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armers’ Perception of Wetlands and Their Attitude on Government Wetlands Policies : A Study of Four Illinois Counties in the United States

        Seokhoi Yim(임석회),Jongnam Choi(최종남) 대한지리학회 2009 대한지리학회지 Vol.44 No.5

        This study examines farmers’ knowledge and perception on the functions and values of wetland and their attitudes on government wetland policies in the state of Illinois in the United Stat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knowledge of the functions and values of wetland between farmers and non-farmers, although farmers tend to value the importance of wetland less than non-farmers. However, farmers are negative on the importance of protecting wetland and replacing damaged or destroyed wetlands as well as stricter government wetland policies. It suggests that noticeable discrepancy exists between farmers’ knowledge of wetland and their practice to protect wetland. 경제활동의 특성 상 습지와 친숙한 농민들의 습지 기능이나 가치에 대한 인식과 습지관련 정부정책에 대한 태도는 습지관리의 중요한 변수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논문은 일리노이 주 4개 카운티 주민 대상의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농민들이 갖는 습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습지의 기능이나 가치에 관한 지식수준에서 농민과 비농민 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습지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농민들이 비농민에 비해 다소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다. 특히, 농민들은 습지의 보호와 손상되거나 파괴된 습지의 대체 정책에 대해서는 비농민에 비해 부정적인 태도를 갖는다. 이는 농민들에게 있어서 습지에 대한 지식과 가치 평가(실제 습지보호를 위한 실천) 간에서는 괴리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영남권 사회문화적 연계의 지역구조

        임석회(Seokhoi Yim),송민정(Minjeong So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남권 지역주민의 구매 활동(쇼핑), 여가 활동, 친교·친지방문 등 사회문화적 활동에서 나타나는 지역 간 연계 구조를 사회네트워크분석을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영남권 내부의 지역 연계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국가교통 DB센터에서 제공하는 2012년 기준 시·군 간 목적별 여객 통행량 O-D 자료를 NetMiner 4.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영남권은 낙동강 유역분지라는 등질적 자연환경과 오랜 역사적 발전 과정의 공유에도 불구하고 대구·경북권과 부산·울산·경남권 간의 사회문화적 연계의 긴밀도가 관념적으로 생각하는 것만큼 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는 경북 북부지방의 상대적 고립성이 매우 강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영남권의 단일 지역성에 대하여 지금까지 관념과는 다른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paper aims to consider regional linkages in the Province of Young-nam mainly through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sociocultural activities such as leisure, friendly relations and visiting relatives. Passenger O-D data as of 2012 provided by National Transportation DB Center are analyzed using the NetMiner 4.0. The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the sociocultural relationship between Daegu-Kyoungbuk and Busan-Ulsan-Kyioungnam is not so close. In particular, some north regions of Kyoungbuk are relatively isolated in the Province of Young-nam. This implicates that regions in the Province of Young-nam are not closely united at least in terms of sociocultural linkages although they are in the homogeneous natural environment of the basin of the Nakdong-river and share a same historical background for a long time. Consequentially this work suggests the Province of Young-nam may not be an united single region on the contrary to a notion of it so far.

      • KCI등재

        대도시 도심부의 인구변동과 쇠퇴 양상의 변화

        임석회(Yim, Seokhoi)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3

        지금까지 도심은 쇠퇴라는 관점에서 문제지역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최근 대도시 도심부는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작용이 사회적 이슈가 될 정도로 새로운 양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 논문은 1995년 이후 최근 2015년까지 지난 20년 동안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등 6개 대도시 도심부 쇠퇴 양상의 변화를 인구변동 - 인구성장, 인구 구조, 전출・입 인구이동, 인구의 사회적 구성 - 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아직까지 명확한 도심회귀나 도심부활이라고 할 수 없으나 최근 도심쇠퇴가 이완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특히 서울의 종로구와 중구는 이제 더 이상 도심쇠퇴라고 말하기 곤란하며 지방대도시 도심 가운데는 대구시 중구의 이완 현상이 두드러진다. 도심회귀의 증후가 일부 있으나 여전히 높은 주택 가격으로 미국이나 유럽, 일본과 같은 본격적인 회귀에는 한계가 있다. Urban centers have been recognized as problem regions so far. However, urban centers of metropolises take a new aspect in recent years as much as the negative influence of gentrification becomes a social issue. This paper analyzes the declining trend of urban centers in six metropolises – Seoul, Busan, Daegu, Incheon, Gwangju and Daejun from 1995 to 2010. As results of analysis, it is identified that the urban centers" shrinkage got moderated recently in the metropolises, even though their resurgence is not evident. Especially it is difficult to say longer that Jongro-Gu and Jung-Gu of Seoul are declining urban centers. Easing shrinkage is most outstanding in Jung-Gu, Daegu among local metropolises. Nevertheless, a serious obstacle such as high price of housing is in the process of obvious resurgence of urban center differently from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Japan.

