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동기와 또래관계 기술과의 관계 연구

        채경선,정윤주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5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4 No.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가 보편화되면서 SNS의 무분별 한 사용은 청소년들의 또래관계 기술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청소년의 SNS 이용실태와 SNS 이용동기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역시 커지는 시점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현황을 파악하고, 청소년들 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동기와 또래관계 기술 사이의 관련 양상을 조사하였다. 이 를 통해 청소년들의 무분별하고 중독적인 SNS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미리 예방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 고등학생들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소셜 네트워크 이용동기 척도와 또래관계 기술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 적 분석방법은 먼저 조사 대상자의 성별, 학년,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 이용동기를 알아 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소셜 네트워크 이용동기와 또래관계 기술과 어 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또래관계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동기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과 관련하여 여학생, 남학생 모두는 먼저 이용 상의 편의와 기분전환을 위해 SNS를 사용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정보전달·정보획득을 위 해, 그리고 의사소통·상호작용을 위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둘째, 청소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동기와 또래관계 기술의 하위영역별 상관 관계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SNS 이용동기 중 ‘현실탈피·가상적 자아형성’ 동기가 높을 수록 또래관계 기술이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의 SNS 이용동기 중 ‘정보전 달·정보획득’ 동기, ‘인맥형성·관계 유지’, ‘사회적 의사소통·상호작용’, ‘이용편리’에 대한 동기의 높고 낮음이 또래관계 기술인 주도성과 협동, 공감 능력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 목표가 사람들 간의 관계 형성이라는 점을 전제한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이 사회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과 같은 또래관계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그러나 현실탈피를 위한 동기에서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또래관계 기술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의 주된 목적을 해치는 이유가 될 수 있다. As the social network service becomes universal, the indiscreet use is likely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peer relations skill of adolescents. And also the necessity of the study on the SNS excessive use or the use motive of SNS is becoming large. Hereupon in this study the relation between peers among the relationship skill, the basic meaning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d the use motive of the adolescent social network was examined.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social network use status of adolescents and examined what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the social network use motive of adolescents and the peer relation skill. It would be a guideline to prevent the side effect by the indiscreet and addictive use of the social network by adolescents, which is rapidly increasing.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f 230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process, social network service incentive measurement and peer relation technical measurement are used. Statistical analysis method for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we fin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als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service incentive measurement and peer relation technical measurement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us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for a change because it was convenient. They were using the social network for the information delivery, information acquisition,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Second, to look at the correlation by sub-domains of the adolescent social network use motive and peer relationship skill, as the motive of ‘reality departure, virtual ego-formation’ was high among adolescent social network use motives among the adolescent social network use motives was high, the peer relationship skill was low. As the motive on the ‘information delivery/ information acquisition’, ‘personal connection formation/ relationship maintenance’, ‘social communication/ interaction’, and ‘use convenience’ was high among adolescent social network use motives, it was related to the initiative, cooperation, and sympathy which were the peer relationship skill. Although it is a natural result that the social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er relationship skill among the use motives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when the use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is the relationship formation among people. But when it is used as a motive for escaping from the reality, the youths rather experience the low peer relationship skill, which can be a reason for impairing the primary purpose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게임 확장성에 따른 서비스 개선 방안 연구 - 캐주얼 온라임 게임 서비스 비교를 중심으로 -

