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산강 하류 지역의 하안단구

        최성길,Choi, Seong-Gil 한국제4기학회 2004 제사기학회지 Vol.18 No.1

        영상강 하류 일대에는 여러 단의 하안단구가 발달되어 있다. 본 고에서는 이들 단구 중 현재까지 조사된 해면변동단구성 하안단구를 조사하여, 한반도 남동부 해안의 해안단구 및 해면변동단구와 대비하였다. 영산강 하류지역의 영산 18m 단구는 단구면, 단구구성층의 퇴적상 및 고토양 등의 특성으로 보아 남동부 해안의 최종간빙기 최온난기(MIS) 해성단구 및 해변동단구와 대비된다. 영산 18m 단구의 하상비고는 18m로서 남동부 해안의 최종간빙기 구정선고도와 일치된다. The fluvia(thalassostatic) terraces have been developed among the lower Yeongsan river, near the southwestern coastal region of Korean peninsula. These thalassostatic terraces could be classified into 3 surface, i. e., Yeongsan 32m, 18m, and 10m surface, in desending order, according to the relative heights from the river floor. Yeongsan 32m, 18m and 10m surfaces were corresponded to the mMT3, mLT1 and mLT2 surfaces of Choi(2003), respectively. It was revealed that the mLT1 surface was the marine terraces which had been formed in the Last Interglacial culmination period(oxygen isotope stage 5e) in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 KCI등재후보

        영덕 사진리 해안의 최종간빙기 후기 온난기 추정 해성단구

        최성길 ( Seong Gil Choi ) 한국지리학회 2016 한국지리학회지 Vol.5 No.3

        한국 동해안 영덕 지역의 사진 해안에는, 한국 동해안의 다른 해안에 분포하는 저위 해성단구 2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꺼운 해성 퇴적층을 가지는 저위 해성단구 2면이 발달되어 있다. 구정선 고도, 단구 구성층의 풍화도와 토색을 지표로 대비하여 볼 때, 사진 해안의 저위 해성단구 2면은 인접한 울진 해안과 포항 해안의 있어서 최종간빙기 후기 온난기(MIS 5a)에 형성된 것으로 알려진 해성단구(저위 해성단구 2면)들과 잘 대비된다. 따라서 사진 해안의 저위 해성단구 2면은 최종간빙기의 후기 온난기에 형성된 단구로 추정된다. The lower marine terrace 2 surface of Choi (1991; 1992; 1995a; 1995b; 1996; 1997; 2001) which has the relatively thick (1.2 m thick) marine deposits compared to those of the other eastern coastal regions of Korea has been formed in the Sajin coast of Yeongdeok, southeastern coast of Korea. The lower marine terrace 2 surface of the Sajin coast is considered to have been formed in the late warm period of the Last Interglacial (MIS 5a), judging from the comparison between the former shoreline altitude (11.8 m a.s.l.), the degree of weathering of marine gravels and soil color (bright reddish brown to orange) of this marine terrace and those of the lower marine terrace 2 surfaces in the adjacent Uljin coast and Pohang coast which have been formed in the late warm period of the Last Interglacial.

      • KCI등재

        일본 쓰가루(津輕) 서해안 아지가사와(소ヶ택) 일대의 최종간빙기 최온난기 해성단구와 한국 동해안의 최종간빙기 최온난기 해성단구의 지형학적 특성 비교

