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 후기 은일 공간으로서의 충주

        이새롬 ( Lee Sae Rom ) 충주문화원 부설 충주학연구소 2022 충주학연구 Vol.1 No.0

        본 연구는 조선 후기 문인들의 한시에 표상된 충주(忠州)의 이미지를 정리하여 충주가 정치적 좌절을 겪은 문인들의 미련과 좌절, 기대 등의 심리가 문학적으로 투영된 공간으로서 정치적·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녔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충주는 예로부터 한양에 접근하기가 쉬웠으며, 풍부한 물산을 자랑하고, 산과 강이 어우러진 승경과 함께 탄금대와 같은 명승지를 완상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지리적인 특징으로 인해 많은 문인들이 충주를 은거지로 삼았다. 특히 기묘명현의 많은 이들이 충주에 은거하며 자신들만의 세력을 구축하였다. 조선 후기에 노론(老論) 핵심 인사들이 호서 지역에 머물게 되면서 충주는 기호사림(畿湖士林)의 학맥을 잇는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누암서원의 존재는 충주가 기호사림의 중심지였음을 알려준다. 조선 시대 문인들은 정치적 혼란기에 일시적으로 혹은 오랜 기간 중앙정계에 설 자리를 잃었을 때, 그들 나름대로 영향력을 행사할 만한 공간으로 충주를 택하였다. 조선 후기 문인들 중 많은 이들이 충주에 내려왔지만 대부분 충주에 은거하는 기간은 짧은 편이었다. 대부분 출사와 은거를 반복하였기 때문이다. 그중 정호(鄭澔)와 안중관(安重觀)은 노론 문인으로 충주가 고향이며, 정치적으로 불리할 때마다 충주에 은거하였다. 두 문인은 충주에 거주하며 많은 시를 남겼는데, 충주에서 누리는 아름다운 풍경과 한적함에 대한 만족감을 표출하는 한편, 자신의 뜻을 알아주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염증, 출사에 대한 미련을 표출하였다. 정호는 <sub>영의정 ‧ 좌의정을 </sub>역임할 정도로 중앙 관료로서 활약하였으며, 당시 노소(老少) 갈등의 중심에 있던 인물이었다. 정호는 은거를 자신의 뜻을 관철시키기 위한 의사표시의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그렇기에 언제든지 도성으로 돌아갈 수 있는 충주를 은거지로 택하였다. 안중관은 주로 외직에 있었으며, 그가 스스로 사직한 이유가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그가 은거하며 쓴 시에는 그의 불우의식과 현실에 대한 염증이 짙게 드러난다. 안중관은 현실에 대한 체념으로 인해 은거를 택하였지만 도성을 향한 미련으로 인해 최후의 배수진으로서 도성과 가까운 충주에 머물렀던 것으로 보인다. 충주는 조선 후기 문인들에게 복잡한 현실 속에서 잠시 떨어져 여유로움과 위안을 얻어갈 수 있는 곳이자 언제든 출사의 기회를 놓치지 않을 만한 공간이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summarized the image of Chungju (忠州) represented in the literati’s classical Chinese poetry in the late Joseon, and confirmed that Chungju had important polit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as a literary space in which the psychology of regret, frustration, and expectations of the literati who had suffered political setbacks was projected. Since ancient times it was easy to access Seoul from Chungju, and it was possible to appreciate famous sights such as Tangeumdae along with the scenery of the mountains and rivers. It was also an area where products were abundant. Due to these geographical features, many of the literati stayed in Chungju. In particular, many figures of victims of Kimyo Year Literati Purge secluded in Chungju and established their own influence. In the late Joseon, as key Noron figures stayed in the Hoseo region, Chungju also established itself as a space connecting Kiho Sarim’s academic vessel. The existence of Nuam-seowon indicates that Chungju was the center of Kiho Sarim. The literati in the Joseon era lost their place in central politics temporarily or for a long period of time during the political turmoil, but they chose Chungju as a space where they could exert their own influence. Many of the literati in the late Joseon came to Chungju, but there was a tendency that most of them were secluded in Chungju for a short period of time. Most of these repeated going to office and being secluded. Among the literati in the late Joseon, Jeongho(鄭澔) and Ahn Jung-gwan (安重觀) were the Noron literati, and were secluded into Chungju as their hometown whenever they were politically disadvantaged. The two literati lived in Chungju and left many poems, and while expressing satisfaction with the beautiful scenery and serenity enjoyed in Chungju, they expressed their disgust about the reality of not being able to understand their intentions, and their lingering about going to office. Jeongho was active as a central bureaucrat to the extent that he served as Yeonguijeong-Jwauijeong, and he was at the center of the noron-soron conflict at the time. Jeongho’s seclusion was utilized as a means of expressing his will to carry out his own will. Thus, that’s why he chose to be secluded in Chungju, where he could return to Seoul at any time. Ahn Jung-gwan was mainly employed at a government post away from the capital, and it is not clear why he resigned himself. However, his poems that he wrote while he was secluded deeply reveal his awareness of misfortune and his disgust of reality. Although Ahn Jung-gwan chose to be secluded because of his resignation from reality, he seems to have stayed in Chungju, close to Seoul, as a position taken up with a river behind the troops because of his lingering toward Seoul. It was confirmed that Chungju was a place where the literati in the late Joseon could get relaxation and solace from the complex reality for a while, and a space where they could not miss an opportunity to go to office at any time. Through this, the literati’s awareness and literary discourse in the late Joseon was investigated in a space outside of Seoul, a symbol of central power.

