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德川書院을 이끈 江右의 家門들 - 창건주체와 운영자를 중심으로 -

        이상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5 No.-

        Deokcheon-seowon Confucian Academy is a Seowon which holds a memorial service for Nammyong Jo Sik(1501-1572). Deoksan Confucian Academy was firstly established as the literator Yeongmuseong Ha-eungdo has provided his battlefield as Seowon site. The Seowon was established by the respect towards teachers of several literators who were influenced by Nammyong and the social atmosphere acknowledging this with the active helps of Gyeongsang-do governor and Jinju minister. However, in order to ensure that the educational activities are carried out continuously, not only the establishment of the Seowon,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academic mind pursued by the sacrificial person, and furthermore, faithfully carry out the role of edification socially when it is operated properly by Wonjang and Wonim who gain absolute confidence within the school. Therefore, the question of who led the operation of this Seow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questions that cannot be overlooked in understanding the Seowon. The establishment of Deokcheon-seowon Confucian Academy was participated by large number of Nammyong literators as it was established in Mannyun Ganghakji of Nammyong. Therefore, those who were in charge of operation of Seowon in the early years could be 'pan-Nammyong school'. However, the situation has rapidly changed as Northern faction force led by Nammyong school was politically defeated due to In-jo coup. After In-jo coup, the families which led Nammyong school in Dan-seong region were An-dong Gwon clan, Seong-ju Lee clan, Hap-cheon Lee clan, Jin-ju Ryu clan and Sang-san Kim clan. In Jin-ju region, there were Sajikgong Branch and Siranggong Branch of the Jinyang Ha clan residing in An-gye‧Myeong-seok and Su-kok ‧Dan-mok, Tae-an Park clan in Na-dong, and Ha-man Cho clan in So-nam. Of course, even though there were several families besides these families, when considering the number of elected by Wonim, it is within bounds to say that these families has led the operation of Deokcheon-seowon Confucian Academy. These are mostly the descendents of the figure who got involved in foundation or early reconstruction of Deokcheon-seowon Confucian Academy, or descendents of figures who were listed on early Wonsaengnok. After about 30 years of InJo coup starting from Nammyong jip damage incident, Nammyong school was divided into Western faction and Southern faction, and Southern faction has led the operation of Seowon. Therefore, the family all belongs to Southern faction. Accordingly, it is worthy to note that the origin of Sawu was after Southern faction system and the Seowon operation was led by the people of Gal-am‧Mil-am‧Dae-san‧Jeong-jae‧Han-ju and Seong-ho‧Sun-am‧Bun-am‧Sungj-ae. 덕천서원은 南冥 曺植(1501-1572)을 향사하는 서원이다. 그 문인寧無成 河應圖가 자신의 田莊을 서원 터로 제공하여서 처음 德山書院 으로 창건을 보게 되었다. 이 서원의 창설은 남명의 감화를 받은 여러 문인들의 스승을 존모하는 마음과 이를 인정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경상도관찰사와 진주 목사가 적극적으로 도와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러나 서원은 설립되는 것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강학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파 내에서 절대적인 신임을얻고 있는 원장과 원임이 있어서 제대로 운영하여야만, 제향된 인물이추구했던 학문 정신을 체득할 수 있고, 나아가 사회적으로 교화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누가 이 서원의 운영을주도하였던가 하는 문제는 서원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간과할 수 없는매우 중요한 문제의 하나다. 덕천서원은 남명의 만년 강학지에 설립된 것이어서 남명 문인들이대거 참여하여 설립이 이루어졌고, 따라서 초기에 서원 운영을 담당했던 이들은 ‘범남명학파적’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상황은 남명학파가 주도하던 북인 세력이 인조반정으로 인하여 정치적으로 패퇴함으로써 급변할 수밖에 없었다. 인조반정 이후 남명학파를 주도하던 가문으로 단성 지역에는 안동권씨, 성주이씨, 합천이씨, 진주류씨, 상산김씨 등이 있었고, 진주 지역으로는 안계‧명석 및 수곡‧단목에 거주하는 진양하씨 사직공파와 시랑공파, 나동의 태안박씨, 소남의 함안조씨 등이 있었다. 물론 이들 가문이외에도 여러 십여 가문이 있지만 원임에 선임된 숫자의 측면에서보면 이들 가문이 덕천서원의 운영을 주도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것이다. 이들은 거의 대부분 덕천서원의 창건 및 초기 중건에 관여하였던인물의 후손들이거나, 초기 원생록에 이름이 올라 있던 인물들의 후손들이다. 남명학파는 인조반정 이후 30여 년이 지난 즈음 남명집 훼판 사건을기점으로 해서 서인화와 남인화가 이루어지는데 서원의 운영은 남인이주도하였다. 따라서 이들 가문은 모두 남인 가문에 속한다. 그러므로사우의 연원 또한 남인 계통을 따라서, 갈암‧밀암‧대산‧정재‧한주 등과성호‧순암‧번암‧성재 등을 종유한 인물들이 서원 운영을 주도하였다고이를 만하다.

