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영덕 사진리 해안의 최종간빙기 후기 온난기 추정 해성단구

        최성길 ( Seong Gil Choi ) 한국지리학회 2016 한국지리학회지 Vol.5 No.3

        한국 동해안 영덕 지역의 사진 해안에는, 한국 동해안의 다른 해안에 분포하는 저위 해성단구 2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꺼운 해성 퇴적층을 가지는 저위 해성단구 2면이 발달되어 있다. 구정선 고도, 단구 구성층의 풍화도와 토색을 지표로 대비하여 볼 때, 사진 해안의 저위 해성단구 2면은 인접한 울진 해안과 포항 해안의 있어서 최종간빙기 후기 온난기(MIS 5a)에 형성된 것으로 알려진 해성단구(저위 해성단구 2면)들과 잘 대비된다. 따라서 사진 해안의 저위 해성단구 2면은 최종간빙기의 후기 온난기에 형성된 단구로 추정된다. The lower marine terrace 2 surface of Choi (1991; 1992; 1995a; 1995b; 1996; 1997; 2001) which has the relatively thick (1.2 m thick) marine deposits compared to those of the other eastern coastal regions of Korea has been formed in the Sajin coast of Yeongdeok, southeastern coast of Korea. The lower marine terrace 2 surface of the Sajin coast is considered to have been formed in the late warm period of the Last Interglacial (MIS 5a), judging from the comparison between the former shoreline altitude (11.8 m a.s.l.), the degree of weathering of marine gravels and soil color (bright reddish brown to orange) of this marine terrace and those of the lower marine terrace 2 surfaces in the adjacent Uljin coast and Pohang coast which have been formed in the late warm period of the Last Interglacial.

      • KCI등재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tion in Meso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off Tongyeong, Southeastern Coast of Korea, from 2011 to 2014

        김가람,강형구,명정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7 Ocean science journal Vol.52 No.1

        Meso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monitored monthly at a fixed station off Tongyeong, southeastern coast of Korea, from 2011 to 2014 to better understand the variability of the mesozooplankton community in relation to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Total mesozooplankton density varied from 747 to 8,945 inds. m-3 with peaks in summer. The surface water temperature (r = 0.338, p < 0.05) and chlorophyll-a (Chl-a) concentration (r = 0.505, p < 0.001) were parts of the factors that may have induced the mesozooplankton peaks in summer. Copepods accounted for 71% of total mesozooplankton. Total copepod density, particularly cyclopoid copepods, increased during the study period. Cumulative sum plots and anomalies of the cyclopoid copepod density revealed a change of the cyclopoid density from negative to positive in June 2013.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yclopoid copepods and the Chl-a concentration (r = 0.327, p < 0.05) appeared to be one of the reasons for the increase in cyclopoids. Dominant mesozooplankton species such as Paracalanus parvus s.l., Oikopleura spp., Evadne tergestina, Cirripedia larvae, Corycaeus affinis, Calanus sinicus, and Oithona similis accounted for 60% of total mesozooplankton density. Based on cluster analysis of the mesozooplankton community by year, the seasonal distinction among groups was different in 2014 compared to other years. P. parvus s.l. and its copepodites contributed most in all groups in all four year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 Chl-a concentration since 2013 may have caused the changes in meso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the study area.

      • KCI등재

        한국 남동연안의 냉수대 영향에 의한 해풍순환과 오존농도의 사례 연구

        지효은 ( Hyo Eun Ji ),이순환 ( Soon Hwan Lee ),박창현 ( Changhyoun Park ),이화운 ( Hwa Woon Lee ) 한국환경과학회 2014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3 No.2

        This work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 breeze circulation and ozone concentrations during cold water events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coastal upwelling frequently occur. This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two categories, such as cold water and non-cold water events, over the period of 2000-2009. The low air temperature (0.5℃), low SST (5℃) and the wind direction(southerly) are the features of the cold water events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Moreover, ozone concentrations in the cases of the sea breeze circulation and cold water ev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below 30 ppb) than those (70∼100 ppb) in the non-clod water events, because of the low air temperature (10∼20℃) and high wind speed (3∼5 m/s) around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 KCI등재후보