      • 전통시장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고찰 : 자유·무학시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건우 ( Park Geon Woo ) 충주문화원 부설 충주학연구소 2022 충주학연구 Vol.1 No.0

        본 연구는 충주시의 지역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개선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지역시장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데이터와 인터뷰 조사자료를 활용해 분석을 수행한다. 또한, 해외 사례의 시사점을 도출하여 충주시에 활용이 가능한지를 검토한다. 이를 통해 향후 자유시장 및 무학시장 등 충주의 지역 전통시장이 지속할 수 있을 수 있는 대안을 살펴보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하고자 한다. 역사적으로 자유시장과 무학시장을 포함한 충주의 지역 내 전통시장은 일제강점기 식민지 시절 다양한 공간정책(경부선 철도부설, 충청북도 관찰부 이전, 시구개정 및 행정구역 변경 등)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를 통해 일본인 상권의 형성과 더불어 정기시장의 발달 및 지역시장의 상설화가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최근 들어 코로나19의 지속 및 SSM과 온라인 시장의 활성화 등으로 지역시장뿐만 아니라 전국의 모든 전통시장이 경쟁력을 잃고 있으며, 소멸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자유시장 및 무학시장 또한 마찬가지로 변화가 필요한 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에 따르면, 충주지역 시민들은 생필품 등을 구입하기 위해서 전통시장(관내+관외)을 이용하는 비율이 약 11%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대형 슈퍼마켓 및 할인점과 동네 상점 등을 이용하는 것에 비해 낮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충주지역의 시민들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서 필요한 정책이 ‘지역 특화상품 개발 및 특성화시장 육성(40.42%)’, ‘주차장 시설 확대(14.75%)’, ‘카드 결제 및 포인트 적립제도 운영(14.17%)’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30대 주요 구매자 대상계층을 중심으로, 전통시장 방문 및 활성화에 대한 심층 인터뷰 결과, 1달에 1번도 시장을 방문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대다수로 나타났으며, 위생, 가격, 접근성, 경쟁력 등에서 모두 우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오늘날, 전통시장의 활성화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자유시장과 무학시장이 앞으로도 오랫동안 지속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능의 개선과 더불어, 지역 주민과 방문객의 일상생활 공간으로서 인식되는 데 초점을 맞추어 개선방안 및 정책 방향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olicy improvement measures and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the local traditional market in Chungju. To this end, problems in the local market are examined, and analysis is performed using data and interview survey data. In addition, it examines whether it can be used in Chungju by deriving implications for overseas cases.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contribute positively to examining alternatives that Chungju’s local traditional markets such as free markets and Muhak markets can continue in the future. Historically, traditional markets in Chungju, including Jayu Market and Muhak Market, experienced changes in various spatial policies (Gyeongbu Line railroad construction, Chungcheongbuk-do Observatory relocation, city district revision, and administrative district chang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colonial period. Through this, it became an opportun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gular market and the permanentization of the local market along with the formation of Japanese commercial districts. In recent years, not only the local market but also all traditional markets across the country are losing competitiveness due to the continuation of COVID-19 and the revitalization of SSM and online markets, and there are cases of disappearance. The free market and the Muhak market are also emerging as times when change is needed. According to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citizens in Chungju use traditional markets (in-house + outside-house) to purchase daily necessities, which is lower than that of large supermarkets, discount stores, and local stores. In addition, the policies needed to revitalize the traditional market were “development of local specialized products and specialized markets (40.42%), “expansion of parking lot facilities (14.75%), and “operation of card payment and point accumulation systems (14.17%).” In addition,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ith major buyers in their 30s about visiting and revitalizing traditional markets, most of them said they do not visit the market once a month, and all of them have no advantage in hygiene, price, accessibility, and competitiveness.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cases of traditional markets and hawker centers in Singapore are as follows. First, visits to traditional markets and hawker centers perform important functions not only for the fundamental purpose of purchasing goods and eating activities, but also for social community life such as exchange and bonding. All citizens (race, gender, age) are fully aware of the knowledge, cooking skills, and values of food provided in the Hawker Center and traditional markets. This unique cultural style of Singapore can be seen as a hawker culture, which positively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Singapore’s national identity through social cohesion, experience and value, sharing norms, and reducing living costs. In the end, the 2020 Hawker culture was listed on th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One of the key reasons why this success was possible can be seen as daily life through continuous visits by local citizens. Therefore, it will be important not only to improve familiarity and accessibility but also to improve the image so that local citizens visiting traditional markets can recognize it as a space for daily life. Today, the function of tourism resources is more important than the exchange and sale of goods, which are the original functions of traditional markets. Therefore, in order for the free market and Muhak market to continue for a long tim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improvement plans and policy directions by focusing on providing high-quality cultural tourism-type functions and being recognized as a daily living space for local residents.

