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ET/CT SUV Ratios in an Anthropomorphic Torso Phantom

        연준호(Joon-Ho Yeon),홍건철(Gun-Chul Hong),강병현(Byung-Hyun Kang),신예지(Ye-Ji Sin),오욱진(Uk-Jin Oh),윤혜란(Hye-Ran Yoon),홍성종(Seong-Jong Hong) 한국방사선학회 2020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4 No.1

        표준섭취계수(SUV) PET과 영상 재구성 방법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삼성 서울병원 핵의학과에 설치된 GE사의 Discovery MIDR와 Discovery Ste의 영상 재구성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의인화몸통팬텀 내의 심장, 간과 배경영역에서 표준섭취계수를 측정하여 실제 SUV와 비교하였다. 영상 재구성 알고리즘은 MIDR에서는 VPFX-S (TOF+PSF), QCFX-S-350 (Q.Clear+TOF+PSF), QCFX-S-50와 VPHD-S (OSEM+PSF), Ste에서는 VUE Point (OSEM)와 FORE-FBP를 사용하였다. 방사선사의 방사선 피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소량의 ¹⁸F-FDG 선원을 물과 혼합하였다: 52.5 ml 심장에는 2.28 MBq, 1,290 ml 간에는 20.3 MBq와 9,590 ml 배경영역에는 45.7 MBq을 주입하였다. 심장에서의 표준섭취계수는 MIDR의 VPFX-S, QCFX-S-350, QCFX-S-50, VPHD-S와 Ste의 VUE Point (OSEM)와 FOR-FBP 알고리즘에서 각각 27.1, 28.0, 27.1, 26.5, 8.0와 7.4 이었으며, 기대치는 5.9이었다. 배경역역에서는 4.2, 4.1, 4.2, 4.1, 1.1와 1.2 이었으며, 기대치는 0.8이었다. 각 영역에서 표준섭취계수는 PET과 알고리즘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었지만, 심장과 배경영역의 SUV 비율은 비교적 일정하여 6개 영상 재구성 알고리즘에 대하여 6.5, 6.8, 6.5, 6.5, 7.3와 6.2 이었으며 기대치는 7.8이었다. 심장에서의 평균 신호 대 잡음비(SNR)는 각각 6개 알고리즘에 대하여 8.3, 12.8, 8.3, 8.4, 17.2와 16.6이었다. 결론적으로 PET 성능 평가는 각 영역에서의 절댓값 보다는 두 영역 사이의 SUV 비율이 적절하며, 비교적 소량의 방사능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The standard uptake values (SUVs) strongly depend on positron emission tomographs (PETs) and image reconstruction methods. Various image reconstruction algorithms in GE Discovery MIDR (DMIDR) and Discovery Ste (DSte) installed at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Samsung Medical Center were applied to measure the SUVs in an anthropomorphic torso phantom. The measured SUVs in the heart, liver, and background were compared to the actual SUVs. Applied image reconstruction algorithms were VPFX-S (TOF+PSF), QCFX-S-350 (Q.Clear+TOF+PSF), QCFX-S-50, VPHD-S (OSEM+PSF) for DMIDR, and VUE Point (OSEM) and FORE-FBP for DSte. To reduce the radiation exposure to radiation technologists, only the small amount of radiation source ¹⁸F-FDG was mixed with the distilled water: 2.28 MBq in the 52.5 ml heart, 20.3 MBq in the 1,290 ml liver and 45.7 MBq for the 9,590 ml in the background region. SUV values in the heart with the algorithms of VPFX-S, QCFX-S-350, QCFX-S-50, VPHD-S, VUE Point, and FOR-FBP were 27.1, 28.0, 27.1, 26.5, 8.0, and 7.4 with the expected SUV of 5.9, and in the background 4.2, 4.1, 4.2, 4.1, 1.1, and 1.2 with the expected SUV of 0.8, respectively. Although the SUVs in each region were different for the six reconstruction algorithms in two PET/CTs, the SUV ratios between heart and background were found to be relatively consistent; 6.5, 6.8, 6.5, 6.5, 7.3, and 6.2 for the six reconstruction algorithms with the expected ratio of 7.8, respectively. Mean SNRs (Signal to Noise Ratios) in the heart were 8.3, 12.8, 8.3, 8.4, 17.2, and 16.6,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performance of PETs may be checked by using with the SUV ratios between two regions and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radioactivity.

      • KCI등재

        세계 SUV 브랜드 차량 디자인의 영향요인 분석

        왕진흥(Wang, Zhen Xing),김원섭(Kim, Won Sup)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0 No.-