        韓半島 南東部海岸 高位海成段丘의 新分類 試案

        崔成吉,張昊,金周龍 한국지형학회 2003 한국지형학회지 Vol.10 No.1

        한반도 남동해안의 옵천 지역에 있어서 100m 이상의 구성선 고도를 갖는 ‘고위해성단구’를 구정선고도의 순서에 따라 옵천단구 Ⅰ면, Ⅱ면, Ⅲ면, 그리고 Ⅳ면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해성단구는 각각의 단구면과 단구면이 단구애에 의해 명확히 구분되므로 각 해성단구의 구정선고도를 측정하기에 가장 좋은 지형면들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 있어서 옵천 지역 고위단구의 구정선고도는 옵천단구 Ⅰ면 160m, Ⅱ면 140m, Ⅲ면 120m, 그리고 Ⅳ면은 100로 측정되었다. 옵천 지역의 고위해성단구는 남동부해안 일대에 있어서는 지형면의 분포와 배열, 뚜렷한 단구애와 단구면의 접점 존재, 해성단구임을 증명할 수 있는 해성퇴적물의 존재 등의 면에서 남동부해안의 고위해성단구를 대표할 수 있는 지형면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고에서 제시된 고위단구의 분류와 구정선고도는 추후의 연구에 있어서 고위단구 분류의 지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해성단구 분류와 구정선고도는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된 분류와 구정선 고도(예를 들어 황 외, 2003의 고고위 Ⅰ면 140m, 고고위 Ⅱ면 110m)와 차이를 보이는데, 추후의 조사에서는 이 차이의 해결에 주력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반도 남동부 경주시 수제리-수렴리의 해안단구와 제4기 환경변화

        황상일,신재열,윤순옥 한국지형학회 2012 한국지형학회지 Vol.19 No.3

        지난 수 십 년간 해안지형 연구분야의 축적된 지식은 해안단구의 분포 특징으로부터 지반 운동에 관한 양질의 기록과 증거들을 생산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남동부 경주시 양북면과 양남면 소재의 수제리-수렴리 일대의 해안단구 분포와 지형발달을 논의하였다. 연구지역 일대에는 고고위읍천면을 포함하여 해발고도 160m까지 8단의 해안단구가 체계적이고 연속적으로 발달하고 있다. 특히 최근 반복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해안 단구 고고위면의 존재는 동해안 일대의 해안단구 형성시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되는 해안단구 고고위면의 구정선고도와 그 추정 시기에 의하면, 플라이스토세 중기 (약 70만년) 이후 한반도 동해안의 평균 지반운동 속도는 0.23mm/year로 확인된다. 이와 같이, 해안단구 연구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지반 융기 운동의 속성과 시, 공간 특성은 복잡한 한반도 신생대 제4기 지반 운동의 본질을 이해하는 기초적 자료가 될 것이다. During the last few decades, the ever-increasing knowledge of coastal morphogenic processes has made marine terraces the most recognizable, widespread and scientifically reliable records to determine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e vertical movements that have affected the tectonically active coastal regions during the Quaternary. This study first aims to address the marine terrace records from Suje-ri to Suryum-ri along the coast of Gyeongju, SE Korea. Eight distinct flights of terraces, including HH YC, elevated up to 160 m above present sea level have been mapped along the coast of the study areas, and are designated LⅡ to HH YC from the youngest to oldest. Based on the elevation of paleo-shoreline and inferred formation age for HH YC uplift rate since the middle Pleistocene has been estimated at 0.23 mm/year. Establishing the nature and timing of the uplift history derived from marine terraces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neotectonic framework for explain enigmatic, complex landscape evolution in the Korean penins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