      • 「충주고구려비」의 판독과 건립 목적

        나유정 ( Na You Jung ) 충주문화원 부설 충주학연구소 2022 충주학연구 Vol.1 No.0

        최근 충주비 발견 4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고대사학회와 동북아역사재단이 3차원 스캐닝 기술을 적용하여 충주비 재판독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계기로 전면뿐 아니라 좌측면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가 있었다. 본 고에서는 새롭게 제작된 최근 탁본을 중심으로 나름의 판독안을 제시하고 충주고구려비의 건립 목적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고의 판독이 최근 판독과 비교해서 주목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충주비 우측면 첫 행 상단에서 天으로 판독할 가능성이 있는 자획을 확인하였다. 둘째, 좌측면 3행 13자에 보이는 숫자 중 九를 추가로 판독하였다. 셋째, 좌측면 7행 5자를 時로 판독하였다. 판독 결과를 중심으로 비문의 내용을 살펴봤을 때, 확인되는 충주비의 핵심 내용은 募人과 관련한 내용임을 지적하였다. 전면과 좌측면으로 이어지는 의례에 따른 募人행위에 대한 서술은 5세기 중반 5월과 12월의 사건으로 서술되었다. 좌측면 5행에서는 ‘신유년’이 확인되는데, 이전 서술과 달라진 새로운 상황을 서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신유년 무렵인 497년 고구려의 우산성 공격을 기점으로 양국 관계는 변화를 맞이한다. 8월 고구려가 신라 우산성을 함락한 이후 신라와 고구려의 전투 기사는 한동안 보이지 않고 신라에서는 내부 정비 기사가 확인된다.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 변화가 확인되는 시점이다. 이에 좌측면 끝에서 공백으로 단락을 구분하여 내용이 전환됨을 표기하고 후면에 세부 상황을 서술하였다. 후면에는 입비 목적과 관련한 주요 내용이 서술되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아쉽게도 후면에 자획이 확인되지 않아 내용을 추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지금까지 확인되는 신라와 고구려 금석문들의 서술 구조를 비교해 보면, 공통적으로 비문을 통해 문제상황과 그 해결 혹은 문제시 책임 소지를 고지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또한 비문의 독자로 설정된 대상은 대체로 비문 속에 등장하고 비가 세워진 지역의 사람들을 포함한다. 충주비 역시 같은 구조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고려하면 5세기 전반 고구려가 신라 토내에서 모인하여 인력을 동원하던 상황은 5세기 후반 무렵 신라의 이탈과 고구려의 한강 점령에 따라 다른 방식의 운영이 요구되었을 것이다. 즉 새로운 상황에 따른 인력 동원과 관련한 문제상황과 그 해결책이 마지막 후면에 서술되었을 것이다. 이 내용을 비문에 등장하는 대상과 비가 세워진 충주지역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한 것이 충주비를 건립한 목적일 것이다. In decipherment of Chungju Goguryeo monumen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etter at the top of first line on the right side may be read with a cheon(天). On the left side, the reading of the existing ja-gong(刺功) and sa-gong(射功) is accepted. According to this, The latter part was read in numbers. Also, the 5th character of 7th line on the left side was read as a si(時). Looking at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inscription, the contents of the monument are related to the mobilized people(募人). While Rituals and gatherings shown on the front and left side seem to be an event in the mid-5th century, the description after the Shin’yu-Year(辛酉年) of the 5th line on the left is an event in the late 5th century. From the contents of 7th line, the left side cannot be the last side, and the events in the late 5th century would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to the back side. Therefore, the beginning of the monument is thought to be the right side where the cheon(天) was identified. Comparing the narrative structures of Silla and Goguryeo’s inscriptions, it can be seen that the inscription commonly notifies the problem situation and its resolution or who is responsible for the problem situation. In addition, The readers of the inscription are those listed in the inscription and lived in the area where the monument was built. Chungju Goguryeo monument must have had the same structure. The method of mobilizing manpower from Ubeolseong and deploying to Chungju in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was difficult due to Silla’s breakaway and Goguryeo’s occupation of the Han River after the late 5th century. Accordingly, a solution to solve the problem of manpower mobilization would have been described on the back side, which would be the purpose of constructing the monument.

