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궁핍한 시대의 시인’ 횔덜린과 릴케의 고향 시 읽기 - 하이데거의 고향과 존재 개념을 중심으로

        홍순희 ( Hong Sunhi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9 독일어문학 Vol.87 No.-

        ‘궁핍한 시대의 사상가’ 하이데거는 평생 ‘궁핍한 시대’를 사유한다. 궁핍한 시대를 극복하기 위해 궁핍한 시대가 어디로부터 와서 어디에 머무르며 어디로 가는지에 대한 대답을 찾기 위해 하이데거는 전력투구한 것이다. 그리고 그 일환으로‘ 궁핍한 시대의 시인’ 횔덜린과 릴케를 소환하여 그들의 시를 해석하는 방식으로 ‘간접적인’ 글쓰기를 하고 자신이 세운 ‘이정표’에 고향 존재를 목적지로 삼는다.. 왜냐하면 하이데거에게 고향은 반복적으로 망각되고, 망각된 채 머물러 있으면서 미리 상기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하이데거에게 고향-존재는 가장 망각된 것이면서 동시에 상기이다. 궁핍한 시대에 시인은 ‘무엇을 위한 시인인가?’ ‘궁핍한 시대의 시인’ 횔덜린이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은 이해하기도 어렵고, 이 질문에 대한 그의 대답은 파악하기도 어렵다. 횔덜린은 자신의 시대가 궁핍한 이유를 신의 부재 때문으로 본다. 횔덜린에 이어 니체가 ‘신이 죽었다’는 사실을 만천하에 고하는 것으로 보아 ‘신의 죽음’이 시대의 궁핍함에 대한 이유로서 타당하다. 릴케는 궁핍한 시대의 이유로 ‘신성의 부재’ 또는 ‘신성의 망각’을 든다. 죽을 자들이 죽을 자들의 ‘죽음’과 ‘고통’과 ‘사랑’이 ‘신성’이라는 사실을 철저하게 망각하기 때문에, 특히 현대 사회에서 ‘닦달하는’ 기술이 판을 치고, 그 결과 기술이 신성을 몰아내기 때문에 시대가 궁핍하다고 진단한다. 이 두 시인의 시를 해석하면서 하이데거는 각각 신과 신성을 ‘고향’-존재 개념과 연결하여 ‘고향의 상실’을 궁핍함의 이유로 제시한다.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본 논문에서는 첫째 하이데거가 말하는 ‘존재’로서의 고향을 하이데거적인 관점에서 규명하고, 둘째, ‘궁핍한 시대의 시인’ 횔덜린과 릴케의 시를 해석하는 하이데거를 ‘이정표’로 삼아 ‘궁핍한 시대의 사상가’ 하이데거가 밝히는 시대의 궁핍한 이유를 ‘고향의 상실’과 연관해서 해명하며, 셋째 횔덜린과 릴케의 대표적인 ‘고향 시’를 하이데 거적인 시 해석을 기반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Sein ganzes Leben lang bemuhte sich Heidegger darum, eine Antwort auf die Frage zu finden, woher die ‘Durftigkeit der Zeit’ komme und in welche Richtung sie sich entwickle. Naturlich strengte er auch alle Kräfte an, diese empfundene Durftigkeit irgendwie zu uberwinden. Fur Heideggers Philosophie war Lyrik ein wichtiger Bezugspunkt und er beschäftigte sich besonders intensiv mit Friedrich Hölderlins und Rainer Maria Rilkes Gedichten zum Thema Heimat. Die vorliegende Arbeit konzentriert sich auf Heideggers Rezeption von Hölderlins Andenken sowie Rilkes improvisierte Verse. In seiner Elegie Brot und Wein fragt Hölderlin “…und wozu Dichter in durftiger Zeit?”. Es ist nicht nur schwierig, diese Frage zu verstehen, sondern auch Hölderlins Antwort darauf zuzustimmen. Annäherungsweise lässt sich sagen, dass Hölderlin den ursprunglichsten Grund fur die Durftigkeit im “Fehl Gottes” sieht. Bei Rilke ist das anders - bei ihm resultiert das Gefuhl der Durftigkeit aus einem Erkenntnisdefizit. Die eigene Sterblichkeit sei den Menschen ebenso rätselhaft wie die Liebe, und auch die stets unerreichbar bleibende Heimat trage zu dem belastenden Zustand bei. Befasst man sich mit Heideggers Schriften, wird deutlich, wie viele Anknupfungspunkte ihm die eben skizzierten lyrischen Werke bieten. Bei ihm ist Heimat “das Vergessenste und zugleich die Erinnerung”. Mit der Abreise und während der Wanderung gerate sie immer mehr in Vergessenheit, aber sie stelle auch eine zuverlässige Erinnerung dar und lade zur Heimkehr ein. Fur Heidegger hat Heimat mindestens drei verschiedene Dimensionen: Bei der ersten handelt es sich um Heimat im allgemeinen Sinn, d. h. woher man kommt. Bei der zweiten geht es um die jenseitige Heimat, die mit der Geburt endet und erst mit dem Tod wiederkehrt. Schließlich sieht Heidegger Heimat auch als ‘Wesen’, was vor dem Hintergrund seiner Ausfuhrungen zum Sein zu verstehen ist.