      • 조선 후기 충주 사족의 서원활동 : 누암서원을 중심으로

        안다미 ( Ahn Da Mi ) 충주문화원 부설 충주학연구소 2023 충주학연구 Vol.2 No.0

        충주는 지리적으로 서울, 경기도와 가까운 지역이었다. 이러한 지리적인 이점 덕분에 충주에는 서울 출신의 사족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었다. 특히, 이들은 정치적으로 혼란한 상황 속에서 낙향의 근거지로 충주를 선택하였다. 17세기 이후에 충주로 이주해 온 사족들은 정치적인 변화에 따라서 충주와 한양, 경기도 등지를 자주 오고 갔다. 그 결과, 충주는 17세기 이후까지도 향리 세력이 강성하여, 다스리기 어려운 고을 중에 하나로 인식되었다. 숙종 20년(1694) 갑술환국(甲戌換局)을 계기로 충청도 지역에서는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서원이 급격하게 늘어났다. 송시열의 문인들은 스승을 선양하는 서원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충청도 내에서 여론의 주도권을 장악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런 노력의 중심에는 충주 지역 출신인 권상하(權尙夏, 1641~1721)와 정호(鄭澔, 1648~1736)가 있었다. 권상하는 가장 먼저 화양서원(華陽書院)을 설치하였으며, 정호는 자신이 거주하던 충주 누암리에 누암서원(樓巖書院)을 설치하였다. 숙종 20년에 정호를 중심으로 충주 사족들은 송시열과 민정중(閔鼎重, 1628~1692)을 배향하는 서원을 설치하는 일을 논의하였다. 송시열은 충주 목사를 역임한 이력이 있었고, 민정중은 충주 출신 사족이었다. 두 사람은 모두 충주의 풍속 교화에 앞장섰던 이력이 있었다. 이렇게 정호를 비롯한 충주 사족들이 당시에 송시열 서원을 설치하려던 이유는 정치적인 목적도 있었지만, 호서 지역 내에서 연산의 돈암서원(遯巖書院)을 중심으로 한 김장생 문인들의 영향력이 강화되는 것에 대한 견제 의식이 숨어 있었다. 한편, 충주 사족의 서원 설치논의는 국가의 정책적인 이해에도 부합하였다. 국가는 충주가 상대적으로 향리 세력이 강성한 곳이었으며, 충주 사족이 잦은 변란에 연루되었기 때문에 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새로운 공간으로 서원의 필요성에 동의하고 있었다. 이처럼 숙종 21년(1695)에 완공된 누암서원은 정호를 비롯한 충주 사족의 이해와 국가의 이해가 합치된 결과물이었다. 이렇게 서원을 중심으로 학문 사상을 강화하려는 시도는 18세기 이후에 더욱 분명하게 나타난다. 가령, 정조 19년에 민중혁이 대표로 하여 정호를 누암서원에 추가 배향하는 문제를 조정에 보고하였다. 정호의 추가 배향은 당시에 권상하문인들이 황강서원(黃江書院)과 한원진(韓元震, 1682~1751)을 중심으로 학문사상을 강화해 가는 것에 대한 충주 사족들의 일종에 경계 의식이 반영되었다. 충주 사족은 ‘주자-이이-김장생-송시열-권상하’로 이어지는 도학 계보 위에 ‘주자-이이-김장생-민정중-정호’를 배치하여, 충주만의 도학 계보를 정립하려고 하였다. 여기에 정조 19년에 정호의 추가 배향이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사학(邪學)이 유행하던 당시에 국가의 정책 이데올로기인 주자학(朱子學)의 보급을 위해 전초기지가 필요했던 조정의 입장도 반영되었다. 즉, 정호의 추가 배향은 충주 사족과 국가 정책의 이해가 합치된 결과였던 셈이다. 이처럼 누암서원은 지방 사족으로서 정체성을 확보하려던 충주 사족의 이해와 한양과 밀접한 지역인 충주에 주자학적 이데올로기 보급을 통해 향촌 풍속 교화를 완성하고 충주 사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던 국가의 정책적인 이해가 합치되어 설치되었으며, 서원을 중심으로 한 일련의 활동들 역시 국가 정책과 사족들의 이해가 합치되는 과정에서 진행되었다. Chungju city was geographically close to Seoul and Gyeonggi Province. Because of this geographical advantage, many Aristocratic families from Seoul lived in Chungju. In particular, they chose Chungju as their base in times of political turmoil. The Sajoks (the well-bred families), who moved to Chungju after the 17th century, frequently moved back and forth between Chungju, Hanyang, and Gyeonggi-do depending on political changes. As a result, Chungju was recognized as one of the more difficult provinces to govern, with strong Hyangri forces even after the 17th century. With the advent of Gabsul Hwanguk in the 20th year of King Sookjong’s reign, the number of Seowon of Song Si-yeol (宋時烈, 1607-1689) increased dramatically in the Chungcheong province. The disciples of Song Si-yeol set up a Seowon in honor of their master, and on this basis they sought to seize control of public opinion in Chungcheong Province. At the center of these efforts, there were Gwon Sang-ha (權尙夏, 1641-1721) and Jung Ho (鄭澔, 1648-1736), both from the Chungju region. Gwon Sang-ha established Huayang Seowon first, and Jung Ho established the Nuam Seowon in Nuamli, Chungju, where he lived. In the 20th year of the Suzong dynasty, the Sajoks in Chungju region, led by Jung Ho, discussed the establishment of a Seowon to honor Song Si-yeol and Min Jungjoong (閔鼎重, 1628-1692). Min Jungjoong, Song Si-yeol had been a pastor in Chungju, and Min Jungjoong was a member of the Sajoks from Chungju. Both had a history of leading the way in the cultural and moral development of Chungju. As such, the local aristocrats of Chungju, including Jung Ho, had various reasons for establishing the Seowon for Song Siyeol at that time. While there were political motivations, they also harbored a sense of checks and balances against the growing influence of scholars and literati centered around the Donam Seowan in Yeonsan in the Honam region. On the other hand, the discussion of establishing a Seowon by the Sajoks in Chungju also served the policy interests of the state. The state agreed that Chungju was a relatively strong region of the Hyangri forces, and the Sajoks in Chungju were involved in frequent disturbances, thus, they saw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eowon as a more efficient means of managing them. As such, the Nuam Seowon, completed in the 21st year of King Sookjong’s reign (1695), was the result of the convergence of interests of the Sajoks in Chungju, including Jung Ho, as well as the interests of the state. This attempt to reinforce academic thought around the Seowon, becomes more evident after the 18th century. For instance, in the 19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there was a report to the court about the issue of Min Joong Hyeok, who represented the people, advocating for the addition of Jung Ho to the Nuam Seowon. The addition of Jung Ho to the Seowon was reflective of the Chungju Sajoks’sense of caution at the time, in response to the strengthening of academic and ideological influence among scholars led by Kwon Sang-ha at the Hwanggang Seowan and Han Won-jin(韓元震, 1682~1751). Gwon Sang-ha Jung Ho Min Jungjoong Kim Jangsang Kim Jangsang. The Sajoks in Chungju aimed to establish their own scholarly lineage within the broader Confucian academic tradition that followed the lineage of ‘Zhu Xi -Yi Yi- Kim Jangsang- Min Jungjoong- Jung Ho by placing ‘Zhu Xi -Yi Yi- Kim Jangsang- Song Si-yeol- Gwon Sang-ha’. Moreover, the success of adding of Jung Ho to the Seowan in the 1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Jeongjo, also reflected the position of the court, who needed outposts for the dissemination of the state’s policy ideology, orthodox Neo- Confucianism, at a time when Confucianism was in vogue. In other words, adding Jung Ho was the result of a convergence of interests between the Sajoks in Chungju and state policy. As such, the Nuam Seowon was established as a result of the convergence of the interests of the Sajoks in Chungju, which sought to secure their identity as regional elites, and the state’s policy interests, which sought to complete the edification of local customs and manage the Sajoks in Chungju efficiently. This was done through the dissemination of orthodox Neo-Confucianism ideology in Chungju, a region close to Hanyang, and a series of activities centered on the Seowon were also conducted in the process of converging state policy and the interests of the Sajoks.

