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erspectives of Co-operation in Social Development and Technology Advancement between Korea and Bangladesh

        Chang, Tai-koo(장태구),Saiful Alam(사이풀 알름)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1 남아시아연구 Vol.16 No.3

        경제발전과 사회개발의 장기적 전망이 균형적 지역개발, 기술의 발전, 고도로 훈련된 인력과 사회간접자본의 개발, 사회기반체계의 향상을 가져오는 기술 분야의 혁신에 의존한다는 것이 한국경제의 발전에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모든 요소에 공통되는 점은 기술, 기능, 전문성, 그리고 조직의 시스템으로 대변되는 기술이라고 할 것인데, 이 기술이야말로 사회적 수요를 충족시키는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고 활용하는 것이다. 특별히 에너지 기술은 가구의 소득, 건강, 교육, 남녀의 성비와 환경의 발전에 영향을 끼침으로서 도시빈곤율 저감에 관련성이 크다고 하겠다. 한국과 방글라데시 양 국가의 사회개발을 위한 기술적 측면에서의 경제협력에 있어서 주안점을 두어야 할 부분은 a. 사회개발의 관점, b. 도시의 성장과 사회개발, c. 에너지 발전 분야 협력을 통한 한국의 방글라데시 개발 참여, d. 방글라데시와의 사회개발 및 기술협력에서의 제약사항 등에 관한 것들이다. 본 논문은 이런 점에 초점을 맞추어 양 국가에 상호 호혜적 발전을 가져오는 사회개발 및 기술적 협력 방안을 분석하였다. Korean economy exhibits that the long term prospects of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depends on innovations in technical fields, redressing urban problems focusing on regional development, advancement of science, development of highly trained manpower and infrastructure, and raising of social overheads. But common to all these elements is technology, the term being referred to as a system of knowledge, skills, expertise, and organization used to produce and utilize goods and services that satisfy social demand. Specially, energy technology has strong linkages with urban poverty reduction through household income, health, education, gender and environment development. The analyses of technology-focused economic co-operations for social development between Korea and Bangladesh adopt the following points a. social development perspectives, b. urban advancement and social development, c.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Bangladesh especially in energy generation, d. constraints to social development and technology co-operation with Bangladesh. By focusing these points this paper analyzes the ways of co-operation for social development and technology, which bring about reciprocal progress for the two.

      • KCI우수등재

        지식정보사회에서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관계 유형과 경제발전

        도수관,장덕희 한국행정학회 2017 韓國行政學報 Vol.51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social entrepreneurship in a cross-section of countries. To build empirical models for explaining variations in economic development across countrie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literature on social capital, social entrepreneurship, and economic development. It is shown that countries with a high level of social capital exhibit higher economic development as measured by GDP per capita. It is also shown that countries with high levels of both social capital and social entrepreneurship exhibit higher economic development.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depends on social entrepreneurship, as measured by nascent social entrepreneurial activity. Thu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social entrepreneurship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Finally, the importance of social entrepreneurship in explaining the variation in economic development across countries sheds light on the social capital theories of economic development of each country in the knowledge-based economy. 본 연구는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사회자본 수준과 사회적 기업 가정신 발휘 수준의 관계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 따라 개별 국가들의 경제발전 수준이 어떻게 다른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사회자본과 경제발전의 관계를 좀 더 심도 있게 논의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서는 먼저 사회자본, 사회적 기업가정신 그리고 경제발전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여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관계 유형과 경제발전의 관계 분석을 위한 연구모형을 개발한 다음 이를 본 연구의 분석에 활용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자본론자들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사회자본 개념은 기존의 경제발전을 설명하는 다양한 개념들과 마찬가지로 경제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관계 유형에 따라 사회자본이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에 향후 사회자본과 경제발전의 관계를 좀 더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가정신 개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자본 수준과 사회적 기업가정신 발휘 수준이 모두 높은 유형에 속하는 국가들은 경제발전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향후 사회자본과 경제발전의 관계를 규명하는 과정에서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이 어떤 상호작용을 통해 경제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이와 같은 분석결과들이 의미 하는 바는 사회자본과 경제발전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관계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Perspectives of Co-operation in Social Development and Technology Advancement between Korea and Bangladesh