      • KCI우수등재

        기능적 연계에 기초한 대구도시권 분석

        임석회(Yim, Seokhoi) 대한지리학회 2018 대한지리학회지 Vol.53 No.1

        이 연구는 오늘날에는 도시 행정구역만으로 도시화 과정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관점에서 기능적으로 연계된 대구도시권을 사례로 도시권의 형성과 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구도시권은 대도시를 중심도시로 하는 인구 300만 명 이상의 큰 도시권임에도 불구하고 단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인구 및 고용의 분산 정도가 낮은 편이다. 다만, 구미를 중심으로 하는 도시권이 대구도시권에 이차적으로 편입됨으로써 중층적인 복합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병합 현상이 온전한 형태의 도시권역으로 발전할지 여부는 앞으로 더 많은 관찰과 분석이 요구된다. 반면에 도시권의 팽창 과정에서 도시권의 외측 주변지역 위치한 영천과 같은 중소도시는 도시권에 포섭되면서 오히려 쇠퇴하는 현상이 발견된다. 인구감소에 따라 도시권의 공간적 범위가 축소될 가능성이 전망된다. This study explores the formation processes and spatial structure of city-region with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area in the perspective that the current urbanization cannot be explained just with the administrative areas of cities. As an analytical result, Daegu city-region has a mono-centric structure and its population and employment are not deconcentrated much in spite of a large city-region whose population is over three million. However, Daegu metropolitan area is including Kumi city-region secondly. In the point, it has a multiple structure. In contrast, middle-sized cities as Youngchen located in outer ring have declined in the growth of city-region.

      • KCI우수등재

        지방소도시의 인구감소 및 성장과 쇠퇴의 특성

        임석회(Yim, Seokhoi) 대한지리학회 2019 대한지리학회지 Vol.54 No.3

        이 논문은 지방소도시의 인구감소 추세와 유형(성장형, 정체형, 쇠퇴형)을 고찰하고 지역내총생산, 고용률, 고용의 질적 안전성, 주거와 도시빈곤 등 사회·경제적 지표 분석을 통해 지방소도시의 성장과 쇠퇴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지난 20여 년간 전국적으로 소도시 수가 줄었지만 비수도권, 지방 정주체계에서 소도시 비중은 여전히 크고 중요하다. 둘째, 지방소도시의 성장에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소수의 성장하는 소도시와 정체하거나 쇠퇴하는 다수의 소도시로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셋째, 성장형 지방소도시의 성장요인은 주로 외생적이며, 정체형과 쇠퇴형 지방소도시를 볼 때 소도시의 전통적 기능마저 성장요인이 되지 못하고 있다. 넷째, 정체형과 쇠퇴형 지방소도시는 고용과 주거의 불안정성이 크고 지역생산과 고용의 양적 지표와 질적 지표를 수도권 소도시와 비교할 때, 지방소도시의 정체와 쇠퇴는 부등가 교환에 의한 가치의 지리적 이전과 불균등지역발전의 한 과정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opulation reduction trends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decline in local small cities by analyzing the social and economic indicators such as GRDP per capita and the amount and quality of employment, stability of housing and urban pover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number of small cities has decreased nationwide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 proportion of small cities in the non-capital region is still large and important. Second, the polarization has been expanding in the growth of local small cities, and the imbalance deepening with a few of growing cities and a lot of stagnant or declining cities. Third, growing local small cities rely primarily on exogenous factors for their growth, and stagnant or declining local small cities are highly unstable in employment and housing, and even the traditional functions of small cities have not been important as a growth factor. Finally, when compar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dicators of regional production and employment in local small cities with those in the capital region, the stagnation and decline of local small cities can be regarded as a process of uneven regional development by geographical transfer of values.

      • KCI등재

        도시의 질적 발전을 위한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이론적 탐색

        송주연(Juyoun Song),임석회(Seokhoi Yim) 대한지리학회 2015 대한지리학회지 Vol.50 No.6

        이 논문의 목적은 도시 성장의 패러다임이 양적 성장에서 질적 발전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담론을 고찰하고 실천적 과제를 탐색하는 데 있다. 그간 한국의 도시성장은 질적인 발전을 외면한 채 양적 팽창에 중점을 두어왔고, 그 결과 총량적 부는 달성하였지만 도시 빈곤과 사회적 양극화, 복지와 삶의 질 악화 등 도시 내 사회적으로 지속가능하지 못한 문제들을 양산해왔다. 이에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형평성을 근간으로 도시민의 사회적 필요를 충족시키고, 사회적 발전이 지속되는 데 관심을 가진다는 점에서 도시 발전의 불평등과 분배 문제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아울러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내발적 주체로서 도시민의 역량을 강화하고 거버넌스를 증진하는 기제가 될 수 있다.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논의에서 출발한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서구 학계를 중심으로 점차 그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개념과 실천적 과제가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는 한편,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고 제도적 장치가 불비하다. 그럼에도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개념과 실천적 과제들은 오랜 기간 양적 성장 위주로 발전하면서 그 모순이 누적되어 온 한국 도시의 향후 발전 경로에 시사하는 점이 크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and develop theories of social sustainability as an alternative of urban development, recognizing that urban development paradigm needs to turn to the qualitative perspective. Urban development in Korea has mainly focused on quantitative expansion disregarding qualitative development so far. Korean cities has achieved the quantitative accumulation of wealth due to the strategy. However, as a result, it is also certain that socio-economic problems such as urban poverty, social polarization, deterioration of welfare and quality of life are getting more serious. In the context that social sustainability meets social needs of urban residents based on equity and focuses on social development, it has an important meaning in relation of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such as inequality and distribution of urban development. Furthermore, social sustainablity can foster urban residents’ endogenous capability and governances. The importance of social sustainablity has been standed out and its concept and practical problems have been discussed diversely among researchers in the Western advanced countries for the last decade. However, social sustainability is still unattractive and its institutional strategy are insufficient in Korea. Concepts and practical problems of social sustainability have implications on the development path of Korean cities which have been accumulated contradiction due to the quantitative development for a long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