        연구배경 21세기 들어서 세계 자동차 산업은 대규모의 합병으로 인한 대형 글로벌 기업의 탄생과 더불어 국제화되는 환경적 영향 속에서 커다란 진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 진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소비자의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한 세계 자동차 시장의 치열한 경쟁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SUV가 자동차 판매량에서 다른 차종에 비해 지속적으로 가파른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대형 자동차 제조사들에서도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SUV를 중요한 전략 상품으로 내세우고 있다. 반면, 차량 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디자인 환경을 분석하고 소비자들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한 리서치가 타 소비재 산업 비해 부족하다. SUV 디자인 역시 다양한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해 본 연구가 드물다. 따라서 자동차 디자이너들이 소비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외부 영향 요인들을 SUV 스타일링에 반영하는데도 미숙한 실정이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세계 주요 자동차 시장인 북미, 유럽, 아시아 지역의 가장 대표적인 SUV 브랜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고, 2차 세계대전을 전·후로 하여 현재까지 시대적 진화에 따라 사회적 요인, 기능적 요인, 기술적 요인이 SUV 사양과 디자인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설정했다. 관련 자료는 학술 논문, 잡지, 저서와 인터넷 자료를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Jeep, Land rover, 쌍용 브랜드에 대해 SUV 제작 초기부터 현재까지 사회적인 이슈를 중심으로 4~5개의 시대로 구분하고 각 시대별로 SUV 산업과 디자인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주로 사회성, 사용성, 기술성의 관점에서 정리?분석하였고 대표적인 모델의 기술적 사양과 형태를 분석하였다. 초기 SUV 디자인은 전쟁 상황에 적합한 기능적인 도구로 유연성과 기동성이 강한 운송 수단이었다. 이후 SUV는 전쟁 후 도시 재건과 농업 생산에 필요한 기능을 반영한 모델 위주로 개발되었다. 사회 안정과 함께 각 SUV 브랜드는 20세기 말까지 고유 스타일링을 개발해 왔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술의 융합과 공유가 이루어지고 자원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SUV 디자인 또한 글로벌 기업들 간의 자원공유 개념을 통해 과학기술의 융합, 에너지 절약, 환경 보호 등을 지향하는 친환경적 디자인으로 진화해가고 있다. 오늘날의 SUV 디자인은 다른 자동차들과 마찬가지로 기술적 요인보다는 소비재 디자인에 필요한 사용성과 사회성 이라는 요소에 관심을 더욱 기울이고 있다. 결론 역사를 통해 세계적으로 대표적인 SUV 브랜드의 시장을 분석한 결과 서로 다른 지역적 환경 속에서도 전쟁과 오일쇼크라는 전 세계적인 사건 등으로 유사한 발전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시대와 지역에 따른 사회적, 기술적, 사용적 요인은 고유한 독자적인 브랜드 문화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향후 SUV 산업에서 기업들 간의 자원공유를 통한 글로벌 협력과 이에 따른 다양한 기술의 융합, 에너지절약과 환경보호, 개성화를 반영하는 현재의 디자인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Background With the advent of the 21th century, the global automobile industry has become faced with great changes amid environmental effects of internationalization together with the birth of big global companies resulting from large scale mergers. One of causes for such change is fierce competition in the global automobile market to satisfy consumers" needs. Recently, sales amount of sport utility vehicles (SUVs) are steadily and rapidly on the rise compared to other types of cars and large automobile manufacturers are putting up SUVs as important strategic goods as if reflecting such trend. On the other hand, research to analyze design environment and figure out consumers" needs in the area of vehicle design is lacking compared to other commodity industries. Research which systematically approached SUV design from diverse perspectives is also rare. Therefore, car designers are poor in reflecting diverse external influential factors which affect commodities to SUV styling. Methods This paper involved most representative SUV brands in North America, Europe, and Asia, which are major car market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social, functional, and technological factors on SUV specifications and designs according to temporal changes from before and after the second world war to the present. Releva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cademic papers, magazines, books, and Internet data. Results This study divided the periods spanning from the early stage of SUV production to the present into four to five periods with Jeep, Land rover, and Ssangyong brand as the subjects and analyzed the factors which affected SUV industry and design by each era in terms of sociability, usability, and technology and analyzed technical dimensions and shapes of representative models. The SUV design in the early stage was a transport means with flexibility and mobility as a functional tool appropriate for a war situation. Thereafter, SUV reflected functions necessary for reconstruction and agricultural production. Together with social stability, each SUV brand had developed unique styling until the end of 20th century. Recently, as technological convergence and sharing are made globally and the problem of resource becomes serious, SUV design is evolving into eco-friendly design oriented toward convergence of scientific technologies, energy saving,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Today"s SUV design pays more attention to usability and sociability necessary for commodity design than technological factors. Conclusion According to analysis of global representative SUV brand markets throughout the history, they show similar developmental process due to the global events such as wars and oil shocks. On the other hand, social, technological, use factors are affecting unique, independent brand culture formation. In the future SUV industry, the current design trend reflecting global collaboration through resource sharing among companies and the resulting convergence of diverse technologies, energy saving,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individuation is expected to continue for the time being.

      • PET/CT 검사에서 확대된 표시시야가 표준섭취계수에 미치는 영향 평가

        곽인석,이혁,최성욱,석재동,Kwak, In-Suk,Lee, Hyuk,Choi, Sung-Wook,Seok, Jae-Dong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1 핵의학 기술 Vol.15 No.2