      • KCI등재

        龍巖書院 운영주체들의 활동과 그 지향에 대한 일고찰 -17세기 초반의 德川書院ㆍ新山書院과 비교하여-

        구진성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3 남명학연구 Vol.39 No.-

        This article focused on Yongam-Seowon[龍巖書院]’ operating leaders action and their direction. Especially, it is mainly discussed what they were kept of scholarship, immediately after Injo-Coup[仁祖反正]. It was memorial that about Nammyung Jo,Sik[南冥 曺植]’ scholarship, in Yongam-Seowon. In 1609, Yongam-Seowon was authorized by government. In the same year, Deokcheon-Seowon[德川書院], Sinsan-Seowon[新山書院] were authorized, too. These three Seowon were memorial place about Nammyung Jo,Sik. In operation policy discussions, their academic features appear. In Yongam-Seowon, Jeong,In-hong[鄭仁弘]’ impact is huge, from the beginning. Jeong,In-hong is excellent student in Jo,Sik school, and in academic attitude, he is most looked like his teacher. Jeong,In-hong, Lee,Heul[李屹], Jeong,On[鄭蘊], Im,Jin-bu[林眞怤], Pak,In[朴絪] were responsible for operating Yongam-Seowon. They kept up about Jo,Sik memorial activity. Around 1635, Deokcheon-Seowon and Sinsan-Seowon operating leaders were discussed who is addendum memorial scholar in their Seo-won. Yongam-Seowon leaders insisted that the most admirable scholar is there in. Because it is one way to respect Jo,Sik. In this discussion, we may know that their three Seowon’ insistenc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 글에서는 陜川 三嘉에 있었던 龍巖書院 운영주체들의 성격과 활동을 고찰하였는데, 특히 인조반정 이후 그들이 보여주었던 학문적 지향에 관해 주로 논의하였다. 또한 1609년에 공히 사액되었던 德川書院ㆍ新山書院 등 타 남명 제향 서원의 경우와 비교해 봄으로써, 용암서원 운영주체들의 특징을 좀더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용암서원은 임진왜란 때 소실된 뒤, 1601년경 재건되었는데, 이때 관여한 인물 다수가 鄭仁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용암서원의 원장ㆍ원임을 맡은 인물로는 정인홍, 文景虎, 李屹, 鄭蘊, 林眞怤, 朴絪 등이 있는데, 정온ㆍ임진부ㆍ박인은 인조반정 이후에도 용암서원 내에서 남명 선양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였고, 덕천ㆍ신산서원의 추가 배양 논의에서도 남명 위상의 제고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임진부는 용암서원에서의 강학을 통해 남명 정신을 강조했고, 박인은 남명 관련 기록물의 정리ㆍ편집을 맡았는데, 이 일들을 정온의 자문을 받아 진행하였다. 정온은 趙任道에게 신산서원 원장을 맡길 만큼 용암서원ㆍ신산서원 내에서 영향력이 있었고, 조임도는 용암서원 측의 입장을 참고하며 신산서원 내의 일을 처리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덕천서원에서는 1635년 무렵 覺齋 河沆을 배향하려는 논의가 있었다. 여기서 사액서원의 지위를 포기하면서까지 배향을 강행하려는 의견도 있었지만, 정온 등 용암서원 운영주체 측에서는 사액의 지위를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함과 동시에 하항 외에 鄭逑 등 남명 高弟를 함께 배향해야 타당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인조반정 이후 추락해가는 남명의 위상을 제고할 방법을 모색한 것인데, 정구에게서 남명의 영향을 지우려는 집단의 반대로 결국 실현되지 못한 것으로 보이지만 정인홍이 생전에 추구했던 남명 선양 정신의 잔존이라 할만하다. 신산서원에서 金宇顒만을 제향하려는 움직임에 대해서도 이들 용암서원 운영주체들은 정구도 함께 배향할 것을 주장하였다. 인조반정 이후 덕천서원ㆍ신산서원에서는 서원 내 서로 다른 성향을 가진 집단끼리 논의하고 충돌함으로써, 반정 이후 바뀐 환경에서 적응할 방법을 모색해 나갔다면, 용암서원은 변신이 불가능할 정도로 정인홍 계열의 영향력이 컸던 곳으로 판단되지만, 이러한 점 때문에 인조반정 이후에도 한동안은 정인홍의 정신을 계승하여 남명학의 학습과 교육, 정리와 출판 사업 등이 추진될 수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퇴계 문인의 서원 보급 활동