      • 조선 후기 충주 사족의 서원활동 : 누암서원을 중심으로

        안다미 ( Ahn Da Mi ) 충주문화원 부설 충주학연구소 2023 충주학연구 Vol.2 No.0

        충주는 지리적으로 서울, 경기도와 가까운 지역이었다. 이러한 지리적인 이점 덕분에 충주에는 서울 출신의 사족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었다. 특히, 이들은 정치적으로 혼란한 상황 속에서 낙향의 근거지로 충주를 선택하였다. 17세기 이후에 충주로 이주해 온 사족들은 정치적인 변화에 따라서 충주와 한양, 경기도 등지를 자주 오고 갔다. 그 결과, 충주는 17세기 이후까지도 향리 세력이 강성하여, 다스리기 어려운 고을 중에 하나로 인식되었다. 숙종 20년(1694) 갑술환국(甲戌換局)을 계기로 충청도 지역에서는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서원이 급격하게 늘어났다. 송시열의 문인들은 스승을 선양하는 서원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충청도 내에서 여론의 주도권을 장악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런 노력의 중심에는 충주 지역 출신인 권상하(權尙夏, 1641~1721)와 정호(鄭澔, 1648~1736)가 있었다. 권상하는 가장 먼저 화양서원(華陽書院)을 설치하였으며, 정호는 자신이 거주하던 충주 누암리에 누암서원(樓巖書院)을 설치하였다. 숙종 20년에 정호를 중심으로 충주 사족들은 송시열과 민정중(閔鼎重, 1628~1692)을 배향하는 서원을 설치하는 일을 논의하였다. 송시열은 충주 목사를 역임한 이력이 있었고, 민정중은 충주 출신 사족이었다. 두 사람은 모두 충주의 풍속 교화에 앞장섰던 이력이 있었다. 이렇게 정호를 비롯한 충주 사족들이 당시에 송시열 서원을 설치하려던 이유는 정치적인 목적도 있었지만, 호서 지역 내에서 연산의 돈암서원(遯巖書院)을 중심으로 한 김장생 문인들의 영향력이 강화되는 것에 대한 견제 의식이 숨어 있었다. 한편, 충주 사족의 서원 설치논의는 국가의 정책적인 이해에도 부합하였다. 국가는 충주가 상대적으로 향리 세력이 강성한 곳이었으며, 충주 사족이 잦은 변란에 연루되었기 때문에 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새로운 공간으로 서원의 필요성에 동의하고 있었다. 이처럼 숙종 21년(1695)에 완공된 누암서원은 정호를 비롯한 충주 사족의 이해와 국가의 이해가 합치된 결과물이었다. 이렇게 서원을 중심으로 학문 사상을 강화하려는 시도는 18세기 이후에 더욱 분명하게 나타난다. 가령, 정조 19년에 민중혁이 대표로 하여 정호를 누암서원에 추가 배향하는 문제를 조정에 보고하였다. 정호의 추가 배향은 당시에 권상하문인들이 황강서원(黃江書院)과 한원진(韓元震, 1682~1751)을 중심으로 학문사상을 강화해 가는 것에 대한 충주 사족들의 일종에 경계 의식이 반영되었다. 충주 사족은 ‘주자-이이-김장생-송시열-권상하’로 이어지는 도학 계보 위에 ‘주자-이이-김장생-민정중-정호’를 배치하여, 충주만의 도학 계보를 정립하려고 하였다. 여기에 정조 19년에 정호의 추가 배향이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사학(邪學)이 유행하던 당시에 국가의 정책 이데올로기인 주자학(朱子學)의 보급을 위해 전초기지가 필요했던 조정의 입장도 반영되었다. 즉, 정호의 추가 배향은 충주 사족과 국가 정책의 이해가 합치된 결과였던 셈이다. 이처럼 누암서원은 지방 사족으로서 정체성을 확보하려던 충주 사족의 이해와 한양과 밀접한 지역인 충주에 주자학적 이데올로기 보급을 통해 향촌 풍속 교화를 완성하고 충주 사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던 국가의 정책적인 이해가 합치되어 설치되었으며, 서원을 중심으로 한 일련의 활동들 역시 국가 정책과 사족들의 이해가 합치되는 과정에서 진행되었다. Chungju city was geographically close to Seoul and Gyeonggi Province. Because of this geographical advantage, many Aristocratic families from Seoul lived in Chungju. In particular, they chose Chungju as their base in times of political turmoil. The Sajoks (the well-bred families), who moved to Chungju after the 17th century, frequently moved back and forth between Chungju, Hanyang, and Gyeonggi-do depending on political changes. As a result, Chungju was recognized as one of the more difficult provinces to govern, with strong Hyangri forces even after the 17th century. With the advent of Gabsul Hwanguk in the 20th year of King Sookjong’s reign, the number of Seowon of Song Si-yeol (宋時烈, 1607-1689) increased dramatically in the Chungcheong province. The disciples of Song Si-yeol set up a Seowon in honor of their master, and on this basis they sought to seize control of public opinion in Chungcheong Province. At the center of these efforts, there were Gwon Sang-ha (權尙夏, 1641-1721) and Jung Ho (鄭澔, 1648-1736), both from the Chungju region. Gwon Sang-ha established Huayang Seowon first, and Jung Ho established the Nuam Seowon in Nuamli, Chungju, where he lived. In the 20th year of the Suzong dynasty, the