      • 『존재와 시간』에서 언어의 기능에 대하여 -Zur Rolle der Sprache in Sein und Zeit-

        야스퍼립토우 ( Jasper Liptow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0 존재론 연구 Vol.23 No.-

        혹자는 『존재와 시간』의 소위 ‘주변세계분석(Umweltanalyse)’에서 나타나는 하이데거의 기호이론 안에서 화용론적인 사용의미론을 위한 언어철학적인 단초를 발견하기도 하고, 혹자는 비언어적이고, 비기호적인 방식으로 의미를 구성하고 난 다음, 비로소 언어와 말함을 가능하게 하는 그런 근원적인 실천이 발견된다고 강조하기도 한다. 첫 번째 독법에 반대하면서 이 논문의 저자인 립토우는 하이데거가 비록 기호이론적인 화용론자이긴 하지만, 언어철학적인 화용론자는 아니라고 말한다. 하이데거는 자신의 기호이론과 자신의 언어철학 사이에 그 어떤 연결도 만들지 않았으며, 결코 오늘날의 언어철학적인 의미이론을 전개한 적도 없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반대로 그는 말(Rede)과 언어를 실존범주로서, 그러니까 현존재의 존재방식으로 고찰했으며, 그것들을 세계 내부적으로 ‘손 안에 있는 기호’로부터 구분하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독법에도 반대하면서 립토우는 하이데거에게서 말이 ‘이해가능성의 분류파악’으로서 ‘언어’에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 분명히 제시되어야 한다고 논증하고 있다. 이 논증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우리의 세계가 서로 공유하고 있는 ‘이해’를 현존재에 구성적인 것으로서 고찰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세계의 상호주관적인 구조로서 자신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말’은 공공적이고 의사소통적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일반적인 의미의 ‘언어’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해와 해석, 그리고 말의 해석학적인 선-구조는 이런 식으로 언어와 묶여 있다. ‘의미’는 우선 그러한 선구조 안에서 자라나긴 하지만, 이때 그러한 선구조를 통해 어떤 것이 아주 분명해지는 것은 아니다. 립토우에 따르면 이러한 선-구조는 언어가 우리 이해의 대상을 초월적으로 구성한다는 소위 ‘언어이상주의’와 맞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견해에 반대해 그는 하이데거가 이미 자신의 직접적인 실재론을 통해 자신의 이론을 안전하게 확보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Während die einen in Heideggers Theorie des Zeichens in der sogenannten »Umweltanalyse« von Sein und Zeit ein sprachphilosophisches Indiz fur eine pragmatistische Gebrauchstheorie der Bedeutung sehen, betonen die anderen, dass es Praktiken gibt, die auf nicht-sprachliche, nicht-zeichenhafte Weise Bedeutungen konstituieren und so erst Sprache und Sprachen ermöglichen. Gegen die erste Lesart spricht nach Liptow, dass Heidegger zwar ein zeichentheoretischer, aber kein sprachphilosophischer Pragmatist sei. Heidegger habe keine Verbindung zwischen seiner Zeichentheorie und seiner Sprachphilosophie hergestellt und auch gar keine sprachphilosophische Bedeutungstheorie im heutigen Sinne entwickelt. Im Gegenteil habe er Rede und Sprache als Existenzialien, also als Seinsweisen des Daseins betrachtet und sie damit gerade von innerweltlich zuhandenen Zeichen kritisch unterschieden. Gegen die zweite Lesart fuhrt Liptow Argumente an, die zeigen sollen, dass fur Heidegger die Rede als »Artikulation der Verständlichkeit« an die Sprache gebunden ist. Das wichtigste dieser Argumente verweist darauf, dass Heidegger ein geteiltes Verständnis unserer gemeinsamen Welt als konstitutiv fur unser Dasein betrachtet (Mitsein). Insofern muss die Rede, um ihre Funktion als intersubjektive Gliederung der Welt erfullen zu können, öffentlich und kommunizierbar, also Sprache werden. Die hermeneutische Vor-Struktur von Verstehen, Auslegung und Rede ist folglich an Sprache gebunden. Wir wachsen zunächst in sie hinein, ohne durch sie ein fur allemal bestimmt zu sein. Diese Vor-Struktur ist nach Liptow aber nicht mit einem linguistischen Idealismus zu verwechseln, dem zufolge die Sprache die Gegenstände unseres Verstehens transzendental konstituiert. Gegen eine solche Deutung sieht er Heidegger schon durch dessen direkten Realismus gefeit.