        채광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9 민족문화논총 Vol.73 No.-

        This article is the study on how early Seowons dispersed and expanded through the activities of those Toegye writers. From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to King Gwanghae-gun, the Toegye writers directly and indirectly involved in Seowon with the participation of a total of 56 persons in 43 places. Among them, Lee Jeong, Hwang Jun-ryang, Park Seung-im and Jeong Goo who had significant communication with Toegye is taken as the subject of review in this article. Lee Jeong undertook for establishment of Seoak Seowon in Gyeongju and Okcheon Seowon in Suncheon to process even for the finite parts in stipulation with his teacher. The former grew into Seowon that represented Bunam of Gyeongju and the later became a turning point for the growth of Sarim as well as establishment of Neo-Confucian study order in the region. Hwang Jun-ryang worked as a local government officer and engaged in important roles in early Seowon establishment activities involving reconstruction of Sinryeong Hyanggyo (local school), establishment of Baekhak Seodang, repairing of Danyang Hyanggyo, leading major repairing of Youngbong Seowon of Seongju and establishment of Gonggok Seodang and Nokbong Jeongsa. The fact that he was mentioned the most with the outcome on education projects at the place where Toegye established may be attributable to such a foregoing situation. Park Seung-im was most passionate writer for the Seowon dispersion movement that he was in the same context with Toegye's view toward Seowon with respect to the perception on needs of Park Seung-im, such as, the interests on Sosu Seowon and Isan Seowon to manage the enshrinement of Toegye, establishment of Gicheon Seowon in Yeoju, provision of foundation to establish Jeongsan Seowon in Yecheon. After passing of Toegye, Jeong Goo who was the most enthusiastic to the establishment of Seowon worked hard for rebuilding and founding Seongju Cheongok, Hyeonpung Dodong, Eomseong Wungok, and Andong Imcheon Seowon. As such, the writers lead the establishment of Seowon with Toegye actively supporting them generally showed in early time of Seowon expansion. Seowons enshrined and devoted for Toegye who had great contribution to the advancement and expansion of Seowon in Korea were flourished to be 31 places nationwide. The core part of Toegye enshrining Seowon would be the most in the type of enshrining together with those writers. Such Seowon dispersion movement of Toegye has been handed down by his writers in a way of great contribution for Seowon to establish as one of the education and enshrining institution for the Joseon society. 본고는 초기 서원이 어떤 방식으로 보급・확산되었는지 퇴계 문인들의 활동을 통해 다룬 연구이다. 명종 대부터 광해군 대 까지 퇴계 문인들이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서원은 43개소에 총 56명이 참여하였다. 이중 퇴계와 소통이 많았던 이정, 황준량, 박승임, 그리고 정구를 본고에서 검토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정은 경주 서악서원과 순천 옥천서원 설립을 추진하며 스승과 세밀한 부분까지 협의하면서 진행하였다. 전자는 경주 府南을 대표하는 서원으로 성장했고, 후자는 지역의 성리학적 질서 확립은 물론 사림 성장에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황준량은 지방관에 나아가 신령 향교 중창・白鶴書堂 설립, 단양 향교 수리, 성주 迎鳳書院 중수 주도 및 孔谷書堂・鹿峰精舍 설립 등 초기 서원설립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퇴계가 지은 그의 행장에서 교육 사업에 대한 성과를 가장 많이 거론한 것도 이 같은 사정에 기인한다. 박승임은 서원 보급 운동에 가장 열성적인 문인으로 소수서원에 대한 관심을 비롯해 이산서원에 퇴계 제향 주관, 여주 沂川書院 설립, 예천 鼎山書院 창건 기반 제공 등 박승임의 서원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퇴계의 서원관과 맥이 닿아 있었다. 퇴계 사후 서원 설립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정구는 성주 천곡, 현풍 도동, 음성 운곡, 안동 임천서원 중건 및 창건에 힘썼다. 이처럼 문인들이 서원 설립을 주도하고, 퇴계가 적극 지원해주는 모습은 서원 확산 초기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한국 서원 확산과 발전에 크게 기여한 퇴계를 제향 및 추향된 서원은 전국에 31개소를 헤아린다. 퇴계 제향 서원의 핵심이 바로 문인들과 합향 된 형태가 가장 많았다. 이와 같이 퇴계의 서원 보급운동은 그의 문인들에 의해 계승되어 서원이 조선 사회에 하나의 교육・제향 기관으로 자리 잡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 KCI등재후보