        장태구,Md. Saiful Alam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1 남아시아연구 Vol.16 No.3

        Korean economy exhibits that the long term prospects of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depends on innovations in technical fields, redressing urban problems focusing on regional development, advancement of science, development of highly trained manpower and infrastructure, and raising of social overheads. But common to all these elements is technology, the term being referred to as a system of knowledge, skills, expertise, and organization used to produce and utilize goods and services that satisfy social demand. Specially, energy technology has strong linkages with urban poverty reduction through household income, health, education, gender and environment development. The analyses of technology-focused economic co-operations for social development between Korea and Bangladesh adopt the following points a. social development perspectives, b. urban advancement and social development, c.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Bangladesh especially in energy generation, d. constraints to social development and technology co-operation with Bangladesh. By focusing these points this paper analyzes the ways of co-operation for social development and technology, which bring about reciprocal progress for the two.

      • KCI등재

        사회자본은 농촌개발 사업의 필요조건인가?

        이현정 지역사회학회 2020 지역사회학 Vol.21 No.3

        Social capital enables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by increasing the level of competence and support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each region. Accordingly, many researchers put stress on the role and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However, social capital accumulated in farming villages is declining due to the weakening of community standards caused by the reduction of the farming population, aging, and mechanization of farming. The government aims to generate the income in farming areas, improve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inspire the rural spirit and tradition by enforcing various rural development project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case study on villages that succeeded in rural development to examine whether they actually have high social capital and if social capital functioned as the driving force for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lective actions causing community development and bringing benefits to individuals lead to the development of villages, but the meaning and function of collective actions have faded because of money. Second, the mutuality and reciprocity of social capital were imposing a burden on farmers due to the changing farming environment. Third, social capital was internalized in social relations, ensuring that everyone who participates in such social relations is not excluded from the benefits regardless of their intention. The government emphasizes the community spirit and social capital for rural development projects, but many projects are being replaced by money. Under the given circumstance, questions arise regarding whether social capital is an appropriate means of rural development and whether the declined social capital can be re-accumulated. It is necessary to seek more realistic and practical methods of rural development. 사회자본은 지역 스스로의 역량 발현을 통해 공공과 민간의 부족한 역량 및 지원수준을 높여주어 지역사회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많은 연구자들이 사회자본의 역할과 중요성 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농촌은 농업인구의 감소, 고령화, 영농의 기계화 등으로 과거 농촌마을에서 유지해왔던 공동체 규범이 약화되어 마을에 축적되어 있던 사회자본이 쇠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다양한 농촌개발 사업을 시행하여 농촌지역의 소득증대와 환경개선은 물론 농촌 고유의 정신이나 전통을 고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농촌개발이 성공적으로 진행된 마을이 실제 사회자본이 높은지, 사회자본이 실제 개발의 동력으로 작용했는지에 관해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첫째, 공동체에 발전을 야기하고 개인에게 이익을 가져다주는 집합적 행동은 마을의 발전은 유도하나 현재는 돈으로 인해 그 의미와 기능이 퇴색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변화된 농촌 환경으로 인해 사회자본 고유의 특성인 상호성과 호혜성은 오히려 농민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사회자본은 사회적 관계 자체에 내재하여 그 관계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은 누구나 의도와는 상관없이 혜택에서 제외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정부는 농촌개발 사업에 농촌의 공동체의식, 사회자본을 강조하지만 실제 사업은 많은 부분이 돈으로 대체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제는 사회자본이 현재의 농촌 상황에서 적실한 개발수단인지?, 쇠퇴한 사회자본은 다시 축적할 수 있는 것인지? 등과 관련한 질문이 요구되어진다. 또한 보다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농촌개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 KCI우수등재