        김정우,최민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2 조형미디어학 Vol.15 No.2

        Social Network is a sort of a virtual community in which people make diverse forms of social relationship such from accidental contacts to intimate bonds, and its nature as ‘the network spread horizontally based on personal identity through internet’ shows the distinction from existing community. A Social Network Game(SNG) OR Social Game is a game, based on the new form of social network, which maximizes the participation of the users and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to enhance the online network and relationship between users. It is popular to gamers who seek fu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ommunity games because one of its features is the promotion of intimacy and homogeneity among the users in the social network, aimed at users of all ages through simple interface. As for ‘Farmville’, the game based on the Facebook network, approximately 100 million people in the world, the one-fifth of Facebook users, are playing the game, and its big figure accounts for the 1% of the population in the whole world. However, the demand of social network games is rapidly decreasing due to the simplicity of games and a lack of diverse content. The mainstream games took advantage of the popularity of the existing products and produced games in repetitive forms without considering the continuity of stories; as a result, users are turning away from the games. Despite of the fast scalability, social network game is exposing the drawback of content service insufficiency; therefore, social network game requires the faster and systematic content servi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service improvement plan to the scalability of social network games by overcoming the weakness through the invitation of the features of casual online games, providing diverse content, and utilizing multi-platforms as the alternative ways to improve social network game service.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란 인터넷을 통하여 우연한 접촉에서부터 친밀한 유대까지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일종의 가상 커뮤니티라고 할 수 있는데 ‘인터넷에서 개인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자신에게서부터 수평적으로 뻗어나가는 네트워크‘ 라는 특성이 기존의 커뮤니티와 다른 차별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기반을 중심으로 소셜 네트워크 게임 (Social Network Game, SNG) 또는 소셜 게임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온라인 인맥과 유대관계를 증진하기 위해 사용자참여 및 관계 맺기를 극대화한 새로운 형태의 사회적 인맥 기반의 게임이다. 손쉬운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든 연령층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해당 소셜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자 간 친밀감과 동질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기존의 커뮤니티게임과는 다른 재미를 추구하는 게이머들에게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페이스북’ 네트워크 기반의 게임 ‘팜빌(farmville)’ 의 경우, 페이스북 사용자 5분의 1인 전 세계, 약 1억 명이 즐기고 있으며 이것은 전체 지구 인구 1%에 해당하는 커다란 수치이다. 그러나 소셜 네트워크 게임은 단순한 게임성과 다양한 콘텐츠의 부족으로 빠르게 수요층이 줄어들고 있다.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게임들은 기존작의 인기에 편승하려 하면서 스토리의 연결성을 무시한 채 게임을 제작하여 게임성을 떨어뜨리고 반복적인 형식의 게임성으로 인해 결국 사용자들이 외면하고 있다. 빠른 확장성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콘텐츠 서비스 부족의 단점을 드러내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게임은 그만큼 빠르고 체계적인 콘텐츠 서비스가 필요하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게임 서비스의 개선 대안으로 부족한 게임성을 캐주얼 온라인 게임의 특성에서 가져와 단점을 극복하고, 다양한 콘텐츠의 제공과 함께 멀티 플랫폼의 활용방안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확장성에 따른 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게이미피케이션 마케팅 연구

        문하나(주저자) ( Ha Na Moon ),박승호(교신저자) ( Seung Ho Park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2

        스마트폰 대중화와 맞물려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이 일상화되자 기업은 제품홍보 및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위해 여러 개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마케팅 채널로 활용하고 있다. 기업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마케팅 초기부터 현재까지 사용자의 관심유도와 자발적 참여 증진을 위해 게임의 기능적 측면과 정서적 즐거움을 재현하는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 요소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의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를 고찰하고 하나의 기업이 여러개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마케팅 채널로 활용할 때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고자 했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게이미피케이션의 개념 및 특징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게이미피케이션 구성요소인 게임 기법과 역학, 재미유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고찰에 근거하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카카오스토리``, ``밴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4개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중 3개 이상을 사용 중인 ``코카콜라 코리아``, ``롯데마트``, ``캐논 코리아``, ``코오롱스포츠``, ``유니클로코리아`` 5개 기업의 게이미피케이션 마케팅 사례를 수집하여 게이미피케이션마케팅 특징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게이미피케이션 마케팅 기획의 초석이 되길 바라며 게이미피케이션과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측면에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Along with popularization of smart phone and routiniz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 enterprises are using several social network services as a marketing channel to raise brand awareness and conduct PR. Enterprises have been utilizing an element of ``Gamification`` representing a functional aspect and emotional pleasure of a game in order to attract users`` attention and increase their voluntary participation since the early social network service marketing. However,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contains functional roles of Gamification components rather than they function separately. Hence, this research intends to examine Gamification elements of social network service and characteristics occurred when enterprise uses several social network services as a marketing channel. Besides, it aims at suggesting a marketing guideline for Gamification based on social network that may induce users`` interest and increase an immersion effect. Firstly, this study examined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service and Gamification centered on literature research. Secondly, it summarized a game mechanics, dynamics and a fun type of Gamification components. Thirdly,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it collected Gamification marketing cases of 5 enterprises including ``Coca Cola Korea``, ``Lotte Mart``, ``Canon Korea``, "Kolon Sports`` and ``Uniqlo Korea`` that utilize more than 3 of 4 social network services including ``Kakao Story``, ``Band``, ``Facebook`` and ``Instagram`` used the most in our nation,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Gamification marketing and deriving a suggestion. Finally, it suggested a guideline for Gamification and social network service to build a foundation for a Gamification marketing plan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회 연결망 시각화에 대한 연구

        최종규(Jong Kyu Choi),지용구(Yong Gu Ji) 대한인간공학회 2010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5