        16-17세기 초반 퇴계 문인의 서원 건립 활동

        권시용 ( Kwon Shi-yong ) 한국서원학회 2019 한국서원학보 Vol.8 No.-

        이 논문은 퇴계 이황과 그 문인들이 조선시대 서원의 확산에 기여한 점을 살펴본 것이다. 퇴계 이황은 지방에서 성장하고 있는 의욕적인 신진사림들에게 참다운 성리학 공부를 시켜 성리학적 향촌질서를 구축하고, 이를 발판으로 다가올 사림의 시대를 준비하려 했다. 그리고 이를 위한 대안으로서 서원에 주목했으며 그의 문인들과 더불어 서원 보급에 노력하였다. 퇴계문인들은 출세주의ㆍ공리주의에 매몰된 관학에 대한 비판 위에서 참다운 성리학 공부를 위한 공간으로서 서원의 가치를 인정하고 스승인 퇴계의 서원 보급에 동참하였다.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모두 56명의 문인들이 43개소의 서원 건립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였다. 특히 이들이 주로 활동하였던 임진왜란 이전까지만 보면 전국적으로 건립된 서원의 절반 이상에 이들이 관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지방관으로 나간 문인들의 서원 건립이 두드러진다. 모두 17명의 문인들이 지방관으로서 22개 소의 서원 건립에 관여하였다. 초기 서원건립에 있어 지방관의 역할이 상당하였음을 고려하면 각 지역으로 부임해 나간 이들의 서원 건립 노력은 조선 서원의 확대ㆍ보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이 분명하다. 특히 경상도 지역에는 광해군대까지 건립된 서원의 55.2%에 퇴계 문인들이 관여하였으며, 임란이전까지는 70%의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경상도 지역의 서원 건립에 있어 퇴계문인들의 역할이 절대적이었음을 나타낸다. 그 밖의 지역에서는 경상도에 비해 퇴계문인들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대부분 임란 이전에 관계한 사례였다. 이처럼 퇴계와 그의 문인들은 조선에서 서원제도가 도입되던 시기에 그 보급과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Seowon(書院) establishment activities of the Toegye's students(退溪門人) involved in distributing Seowon based on the Toegye's theory of Seowon. Toegye intended to prepare for the coming era of Sarim(士林) by teaching Sung Confucianism to new powers in Sarim and establishing Sung Confucian(性理學) order in the local areas. He considered Seowon system as a distinctive means for his intention and strove to distribute Seowon along with his fellow scholars. This study indicates that 56 students of Toegye's participated in Seowon establishment in 43 places. Thi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half of the total number founded nationwide before the Imjin War(壬辰倭亂). In addition, it was proved that the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eowon establishment in Kyeongsang area(慶尙道). Toegye's stdents made efforts to found Seowon not just at the very places where they lived but where they served as local officials and the latter, especially, came to remarkable results showing that 17 students as local officials founded Seowon in 22 places. They initiated the discussion about founding Seowon, encouraged local people to join the establishment activity , and provided them with administrative, financial support. They kept on supporting after completing Seowon through taking part in academic trainings(講學) and engaging in running Seowon. These facts tell us that they did play an essential role in introducing and spreading Seowon in the early Chosun Dynasty. In conclusion, Seowon establishment activities of the Toegye's students made its way to succeeding and developing the Toegye's theory of Seowon which was aimed at the academic training and moral cultivation of Sarim.

      • KCI등재

        19세기 서원철폐 이후, 전북의 서원・사우 건립 현황과 그 양상

        이선아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3 민족문화논총 Vol.85 No.-

        Daewongun, who had seized power upon the accession of King Gojong, ordered the destruction of Seowon in 1868 and promoted a policy to destroy more than 600 Seowon, leaving only 47. However, many of the destroyed Seowon and Sawoo had been rebuilt after Japanese colonial era and liberation. 165 of Seowon and Sawoo are estimated to be built in Jeonbuk, of which 96 were rebuilt except the unbroken Museongseowon. Between 1868 and 1910, 19 places were rebuilt and 18 places were rebuil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liberation, 59 places were restored, and 61.4% of the rebuilt Seowon and Sawoo were built after liberation. In Short, the reconstruction of Seowon and Sawoo in the mid-20th century, more than 100 years after the destruction, is thought to have great implications for grasping the status and meaning of Seowon and Sawoo in the region.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the reconstruction and establishment of Seowon in Namwon, Imsil, and Sunchang. Namwon is the place where Seowons were built the most in Jeonbuk before the decree was issued. Imsil, which shared the border with Namwon, was the secon d largest n umber. There are 53 of 165 Seowon s built in Namwon and Imsil, accounting for 32.1%. However, the rate of reopening Seowon here is the lowest. In particular, if Sun chan g, which has n o rebuilt Seowon , is in cluded, it is only 16.6%, which is below the average of ‘Im-Sun-nam’(Imsil, Sunchang, Namwon). This rate of reconstruction is remarkable when compared to regions exceeding 75% such as Jangsu, Jinan, Iksan, Gimje, Gunsan, and Gochang. By paying attention to these regional devi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locality of the 20th century will be grasped by studying the group which led to rebuild Seowon. After Japanese colonial era and liberation, newly built Seowons were also built in Gochang, Jeongeup, Jinan, Gimje, and Iksan, where reconstruction rates were high, while Namwon and Imsil, which had low reconstruction rates, were also poorly established. If research on these trends and deviations is continued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history, it will be possible to reveal the times reflected in Seowon and Sawoo, which were reconstructed or newly established in the 20th century, and to present the current role of Seowon in the context of continuity. 고종의 즉위로 정권을 장악한 대원군은 1868년에 서원을 철폐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전국 47개의 서원과 사우를 남기고 600여 개의 서원을 철폐하는정책을 밀어붙였다. 그런데 철폐된 서원의 상당수가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에 복설되었다. 전북에는 165개소의 서원과 사우가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무성서원을 제외한 서원과 사우가 철폐되었고 그 가운데 96개가 복설되었다. 1868년~1910년 사이에 19개소가 복설되었고, 일제강점기에 18개소가 복설되었다. 해방 이후에는 59개소가 복설되었다. 해방 이후에 철폐된 서원의61.4%가 복설되었다. 서원이 철폐된 지 100여 년이 지난 20세기 중반에 상당수의 서원이 복설되었다는 점은 지역에서 서원이 차지하는 위상과 의미를 파악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남원과 임실, 순창의 서원 복설과 신설 상황을 주의깊게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남원은 철폐령이 내려지기 이전에 전북에서 서원과 사우가 가장 많이 건립된 곳이다. 남원과 한 권역이라고 할 수 있는 임실은 두 번째로 많은 서원과 사우가 건립되었다. 남원과 임실에 건립된 서원과 사우는 165개 중 53개로 32.1%에 이른다. 그런데 이곳의 서원 복설 비율은 가장낮다. 특히 서원을 한 곳도 복설하지 않은 순창까지 포함하면 ‘임순남[임실・순창・남원]’의 평균을 밑도는 16.6% 밖에 되지 않는다. 이러한 복설 비율은 장수와 진안, 익산, 김제 군산, 고창 등 75%를 상회하는 지역과 비교할 때 더욱 두드러진다. 이와 같은 지역적 편차에 주목하여 서원 복설을 주도한 집단의 성격 등에 대한 구체적, 실증적 연구를 통해 20세기 지역의 정체성을 파악할 수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울러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에 신설된 서원과 사우도 지역사적 맥락에서 접근하여 그 시대적 의미를 읽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서원 철폐이후 전북에 신설된 원우는 96개소이다. 서원의 신설도 복설과 비슷한 추세로, 복설 비율이 높은 고창, 정읍, 진안, 김제, 익산에서 많이 신설되었고, 서원복설 비율이 낮은 남원과 임실에서는 신설 비율도 낮다. 이러한 추세와 편차를 단서로 20세기에 건립된 서원과 사우에 투영된 시대상을 밝히고 서원과 사우의 현재적 역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경기・강원지역 서원・사우의 현황과 특징* -서원훼철령 이후를 중심으로-