Sajoks in Chungju region, led by Jung Ho, discussed the establishment of a Seowon to honor Song Si-yeol and Min Jungjoong (閔鼎重, 1628-1692). Min Jungjoong, Song Si-yeol had been a pastor in Chungju, and Min Jungjoong was a member of the Sajoks from Chungju. Both had a history of leading the way in the cultural and moral development of Chungju. As such, the local aristocrats of Chungju, including Jung Ho, had various reasons for establishing the Seowon for Song Siyeol at that time. While there were political motivations, they also harbored a sense of checks and balances against the growing influence of scholars and literati centered around the Donam Seowan in Yeonsan in the Honam region. On the other hand, the discussion of establishing a Seowon by the Sajoks in Chungju also served the policy interests of the state. The state agreed that Chungju was a relatively strong region of the Hyangri forces, and the Sajoks in Chungju were involved in frequent disturbances, thus, they saw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eowon as a more efficient means of managing them. As such, the Nuam Seowon, completed in the 21st year of King Sookjong’s reign (1695), was the result of the convergence of interests of the Sajoks in Chungju, including Jung Ho, as well as the interests of the state. This attempt to reinforce academic thought around the Seowon, becomes more evident after the 18th century. For instance, in the 19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there was a report to the court about the issue of Min Joong Hyeok, who represented the people, advocating for the addition of Jung Ho to the Nuam Seowon. The addition of Jung Ho to the Seowon was reflective of the Chungju Sajoks’sense of caution at the time, in response to the strengthening of academic and ideological influence among scholars led by Kwon Sang-ha at the Hwanggang Seowan and Han Won-jin(韓元震, 1682~1751). Gwon Sang-ha Jung Ho Min Jungjoong Kim Jangsang Kim Jangsang. The Sajoks in Chungju aimed to establish their own scholarly lineage within the broader Confucian academic tradition that followed the lineage of ‘Zhu Xi -Yi Yi- Kim Jangsang- Min Jungjoong- Jung Ho by placing ‘Zhu Xi -Yi Yi- Kim Jangsang- Song Si-yeol- Gwon Sang-ha’. Moreover, the success of adding of Jung Ho to the Seowan in the 1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Jeongjo, also reflected the position of the court, who needed outposts for the dissemination of the state’s policy ideology, orthodox Neo- Confucianism, at a time when Confucianism was in vogue. In other words, adding Jung Ho was the result of a convergence of interests between the Sajoks in Chungju and state policy. As such, the Nuam Seowon was established as a result of the convergence of the interests of the Sajoks in Chungju, which sought to secure their identity as regional elites, and the state’s policy interests, which sought to complete the edification of local customs and manage the Sajoks in Chungju efficiently. This was done through the dissemination of orthodox Neo-Confucianism ideology in Chungju, a region close to Hanyang, and a series of activities centered on the Seowon were also conducted in the process of converging state policy and the interests of the Sajoks.