        PET/CT 검사에서 제한적인 CT (Computed Tomography)의 FOV (Field of View)는 PET 영상의 DFOV (Display FOV) 바깥부위에서 영상 잘림 현상 (truncation artifact)에 의한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재구성 시 확대된 DFOV를 적용함에 따라 PET영상에서 표준섭취계수 (Standardization Uptake Value, SUV)의 차이를 측정하여 영상에 미치는 정도를 비교 평가하고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5.3 kBq/mL의 $^{18}F$(FDG)를 주입한 NEMA 1994 PET 모형을 FOV의 중앙에 위치하고 영상을 획득하고, 동일모형을 FOV의 바깥부분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truncation 현상이 발생하도록 한 뒤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영상을 획득하였다. 각 실험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는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여 영상을 재구성 하였으며, DFOV는 50 cm와 70 cm로 변경하여 각각 적용하였다. 그리고 방출영상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최대섭취계수($_{max}SUV$)를 비교 하였으며 육안적인 이상유무도 함께 확인하였다. 임상영상은 모형실험에서와 같이 truncation 현상이 발생한 환자군을 선정한 후 해당 환자의 방출영상에서 간(Liver) 부위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모형실험에서와 같이 영상 재구성 시 DFOV 변화에 따른 표준섭취계수의 차이를 비교 하였다. 모형을 FOV 내 중심에 위치시키고 시행한 실험에서 DFOV 증가에 따라 화소의 크기는 3.91 mm에서 5.47 mm로 증가하였고, 관심영역의 $_{max}SUV$는 각각 1.49에서 1.35로 나타나 확대된 DFOV 적용시 9.39%의 감소를 보였다. 모형을 FOV의 바깥부분으로 이동시킨 후 얻은 영상의 경우 $_{max}SUV$가 1.30에서 1.20로 7.69% 감소하였다. DFOV 확대로 인하여 추가적으로 나타난 부위에서의 $_{max}SUV$는 1.51이었고, truncation 현상이 발생한 부위를 기준으로 안쪽과 바깥쪽 부위의 $_{max}SUV$차이는 25.9%로 바깥쪽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임상영상의 확대된 DFOV를 적용한 경우 $_{max}SUV$ 3.38에서 3.13으로 7.39% 감소하였다. 확대된 DFOV를 적용할 경우에서의 $_{max}SUV$ 감소 현상은 화소 크기의 증가로 인해 화소 간 잡음 (Pixel to Pixel Noise)이 낮아져 발생하는 저평가 정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았으며 확대된 부위의 영상에서 육안적 확인 시 선형인공산물 등의 이상이 발견되지 않아 truncation 현상 없는 영상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는 임상적 적용이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환자에게 확대된 DFOV를 적용할 경우에는 영상면 전체에서 정량적 결과가 저평가 되는 것을 감안하여야 하며, 특히 확대되어 추가로 나타난 부위에서의 정량적 결과가 높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limited FOV(Field of View) of CT (Computed Tomography) can cause truncation artifact at external DFOV (Display Field of View) in PET/CT image. In our study, we measured the difference of SUV and compared the influence affecting to the image reconstructed with the extended DFOV. Materials and Methods: NEMA 1994 PET Phantom was filled with $^{18}F$(FDG) of 5.3 kBq/mL and placed at the center of FOV. Phantom images were acquired through emission scan. Shift the phantom's location to the external edge of DFOV and images were acquired with same method. All of acquired data through each experiment were reconstructed with same method, DFOV was applied 50 cm and 70 cm respectively. Then ROI was set up on the emission image, performed the comparative analysis SUV. In the clinical test, patient group shown truncation artifact was selected. ROI was set up at the liver of patient's image and performed the comparative analysis SUV according to the change of DFOV. Results: The pixel size was increase from 3.91 mm to 5.47 mm according to the DFOV increment in the centered location phantom study. When extended DFOV was applied, $_{max}SUV$ of ROI was decreased from 1.49 to 1.35. In case of shifted the center of phantom location study, $_{max}SUV$ was decreased from 1.30 to 1.20. The $_{max}SUV$ was 1.51 at the truncated region in the extended DFOV. The difference of the $_{max}SUV$ was 25.9% higher at the outside of the truncated region than inside. When the extended DFOV was applied, $_{max}SUV$ was decreased from 3.38 to 3.13. Conclusion: When the extended DFOV was applied, $_{max}SUV$ decreasing phenomenon can cause pixel to pixel noise by increasing of pixel size. In this reason, $_{max}SUV$ was underestimated.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the underestimation of quantitative result in the whole image plane in case of patient study applied extended DFOV protocol. Consequently, the result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may show more higher than inside at the truncated region.

      • PET/CT 검사에서 매개변수 입력오류에 따른 표준섭취계수 평가

        김지아,홍건철,이혁,최성욱,Kim, Jia,Hong, Gun Chul,Lee, Hyeok,Choi, Seong Wook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4 핵의학 기술 Vol.18 No.1