        이경동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3 민족문화논총 Vol.85 No.-

        본 연구는 1871년(고종 8) 서원훼철령 이후 경기・강원지역 서원・사우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지역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경기에는 69개소, 강원도에는 39개소의 서원・사우가 건립되었다. 해당 서원・사우들은 1871년 15개소를 제외하고 모두 훼철되었다. 15개소의 서원・사우들은 일제시기에도 존속하여 향사를 비롯한 다양한활동이 확인되지만 대체로 1950년 한국전쟁 과정에서 소실되면서 전체 혹은사우 등 건물 일부만이 복원되어 있다. 훼철된 서원・사우 중에서는 현재까지 18개소가 복설되었다. 오산의 궐리사는 가장 이른 시기인 1900년에 복설되었으며, 21세기초까지 지속적인 복설이확인된다. 해방 이후부터 복설이 본격화되었으며, 문중과 서원이 위치한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복설이 추진되었다. 일부 서원・사우의 경우 신설되거나 다른 지역에 존재했던 서원・사우가 경기・강원지역으로 이건되기도 하였다. 대표적으로 금천의 ⿅洞書院은 전통유교가 개신유교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건립・운영되었으며, 고양의 ⿓江書院과 오산의 文憲書院은 본래 북한 지역에 존재했으나 문중의 주도로 향사 등 서원의전통을 계승하기 위해 이건되었다. 20세기 이후 경기・강원지역 서원들은 향사를 중심으로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이외에 서원지 간행 등의 출판활동, 문화재청 및 정부 재원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문화유산 활용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문화유산 활용사업의 경우향사와 같은 서원 구성원만의 행사가 아닌 조선시대부터 전승된 서원의 전통을 계승하고 이를 일반 대중에서 확산시킨다는 점에서 주목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status of seowon (included in shrine) that existed in Gyeonggi-do and Gangwon-do after the nationwide seowon demoliton by the king in 1871.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69 seowon were built in Gyeonggi-do and 39 in Gangwon-do. All but 15 seowon were abolished in 1871. The 15 original seowon continued to exi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various activities, including ritual rites, can be confirmed. However, they were mostly destroy ed during the Korean War in 1950, and only some of them were restored. Among the abolished seowon, 18 were restored. Continuous restoration took place from the 20th to the 21st century. Looking at the overall trend, restoration began in earnest after 1945, and restoration was promoted centered on the descendants of the deceased and the local government where the seowon was located. The main purpose of Seowon's restoration is regular ritual rites in spring and fall. Some seowon were newly established, or those that existed in other regions were rebuilt in Gyeonggi-do and Gangwon-do. Among these, Nokdong-Seowon (⿅洞書院) was built for educational purposes in the process of Confucianism transforming into a modern religion. Yonggang- seowon (⿓江書院) and Moonhun-seowon (文憲書院) originally existed in North Korea, but was restored in Gyeonggi-do by the descendants of the deceased due to difficulties in access due to division of the country. Currently, seowon in the Gyeonggi and Gangwon regions are continuing their activities centered on ritual rites. In addition, seowon members are conducting publish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seowon and promotion programs operated based on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government resourc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romotion programs,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he fact that they inherit the tradition of seowon and spread it among the general public.

      • KCI등재

        龍巖書院(용암서원) 운영주체들의 활동과 그 지향에 대한 일고찰 -17세기 초반의 德川書院(덕천서원)ㆍ新山書院(신산서원)과 비교하여-

        ( Jin Seong Gu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3 남명학연구 Vol.39 No.-