      • KCI등재후보

        〈햄릿〉의 드라마투르기적 분석

        이인순 ( In Soon Lee ) 한국드라마학회 2008 드라마연구 Vol.- No.28

        Der Begriff Dramaturgie verweist auf die Beziehung zwischen Text (im weitesten Sinne) und Auffuehrung. Die dramaturgische Analyse bezieht sich sowohl auf den Bereich der Produktion als auch auf den der Rezeption, so dass die beiden Bereiche Text und Auffuehrung mehr verstehen und sich auf ihre intellektuelle Hoehe der thearralischen Praxis situieren koennen. Fuer Hamlet gibt es in der Rezeptionsgeschichte eine Vielzahl von Lesarten, Ueberserzungen, Interpretationen, Bearbeitungen sowie unterschiedlichen Gestaltungen. Deren Grund liegt in der "Instabilitaet der textuellen Ueberlieferung". Das dramaturgische Konzept dieser Fabel ist durch das "revenge-pattern" bestimmt, das in drei Spiegelsituationen auf Parallelhandlung auftaucht; Hamlet, Fortinbras und Laertes. Jeder von ihnen handelt als Raecher seines Vaters. Jedoch geht es in Hamlet jenseits der Rachetragoedie urn den breiten Themenbereich der von Hamlet beruehrten Felder Rache und Rerechtigkeit, Schuld und Suehne, Staat und Koenig, Schein und Sein, Verstand oder Wort und Tat, die verschiedenen Vorstellungen des menschlichen Handelns. Shakespeates bewusste Dramaturgie des Stueckes ist "den Gegensatz zwischen Hamlets Untaetigkeit und konventioneller Aktivitaet auf der Buehne deutlich machen". Daraus ergibt sich, "dass die Gestaltung des delay die Crux und den Reiz des Stueckes ausmacht". Das Konzept der Tragoedie ist, dass der Protagonist zoegert, start zu handeln. Dafuer setzt der Dramatiker an Stelle des Handelns die besonderen Handlungselemente: Monologe, stop-action technique, double doubt, Spiel im Spiel. Hamlet ist Shakespeares laengstes Stueck. Besonders konzentriert sich das Stueck auf die Hauptfigur, die "rund die Haelfte des gesamten Textes" spricht. Die Konzentration richtet sich nicht nur auf die Hauptfigur, sondern auch auf Raum und Zeit. Die raeumliche Enge der Burg in Helsingoer symbolisiert die Sicht des Hamlet: "Daenemark ist ein Gefaengnis."