        PET/CT검사에서 표준섭취계수(standardized uptake value, SUV)는 병소의 악성 여부를 판별하는 지표로서 인체내 각 장기의 생리적인 변화에 대한 정량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그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매개변수를 올바르게 입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그 매개변수 중 방사능량, 체중, 방사성 동위원소 섭취시간의 입력오류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측정하여 수용 가능한 결과의 오차범위를 평가하고자 한다. 1994 NEMA 모형 내부에 열소, 테프론, 그리고 공기 3개의 삽입물을 위치시켰다. 총 27.3 MBq의 $^{18}F$를 열소와 배후 방사능 비율이 4:1로 되도록 채우고 GE Discovery STE 16(GE Healthcare, Milwaukee, USA)로 촬영하였다. 촬영 후 입력된 방사능량, 체중, 섭취 시간의 값을 기준 값에서 ${\pm}5%$, 10%, 15%, 30%, 50% 만큼 오차를 발생시킨 후 영상을 다시 재구성하였다. 재구성된 영상에서 각 삽입물 부위에 한 개, 배후방사능 부위에 총 네 개의 관심영역을 그린 후 $SUV_{mean}$과 백분율오차를 측정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기준 영상의 열소, 테프론 그리고 공기와 배후방사능에서의 $SUV_{mean}$은 각각 4.5, 0.02, 0.1 그리고 1.0이였다. 방사능량 오차 변화에 따른 $SUV_{mean}$의 최대값과 최소값은 열소에서 9.0, 3.0, 테프론에서 0.04, 0.01, 공기에서 0.3, 0.1, 배후 방사능에서 2.0, 0.6로 변화된 값을 보였다. 이 때 백분율오차는 모두 동일하게 최대 100%에서 최소 -33%로 나타났다. 체중 오차 변화의 경우 열소에서 2.2, 6.7, 테프론에서 0.01, 0.03, 공기에서 0.09. 0.28, 배후방사능에서 0.5, 1.5로 변화된 값을 보였다. 이 때 백분율오차는 테프론의 최소 -50%, 최대 52%를 제외하고 모두 최소 -50%에서 최대 50% 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섭취시간 오차의 경우 열소에서 3.8, 5.3, 테프론에서 0.01, 0.02, 공기에서 0.1, 0.2, 배후방사능에서 0.8에서 1.2로 변화된 값을 보였다. 백분율오차는 열소와 배후방사능은 최소 -14%에서 최대 17%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테프론의 경우 최소 -11%에서 최대 21%, 공기의 경우 최소 -12%에서 최대 20%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수용 가능한 오차의 범위를 5%로 설정할 경우, 본 실험 결과에서 방사능량과 체중의 오차가 ${\pm}5%$ 이내 일 때 $SUV_{mean}$의 오차가 5% 범위에 포함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고려해 볼 때 검사장비에 입력되는 방사능량과 체중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선량검량계와 체중계의 검교정은 오차범위 5% 이내로 이루어져야 한다. 섭취 시간의 경우 삽입물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오차 범위를 보였으며 열소와 배후방사능에서 오차가 ${\pm}15%$ 이내일 때 $SUV_{mean}$에 5% 내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검사 시 촬영용 스캐너를 포함하여 두 개 이상의 시계를 사용할 경우 각각의 시간 오차들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In the PET/CT images, The SUV (standardized uptake value) enables the quantitative assessment according to the biological changes of organs as the index of distinction whether lesion is malignant or not. Therefore, It is too important to enter parameters correctly that affect to the SUV.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 allowable error range of SUV as measuring the difference of results according to input errors of Activity, Weight, uptake Time among the parameters. Materials and Methods: Three inserts, Hot, Teflon and Air, were situated in the 1994 NEMA Phantom. Phantom was filled with 27.3 MBq/mL of 18F-FDG. The ratio of hotspot area activity to background area activity was regulated as 4:1. After scanning, Image was re-reconstructed after incurring input errors in Activity, Weight, uptake Time parameters as ${\pm}5%$, 10%, 15%, 30%, 50% from original data. ROIs (region of interests) were set one in the each insert areas and four in the background areas. $SUV_{mean}$ and percentage difference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in each areas. Results: $SUV_{mean}$ of Hot. Teflon, Air and BKG (Background) areas of original images were 4.5, 0.02. 0.1 and 1.0. The min and max value of $SUV_{mean}$ according to change of Activity error were 3.0 and 9.0 in Hot, 0.01 and 0.04 in Teflon, 0.1 and 0.3 in Air, 0.6 and 2.0 in BKG areas. And percentage differences were equally from -33% to 100%. In case of Weight error showed $SUV_{mean}$ as 2.2 and 6.7 in Hot, 0.01 and 0.03 in Tefron, 0.09 and 0.28 in Air, 0.5 and 1.5 in BKG areas. And percentage differences were equally from -50% to 50% except Teflon area's percentage deference that was from -50% to 52%. In case of uptake Time error showed $SUV_{mean}$ as 3.8 and 5.3 in Hot, 0.01 and 0.02 in Teflon, 0.1 and 0.2 in Air, 0.8 and 1.2 in BKG areas. And percentage differences were equally from 17% to -14% in Hot and BKG areas. Teflon area's percentage difference was from -50% to 52% and Air area's one was from -12% to 20%. Conclusion: As shown in the results, It was applied within ${\pm}5%$ of Activity and Weight errors if the allowable error range was configured within 5%. So, The calibration of dose calibrator and weighing machine has to conduct within ${\pm}5%$ error range because they can affect to Activity and Weight rates. In case of Time error, it showed separate error ranges according to the type of inserts. It showed within 5% error when Hot and BKG areas error were within ${\pm}15%$. So we have to consider each time errors if we use more than two clocks included scanner's one during the examinations.

      • SCOPUSKCI등재

        F - 18 - FDG 감쇠보정 전신 PET을 이용한 표준섭취계수 추정과 매개변수 영상의 구성

        고창순(Chang Soon Koh),이명철(Myung Chul Lee),정준기(June Key Chung),이동수(Dong Soo Lee),김영진(Yong Jin Kim),김경민(Kyeong Min Kim),정재민(Jae Min Jeong),곽철은(Cheol Eun Kwark) 대한핵의학회 1996 핵의학 분자영상 Vol.30 No.4

        N/A Background and Purpose: Standardized uptake value(SUV) has been used as a quantitative index for differentiating benign and malignant tumors with F-18-FDG PET. In this study, we produced whole body parametric images of SUV(WBPIS) by body weight normalization, and validated the values by comparison with SUV's calculated with regional scans. Subjects and Methods: Whole body scans were followed by regional scans sequentiallly on 23 patients. In whole body study, transmission and emission scans were acquired for 2 minutes and 6 minutes for each bed position, respectively. In regional study, transmission and emission scan were acquired for 20 minutes. Measured and segmented/whole body studies. The effects of attenuation correction on SUVs were evaluated quantitatively using F-18 filled cylindrical phantom. The mean and peak SUVs obtained from WBPIS were compared with SUVs of the regional scans. Results: In phantom studies, with any method of attenuation correction using regional or whole body studies of phantom, SUVs were nearly consistent. In whole body scan, SUV obtained using measured attenuation correction method was a little higher than SUV of regional scan. SUV obtained using segmented/smoothed attenuation correction method as a little lower. In patient studies, WBPIS using segmented/smoothed attenuation correction method was much smoother and more readable. SUVs of WBPIS obtained with both methods of attenuation correction were well correlated with SUVs of regional scans(r=0.9). SUVs of WBPIS with measured attenuation correction method well 5% lower than SUVs of regional scans. SUVs of WBPIS with segmented/smoothed attenuation correction method were 10% lower than SUVs of regional scans. The differences of SUVs of WBPIS by the two attenuation correction methods were relatively small compared with the possible differences derived from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umors.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WBPIS could be useful in the quantification of tumor as well as in localization of whole body lesions, which w