        이 글에서는 陜川 三嘉에 있었던 龍巖書院 운영주체들의 성격과 활동을 고찰하였는데, 특히 인조반정 이후 그들이 보여주었던 학문적 지향에 관해 주로 논의하였다. 또한 1609년에 공히 사액되었던 德川書院ㆍ新山書院 등 타 남명 제향 서원의 경우와 비교해 봄으로써, 용암서원 운영주체들의 특징을 좀더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용암서원은 임진왜란 때 소실된 뒤, 1601년경 재건되었는데, 이때 관여한 인물 다수가 鄭仁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용암서원의 원장ㆍ원임을 맡은 인물로는 정인홍, 文景虎, 李屹, 鄭蘊, 林眞付, 朴絪 등이 있는데, 정온ㆍ임진부ㆍ박인은 인조반정 이후에도 용암서원 내에서 남명 선양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였고, 덕천ㆍ신산서원의 추가 배양 논의에서도 남명 위상의 제고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임진부는 용암서원에서의 강학을 통해 남명 정신을 강조했고, 박인은 남명 관련 기록물의 정리ㆍ편집을 맡았는데, 이 일들을 정온의 자문을 받아 진행하였다. 정온은 趙任道에게 신산서원 원장을 맡길 만큼 용암서원ㆍ신산서원 내에서 영향력이 있었고, 조임도는 용암서원 측의 입장을 참고하며 신산서원 내의 일을 처리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덕천서원에서는 1635년 무렵 覺齋 河沆을 배향하려는 논의가 있었다. 여기서 사액서원의 지위를 포기하면서까지 배향을 강행하려는 의견도 있었지만, 정온 등 용암서원 운영주체 측에서는 사액의 지위를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함과 동시에 하항 외에 鄭逑 등 남명 高弟를 함께 배향해야 타당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인조반정 이후 추락해가는 남명의 위상을 제고할 방법을 모색한 것인데, 정구에게서 남명의 영향을 지우려는 집단의 반대로 결국 실현되지 못한 것으로 보이지만 정인홍이 생전에 추구했던 남명 선양 정신의 잔존이라 할만하다. 신산서원에서 金宇옹만을 제향하려는 움직임에 대해서도 이들 용암서원 운영주체들은 정구도 함께 배향할 것을 주장하였다. 인조반정 이후 덕천서원ㆍ신산서원에서는 서원 내 서로 다른 성향을 가진 집단끼리 논의하고 충돌함으로써, 반정 이후 바뀐 환경에서 적응할 방법을 모색해 나갔다면, 용암서원은 변신이 불가능할 정도로 정인홍 계열의 영향력이 컸던 곳으로 판단되지만, 이러한 점 때문에 인조반정 이후에도 한동안은 정인홍의 정신을 계승하여 남명학의 학습과 교육, 정리와 출판 사업 등이 추진될 수 있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d on Yongam-Seowon[龍巖書院]’ operating leaders action and their direction. Especially, it is mainly discussed what they were kept of scholarship, immediately after Injo-Coup[仁祖反正]. It was memorial that about Nammyung Jo,Sik[南冥 曺植]’ scholarship, in Yongam-Seowon. In 1609, Yongam-Seowon was authorized by government. In the same year, Deokcheon-Seowon[德川書院], Sinsan-Seowon[新山書院] were authorized, too. These three Seowon were memorial place about Nammyung Jo,Sik. In operation policy discussions, their academic features appear. In Yongam-Seowon, Jeong,In-hong[鄭仁弘]’ impact is huge, from the beginning. Jeong,In-hong is excellent student in Jo,Sik school, and in academic attitude, he is most looked like his teacher. Jeong,In-hong, Lee,Heul[李屹], Jeong,On[鄭蘊], Im,Jin-bu[林眞付], Pak,In[朴絪] were responsible for operating Yongam-Seowon. They kept up about Jo,Sik memorial activity. Around 1635, Deokcheon-Seowon and Sinsan-Seowon operating leaders were discussed who is addendum memorial scholar in their Seo-won. Yongam-Seowon leaders insisted that the most admirable scholar is there in. Because it is one way to respect Jo,Sik. In this discussion, we may know that their three Seowon’ insistenc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KCI등재

        지속 가능한 교육과 활용을 위한 서원의 교육환경-세계유산 등재 전후 문화재청 정책과 서원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자운 ( Kim Ja-woon ) 한국서원학회 2021 한국서원학보 Vol.13 No.-

        2019년 한국의 서원 9개소가 연속유산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면서 최근 서원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과 활용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유네스코가 인정한 한국 서원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의 핵심은 첫째, 조선왕조의 성리학 교육기관을 대표하는 9개 서원이라는 점, 둘째, 몸과 마음의 전인적 수양을 위한 교육환경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산수 근처에 위치), 셋째, 중국에서 발원한 성리학을 한국의 교육적, 사회적 관행으로 토착, 발전시킨 문화적 전통의 우수한 증거라는 점, 넷째, 그 정신적 가치의 많은 부분이 계승되고 있으며, 건축물의 보존상태가 우수하다는 점이다. 유네스코가 지적한 바와 같이, 한국 서원의 ‘진정성 있고 지속 가능한’ 교육과 활용을 위해서는 ‘대중성’ 뿐 아니라 ‘정신적 가치’의 계승과 재해석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서원의 교육과 활용을 위해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책과 각 서원의 실제 교육환경은 이 두 가지를 과연 얼마나 제대로 충족시키고 있을까? 이 같은 문제의식 하에 본고에서는 세계유산 등재 전후 문화재청 정책을 비교하고, 최근 서원 교육 프로그램을 검토하여 ‘진정성 있고 지속 가능한 교육과 활용을 위한 서원의 교육환경’을 모색하고자 한다. 세계유산 등재 이전부터, 서원의 활용은 2014년 정부 국정 과제의 일환으로 추진된 ‘살아 숨 쉬는 향교ㆍ서원 만들기’ 사업을 기점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하였으며, 2019년 세계유산 등재 이후 현재까지 매우 빠른 속도로 진화해오고 있다. 또한 정부 국정 과제가 시작된 2014년을 전후로 문화콘텐츠와 관광학 분야에서는 문화재활용 사업 및 유교문화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전통문화재와 유교문화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방향 모색과 모니터링이 어느 정도 이루어졌다. 그러나 선행연구는 세계유산 등재 이전까지를 대상으로 대부분 특정 지역이나 특정 시기의 문화재 활용 사업에 국한되어 있어 최근 현황 및 향후 지속 가능한 교육과 활용을 위한 시사점 제공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고는 세계유산 등재 이전과 이후로 문화재청 정책의 변화와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최근 운영되고 있는 서원 교육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진정성 있고 지속 가능한 교육과 활용을 위한 서원의 교육환경’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세계유산 등재 이전 문화재청 정책을 ‘살아 숨 쉬는 향교ㆍ서원 만들기’ 사업의 목적과 성격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둘째, 세계유산 등재 이후 문화 재청 정책 및 통합보존관리단 사업의 성과와 과제, 셋째, 최근 서원 교육프로그램 운영의 성과와 과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유네스코가 한국 서원의 ‘OUV’를 인정한 가장 중요한 지점 중 하나는 서원이 ‘중국에서 발원한 성리학을 한국에 맞게 토착적으로 발전시킨 우수한 문화적 증거’라는 점에 있다. 즉, ‘중국의 것을 조선의 것으로’ 의미 있게 변용, 발전시켰다는 것이다. 이제 우리 시대가 담당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는 단순한 모방과 계승을 넘어 현대의 상황에 맞게 그 가치를 변용, 발전시켜 ‘조선의 서원을 21세기의 서원으로’ 재해석하고 재탄생시키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Seowon for sustainable education and utilization. The use of seowon has been gradually revitalized starting with the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project promoted by the government in 2014 and the registration of the Korean seowon as a World Heritage Site in 2019. However, there is a lack of comprehensive research on changes in government policies and the use of seowon after being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Site.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policies before and after being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Site, and comprehensively reviews the recent educational programs at seowon to seek 'seowon’s educational environment for sustainable education and utilization'. To this end, first, we will review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policy prior to World Heritage listing, focusing on the purpose and nature of the ‘Creating a Living Hyanggyo and Seowon’ project. Second, changes, achievements and tasks in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policies after being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Site will be reviewed. Third, I would like to review the achievements and tasks of the recent educational programs at seowon.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that UNESCO recognized the ‘OUV’ of Korean seowon is that seowon is ‘excellent cultural evidence that indigenously developed Neo-Confucianism that originated in China for Korea’. In other words, it is a meaningful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seowon into Joseon seowon’. Now, the most important task of our time is not to simply imitate and inherit the value of the seowon. It is about transforming and developing its value, reinterpreting and reinventing the seowon of the Joseon Dynasty into the seowon of the 21st century.