(Ⅱ.2.243) und unterstreicht Hamlets Passivitaet fuer die "tragedy of inaction". Die Figurengruppen sind in zwei Familien geteilt: die Familie des Koenigs und die des Polonius. In dem Verhaeltnis des Personals ist erne "starke Vernetzung" angelegt. Die Besonderheit der Redeformen des Stueckes ist die Solorede. Fuer den Sprachstil schafft Shakespeare den Blankvers als Klangfigur und die Bildersprache als Sinnfigur. Durch die Intensitaet der Sprache Hamlets gestaltet Shakespeare ihn als eine pychologisch vielschichtige Figur. In den gesarnren Handlungen srellt sich das Theater-und Shauspielhafte dar, indem jedes Handeln der Wirklichkeit entweder ein wahres Sein oder ein Schein wie ein Schauspiel sein kann. 드라마투르기의 개념은 드라마 혹은 넓은 의미의 텍스트와 공연의 관계를 지칭하며, 드라마투르기적 분석은 생산자와 수용자에게 드라마와 공연의 知的 이해를 돕고 높이는 길이다. 지금까지의〈햄릿〉 수용사는 여느 작품보다도 다양한 읽기, 번역, 해석, 번안 그리고 다른 매체의 형상화까지 다양한 수용의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는 텍스트가 출판되어오는 가운데 원본의 상상이 불가한 텍스트의 불고정성 때문이라 여겨진다.〈햄릿〉의 드라마투르기적 복안은 세 인물 햄릿, Fortinbras, Laertes가 제각기 아버지를 복수하는 복수극의 패턴이며 피차에 상황적 거울이 되어주는 평행선을 이루는 행동들로 이루어진다. 이 드라마는 복수극임에도 복수를 주제로 다루지 않고 오히려 주인공에게 복수는 자신과 그 주위의 관계에 매우 깊고 넓은 영역의 동요를 일으키는 요인이 되어서 햄릿에 의해 건드려지는 여러 영역 ``복수와 정의, 죄와 벌, 국가와 왕, 허상과 실존, 이해력이나 말과 행위 그리고 인간행위의 다양함``의 주제를 보여준다. Shakespeare의 의식적인 드라마투르기는 "햄릿의 행동하지 않음과 무대 위에서는 행위가 있어야 한다는 관습과의 대조"이다. 그로부터 "극 행동 지연의 형상화는 이 작품의 어려움이자 매력"이 된다. 이 비극의 복안은 주인공이 행동하는 대신 행동을 지연해야 하므로 특별한 극 행동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독백, stop-action technique, 이중적 의심, 극중극.〈햄릿〉은 Shakespeare의 가장 긴 작품으로 무엇보다 주인공에게 집중하고 있는데 그의 대사가 거의 텍스트의 반을 이룬다. 이 집중은 극 공간과 시간에서도 보인다. 엘시노어 성으로 제한된 극 전체의 좁은 행동 공간은 주인공 햄릿의 시각-"덴마크는 감옥이야."(Ⅱ.2.243)-을 상징하며, 또 "행동하지 않는 비극(tragedy of inaction)"을 위한 햄릿의 수동성을 강조한다. 인물들은 크게 두 집안, 왕의 가족과 Polonius의 가족으로 구성되어 있고 극 인물들의 관계는 서로 매우 얽혀 있다. 대사형식으로는 Solo대사가 이 극의 특징이며 언어체로는 소리형으로 無韻詩인 Blankvers를 쓰고 있으며 의미형으로는 그림언어를 쓰고 있다. Shakespeare는 햄릿의 강도 높은 언어를 통해서 그를 심리적으로 여러 층인 인물로 그려내고 있다. 극 행동 전체에는 현실이 연극일 수 있는 ``연극적`` 행위, 즉 허상(Schein)과 실존(Sein)의 대립과 혼재가 드러난다.