      • 충주시의 브라운필드 현황과 활용 방안 연구

        원동선 ( Won Dong Sun ) 충주문화원 부설 충주학연구소 2023 충주학연구 Vol.2 No.0

        본 연구는 광복 이전까지 한반도의 중심에 위치했다가 주변부로 밀려나면서 침체되고 지금은 다시 주목의 대상이 되고 있는 충주시에 대한 재인식을 기반으로 시작된다. 충주시는 역사적으로 볼 때 과거 한 나라의 도읍지의 위상은 아니더라도 고대부터 지리적으로 한강수역에 인접한 교통의 요충지이며 전략적 위치에 있어 고려, 조선에 이르기까지 지방의 중심적 역할로 번성하였다. 그러나 광복 이후 국토개발의 중심축에서 벗어나면서 수십 년 동안 다른 지역에 비해 발전이 제한적이었고, 결과적으로 다수의 사람들에게 충주는 주목받지 못한 관심 밖 도시에 불과했다. 2000년대를 기점으로 중부고속도로에 이은 중부내륙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가 개통, 2021년 12월 여주-문경 간 중부내륙철도의 일부 개통으로 대한민국 인구 2,000만 명이 밀집하여 거주하고 있는 수도권을 1시간 이내에 접근 가능한 도시로 변모하게 되었다. 이는 충주가 이제 더 이상 중소도시가 아닌 수도권의 신도시이며 핫플레이스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것을 의미하며, 최근 서충주 신도시는 수소산업의 핵심 기업도시로 주목받으면서 시민들에게 쾌적하고 현대화된 도시로 인식되고 있다. 반면에 구도시를 중심으로 기존시설의 낙후가 심각한 상태에 이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슬럼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 충주시는 수십 년 간 검토를 진행해왔지만 아직 근본적인 해결 방안이 없는 단계이다. 대체적으로 낙후된 부지는 이해당사자간의 첨예한 소유권 문제와 다양한 문제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법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난제이지만 더 이상 방관할 수 없다. 낙후된 구도심 혹은 방치된 지역을 그대로 둔 채 지역의 활성화를 기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도시의 확장과 활성화를 위해 외곽도시의 도시 확장을 추진한다고 해도, 시간이 지나면 도시가 낙후되는 현상이 반복될 가능성이 크며, 이로 인해 주민이 줄어들고 수요가 감소하면 자원이 낭비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것 역시 현대의 대다수 도시들이 겪고 있는 비슷한 상황이다. 충주시의 기존 도시계획도 구도심 외곽 지역을 확장하는 방향성을 가지고 진행되었지만, 지역의 활성화를 최대한 극대화하지 못했다. 따라서 도시의 생명력을 불어 넣기 위해서 구도심의 활성화와 기존 시설을 기반으로 하는 재활용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충주시가 오랜 기간 재개발에 대한 문제 인식을 갖고 있었지만 여러 유휴 시설 활용에 대한 방안을 궁극적으로 찾지 못한 대안으로 브라운필드 재생의 관점에서 도시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현재 충주시에서 브라운필드 활용이 미비한 것은 다음과 같은 크게 두 가지 원인에서 비롯된다. 첫째, 유휴 시설의 대부분이 민간 소유인 경우가 많아 소유권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개발 진행에 있어 소유자 간 협의와 법적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아 유휴 시설이 방치되고 있다. 둘째, 충주시의 재원 조달 능력에 한계가 있어 브라운필드 재생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는 재정의 자립도가 낮다.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도시계획의 경우 재원이 한정되어 있어서 중앙정부의 재정적 지원과 각종 민간의 투자가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민간의 자본 유치는 직간접적으로 필수적이다. 전면 재개발이 아니더라도 브라운필드 재생도 일정의 예산이 필요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예산만으로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슈들은 재생 프로젝트를 지연시키고 개발 여건을 복잡하게 만들어 충주시의 브라운필드 활용을 위한 재생의 문제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따라서 충주시 브라운필드의 적극적 활용 방안을 위해 무엇보다 민간의 투자 유치, 각종 규제의 정비와 민간의 각종 이해관계를 해결할 수 있는 법적문제에 대한 해결 장치 마련과 민관의 이해당사자간 의사결정이 원만하게 협력할 수 있는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 국내외 브라운필드 활용 사례를 바탕으로 충주시의 수십 년 간 해묵은 지역 난제를 극복해 국내의 명실상부한 브라운필드 활용 대표도시로서 충분한 잠재력이 있다 This study begins with a reevaluation of Chungju City, which, until before the liberation, wa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Korean Peninsula but has since been pushed to the periphery and experienced stagnation. Historically, Chungju City, while not serving as the capital of a past nation,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region due to its strategic location adjacent to the Han River basin and its significance in transportation from ancient times to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However, in the modern era after liberation, it moved away from the core of national development and saw limited progress compared to other regions. As a result, Chungju became a city overlooked by many. However, starting from the 2000s with the opening of the Central Expressway, followed by the Central Inland Expressway and the Pyeongtaek-Jecheon Expressway, and the partial opening of the Central Inland Railroad between Yeoju and Mungyeong in December 2021, Chungju City has transformed into a city where the population of South