      • PET 검사 시 Reconstructed data와 Re-sliced data의 표준섭취계수와 Metabolic Tumor Volume의 비교 평가

        도용호,이홍재,김진의,Do, Yong Ho,Lee, Hong Jae,Kim, Jin Eui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6 핵의학 기술 Vol.20 No.2

        PET 검사에서 SUV는 암의 원발 부위, 전이여부 파악 및 병기결정, 재발여부 판단에 도움을 주는 지표이다. 특히 항암, 방사선치료 후 효과 판정을 위한 검사 시 이전 검사와의 SUV 비교 평가가 중요시 된다. 그러나 핵의학과 에서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장하드, mini PACS 등의 저장 장치는 데이터 손실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workstation의 reconstructed data (R-D)와 병원 PACS로 전송한 R-D, re-sliced data (S-D) 사이의 SUV를 비교 평가하여 자체 저장장치의 데이터 손실 시 PACS로 전송한 데이터의 사용가능 여부를 확인 하고자 한다. Biograph Truepoint 40, mCT 40, mCT 64, mMR (Siemens, Germany)장비에서 2015년 1월부터 2월까지 $^{18}F-FDG$ PET 검사를 시행한 20명($60.5{\pm}8.3$세)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Workstation의 R-D와 PACS의 R-D, S-D 데이터를 Syngo.via 프로그램으로 전송하여 liver, aorta, tumor 부위의 max SUV($SUV_{max}$), peak SUV ($SUV_{peak}$)와 tumor의 metabolic tumor volume (MTV)를 측정하였다. Workstation과 PACS의 R-D에서 liver, aorta, tumor의 평균 $SUV_{max}$는 $2.95{\pm}0.59$, $2.35{\pm}0.61$, $10.36{\pm}6.15$ 이었고 $SUV_{peak}$는 $2.70{\pm}0.51$, $2.07{\pm}0.43$, $7.67{\pm}3.73$으로 동일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PACS의 S-D는 R-D대비 평균 $SUV_{max}$는 5.18%, 7.22%, 12.11%, $SUV_{peak}$는 2.61%, 3.63%, 10.07%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R-D와 S-D에서 결과 값의 상관계수는 $SUV_{max}$에서 0.99, 0.96, 0.99이었고 $SUV_{peak}$에서 0.99, 0.99, 0.99로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Bland-Altman 분석에서 2표준편차는 $SUV_{max}$에서 0.125, 0.290, 1.864이었고 $SUV_{peak}$에서 0.053, 0.103, 0.826이었다. Tumor의 MTV는 workstation과 PACS의 R-D에서 모두 $14.21{\pm}12.72cm^3$로 동일하였다(p>0.05). PACS의 S-D에서는 R-D 대비 0.12%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R-D와 S-D에서 상관계수는 0.99이었고 Bland-Altman 분석에서 2표준편차는 2.243이였다. 본 논문에서 PACS에 저장된 R-D의 경우 workstation의 R-D와 비교하여 $SUV_{max}$, $SUV_{peak}$, MTV 모두에서 동일한 값을 보였으나 S-D의 경우 상관관계는 높지만 MTV를 제외한 $SUV_{max}$, $SUV_{peak}$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R-D를 안정성 있는 병원 PACS에 저장한다면 자체 저장장치의 데이터 손실 시 이전 PET 데이터와의 비교에서 신뢰성 있는 SUV 분석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Purpose SUV is one of the parameters that assist diagnosis in origin, metastasis and staging of cancer. Specially, it is important to compare SUV before and after chemo or radiation therapy to find out effectiveness of treatment. Storing PET data which has no quantitative change is needed for SUV comparison.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o loss the data in external hard drive or MINIpacs that are managed by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SUV and metabolic tumor volume (MTV) among reconstructed data (R-D) in workstation, R-D and re-sliced data (S-D) in PACS. Materials and Methods Data of 20 patients (aged $60.5{\pm}8.3y$) underwent $^{18}F-FDG$ PET (Biograph truepoint 40, mCT 40, mCT 64, mMR, Siemens) study were analysed. $SUV_{max}$, $SUV_{peak}$ and MTV were measured in liver, aorta and tumor after sending R-D in workstation, R-D and S-D in PACS to syngo.via software. Results R-D of workstation and PACS showed the same value as mean $SUV_{max}$ in liver, aorta and tumor were $2.95{\pm}0.59$, $2.35{\pm}0.61$, $10.36{\pm}6.15$ and $SUV_{peak}$ were $2.70{\pm}0.51$, $2.07{\pm}0.43$, $7.67{\pm}3.73$(p>0.05) respectively. Mean $SUV_{max}$ of S-D in PACS were decreased by 5.18%, 7.22%, 12.11% and $SUV_{peak}$ 2.61%, 3.63%, 10.07%(p<0.05). Correlation between R-D and S-D were $SUV_{max}$ 0.99, 0.96, 0.99 and $SUV_{peak}$ 0.99, 0.99, 0.99. And 2SD in balnd-altman analysis were $SUV_{max}$ 0.125, 0.290, 1.864 and $SUV_{peak}$ 0.053, 0.103, 0.826. MTV of R-D in workstation and PACS show the same value as $14.21{\pm}12.72cm^3$(p>0.05). MTV in PACS was decreased by 0.12% compared to R-D(p>0.05). Correlation and 2SD between R-D and S-D were 0.99 and 2.243. Conclusion $SUV_{max}$, $SUV_{peak}$, MTV showed the same value in both of R-D in workstation and PACS. However, there was statistically difference in $SUV_{max}$, $SUV_{peak}$ of S-D compare to R-D despite of high correlation. It is possible to analyse reliable pre and post SUV if storing R-D in main hospital PACS system.