        최성길 ( Seong Gil Choi ),소암직인 ( Naoto Koiwa ) 한국지리학회 2015 한국지리학회지 Vol.4 No.2

        한국 동해안의 갱신세 해성단구 편년에 있어서 기준시간면으로 제시된 MIS 5e 해성단구의 지형적 특성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동북 일본 쓰가루 서해안의 MIS 5e 해성단구와의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쓰가루 서해안 지역의 MIS 5e 해성단구의 구정선 고도는 해발 15m로부터 160m에 걸쳐 분포하며, 파상변위형의 패턴을 나타내는데 비하여, 한국 동해안의 MIS 5e 해성단구의 구정선 고도는 한국 동해안 전역에 걸쳐 18m 내외의 거의 동일한 고도 분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MIS 5e 해성단구의 구정선고도 분포 패턴의 차이는 쓰가루 해안 지역과 한국 동해안 지역의 지질구조장적 위치가 상이함에 기인하는 것으로, 쓰가루 서해안지역은 현재에도 지진성 지각변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변동대’지역에 속하는데 비하여, 한국의 동해안 지역은 적어도 MIS 5e 해성단구의 형성기 이후에는 단구면의 수직적 변위를 동반하는 경동성 지반운동은 진행되고 있지 않고 전체적으로 느린 속도로 동일하게 융기하고 있는 ‘안정대’지역에 속함을 의미한다. 단구면 구성층의 토색에 있어서 한국 동해안의 MIS 5e 해성단구가 일본 쓰가루 서해안의 해성단구에 비하여 더 높은 적색도를 나타낸다. 이는 MIS 5e 단구면 형성기 이후 한국의 동해안 지역이 일본의 쓰가루 서해안 지역에 비하여 더 온난한 환경에 있었음을 의미한다. The comparative study of MIS 5e marine terraces between the eastern coast of Korea and Ajigasawa coast of the western Tsugaru area of northeastern Japan was done to clarify the geomorphological charateristics of MIS 5e marine terrace of the eastern coast of Korea. The heights of paleoshoreline altitudes of MIS 5e marine terraces of the western Tsugaru coast of northeastern Japan are distributed from 15 meters (eastern area) to 160 meters (western area) above sea level, but those of the eastern coast of Korea are distributed at almost similar level of about 18 meters a.s.l. This difference of height distribution of paleoshoreline altitudes between the eastern coast of Korea and the western Tsugaru coast of Japan reveal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ectonic movement of these two regions have been different. The above-mentioned height distribution of paleoshoreline altitudes means that the western Tsugaru coast of Japan belongs to the present mobile belt, whereas the eastern coast of Korea belongs to stable landmass. The soil color of MIS 5e marine terraces of the eastern coast of Korea is redder than that of Ajigasawa coast of the western Tsugaru area of northeastern Japan. This fact reveals that the climate of the formation period and after of MIS 5e marine terrace of the eastern coast of Korea was warmer than that of Ajigasawa coast of the western Tsugaru area of northeastern Japan.

      • KCI등재
      • KCI등재

        화분분석에 의한 한국 남동부 해안 산하동 일대의 MIS 5e 대비 해성단구 동정

        최성길 ( Choi Seong Gil ),신현조 ( Shin Hyeoncho ),박지훈 ( Park Ji Hoon ) 한국지형학회 2017 한국지형학회지 Vol.24 No.3

        The pollen analysis on the deposits of the lower marine terrace I of the estimated paleoshoreline height of 18m was performed in order to estimate the formation age of this terrace developed at the Sanhadong coast, Ulsan, south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pollen assemblage of the peat layer of SH-1 pollen zone (Quercus-Ulmus/Zelkova zone), lying directly on the marine rounded pebble layer of this terrace, shows that the climatic environment of the deposition period of SH-1 pollen zone was almost similar to that of the Postglacial climatic optimum period, but slightly cooler than that of the late warm stage of Last Interglacial(MIS 5a)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This heightens the possibility that the deposition period of the marine rounded pebble layer which was covered by the above SH-1 peat layer is the MIS 5e which has been estimated by a previous study of the sedimentary facies of this terrace deposits (Choi, 2016). The pollen assemblage of SH-2 pollen zone (Pinus-Quercus zone) shows that the climate of this period was almost similar to that of the late Postglacial, but slightly cooler than that of the period of SH-1 pollen zone. This means that the climate around the Sanha-dong was still warmer in the deposition period of the peat layer of SH-2 pollen zone. Thus, the peat layer of SH-2 pollen zone was considered to have been deposit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early regression stage of the MIS 5d which is the estimated final stage in the deposition period of the above peat layer of SH-1 pollen zone to any stage in which the warmer environment of MIS 5 has still lasted. The humic silt layer of SH-3 pollen zone (Pinus-Ulmus/Zelkova-Abies zone) is assumed to have been deposited during the interstadial of the Last Glacial (MIS 3).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변산반도 적벽강 해안의 후빙기 고해면기의 고파식와

        최성길 ( Seong Gil Choi ) 한국지리학회 2015 한국지리학회지 Vol.4 No.1

        변산반도 격포리의 적벽강 해안 일대에 발달되어 있는 고파식와 지형의 형성시기와 형성 당시의 해면고도를 밝히고, 고파식와 형성 당시의 파식대와 현생 파식대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고파식와의 풍화도와 인근 해안 충적평야 퇴적층의 연구 결과 도출된 해면변화 과정과 대비하여 볼 때, 적벽강 파식대의 고파식와는 후빙기 기후호전기의 고해면기 이래 수 차 지속되었던 고해면의 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고파식와의 바닥면과 현생 파식사면 최상단부와의 고도차로부터 고파식와 형성 당시의 해면은 현재보다 1.5m 정도 높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적벽강 해안의 현생 파식대는 후빙기 기후호전기의 고해면기 이래 형성되었던 고파식대가 침식되어 형성된 파식대로 보인다. The formation period of the old notches developed in Jeokbyeokgang coast of the Byeonsan peninsula of Korean western coast and the height of sea level of that period were investigated. The relation of old shore platform and present shore platform was also investigated. The old notches of Jeokbyeokgang coast has been formed in the periods of Postgalcial high sea levels which occurred at several times since the ‘climatic optimum’ period. Judging from the height between the base slope of old notch and the ramp of present shore platform, the height of sea level of the formation period of old notches was 1.5 meters higher than that of present sea level. The old notches of Jeokbyeokgang coast are regarded as the remnant features of the old shore platform formed in the periods of Postgalcial high sea levels.