        사회적 경제 관점에서 본 내생적 지역관광발전의 과제와 정책적 함의

        심원섭 한국관광학회 2017 관광학연구 Vol.41 No.6

        본 연구는 대안적 관광발전론으로서 사회적 경제의 지역적 의미와 그 역할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사회적 경제가 갖는 내생적 지역관광발전의 함의에 초점을 맞추고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경제와 내생적 발전, 내생적 지역관광발전의 의미를 이론적으로 살펴보았고, 해외의 사회적 경제를 통한 내생적 지역발전 사례와 국내의 관광분야 사회적 경제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사회적 경제의 관점에서 지역의 내생적 관광발전을 추진하기 위한 과제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사회적 경제 개념을 토대로 지역의 내생적 관광발전을 위해서는 첫째, 사회적 경제가 지역의 내생적 관광발전을 위한 중요한 틀이 될 수 있다는 필요성 인식과 이를 위한 제도적 토대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관광이 사회적 경제를 통해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내의 자발적 네트워크와 협력적 거버넌스가 형성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적 자본 형성과 투명하고 참여 구성원 보호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지역관광혁신인재의 양성과 지역주민 역량강화가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경제가 내생적 지역관광발전의 틀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지역관광정책에 대한 인식전환, 내생적 지역관광발전의 생태계 구축, 지역사회 및 지역자원 중심의 관광사업모델 개발 및 지원, 제도적 인프라 구축 등이 정책적으로 필요하다. Social economy has been increasingly understood as an alternative solution for regional tourism development, particularly for endogenous tourism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the concept of social ec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 tourism development, by theoretically conceptualizing social economy, endogenous tourism develop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oncepts. The research analyzes interesting cases in which social economy was used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results provide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for tourism policy. First, based on agreement among stakeholders, a region needs to internalize the value of social economy by increasing awareness of social economy as an effective solution for regional development. Second, a region needs to form a spontaneous and cooperative network for endogenous tourism development of a social economy. Third, endogenous tourism development of a social economy can be achieved using social capital, the fairness of market and distribution. Fourth, endogenous tourism development of a social economy requires strengthening the overall ability of a region by training human resources who have good will and entrepreneurship. In addition, governmental support that forms regional tourism ecology and that develops alternative tourism business models is a crucial basis for the endogenous tourism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 KCI등재

        산업화시기 ‘학생사회개발단운동’을 통해 본 기독학생계의 사회참여

        박상준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24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0 No.60

        본 연구는 산업화시기 기독교의 사회참여 사례로서 학생사회개발단운동(학사단운동)의 전개 모습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60년대부터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한국사회는 경제개발의 이면에서 인간과 관련한 여러 문제를 노정하고 있었다. 한편 기독교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는 사회참여담론은 20세기 점진적으로 발전해 오다가 1968년 세계교회협의회(WCC) 웁살라총회가 기폭제가 되어 국내로 유입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들은 한국의 기독교계 일각에서 사회 개혁을 위한 실천적 노력이 나타나는 결과로 이어졌다. 학사단운동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의 활동이었다. 대학 내 기독학생회 구성원들에 의해 전개된 학사단운동은 지역 주민들의 의식화와 조직화를 통해 사회정의를 실현시키고자 하였다. 그런가 하면 학사단운동에 참여하던 기독학생들은 민주화인권운동에도 참여하였는데, 민청학련사건을 계기로 학사단운동보다 반독재 민주화투쟁에 집중하게 된다. 학사단운동은 산업화시기 불완전하게나마 시민사회운동의 성격을 엿볼 수 있는 주요한 사례라는 점에서 본 연구가 갖는 의미를 찾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Development Group Movement as an example of Christianity's social participation in society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With industrialization in the 1960s, Korean society was revealed various related to humans behind economic development. Meanwhile, the discourse on social participation emphasizing the social role of Christianity developed gradually in the 20th century, and in 1968, with Uppsala General Assembly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WCC) as a catalyst was introduced into Korea. These situations resulted in practical efforts for social reform in some of the Christian circles in Korea. The Student Social Development Group Movement was also an activity in this context. The Student Social Development Group Movement which was developed by members of the Christian students in the university tried to realize social justice through consciousness and organization of local residents.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 Social Development Group Movement’s members also participated in the democracy and human rights movement, and in the wake of the National League of Democratic Youth and Students incident, they focused on the anti-dictatorship democratization struggle rather than the Student Social Development Group Movement. I would like to find the meaning of this study in that the Student Social Development Group Movement is a major example of the nature of the civil society movement incompletely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 KCI등재