        Web 2.0 has started to make a user-centered environment which users can make and share data easily. Various type of opened and participatable social network services using Web 2.0; are serviced and the researches focused on relation among Social Network Services are conducted. Social Network means the network and every relation among people, and it is made of social relations and interactions. Social network services support tools to connect user or context information, so peoples are using it to communicate each other and sharing information as a new communication method. In online environment, social network is developed easily but more complex than offline environment. Social Network Analysis is the research to clarify relation or network of people. Also Social Network Analysis can be visualized. Social Network Analysis is using widely to reveal the relation clearly, and visualized inform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helps to understand social network directly, and categorization of data makes effective information sharing in limited space. Visualization of social network in social network service also has problems. First, as time goes by social network in online environment is going to be more complex, so analysis of social network will be harder than offline environment. Second, accumulated single communication data of social network is not enough information to understand social network in online. Third, researcher can be confused of many temporary networks. To solve the problems, based on analysis of various visualized application, the social networks is visualized using timeline. In this paper, we measured user satisfaction of application using timeline. We studied visualization problem of social network in social network service, and visualized analysis using timeline. It will help to understand social network’s formation, maintain and development.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유형별 분류에 따른 웹 인터페이스 연구

        김헌(Hun Kim),백미정(Mi Jung Bea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1

        최근 웹 2.0의 출현과 함께 인맥형성을 지향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보편화는 웹 환경에 많은 영향을 주며 발전해 나가고 있다.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을 알릴 수 있게 되었으며, 온라인상의 관계를 통해 지속적인 만남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참여와 공유가 밑바탕이 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직접 생산할 뿐 만 아니라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정보의 공유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현재에도 생성되고 소멸되기를 반복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국내, 외로 활발하게 발전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웹을 기반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형성되어 현재 많은 사이트가 정보공유와 인맥형성의 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제공되고 있는 웹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많은 사용자가 사용, 참여하는 객체로 전반적인 사용자의 이용 패턴을 분석을 통한 사이트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환경의 변화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요소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유형별 분류를 바탕으로 국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4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었으며 각각의 유형에 따라 인터페이스의 구성요소 (레이아웃, 메뉴, 아이콘)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대화, 관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서비스에서는 감성적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정보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서비스에서는 메뉴, 콘텐츠가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직 그렇다할 연구 자료가 없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 분석을 함으로서 앞으로의 연구에 발판이 될 것이라 생각하며 이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Recently, with the emergence of web 2.0, generaliz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 which aims for formation of personal connections is improving with it effect on web environment. Users can introduce themselves by various ways through Internet, and continuous meetings have come to be made through the connections on online. Like these, social network service based on the participation and sharing of users is playing a role of sharinginformation through positive participation of users as well as direct production of data. Such social network service is repeating to the creation and destruction today. Social network service is developing actively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and in the country, social network service is formed based on web, and today, many web sites are used as places of sharing information and forming personal connections. Social network service based on web provided in these environments is an object which is used by many users, so development of site through analysis of usage pattern by general users is thought to be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I cleared up the concept of social network service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social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changes of web environment, and examined components of users` interface. Besides, based on classification by types of social network service, social network service in the country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and components of interface (layout, menu, icon) by each type was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in case of connection-centered service, emotional disposition has been examined, and menu and contents had great influences on information-centered service. This study is thought to be a foothold for future studies by analyzing social network service which has few research materials until now, and to have its meaning in this point.

      • 사회복지통합관리망 구축에 대한 고찰 : 장애인복지 서비스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김정희 ( Kim Jung-hee ),김경란 ( Kim Kyung-ran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1 장애인복지연구 Vol.2 No.4

        본 연구는 사회복지통합관리망 구축에 따른 장애인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변화 및 한계를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지자체 전달체계 및 장애인복지 담당공무원 17명과 장애인종합복지관 담당자 5명, 총 22명이 심층면접에 참여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지속적 비교접근 분석방법을 이용하였고, 공적-민간기관 참여자를 구분하여 분석한 후 시사점을 도출했다. 공적기관의 경우 사회복지통합관리망 구축 및 전달체계 개편, 장애인복지 전달체계와의 관계 범주에서 통합성/효율성/공적-민간기관 역할조정/전문성/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의 하위개념이, 민간기관의 경우 사회복지통합관리망 구축 및 장애인복지 전달체계 범주에서 통합성/공적-민간기관의 역할조정의 적절성/장애인복지 서비스와의 관계/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의 하위개념을 도출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심층면접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복지 서비스와 관련한 시사점으로 장애인복지사업에 대한 지자체의 인식부족과 사례관리의 미흡, 공적-민간기관 사례관리 대상자 중복의 문제, 사회복지통합관리망에 대한 홍보와 교육, 공적-민간기관 정보DB 통합을 제시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the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has changed after the construction of an integrated social service network and its limitations.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22 people, 17 local officials in charge of local government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and welfare service for the disabled and 5 staff from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e disabl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ison approach method, in which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ublic and private, and the implications were drawn based on the analysis. In the public institutes, a subordinate concept was drawn,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an integrated social service network and delivery system reorganization, and integration/efficiency/coordination of roles of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professionalism/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in the category of relationship with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subordinate concept of the private organizations drawn from the analysis include the construction of the integrated social service network and integration/appropriateness of coordinating roles of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relation with social services for the disabled/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in the category of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with a theoretical study and the in-depth interviews, th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on social welfare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lack of awareness of social welfare service for the disabled by local governments and insufficient case management, duplication of target people for case management i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promotion and education on the integrated social service network, Integration of database on information of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 KCI등재

