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 효과음원 온라인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 K-Sound Library를 중심으로

        김현태,이정은,이슬비,김건,김수정 한국기록관리학회 2023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23 No.2

        n recent years, the film industry in South Korea has experienced a period of prosperity, evidenced by the numerous awards won at major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Furthermore, growing global interest in K-content and the expansion of the OTT industry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are providing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film industry. Sound effects play a crucial role in conveying the atmosphere and emotions of a film, making them an essential element of film production. In response, the Jeonju IT & CT Industry Promotion Agency has bee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Korean-style sound effects since 2013. Furthermore, the agency launched an online service called the “K-Sound Library,” a sound effect archive, in 2021. However, the service has not been widely utilized because of issues with the database’s construction and the system’s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K-Sound Library’s problems through interviews with sound effects specialists about the online service of the first sound effect archive in South Korea. Based on the interviews and analyses of foreign cases, the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search services’ usability and the sound effects classification system. 최근 국내 영화산업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영화제의 주요상을 수상하면서 전성기를 맞이하 고 있다 더불어 콘텐츠의 국제적 관심과 코로나 이후 산업의 성장은 국내 영화산 . K- 19 OTT 업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는 긍정적인 여건으로 작용하고 있다 영화제작에 있어 효과음원은 . 영화 필름을 구성하는 요소 중의 하나로 영상의 분위기와 감성을 표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은 년부터 한국적 정서를 갖춘 한국형 효과음 . 2013 원 개발 사업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년부터 라는 효과음원 아카이 . 2021 ‘K-Sound Library’ 브를 일반 대중에게 서비스하고 있는데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시스템의 문제 등으로 그 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최초의 효과음원 아카이브인 . ‘K-Sound Library’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해 음향 전문가들과 인터뷰를 실시하여 현 서비스 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인터뷰 및 해외사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음원의 . 분류체계 및 검색서비스의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오스트리아 국립 도서관 『유합』 연구

        손희하 ( Heuiha S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오스트리아 국립 도서관 『類合』을 학계에 소개하고, 이 문헌의 서지(판본)와 판본 계통을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자료를 실사하고 다른 판본과 비교하는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대상 자료는 현재 오스트리아 국립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類合』이다. 이 문헌은 조선에서 간행한 책이지만, 국내 학계에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아서 현재 연구 자료로 전혀 활용하고 있지 않는 자료이다. 이 문헌은 지볼트가 1838년에 출간한 『類合LUIHŎ』의 저본이다. 원래 오침안정의 선장본인데, 현재 양장본으로 개장되어 있다. 이는 야동 신판 『類合』 계통의 판본이다. 1838년 이전에 간행한 것으로 야동 신판 『類合』을 수정한 복각본, 또는 이 반대의 모습을 보인다. 알려지지 않은 야동 신판 『類合』 계열의 다른 판본의 존재를 드러내 준 점에 의의가 있다. 이 문헌은 한자 자형, 새김, 한자음 자료이다. 판본 간 면밀히 대비한 서지학, 국어학, 한자 자형학 등의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Austrian National Library version of the Yuhap to the academic community, and to examine the bibliographical forms in this literature and study its system of the edi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and compares this literature with the other versions. It is now owned by the Austrian National Library[Österreichische Nationalbibliothek]. This literature was published in Joseon, but it is not yet known to Korean academia, so it is not currently being used as material for studies. It is the model version of the 『類合LUIHŎ』 published by Siebold in Leiden, the Netherlands in 1838. Originally, it was a 5-stitched-banding book with thread, but it is in hardcover now. It is the woodblock-printed edition of the Yadong new version Yuhap. It shows the appearance of a later revised reprint of the Yadong new version Yuhap, or vice vers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revealing that it is another version of the series of Yadong new version Yuhap. It is a material of Chinese character’s shape, saegim, and Sino-Korean phoneme Sino-Korean sound. It is hoped that follow-up studies in the area of bibliography, Korean linguistics, shape of Chinese character, etc. will be conducted by closely comparing the editions.