      • KCI등재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제향 의례’ 관련 문헌 자료의 전승 양상-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을 중심으로-

        이광우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This thesis contemplates the bibliographic data related to the memorial rituals handed down in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for UNESCO World Heritage. Seowon in the mid-16C was emerged as an alternative venue for government and academics. However, the noble classes that led the Seowon operation under the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during the Joseon Era had the main focal points in the ritual ceremonies for ‘johyeon (尊賢)’ rather than the academic studies. Through the Seowon ritual ceremonies, the noble classes were able to pronounce that they are the political and academic successors of the religious service personnel in the rural village communities, and through this process, they sustained and maintained their social status thereof. In the meantime, it is feasible to build up the solidarity between the noble classes that shared the political factions and academic factions and confirm the order with the ritual ceremonies in Seowon. In this aspect, Seowon has handed down with a number of records related to ritual ceremonies, but the studies on Seowon have not attracted a great attention as such studies were focused on politics, social and economic affairs, education and so forth. Therefore, the records related to the ritual ceremonies for primarily 9 Seowons designated as the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for UNESCO World Heritage are classified for each type as in literature collections, Seowon journals, ancient documents, and publications. These data have the record on Seowon ceremony related rules and styles, purpose, name list of attendees in the ritual, and operation status. Looking for each contents again with respect to the ritual ceremony related data, those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e holgiryu(笏記類) that contained the rules, styles and rituals of the regular ritual ceremony, such as, shrine or the like, data related to special ritual ceremonies, such as, saeak-rye(賜額禮), chije-rye(致祭禮), chuhyang-rye(追享禮), hwanan-rye(還安禮) and others, written ritual writings and ritual writings listed mainly on literature collections, and the name lists of ceremony officers, such as, dedication officer and administrator, general almyoja and attendees to the ritual ceremonies. The Seowon ritual data is the most impeccable foundation to show that the Seowon culture originated from China has naturally ascended to the culture of Korea through the Joseon Dynasty era. In addition, it may be facilitated 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for restructuring the ancient transformation of the Seowon memorial ceremony that has been transforming to turning into contemporary period. 이 논문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에 전승되고 있는 祭禮관련 문헌 자료를 살펴 본 것이다. 16세기 중반 서원은 官學의 대안처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조선 시대 동안 정치・사회적 변화 속에 서원 운영을 주도하던 사대부 계층은 講學보다 ‘尊賢’을 위한 제례에 주안점을 두었다. 서원 제례를 통해 사대부 계층은 향촌사회에서 祭享人의 정치・학문적 계승자임을 천명할 수 있었고, 이를 매개로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확보・유지해 나갔다. 한편으로 서원 제례로서 당색과 학파를 공유하던 사대부 세력 간에 결속력을 다지고, 질서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 관계로 서원에는 제례 관련 기록이 다수 전승되어 있으나, 그간 서원 연구가 정치・사회・경제・교육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큰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이에 우선적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으로 지정된 9개 서원의 제례 관련 기록을 文集類, 書院誌, 古文書・成冊類와 같이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이들 자료에는 서원 제례와 관련된 규식, 목적과 취지, 제례 참석자 명단, 운영 실태가 기록되어 있다. 제례 관련 자료를 다시 내용별로 살펴보면 크게 享祀 등 정기 의례의 규식과 祝을 담고 있는 笏記類, 賜額禮・致祭禮・追享禮・還安禮 등의 특수 의례 관련 자료, 주로 문집류에 수록된 祝文類와 祭文, 獻官 및 執事와 같은 祭官과 일반 謁廟者 및 제례 참석자를 기록한 명부류로 구분된다. 서원 제례 자료는 중국에서 유래한 서원 문화가 조선 시기를 거쳐 자연스레 우리의 것으로 승화되었음을 보여주는 가장 명백한 근거이다. 또한 현대로 접어들면서 변형되어 가고 있는 서원 제례의 옛 전승 양식을 재구성하는데 중요한 전거로 활용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