      • KCI등재

        『존재와 시간』에서 언어의 기능에 대하여

        야스퍼 립토우 한국하이데거학회 2010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23

        Während die einen in Heideggers Theorie des Zeichens in der sogenannten »Umweltanalyse« von Sein und Zeit ein sprachphilosophisches Indiz für eine pragmatistische Gebrauchstheorie der Bedeutung sehen, betonen die anderen, dass es Praktiken gibt, die auf nicht-sprachliche, nicht-zeichenhafte Weise Bedeutungen konstituieren und so erst Sprache und Sprachen ermöglichen. Gegen die erste Lesart spricht nach Liptow, dass Heidegger zwar ein zeichentheoretischer, aber kein sprachphilosophischer Pragmatist sei. Heidegger habe keine Verbindung zwischen seiner Zeichentheorie und seiner Sprachphilosophie hergestellt und auch gar keine sprachphilosophische Bedeutungstheorie im heutigen Sinne entwickelt. Im Gegenteil habe er Rede und Sprache als Existenzialien, also als Seinsweisen des Daseins betrachtet und sie damit gerade von innerweltlich zuhandenen Zeichen kritisch unterschieden. Gegen die zweite Lesart führt Liptow Argumente an, die zeigen sollen, dass für Heidegger die Rede als »Artikulation der Verständlichkeit« an die Sprache gebunden ist. Das wichtigste dieser Argumente verweist darauf, dass Heidegger ein geteiltes Verständnis unserer gemeinsamen Welt als konstitutiv für unser Dasein betrachtet (Mitsein). Insofern muss die Rede, um ihre Funktion als intersubjektive Gliederung der Welt erfüllen zu können, öffentlich und kommunizierbar, also Sprache werden. Die hermeneutische Vor-Struktur von Verstehen, Auslegung und Rede ist folglich an Sprache gebunden. Wir wachsen zunächst in sie hinein, ohne durch sie ein für allemal bestimmt zu sein. Diese Vor-Struktur ist nach Liptow aber nicht mit einem linguistischen Idealismus zu verwechseln, dem zufolge die Sprache die Gegenstände unseres Verstehens transzendental konstituiert. Gegen eine solche Deutung sieht er Heidegger schon durch dessen direkten Realismus gefeit. 혹자는 『존재와 시간』의 소위 ‘주변세계분석(Umweltanalyse)’에서 나타나는 하이데거의 기호이론 안에서 화용론적인 사용의미론을 위한 언어철학적인 단초를 발견하기도 하고, 혹자는 비언어적이고, 비기호적인 방식으로 의미를 구성하고 난 다음, 비로소 언어와 말함을 가능하게 하는 그런 근원적인 실천이 발견된다고 강조하기도 한다. 첫 번째 독법에 반대하면서 이 논문의 저자인 립토우는 하이데거가 비록 기호이론적인 화용론자이긴 하지만, 언어철학적인 화용론자는 아니라고 말한다. 하이데거는 자신의 기호이론과 자신의 언어철학 사이에 그 어떤 연결도 만들지 않았으며, 결코 오늘날의 언어철학적인 의미이론을 전개한 적도 없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반대로 그는 말(Rede)과 언어를 실존범주로서, 그러니까 현존재의 존재방식으로 고찰했으며, 그것들을 세계 내부적으로 ‘손 안에 있는 기호’로부터 구분하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독법에도 반대하면서 립토우는 하이데거에게서 말이 ‘이해가능성의 분류파악’으로서 ‘언어’에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 분명히 제시되어야 한다고 논증하고 있다. 이 논증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우리의 세계가 서로 공유하고 있는 ‘이해’를 현존재에 구성적인 것으로서 고찰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세계의 상호주관적인 구조로서 자신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말’은 공공적이고 의사소통적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일반적인 의미의 ‘언어’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해와 해석, 그리고말의 해석학적인 선-구조는 이런 식으로 언어와 묶여 있다. ‘의미’는 우선 그러한 선구조 안에서 자라나긴 하지만, 이때 그러한 선구조를 통해 어떤 것이 아주 분명해지는 것은 아니다. 립토우에 따르면 이러한 선-구조는 언어가 우리 이해의 대상을 초월적으로 구성한다는 소위 ‘언어이상주의’와 맞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견해에 반대해 그는 하이데거가 이미 자신의 직접적인 실재론을 통해 자신의 이론을 안전하게 확보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Radical Finitude: Heidegger and the Hermeneutics of the Self