Korea, reaching 20 million people, can access the capital area within one hour. This signifies that Chungju is no longer a small city but a new city in the metropolitan area with the potential to become a hotspot. Furthermore, recently, the West Chungju New City has gained attention as a core city for the hydrogen industry and is perceived by citizens as a pleasant and modernized city. On the other hand, older parts of the city are experiencing severe neglect of existing facilities, leading to the progression of slum-like conditions. Chungju City has been aware of this issue for decades, but there is still no fundamental solution under consideration. Generally, the neglected areas face complex challenges, including contentious ownership issues and various other problems, making it difficult to find legal solutions. This is not just a problem unique to Chungju City but a common issue for most cities nationwide. However, these issues cannot be ignored any longer. Expecting regional revitalization while leaving neglected or abandoned areas as they are is a challenging task. Even if urban expansion and revitalization of suburban cities are pursued, there is a high likelihood that the phenomenon of urban neglect will repeat over time, potentially resulting in a decline in population and demand, leading to wastage of resources. This is a situation faced by many modern cities. Chungju City’s existing urban planning also progressed with a focus on expanding the outskirts of the old city. However, such urban planning did not maximize the revitalization of the region. Therefore, to breathe life into the city, revitalization of the old city center and recycling based on existing facilities must precede. In this study, although Chungju City has long recognized the issue of redevelopment, it has not found alternative solutions for various idle facility utiliz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iscuss urban revital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brownfield regeneration. Currently, Chungju City faces challenges in brownfield utilization due to two major reasons. Firstly, many idle facilities are privately owned, leading to frequent ownership disputes. This hinders the progress of development, resulting in the neglect of these facilities. Secondly, Chungju City has limitations in its financial capacity to promote brownfield regeneration projects. Most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have low financial independence, and budgets are limited for urban planning that requires significant funding. Hence, financial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various private investments are urgently needed. Brownfield regeneration, even if not a full-scale redevelopment, requires a certain budget, and local government budgets alone are insufficient to address this. Therefore, attracting private capital is essential,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dditionally, issues related to private stakeholders and legal matters are intertwined, making it difficult to plan and execute projects. These issues are identified as one of the reasons for delaying regeneration projects and complicating the development environment for brownfield utilization in Chungju City. Therefore, to actively utilize brownfields in Chungju City,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governance structure where private investment is attracted above all else, legal issues that can resolve various regulations and private interests are addressed, and private and public stakeholders can cooperate smoothly. Ba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amples of brownfield utilization, Chungju City has ample potential to overcome long-standing regional challenges and become a leading city in brownfield utilization in the country.