      • KCI등재후보

        국내용 애니메이션 사운드 라이브러리 구축 방안

        임영규(Rhim Young-Kyu)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5

        애니메이션 영상물에서 사용되는 사운드는 거의 모두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다. 많은 수의 사운드는 실제의 소리를 녹음해서 사용하기도 하고, 신디사이저와 같은 전문 음향장비로 제작된 가상적 사운드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가공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한 편의 애니메이션은 적지 않은 양의 사운드를 소비하는데, 그를 위한 제작비용 또한 만만치 않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사운드들은 여러 다른 영상작품에 사용될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운드 소스들을 현 시장상황 하에서 새로운 부가가치로 인정받을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해 보려한다. 현재 가장 성공적인 디지털 콘텐츠 유통모델로 인정받고 있는 미국 Apple사의 iTunes Music Store 시스템은 국내 음원시장에서의 적용이 가능하다. 연구결과 이 시스템은 사운드의 창작자가 스스로 온라인 스토어의 콘텐츠 제공자로서 역할을 주도하며, 동시에 사용자는 간편한 방법과 저렴한 비용으로 원하는 콘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 할 때 반드시 필요한 것이, 원하는 데이터를 짧은 시간 안에 검색 가능하게 해 주는 검색 시스템인데, 이 부분은 우리말의 특징을 고려하여 새롭게 디자인 되어야 하는 부분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키 시스템을 활용하여, 검색 작업과 더불어 사용자 스스로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다른 사용자들과 그것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바탕으로 국내판 애니메이션 사운드 라이브러리라는 새로운 음원 디지털 콘텐츠로써 국내 음원시장 개척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Most of the sounds used in animated films are artificially made. A large number of the sounds used are either actual sound recordings or diversely processed artificial sounds made with professional sound equipments such as synthesizers. One animation episode contains numerous amounts of sounds, resulting in significant sound production costs. These sounds have full potential to be reused in different films or animations, but in reality we fail to do so. This thesis discusses ways these sound sources can be acknowledged as added new values to the present market situation as a usable 'digital content'. The iTunes Music Store is an American Apple company product that is acknowledged as the most successful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model at the time being. Its system's sound library has potential for application in the Korean sound industry. In result, this system allows the sound creator to connect directly to the online store and become the initiative content supplier. At the same time, the user can receive a needed content easily at a low price.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construction of this system is the search engine, which allows users to search for data in short periods of time. The search engine will have to be made in a new manner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This thesis presents a device incorporating the Wiki System to allow users to search and build their own data bases to share with other users. Using this system as a base, the Korean animation sound library will provide development and growth in the sound source industry as a new digital sound content.

      • KCI등재

        가상환경의 인터랙티브 사운드를 위한EVE-Sound(TM)툴킷

        남양희 ( Yang Hee Nam ),성숙정 ( Suk Jeong Su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4 No.4

        This paper presents a new 3D sound toolkit called EVE-SoundTM that consists of pre-processing tool for environment simplification preserving sound effect and 3D sound API for real-time rendering. It is designed so that it can allow users to interact with complex 3D virtual environments by audio-visual modalities. EVE-SoundTM toolkit would serve two different types of users: high-level programmers who need an easy-to-use sound API for developing realistic 3D audio-visually rendered applications, and the researchers in 3D sound field who need to experiment with or develop new algorithms while not wanting to re-write all the required code from scratch. An interactive virtual environment application is created with the sound engine constructed using EVE-SoundTM toolkit, and it shows the real-time audio-visual rendering performance and the applicability of proposed EVE-SoundTM for building interactive applications with complex 3D environmen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Intangible heritage in the United States: a history of separate initiatives

        William Chapman 국립민속박물관 2019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Vol.14 No.-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of the United States’forays into the recognition and protection of elementsof intangible heritage. It traces the beginnings of USinitiatives to programmes of the Library of Congress inthe late 1920s through several Smithsonian InstitutionProgrammes from the 1930s on, notably the SmithsonianFolklife Festival, begun in 1967 and more recently, theNEA National Heritage Fellowship Programmes. Itfurther examines the work of the National Park Serviceand Tribal Preservation Programmes, as well as themore recent Pacific Island Programmes. A final sectionexamines regional and citywide efforts to identify andconserve aspects of intangible heritage. Although the UShas officially withdrawn from participation in the workof UNESCO it is consoling to recognise the importantstrides the US has made in the effort to promote andprotect traditional modes of cultural expression and thediversity of US approaches, which is in fact in line with theobjectives of the organisation’s international Convention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