        Kim Su Rasmussen 범한철학회 2015 汎韓哲學 Vol.76 No.1

        This paper analyzes the notion of “care” (Sorge) in Heidegger’s Sein und Zeit (1927). Human beings, according to Heidegger, are fundamentally beings that care for their own existence. The first part of the paper analyzes the textual structure of Sein und Zeit. Subsequently, the paper analyzes the notion of care as a description of the most fundamental existential structure of human beings. Finally, in the third part, the paper focuses on a particular yet extremely important feature of care, namely its structural relationship to its own end, its finitude, its death. This is what Heidegger calls “Being-towards-Death” (Sein-zum-Tode). In the conclusion, the paper broadens the perspective and briefly compares Heidegger’s notion of care with some of the alternative visions of human beings in modern philosophy.

      • KCI등재

        일반논문 : 존재와 시간에 대한 하이데거의 견해에 나타난 현대성

        김종대 ( Jongdae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5 글로벌정치연구 Vol.8 No.1

        본고에서는 비록 정치적 편견에 사로잡힌 현대 사상가로 비판 받고 있지만, 하이데거가 남긴 글의 영향력과 그가 보여 준 현대성에 관한 사유로 인해 그의 저술들 가운데 “존재와 시간”를 중심으로 현대성의 사유란 무엇인지 접근해본다. 존재자와 존재를 구분한 후 그가운데 존재의 문제에 사로잡힌 하이데거 사상의 현대적 특성을 이해해본다. 존재와 시간의 문제는 그의 다른 저술 “시간과 존재”, “현상학의 근본문제들” 등에서도 다뤄질 정도로 하이데거 사상의 근본을 이룬다. 본고에서 다룰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에 나타난 현대성에 대한 테마는 ‘지금-시간 Jetzt-Zeit’으로서 ‘세계 시간 Weltzeit’이다. 시간을 논하면서 인간 중심적으로 주관주의적 인식론에 빠져들지 않고, 대지가 있는 곳이면 그 어느 곳이든 생명이 자리 잡고 있는 현상을 현-존재 Da-sein으로 설명하는 하이데거의 입장을 분석해본다. 특히 지금-시간과 세계 시간의 연관성을 강조한 하이데거의 사유를 역사성의 관점에서 분석해본다. 본고에서는 선행연구들에서 충분히 논의되지 못한, 지금 시간으로서 세계 시간에 반영된 하이데거의 역사 이해와 역사 그 자체(an sich)의 관계를 현대성의 관점에서 살펴볼 것이다. Although Heidegger is criticised as a modern thinker who is preoccupied with a political prejudice, due to not only the influence of writing that he left behind but also the thinking about the modernity that he showed, this paper, focusing on "existence and time" among his books, explores what the thought of modernity is. After dividing being and a being, this paper deals with the modern characteristic of Heidegger`s thought preoccupied with the matter of existence. The matter of "existence and time" forms the foundation of Heidegger`s thought to the extent that it is dealt with in the other books like "time and existence", "the fundamental problems of phenomenology”, etc. The theme that is dealt with in this paper, ``The modernity shown in the Heidegger`` viewpoint about existence and time``, is ``Weltzeit(World time) as ``Jetzt-Zeit(Now-Time)`` This paper analyzes the Heidegger`s position that, instead of not indulging in the subjective cognition in discussing time, explains the phenomena that wherever here there is land, life takes its place, as a Da-sein(present-existence). Especially, this paper, in the historical viewpoint, analyzes Heidegger`s thinking that emphasizes Now-Time and the connection of the world time. This paper, in the viewpoint of modernity, will dig into Heidegger`s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the history itself(an sich) that was reflected in ``Weltzeit(World time) as ``Jetzt-Zeit(Now-Time)`` that has not enough been discussed in the preceding studies.