        지역사회서비스 전달 네트워크 거버넌스 유형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시 자치구를 중심으로

        이주헌,박치성 한국행정학회 2010 韓國行政學報 Vol.44 No.3

        A search for an efficient and integrative social service delivery network has continued in the field of welfare administration, and an interest in network-based service delivery has exploded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questions of who and how to manage or govern the networks have never been seriously taken up.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patterns of network-based service delivery, based on the models of network management addressed by Provan and Kenis,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The results show that despite the high level of institutional similarity, the two local governments of Song-pa Gu and No-won Gu actually have dissimilar service delivery network systems. This study identifies two types of network management models in social service delivery networks, of which the network administrative organization (NAO) model represents Song-pa Gu, while the No-won Gu network is defined as a mixed model of the NAO model and the lead-organization model.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argues that the centralized management system of social service delivery would not be effective at the local level, and service delivery by network without consideration of local context would easily fall into the implementation trap. 사회서비스전달부문에서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전달의 효과성 증진과 서비스의 통합적 제공노력은 지난 10여 년간 지속되어 왔다. 하지만, 네트워크의 필요성에 대한 규범적인 담론의 정착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가 어떻게 관리되고, 누가 그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많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노원구와 송파구의 사회서비스전달네트워크를 대상으로 각 자치구의 서비스전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관리자를 파악하고, 그 관리역할을 분석함으로서 Provan과 Kenis가 제시한 네트워크 거버넌스 모형의 이론적, 실증적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서비스전달네트워크는 제도적인 동질성에도 불구하고, 자치구별로 매우 다른 구조적 특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각 네트워크 관리자의 특성과 역할도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원구의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유형은 네트워크 관리조직(NAO) 모형과 내부주도조직 유형의 혼합으로 분류되었으며, 송파구의 경우는 내부주도조직유형으로 정의되었다. 분석결과 지역사회의 특성에 따라 이에 적합한 사회서비스전달 네트워크 거버넌스 유형이 발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역사회를 무시한 탈맥락적이고 일률적인 네트워크 관리 내지 거버넌스 정책을 만드는 것은 크게 효과적인 결과를 가져오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이론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는 Provan과 Kenis가 제시한 이론모형이 어느 정도 설명력을 보여주고 있지만, 네트워크 거버넌스 이론모형이 우리나라에 그대로 적용되기는 어렵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부산 사회서비스기관들의 네트워크 구조적 특성과 서비스품질과의 관계

        이혜정(Lee, Hae-ju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42 No.-

        본 연구는 부산 사회서비스기관의 네트워크 구조적 특성이 서비스 품질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사회서비스 115개 기관 중 79개 기관에 대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UCINET, NETMINER를 사용하였고 각 기관들의 네트워크 구조적 특성과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산 사회서비스기관들은 개별적으로 평균 46개의 연결(link) 수를 가지고 있으며, 네트워크 구조적 특성에서는 사회복지법인들이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네트워크 구조적 특성과 서비스품질과의 관계는 연결중심성과 근접중심성이 서비스 품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변수 중 기관장 요인이 서비스 품질에서 유의미한 수준에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서비스기관들의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사업의 성과,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에 대하여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network structure of social service agencies in Busan.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characteristics and service quality. The survey questionnaires from 79 social service agencies among 115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 2011 to March, 1 2012. The result shows/reveals that each agency has 46 links in average. Social welfare foundations ar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network.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characteristics and service quality, the higher the degree of degree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the higher the service quality of agencies. Also, this study finds that the factors regarding the directors of the agencies are associated with service quality. Finally, we discuss the methods of developing the network of social service agencies in order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 KCI등재후보