        Post 2015 Development Goals(SDGs) and Transformative Social Policy

        Ilcheong Yi(이일청),Taekyoon Kim(김태균)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5 OUGHTOPIA Vol.30 No.1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빈곤과 불평등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개선한 개발 전략에는 사회연대에 기반한 재분배적 사회정책이 있었다. 이 정책은 산업화와 경제성장의 한 축이었고 성공적인 개발모델들의 근간이 되었다. 그러나 특히 연대에 기반한 재분배정책의 역할은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한 개발정책에서 거의 부각되지 않았다. 재분배정책의 부재는 개발도상국을 위한 개발정책 논의와 실시과정에서 사회정책에 관한 인식과 정책내용의 변화를 가져왔다. 정책결정자들은 사회정책을 경제정책의 부정적 현상을 완화하는 도구 정도로만 인식한 것이다. 생산, 재분배, 사회보장, 모자 보건과 요양, 사회적 통합 등의 기능과 역할이 조화롭게 배치된 사회정책접근방법을 검토한 이 논문은 경제, 사회적으로 지속가능한 개발목표 달성을 위해서 사회 안전망과 같은 잔여적 접근을 극복하고 경제사회정책의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체제전환적 사회정책접근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역사경험적 근거를 토대로 체제전환적 사회정책이 잔여적 사회정책보다 다른 정책과의 정치, 경제, 사회적 시너지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지속가능개발 목표를 달성하는데, 체제 전환적 사회정책적 접근이 보다 타당한 사회정책 접근임을 주장한다. After the Second World War, development strategies which could significantly reduce poverty and inequality and enhance quality of life invariably involved some forms of solidarity-based redistributive social policy programmes as a complement to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However, this role of social policy, and in particular, the redistributive component of social policy that had underpinned these successful development models, has often gone unrecognized. One of the policy consequences of this neglect has been the proposal of social policy as a remedial action, which just ameliorates the adverse social effects of economic policies that often regressively redistribute wealth and income. Informed by an understanding of social policy which highlights its multiple transformative and developmental roles and functions in production, redistribution, protection, reproduction and social cohesion, this paper argues for a move away from the residualist conceptualization of social policy as a “safety net” and suggests a transformative social policy approach as a core of a new developmental conceptual framework or strategy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Based on historical and empirical evidence, this paper argues that for the global overarching strategy for the SDGs, a transformative social policy approach can be a better fit than the residual social policy approach, since the former works in tandem with other policies to ensure socially,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sustainable and equitable development.

      • KCI등재

        무용표현활동 수업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자기표현과 사회성 발달 및 학교생활만족의 관계

