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열정 마루운동 연기구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포츠 능력믿음은 부분적으로 매개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Sobel Test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운동열정이 마루운동 연기구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포츠 수행전략은 완전매개효과 및 부분적으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현장에서는 지도자들이 심리적 훈련기법과 병행하여 심리 행동전략 특성으로 나타나는 선수 개개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연기구성의 수준을 고려한 선수 개인별 심리 행동전략에 세심한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exercise enthusiasm on the composition of floor exercise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ports ability belief and sports performance strategy.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7 respondents among 280 male and female gymnasts who are members of the Korean Sport & Olympic Committee participating in floor exercise at the 72th national gymnastics tournament, 13 insincere respondents were excep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in the effect of exercise enthusiasm on the composition of floor exercise, although the sports ability belief was partially mediating, the Sobel test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n the effect of exercise enthusiasm on the composition of floor exercise, sports performance strategy showed a full mediation effect and a partial mediation effect.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considered that the leaders should observe the behaviors of the athletes with psychological behavioral strategies in parallel with the psychological training techniques, and careful guidance is required on the psychological behavior strategies of the athletes considering the individual performance leve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