      • KCI등재

        한반도 중부 남해안 화태도의 해성단구 보고

        최성길 ( Seong-gil Choi ) 한국지리학회 2017 한국지리학회지 Vol.6 No.3

        한반도 중부 남해안 화태도의 해안에는 여러 단의 해성단구가 발달되어 있다. 본 고에서는 이들 단구들 중 구정선 고도 43m 이하의 단구의 형성시기를 남동부 해안과 서부 남해안의 해성단구들과의 대비를 통하여 추정하고, 화태도와 이들 해안의 단구들의 구정선 고도의 분포에 근거하여 남동부 해안으로부터 서부 남해안에 걸친 해안 지역의 제4기 지반운동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잠정적으로, 화태 43m 단구는 MIS 9, 화태 33m 단구는 MIS 7e, 화태 24m 단구는 MIS 7c 혹은 7a, 화태 19m 단구는 MIS 5e, 그리고 화태 11m 단구는 MIS 5a의 해성단구로 편년되었다. 또한 해성단구의 구정선 고도의 분포로부터 판단할 때, 한반도 남동부 해안으로부터 서부 남해안 사이의 해안지역에 있어서 적어도 MIS 9 이후에는, 현저한 수직적 변위를 보이는 큰 규모의 시차적 지반융기가 일어났을 가능성은 적었음을 알 수 있었다. Many marine terraces have been developed in the Hwatae-do (island), mid-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formation periods of the marine terraces below the ‘Hwatae 43m terrace’ whose paleoshoreline altitude is 43m above the sea level among the terraces of the Hwatae-do (island) were estimated by the comparison between the marine terraces of the Hwatae-do (island) and the marine terraces of the mid-eastern, southeastern and southwestern coasts of the Korean peninsula. Temporarily, the Hwatae 43m terrace was assumed to be the marine terrace which has been formed in the MIS 9 and the Hwatae 33m, 24m, 19m and 11m terraces correlated to the MIS 7e, MIS 7c or 7a, MIS 5e and MIS 5a respectively. The possibility of the notable vertical displacement by the large-scale different tectonic uplift which had occurred among the marine terrace surfaces in the mid-eastern, southeastern, mid-southern and southwestern coasts of the Korean peninsula was considered not to be high, judging from the comparison of the paleoshoreline distributions in the marine terraces of the above-mentioned coasts after at least the MIS 9.

      • KCI등재
      • 공주 청벽산 서록 완사면 퇴적층의 형성과정

        최성길 ( Seong Gil Choi ) 한국지리학회 2012 한국지리학회지 Vol.1 No.1

        충남 공주시 청벽산 서록에 발달된 완사면의 퇴적층을 연구하여, 최종빙기 직전의 빙기(MIS 6)에 공급된 것으로 판단되는 사면퇴적물로 구성되는 하부 사면퇴적층을 최종빙기에 공급된 사면퇴적물로 구성되는 상부 사면퇴적층이 순차적으로 피복하고 있는 노두가 국부적으로 남아있음을 확인하고, 한반도의 제4기 사면지형 발달과정 연구에 있어서의 이들 퇴적층의 의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청벽산 서록의 완사면 퇴적층은 최종빙기 직전의 빙기에 공급·퇴적되었던 하부 사면퇴적층이 최종간빙기에 화학적 풍화작용과 토양화작용을 받은 후, 최종빙기에 다시 공급·퇴적된 상부 사면퇴적층에 피복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청벽산 서록 완사면 퇴적층에서 복수의 빙기의 주빙하성 사면퇴적층이 누층적으로 퇴적되어 있음이 확인됨으로써, 추후 한반도의 제4기 사면지형의 발달과정을 고찰함에 있어서 해석의 지평이 크게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gentle slope deposits in the west slope of Cheongbyuk Mt., Kongju, Korea are composed of ‘lower fossil periglacial slope deposit’ of MIS 6 and ‘upper fossil periglacial slope deposit’ of MIS 4 to 2. The lower slope-deposit layer went through strong chemical weathering and the paleosol (red soil) had been formed on its deposit during the Last Interglacial (MIS 5).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gentle slope deposits which were composed of multi-cyclic periglacial slope deposits of many glacial ages could been developed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t could be used in the studies which investigate the Quaternary slope development of the Korean penins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