        Blob 알고리즘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시각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원호(Lee, Won Ho),박재완(Park, Jae Wa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4

        오늘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인간관계의 형성은 프로파일 데이터의 공유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다양하고 수많은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복잡한 관계가 형성되는 유기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현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시각화 방법은 교점과 선, 색으로 이루어진 정형적인 형태를 가지는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의 유기적 특성에 맞는 새로운 시각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프로파일 데이터를 중심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발전 방향을 분석하여 오늘날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특성을 도출한다. 둘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시각화 방법들의 사례 조사를 통해 기존의 시각화 방법을 정리하고, 오늘날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각화 경향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오늘날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특성과 시각화 경향에 맞는 Blob 알고리즘을 적용한 시각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안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효과적인 탐색이 가능한 직관적이고 감성적인 시각화 시스템을 연구의 최종 결과물로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각화 시스템은 Blob 알고리즘으로 표현되는 유기적 시각화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 탐색, 분석, 감성적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증진시킴으로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oday, the formation of a human network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s has organic characteristics of building complex relationships that happen in diverse interactions between users based on user profile data. However, the current visual represent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s has a typical form which consists of nodes, lines, and colors. Thu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the new way to visualize the data of social network services that is suitable for organic characteristics. For this, first, this research extracts the features of today’s social network services through analysing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cusing user profile data. Second, we propose the trend of visualizing today’s social network services through analyzing methods to visualize social network services.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develops an animated, amorphous diagram-based visualization system using a blob algorithm, which supports the visual search and analysis, providing potential for fun, engaged social activities to users. As a result, we expect that this visualization system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ocial network services.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VR 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전지영 ( Jeon Ji-yeong ),최병일 ( Choi Byoung-il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1 No.-

        오늘날 전통적 미디어에서 뉴미디어에 이르기까지 미디어는 계속 발전해왔다. 전통적 미디어에서는 정보가 텍스트로만 공유되었지만, 점차 사진, 동영상으로 미디어가 확장되면서 디지털미디어 플랫폼과 콘텐츠 형태는 변화해왔다. 그리고 현재 기술의 발전으로 가상현실이라는 감각이 확장된 미디어가 등장했다. 오감을 활용하는 가상현실이 등장하면서 사람들은 시공간에 제약받지 않고 원하는 것을 더욱 실감나게 경험할 수 있는 기술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미디어의 발전은 인간과 기술의 상호작용 콘텐츠를 획기적으로 증가시켰다.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감각이 확장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등장하였다. 또한,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미디어 콘텐츠는 사용자와 미디어의 상호작용 방식을 다양하게 증가시켰으며 감각을 확장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VR 기술을 적용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제안함으로써 미래에 대한 전망을 현재 미디어 발전 동향에 따른 기술로 구현 가능한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VR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콘텐츠 형태에 따른 사용자의 정보인지과정과 과거와 현재 미디어의 대표적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인 싸이월드의 미니룸과 알트스페이스 VR 두 서비스를 비교 및 분석했다. 이를 통해 VR 기술이 적용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전망 및 예측한다. 가트너가 제시한 2017년 10대 전략 기술 트렌드를 바탕으로 기존 미디어에 VR 기술을 적용하여 기존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콘텐츠 공감 및 감각 기관의 한계점을 보완했다. 이에 따라 미디어의 발전으로 VR 기술의 특성인 몰입감과 실재감, 감각의 확장을 통해 상호작용성을 높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Today, media has continued to evolve, from traditional media to new media. In traditional media, information was shared only with text, but digital media platforms and content forms have changed as media have gradually expanded to images and video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the extended media called virtual reality has emerged. Due to the emergence of a virtual reality that utilizes the five senses, people are able to use technologies that they can provide more realistic experiences without being constrained by time and space. The development of media has dramatically increased the content of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technology. Based on these technologies, social network services with an expanded sense have emerged. In addition, Recent developments in technology have resulted in various ways of interacting with users and media, and communication with extended senses is becoming possible. This study suggests a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VR technology to propose a service that can realize the prospect for the future with the technology according to current media development trends. In order to apply VR technology to social network services, the user's information perception based on content type and Cyworld's mini-room and AltspaceVR, which are representative social network services of past and present media, a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is, the aim is to forecast VR technology applied social network services. Based on Gartner's Top 10 Strategic Technology Trends for 2017, VR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existing media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content sharing and sense agency limitations of existing social network services. As a result, it suggests that a social network service with increased interactio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VR technology such as immersion, reality, and the expansion of the senses as media is develop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