      • 충주 지역 목조건축유산의 흰개미 피해와 향후 대책

        김시현 ( Kim Si Hyun ) 충주문화원 부설 충주학연구소 2023 충주학연구 Vol.2 No.0

        충주는 한반도의 중앙에 위치하며 오랜 기간 인근 지역의 중심지로 기능하여 현재까지 다수의 목조문화유산들이 남아 있다. 이들은 흰개미 등 생물학적 요인들에 의해 손상될 위험이 있지만 관련된 연구는 수행된 바 없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충주 지역 목조문화유산 9건을 대상으로 흰개미 피해 현황과 주변 환경을 분석하고 향후 관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충주 향교, 제금당, 한남군 사당에서 흰개미 피해가 확인되었다. 충주향교는 명륜당과 대성전 등 중심 건물들의 상태는 양호하였지만 외곽의 문 3개소에서 흰개미 피해가 확인되었다. 제금당에서는 건물 내부와 배면의 기둥 및 하인방 3개소에서 흰개미 피해가 확인되었다. 건물 내부에서 흰개미 유시충 사체들이 발견되어 이미 흰개미 피해가 상당히 진행 되었으며, 건물 주변에 성숙한 흰개미 군체가 서식하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남군 사당에서는 기둥 1기에서 흰개미 피해가 확인되었다. 흰개미 피해가 발생한 건물들은 당해문화유산 뿐 아니라 주변의 건물까지 포함하여 군체제거 등 방제처리를 실시하고, 주기적인 일상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또한 향후 당해문화유산의 해체보수나 문화유산 주변에 목조건축물을 신축할 때는 흰개미 유입 방지 장치(Physical barrier)의 설치가 필요하다. 흰개미의 거시적인 분포 범위와 활동 기간은 온도에 의해 결정된다. 충주 지역의 최근 50년(1973~2022) 간 기온 변화를 분석하고 흰개미가 지상에서 활발히 활동할 수 있는 기간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연평균 기온은 10.9℃에서 12.2℃로 1.3℃ 증가하였다. 수집된 일평균 기온 자료로 추정한 연간 흰개미 활동 가능 일수는 1973~1982년 201일에서 2013~2022년 213일로 12일 증가하였다. 충주 지역의 흰개미들은 지상에서 3월 중순부터 11월 중순까지 활동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연구는 충주 지역 목조문화유산의 보존관리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특정지역의 목조문화유산을 대상으로 흰개미 피해 현황 및 관련 기온 변화를 분석한 첫 사례로 향후 다른 지역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Chungju is located in the center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has long served as a regional center. As a result, there are a number of wooden cultural heritages. They are at risk of being damaged by biological factors such as termites, but no relevan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urrent termite damage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of nine wooden cultural heritages in Chungju and propose future management methods. As a result, termite damage was confirmed at Chung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Jegeumdang, and Hannamgun Shrine. At Chungju hyanggyo, the central buildings such as Myeongryundang Lecture Hall and Daeseongjeon Shrine were in good condition, but termite damage was confirmed at three outer main gaits. At Jegeumdang, termite damage was confirmed on the pillars and Hainbang(Lumber hung horizontally between pillars)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s and back. Unlikely other buildings, dead termite alates were found inside the building. It suggest that there is a mature termite colony around the building. At the Hannamgun Shrine, termite damage was confirmed in one column. Buildings with termite damage will require termite control such as baiting. Termite controls should be conducted not only termite-infested buildings but also adjacent buildings. And it also requires daily management and periodic monitor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physical barrier when dismantling and repairing the cultural heritage or constructing a wooden building around the cultural property in the future. The macroscopic distribution range and activity period of termites are determined by temperature. I analyzed temperature changes over the last 50 years (1973~2022) in the Chungju region and estimated the period during which termites can be active on the grou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annual temperature increased by 1.3℃, from 10.9℃ to 12.2℃. The number of termite active days per year increased by 12 days, from 201 days in 1973~1982 to 213 days in 2013~2022. Termites in the Chungju area are estimated to be active above ground from mid-March to mid- November. The effectiveness of termite monitoring and control may vary depending on the time of year, so these results should be used as a guide for field application. This study can be utilized for conservation management of wooden cultural heritages in Chungju. And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case of analyzing termite damage and related temperature changes on wooden cultural heritages in a specific region, and suggests a research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other region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