      • KCI등재

        중국 고유 SUV 디자인 개발의 역사적 고찰

        왕진흥(Wang, Zhen Xing),김원섭(Kim, Won Sup)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3

        세계 자동차 산업의 변화에 따라 중국 자동차 시장은 자동차 소비 중심 대국에서 생산 및 판매 대국으로 변화하고 있다. 중국은 사회 역사 발전의 배경의 특수성으로 인해 해외 기업과의 합자형태와 자체 자본에 의한 형태인 두 가지 기업 유형이 등장하였다. 특히 2001년 중국이 WTO에 가입한 후 중국의 자동차 생산 판매량은 지속적으로 세계 제 1위의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중국의 자동차 산업에서는 세계 시장 경제, 국가 정책에 의해 다양한 변화가 나타났는데, 내부의 요인과 더불어 세계 자동차 산업의 변화에 따른 외부적 영향도 있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고유의 SUV 모델 발전 역사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을 통해 중국 고유 SUV 모델 발전에 있어 디자인의 영향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중국 자체 개발 SUV 모델의 향후 발전에 대해 전망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첫째, 중국 고유 브랜드를 중심으로 기술적, 사회적 이슈 및 영향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 연구논문 및 현지기업 자료를 분석하여 자동차 산업의 역사적 발전, 기업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둘째, 단행본 및 보고서를 중심으로 한 문헌고찰을 통해 사회적 배경, 사용자의 니즈, 기술적인 요인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기술적, 사회적 영향 요소, 사용자의 니즈, 기술적인 요인의 연계성을 통해 중국 고유 SUV발전시킨 요소를 정리하고 파악하였다. 중국 대표 SUV 모델과 브랜드의 역사를 종합해 볼때, 중국 SUV 발전은 세계 자동차 시장의 강력한 영향 하에 국가 정책의 테두리 안에서 국외 기술의 지지를 받아 주로 공무용 개발된 발전 초기 및 성장 단계, 그리고 중저가 민간용 모델이 생산의 중심이 되어 융합적 기술의 관여로 고속 발전 단계에 들어선 현 시기로 이분할 수 있다. 역사적 고찰과 현황 분석으로부터 중국 대표 SUV 브랜드의 고유 모델은 국내⋅외 첨단 융합 기술을 기반으로 국제 자동차 시장 변화의 영향 아래 중저가 민간용 주력 모델 생산에서 점진적으로 고급 민간용 모델 생산 증가 추이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China’s automotive landscape, in line with rapid changes seen in the global automotive industry, is deeply transforming its shape from consumption dominant market to manufacturing and sales centered market. As a result of distinct characteristics of China’s social and historical development, over the years two forms of automotive company have emerged in China: one being Chinese-multinational joint ventures and the other, local automakers that started with their own capital. After China’s entry into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in 2001, China’s automotive sales volume has maintained first place in the world for consecutive years. Over the years of this transformation, China’s automotive market has been influenced by both internal factors such as domestic policies as well as external elements concerned with significant changes of the global automobile industry.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deeper insight to the growth of domestically developed SUV models in China. This paper extends the research focus to analyzing the design elements tha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domestic SUV models. With the finding, this paper expects to prospect the potential growth and development of domestically produced SUV models in China (in the future to come). The method of research for study In the center of chinese domestic brand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autoative industry, business condition was investigated to identify the historical, social issues and the impact elements.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alyze the social background, the user"s needs, technological factors. This study organize and figure out the impact elements to the growth of domestically developed SUV models in China from the linkage of derived technical, social impact factor, user"s needs, technical elements. Taking into account both research on the Chinese representative SUV model and the brand history, it can be said that the Chinese SUV growth experienced two stages of development: the first stage being the early and growth stage, where SUVs were developed for civil purposes with the support of foreign technology within the outline of national policies under the larger influence of the changes in the global automotive industry and the second stage, which is the current stage showing high-speed growth, where SUVs are mainly aimed at China’s masses at an affordableprice, which these SUVs include convergence technology. Studying historical background and current status of the SUV market in China,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gradual increase in tailoring Chinese SUV models to affluent Chinese private drivers with advanced convergence technologies from China and the outside world.