      • KCI등재

        신앙체험과 현상학적 해석학

        김인석(In-Suk Kim) 한국현상학회 2010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6 No.-

        하이데거는 초기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사강사 시기에 종교현상학에 관한 강의들을 하였다. 이 강의들은 사도 바울, 성 아우구스티누스와 루터로부터 근원적인 그리스도인의 삶의 체험을 현상학적으로 개시하기를 지향한다. 하이데거는 이럼으로써 의식을 반성적으로 객체화하는 후설이나 삶을 객체화하는 딜타이가 파악하지 못했던 현사실적 삶을 파악하려 한다.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에서 시간적-현사실적 삶의 존재방식을 개시시킴으로써 존재 일반의 의미에 접근하려고 한다. 이러한 시도는 형이상학적 신의 존재론(유신론)이 아닌 형식지시적-방법적 무-신론적인 입장을 지향한다. 이 무-신론적 방법은 철학의 고유한 학문성(로고스)이다. 이것은 그리스도교적 신앙으로 부르고 신앙을 보존하고자하는 하이데거 나름대로의 사유동기에 의해 추진된다. 하지만 이 시도가 과연 참된 신앙적 감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M.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에서 ‘존재론적-실존론적 해석’의 의미와 적용에 대한 연구 : 죽음, 양심, 탓이있음, 결단성, 그리고 앞서달려가보는 결단성 분석을 중심으로

        이관표 한국하이데거학회 2020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59

        This thesis deals with Martin Heidegger's methodology in Being and Time. It focuses on ontological-existential interpretation as a methodology that proves (Nachweis) the origins from the ‘Seinsverfassung of Dasein.’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this interpretation and the process of it’s application in the analysis of ‘Death’, ‘conscience’, ‘guilty’, ‘resoluteness’ and ‘anticipatory resoluteness’, who play the important roles in Being and Time. Through this discussion, this study clarifies that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which is known to be difficult, is in fact unified and explicit in the ontological-existential interpretation. The thesis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2, the contents of Basic Ontology as a phenomenological-heterologous methodology are reviewed, and in Chapter 3, the contents of In-Being and the Analysis of Existence are classified briefly. Chapter 4 formalizes the meaning of the original interpretation, i.e, the ontological-existential interpretation performed on the basis of Seinsverfassung. In Chapter 5, the contents of Being and Time are described in the order of ‘Death’, ‘conscience’, ‘guilty’, ‘resoluteness’ and ‘anticipatory resoluteness.’ Finally Chapter 6 summarizes the text and presents the significance of the given interpretation. 본 논문은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의 주저 『존재와 시간』의 방법론을 다룬다. 여기서 초점을 맞추어 해명되는 사항은 “현존재의 존재구성틀에서부터 근원을 입증(Nachweis)”하는 방법론으로서의 ‘존재론적-실존론적(ontologisch-existenziale) 해석’이며, 특별히 이 해석의 의미 및 적용의 과정을 『존재와 시간』 제 2편 1-3장의 핵심개념인 죽음, 양심, 탓이있음, 결단성, 그리고 앞서달려가보는 결단성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통해 지금까지 난해하다고 알려졌던 제 2편 1-3장의 현상학적 분석이 ‘존재론적-실존론적’ 해석 안에서, 다시 말해 현존재의 존재구성틀(존재계기, 염려의 구조 등)을 통과시키는 해석방법 안에서 통일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논문의 전개순서는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현상학적-해석학적 방법론으로서의 기초존재론의 내용과 더불어 3장에서는 현존재 분석론의 내용인 내-존재의 내용, 즉 현존재의 존재구성틀이 요약적으로 분류된다. 그 이후 4장은 현존재의 존재구성틀을 기준으로 수행되는 근원적 해석, 즉 ‘존재론적-실존론적’ 해석의 의미를 정식화하고, 5장에서는 이 해석이 적용되는 『존재와 시간』 제 2편 1-3장의 내용이 죽음, 양심, 탓이있음, 결단성, 앞서달려가보는 결단성의 순서로 기술된다. 마지막 6장 나가는 말에서는 글을 요약하고, 이 해석의 방법론이 가지는 의의와 향후연구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