        우정욱 한국사회체육학회 2019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75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in self-expression, social developmen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by divi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o participants in dance expression activities and non-participants. Also, it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expression, social developmen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Method: This study us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using SPSS 21.0 program and AMOS 21.0 program to derive main results.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self-expression, sociality developmen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dance expression activities and non- participants. As a result, participants in dance expression activities showed higher self-expression, social developmen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an non-dance performers.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self-expression on social development, self-expre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development.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self-expression on school life satisfaction, self-expression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development.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developmen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social develop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In summary, the particip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nce expression activities can be regarded as an important activity to promote self-expression, social development,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마음공부 프로그램을 통한 인성교육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안관수(Kwan-Su An),백현기(Hyeon-Gi Baek)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1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마음공부 프로그램을 통한 홀리스틱 인성교육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배경 변인(성별, 학년)으로 인성교육을 독립변인으로, 사회성(준법성, 협동성, 사교성, 자주성, 책임감)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자료처리는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의 하위변인 중 기본생활습관, 공동체의식, 자아확립, 효도⋅경애가 사회성 발달의 하위변인 중 준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인성교육의 하위변인 중 기본생활습관, 공동체의식, 자아확립, 자기존중의식, 효도⋅경애가 사회성 발달의 하위변인 중 협동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마음공부 프로그램 참여한 학생의 인성교육 중 기본생활습관, 공동체의식, 자아확립, 효도⋅ 경애가 사회성 발달의 하위요인 중 사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인성교육의 하위변인 중 기본생활습관, 공동체의식, 자아확립, 자기존중의식이 사회성 발달의 하위변인 중 자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인성교육의 하위변인 중 기본생활습관, 공동체의식, 효도⋅경애가 사회성 발달의 하위변인 중 책임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마음공부 프로그램을 통한 인성교육이 청소년의 사회성발달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onality development education using the Mind Training Program on youth's social development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tatistics as background variables (gender and school year), personality development educ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ocial skills (respect for law, collaboration, sociability, independency, and responsibility) as dependent variable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are 250 students in three Won-Buddhist alternative high school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6.0.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life style, a sense of community, identity formation, and filial piety/ respect for elders under the personality development education variables influenced significantly the respect for law among the sub-areas of social skill development. Second, the basic life style, a sense of community, identity formation, self-esteem, and filial piety/ respect for elders influenced significantly the collaboration among the sub-areas of social development. Third, the basic life style, a sense of community, identity formation, and filial piety/respect for elders influenced significantly the social skills among the sub-areas of social development. Fourth, the basic life style, a sense of community, identity formation, and self-esteem influenced significantly independency among the sub-areas of social development. Fifth, the basic life style, a sense of community and filial piety/respect for elders influenced significantly a sense of responsibility among the sub-areas of social development. Therefore, this research verified that personality development education using the Mind Training Program has more beneficial effect on youth's social development compared to general personality development education.

      • KCI등재

        도시의 질적 발전을 위한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이론적 탐색

        송주연(Juyoun Song),임석회(Seokhoi Yim) 대한지리학회 2015 대한지리학회지 Vol.50 No.6

        이 논문의 목적은 도시 성장의 패러다임이 양적 성장에서 질적 발전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담론을 고찰하고 실천적 과제를 탐색하는 데 있다. 그간 한국의 도시성장은 질적인 발전을 외면한 채 양적 팽창에 중점을 두어왔고, 그 결과 총량적 부는 달성하였지만 도시 빈곤과 사회적 양극화, 복지와 삶의 질 악화 등 도시 내 사회적으로 지속가능하지 못한 문제들을 양산해왔다. 이에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형평성을 근간으로 도시민의 사회적 필요를 충족시키고, 사회적 발전이 지속되는 데 관심을 가진다는 점에서 도시 발전의 불평등과 분배 문제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아울러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내발적 주체로서 도시민의 역량을 강화하고 거버넌스를 증진하는 기제가 될 수 있다.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논의에서 출발한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서구 학계를 중심으로 점차 그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개념과 실천적 과제가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는 한편,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고 제도적 장치가 불비하다. 그럼에도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개념과 실천적 과제들은 오랜 기간 양적 성장 위주로 발전하면서 그 모순이 누적되어 온 한국 도시의 향후 발전 경로에 시사하는 점이 크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and develop theories of social sustainability as an alternative of urban development, recognizing that urban development paradigm needs to turn to the qualitative perspective. Urban development in Korea has mainly focused on quantitative expansion disregarding qualitative development so far. Korean cities has achieved the quantitative accumulation of wealth due to the strategy. However, as a result, it is also certain that socio-economic problems such as urban poverty, social polarization, deterioration of welfare and quality of life are getting more serious. In the context that social sustainability meets social needs of urban residents based on equity and focuses on social development, it has an important meaning in relation of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such as inequality and distribution of urban development. Furthermore, social sustainablity can foster urban residents’ endogenous capability and governances. The importance of social sustainablity has been standed out and its concept and practical problems have been discussed diversely among researchers in the Western advanced countries for the last decade. However, social sustainability is still unattractive and its institutional strategy are insufficient in Korea. Concepts and practical problems of social sustainability have implications on the development path of Korean cities which have been accumulated contradiction due to the quantitative development for a long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