      • 장비에 따른 SUV의 차이와 이에 관한 고찰

        김태엽,임정진,이홍재,김현주,김중현,이재성,Kim, Tae-Yeob,Lim, Jung-Jin,Lee, Hong-Jae,Kim, Hyun-Joo,Kim, Joong-Hyun,Lee, Jae-Sung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1 핵의학 기술 Vol.15 No.1

        표준섭취계수(Standard Uptake Value, SUV)는 PET 검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 그러나 이는 장비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실제의 SUV와 장비에 따른 SUV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을 위해 사용된 PET scanner는 본원과 보라매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Biograph True Point True V 40 (Siemens, USA), Gemini Dual (Philips, USA), Gemini TF 64 (Philips, USA) 총 3대로 이루어져 있다. SUV를 평가하기 위한 phantom은 NEMA PET phantom (Data Spectrum co., USA)이고 내부에 3개의 hot insert를 포함하고 있으며 총 중량은 6.8kg으로 phantom과 물의 중량을 합친 무게이다. 방사성동위원소는 $^{18}F$-FDG 25.9 MBq (0.7 mCi)와 29.6 MBq (0.8 mCi)을 사용하였고 스캔은 두 번으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25.9 MBq (0.7 mCi)은 background에 3.7 MBq (0.1 mCi), insert 1에 3.7 MBq (0.1 mCi), insert 2에 7.4 MBq (0.2 mCi), insert 3에 11.1 MBq (0.3 mCi)이 주입되었고 29.6 MBq (0.8 mCi)은 background에 1.85 MBq (0.05 mCi), insert 1에 7.4 MBq (0.2 mCi), insert 2에 9.25 MBq (0.25 mCi), insert 3에 11.1 MBq (0.3 mCi)이 주입되었다. Uptake time은 20분이고 2 bed scan을 하였으며 bed 당 3분의 영상획득이 이루어졌다. 두 번의 실험 모두 실제의 SUV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방사능량이 소량일 경우에는 그 차이가 미미했으나 방사능량이 증가할수록 그 차이는 점점 벌어졌다. 하지만 그 차이 또한 크지는 않았다. 장비 별 차이를 백분율로 환산하면 Biograph의 경우 87.2%, Gemini Dual은 91.2%, Gemini TF 64는 85.9%로 나타났으며 이는 실제의 값에 유의하다. 장비 별로 분류해보면 Biograph와 Gemini Dual은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었고 다만 Gemini TF 64에서만 두 장비보다 낮게 나타났다. 실험 결과 장비 별로 SUV의 차이는 있으나 그 차이가 실제의 값에 유의하였다. SUV가 차이가 나는 이유는 장비 별 재원의 차이와 재구성 방법, 제조사 별 SUV 함수식에서 기원이 되는 것으로 파악되며 소량의 방사능량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방사능량이 증가할수록 차이가 커지는 것으로 보아 이 점에서의 추후 고찰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SUV is a widely used semi-quantitative index in PET for the estimation of radio-tracer accumulation in VOI. In this study, SUVs from three different PET/CT scanners were assessed, and differences between SUVs were evaluated. Materials and Methods: The PET/CT scanners which were assessed in this study were GEMINI, GEMINI TF 64 (Philips) and Biograph True Point True V 40 (Siemens). The NEMA PET phantom (Data Spectrum Corp., USA) was used to evaluate SUVs. The NEMA PET phantom has6.8 kg weight and three hot inserts. Two different activity distributions for the background and inserts were tested. The activity ratio were 3.7:3.7:7.4:11.1 MBq (1:1:2:3) and 1.85:7.4:9.25:11.1MBq (1:4:5:6) for each of background, insert 1, insert 2 and insert 3. Acquisition time was 2 minutes per bed position and NEMA PET phantom could be covered by two bed positions for all PET/CT scanners. The SUVs from each PET/CT scanner were compared with calculated true value. Results: For both activity ratios, all scanners showed similar results.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scanner were insignificant. Each scanner showed 91.2%, 85.9% and 87.2% of true SUV for GEMINI, GEMINI TF 64, Biograph True Point TrueV, respectively. Conclusion: For all scanners, SUVs were slightly lower than true value.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scanners was insignificant. The SUVs from these scanners would be clinically meaningful if their consistent underestimation is kept in mind.

      • KCI등재

        ZMET을 이용한 국내 소형 SUV 디자인 이미지 평가

        강현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1

        2019년 SUV의 경이적인 판매량으로 내수판매 시장에서 세단을 추월하였고 세계 SUV의 강세는 향후 지속적 으로 전망한다. 국내 K-기업은 SUV 시장에서 소형 SUV를 공격적으로 출시하면서 선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단순한 라인업으로 SUV의 존재가 아닌 브랜드 이미지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이를 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국내 소형 SUV 디자인 이미지 평가를 통해 소형 SUV의 잠재고객과 구매자의 구매의사 결정은 SUV 모델의 기능적 속 성 보다는 감성적 특성과 브랜드의 상징성 그리고 이미지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최종 소비자의 구매 심리에 대한 잠재의식을 은유추출기법을 통해 고객들이 니즈에 맞는 소형 SUV 디자인 이미지 평가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국내 완성차 소형 SUV 디자인 이미지로 구매의도를 갖거나 구매를 하는 소비자들이 연계성을 갖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비자가 이미지를 느끼며 표현함에서 일차적인 애매모호한 메시지를 잠재된 의식을 은유추출기법인 ZMET 을 통해 고객들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의 결론을 추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SUV에서 제시되는 이미지가 고객들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소형 SUV 개발에 있어 디자인 가 이드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In 2019, SUV sales surpassed sedans in the domestic sales market with phenomenal domestic sales. The strength of SUVs around the world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 future. South Korea's K-company aggressively launched small SUVs in the SUV market. Its simple lineup is recognized as a brand image, not as a SUV. It is time to evaluate this. Therefore, it influences the purchasing decisions of potential customers and buyers of small SUVs through the evaluation of design images of small SUVs in Korea. Rather tha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SUV model, it is purchased by emotional characteristics, brand symbolism, and image. Subconsciousness of the purchasing psychology of the end consumer was used by metaphor extraction techniques. Customers wanted to study the evaluation of small SUV design images that fit their needs. We wanted to see if consumers who intend to purchase or purchase small SUVs in Korea had a connection with the image of design of small SUVs in Korea. The conclusion of the study was extracted through ZMET, a metaphor extraction technique, with the latent consciousness of the primary ambiguous message from the consumer's feeling and representation of the image.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ope that the images presented in SUVs in the future will be used as a design guide in the development of small SUVs to influence customer thinking and behavior.