        연구윤리적 실천종교로서의 대승불교 일반이 갖는 사상적 난점과 그에 대한 해명 - 하이데거의 존재론을 통한 접근 -

        송진섭 한국불교학회 2011 韓國佛敎學 Vol.60 No.-

        This study was carried out aiming to set forth a reasonable counterargument to a series of critiques which have pounded on ethical practice theory of Mahayana Buddhism over a long period of time by examining these critiques, and by reviewing ideological singularity being carried in Buddhist philosophy in general. It has been considered that Buddhist philosophy has a way of emphasizing ethical practice. As irony would have it, however, the greatest critique that Buddhist philosophy has in the past history is the topic that related to ethical issue.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is to elicit the cause of such a historical phenomenon from existential thinking that Buddhist philosophy in general basically possesses, and the counterargument thereto as well, which is crucial in this study,is to be presented on the basis of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such Buddhist philosophy. In case that the above works are carried out successfully, we can formulate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Buddhist philosophy in general commonly possesses in the definite form. Based upon this formulation, therefore, we can make a counter argument to a series of critiques, which have risen over a long period of time, in a conclusive style. Moreover, along with the results therefrom, we will be able to carefully study how the specific system which is treated importantly in this study among the ethical practice theories provided by Mahayana Buddhism can be justified as a kind of ethical theory. 본 연구는 오랜 세월에 걸쳐 대승불교의 윤리적 실천 이론에 가해진 일군의 비판들을 검토하고, 불교사상 일반이 지니고 있는 사상적 특이점을 재조명함으로써 그에 대한 합리적인 반론을 제기하려는 목적에 따라 수행되었다. 불교사상은 흔히 윤리적 실천을 강조하는 것으로 여겨지곤 하는데, 공교롭게도 지난 역사 속에서 불교사상이 마주했던 가장 큰 비판 역시 윤리적인 문제에 관한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와 같은 역사적 현상의 원인을 불교사상 일반이 근본적으로 지니고 있는 실존론적 사고로부터 도출하며, 관건이 되는 비판들에 대한 반론 역시 그러한 불교사상의 근본적 특징에 기반을 두어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이 성공적으로 수행될 경우 우리는 불교사상 일반이 공통적으로 지니는 사상적 특징을 명확한 형태로 정식화할 수 있을 것이며, 그로써 오랜 세월에 걸쳐 제기된 일군의 비판에 대하여 확정적인 형태의 반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대승불교에서 제시하는 윤리적 실천 이론 가운데, 본 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특수한 체계가 일종의 윤리이론으로서 어떻게 정당화 될 수 있는지도 함께 검토해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