      • FDG 사용 시 Dose Calibrator에 따른 SUV에 미치는 영향

        박영재,방성애,이승민,김상언,고길만,이경재,이인원,Park, Young-Jae,Bang, Seong-Ae,Lee, Seung-Min,Kim, Sang-Un,Ko, Gil-Man,Lee, Kyung-Jae,Lee, In-Won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0 핵의학 기술 Vol.14 No.1

        방사성핵종과 방사능을 측정하는 dose calibrator의 서로 다른 두개의 기기에서 F-18 FDG을 각각 측정하고, 이 측정값에 의한 인체 내 SUV (Standard Uptake Value)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두개의 다른 dose calibrator는 CRC-15 Dual PET, CRC-15R을 사용하였다. 각 dose calibrator에서 F-18 FDG를 2 mL 주사기 3개에 볼륨 1 mL, 2 mL, 3 mL를 만들어 각각 초기 radio activity를 측정한 후 4시간 30분(270분)까지 30분 간격으로 radio activity를 각각 측정하고 기록한다. 초기 radio activity 값을 기준으로 방사선붕괴 공식으로 산출된 값(decay factor)과 dose calibrator로 측정된 값 간의 직선성을 단순선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CRC-15 Dual PET에서 가장 이상적인 값에 가까운 측정값을 볼륨을 기준으로 하여, CRC-15R에서 측정된 값을 최적화하기 위한 선형회귀식을 회귀분석을 통하여 구한다. 선형회귀식의 산출값을 적용하여 PET/CT 검사를 시행한 50명을 대상으로 lung, liver, region 부위에 ROI을 그려 SUV를 구한다. CRC-15 Dual PET, CRC-15R에서 측정한 radio activity와 그 값을 이용한 SUV를 paired t-test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CRC-15 Dual PET과 CRC-15R에서 측정한 radio activity의 상관분석결과 1 mL의 경우 상관성을 보여주는 r값은 r=0.999이었으며, 회귀분석에 위한 선형식은 y=1.0345x+ 0.2601이었다. 2 mL의 경우 r=0.999이며, 선형회귀식은 y=1.0226x+0.1669이었다. 3 mL의 경우 r=0.999이며, 선형회귀식은 y=1.0094x+0.1577이었다. 각 세 가지 볼륨에서 얻어진 선형회귀식의 산출 값을 이용하여 구한 lung, liver, region 부위에 ROI의 SUV에서의 차이는 1 mL의 경우, lung, liver, region은 (p<0.0001)로 t-test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mL의 경우, lung (p<0.002), liver, region은 ROI의 SUV에서 유의한 차이(p<0.0001)를 보였다. 또한 3 mL의 경우, lung(p<0.044), liver, region의 유의한 차이(p<0.0001)가 있었다. F-18 FDG 검사에서 사용되는 두 개의 dose calibrator CRC-15 Dual PET, CRC-15R의 radioactivity에 대한 측정치에서는 상관관계의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두 값을 통해 SUV는 인체 내의 uptake 정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두개의 dose calibrator를 사용함에 있어서, 이 두 값이 인체 내 SUV의 차이를 고려하여 사용하여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F-18 FDG with two different types of dose calibrator measuring radionuclide and radioactivity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F-18 FDG on SUV (Standard Uptake Value) in human body. Materials and Methods: Two different dose calibrators used in this study are CRC-15 Dual PET (Capintec) and CRC-15R (Capintec). Inject 1 mL, 2 mL, 3 mL of F-18 FDG into three 2 mL syringes, respectively, and measure initial radioactivity from each dose calibrator. Then measure and record radioactivity at 30 minute interval for 270 minutes. According to the initial radioactivity, linearity between decay factor driven from radioactive decay formula and the values measured by dose calibrator have been analyzed by simple linear regression. Fine linear regression line optimizing values measured with CRC-15 through regression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volume of which the measured value is close to the most ideal one in CRC-15 Dual PET. Create ROI on lung, liver, and region part of 50 persons who has taken PET/CT test, applying values from linear regression equation, and find SUV. We have also performed paired t-test to examin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dioactivity measured with CRC-15 Dual PET, CRC-15R and its SUV. Results: Regression analysis of radioactivity measured with CRC-15 Dual PET and CRC-15R shows results as follows: in the case 1 mL, the r statistic representing correlation was 0.9999 and linear regression equation was y=1.0345x+0.2601; in 2 mL case, r=0.9999, linear regression equation y=1.0226x+0.1669; in 3 mL case, r=0.9999, linear regression equation y=1.0094x+0.1577. Based on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 from each volume, t-test result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SUV of ROI in lung, liver, region part in all three case. P-values in each case are as follows: in 1 mL case, lung, liver and region (p<0.0001); in 2 mL case, lung (p<0.002), liver and region (p<0.0001); in 3 mL case, lung (p<0.044), liver and region (p<0.0001). Conclusion: Radioactivity measured with CRC-15 Dual PET, CRC-15R, dose calibrator for F-18 FDG test, do not show difference correlation, while these values infer that SUV h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spect of uptake in human bod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fference of SUV in human body when using these dose calibra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