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무행정학과 학제 실용화 방안을 위한 정책제언 :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새로운 교과과정 모색

        조은영(Eunyung Cho),김예승(Yeseung Kim) 경인행정학회 2020 한국정책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인구구조 등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사무행정학과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는 먼저 사무행정학의 개념을 확인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사무행정직의 업무범위와 직무기술을 정리하였다. 이어 경인지역 사무행정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사무행정학과 학제 실용화 방안을 모색하고 어떠한 정체성을 가져야 하는지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사무행정학과의 교육과정은 실무교과목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문서작업이나 회의 운영, 인사관리 등의 교육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변화하는 미래사회에서 필요한 역량은 공동업무수행 역량이며, 연구에서는 미래사회 대응을 위한 새로운 교육과정으로 데이터 관리, 의사소통, 조직 갈등관리 등이 교육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미래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 체계의 변화와 교육과정 모색이 필요함을 규명하고, 이를 정책적으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office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colleges to respond to future society such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To this end, the study first confirmed the concept of office administration, and summarized the work scope and job skills of the office administration office i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In addition, in order to prepar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department of office administr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office administration in GyeongGi-Do and Incheon confirmed what identity the department of office administration should have in order to cope with the future societ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Office Administration was operated mainly on practical subjects, and it was found that education such as document work, meeting operation, and personnel management were provided. However, the competency required in the changing future society is to develop the ability to perform joint work, and this study suggested that data management,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conflict management are essential competencies as a new curriculum for responding to the future society. In addition, it was identified that it was necessary to change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system and to seek a curriculum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future society, and this was suggested in a policy.

      • KCI등재

        탈핵의 윤리적 당위성과 불교적 사유

        정호영 韓國佛敎硏究院 2012 불교연구 Vol.37 No.-

        동일율, 모순율, 배중율은 전통적으로 합리적 사유의 기반이 되어왔다. 우리의 상식과도 부합하는 이러한 사고방법/사유형식은 한편으로는 중대한 문제를 안고 있다. A이거나 -A라고 하는 배중율은 현실 속에서 발견되는 수많은 차이/다름/다양성을 인정하지 않으며, A는 -A가 아니라고 하는 모순율은 양립마저 허용하지 않는다. 그러면 이러한 문제는 어떻게 지양될 수 있는가? 과연 지양 가능한가? 그것은 근원적으로 동일율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동일율이 ‘A는 A이다’라는 형식을 통해 일종의 자아에 대한 고착을 반영한다면, 이를 깨뜨리는 것은 무아/공이라는 종교적 결단일 수밖에 없으며, 이렇게 하여 자아가 부정된 자리에 사랑의 관계, 상호의 존 관계가 자리 잡게 된다. 이와 같이 모든 생명이 깊이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의 발견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 미래 세대에 대한 책임을 일깨우게 된다. 핵무기는 비례의 원칙과 구별의 원칙이라는 전쟁의 최소한의 정당성마저 파괴한다. 비례의 원칙은 전쟁이 기본적으로 방어전쟁이어야 함을 말하며, 구별의 원칙은 전투원과 민간인을 구별하여 민간인 살상이 있어서는 안 됨을 말한다. 핵무기의 무차별적이고 광범위한 파괴는 이러한 최소한의 정당성마저 파괴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핵발전은 핵의 평화적 이용이라고 운위되어 왔다. 그러나 핵발전이 핵무기의 원료를 생산하기 위한 필수 과정이라는 점 이외에도 사고의 가능성은 있기 마련이고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그 위험성은 핵무기와 동일하다. 핵의 문제에서 보듯 현대의 과학기술은 그 결과가 세계적인 규모로 발생하며 먼 미래에까지 그 영향이 미친다. 윤리학 또한 이와 같이 어마어마하게 확장된 인간의 행위 능력의 범위에 부응하여야 한다. 거시윤리학 또는 미래책임윤리학의 대두는 이러한 배경을 갖는다. 그런데 한편으로 불교의 연기와 업의 사상은 이러한 새로운 윤리학의 이념적 토대가 될 수 있으며, 실제 그렇게 됨으로써 보다 설득력 있는 윤리학으로 정립될 수 있다. 울리히 벡의 지적과 같이 현대는 위험사회이다. 위험이야말로 현존하는 세계의 문제를 분명히 이해할 수 있는 개념이며 동시에 세계가 대비하고 준비해야 할 방향을 설정하는 지표가 된다. 이러한 진단에 불교도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핵기술의 문제와 관련하여 불교도는 연기가 모든 생명체의 상호의존성을 그리고 업이 미래에 태어날 우리의 후손에 대한 엄정한 책임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한 책임을 감당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핵발전의 폐지를 위해 노력하는 일이지 않을 수 없다. The law of identity, the law of contradiction and the law of excluded middle have been the basis of rational thought. It is true that this way of thought accords with our common sense, but it cannot be negated that there is a grave problem. The law of excluded middle which is represented as 'it is either A or -A' does not accept the differences or diversities which we can find numerously in our daily life; and the law of contradiction which is represented as 'A is not -A' does not allow even the coexistence of the two contradictory ones. Then is there any way to sublate such a problem? Or is it indeed possible to sublate it? However the sublation will be possible if the limitation which the law of identity has contained can be broken. To put it a little more concretely, when the law of identity which is represented as 'A is A' signifies the fixation on the self or ego, it is none other than the religious resolution such as anātman, no-self or sūnyatā, emptiness that breaks down the limitation contained in the law of identity; and then the relations of love or the interrelationship settle down where the self is negated. And the recognition of the fact that all the lives are interrelated leads to the enlightenment that we have the responsibility to the future generations who did not come yet. It is true that nuclear weapon shatters the minimum righteousness of the war which is usually explained by two principle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that of discrimination. The former means that any war should be a defensive one in its character and the latter points to the fact that combatants and noncombatants should be differentiated for the civilians not to be killed. The undifferentiated and annihilative power of the nuclear weapon destroys the minimum righteousness by violating these principles. Meanwhile it has been said that the nuclear power is for peace. But we should remember that nuclear power plant is also essential for the production of the resources of the nuclear weapon, and that the risk, which everything would be ruined when a power plant accident happens, is same with the nuclear weapon. As we have seen in the territory of nuclear problems, the result of our modern scientific technology diffuses in global scale, and its effect influences to the far-off future. Accordingly the necessity for the ethics to cover these situations has arisen; and the new ethics can be named as macro-ethics or future-responsibility-ethics. Futhermore we can enhance the theoretical foundation by the introduction of some Buddhist thoughts such as pratitīyasamutpāda or karma. Our modern world is risk society as pointed out by Ullich Beck. Risk is the concept to understand the problems which our present world denotes, and it also can be an indicator in preparing for the future to come. Then how do the Buddhist confront this situation? In this case Buddhists seems that they ought to regard pratitīyasamutpāda as the universal interrelationship of all the lives and karma as the strict responsibility to the future generations. The most important and urgent task to do as an ethical person or as a religious man is endeavoring to abolish not only the nuclear weapons but also the nuclear power plant.

      • KCI등재

        한국의 미래 사회변화에 대응하는 사회복지교육에 대한 전문가 인식

        남희은(Hee Eun Nam),김남숙(Nam Sook Kim),김선희(Seon-hee Kim),임유진(Yu jin Im),이미란(Mi ran Lee),배은석(Eun suk Bae),백정원(Jeong won Baik),박해긍(Hae keung Park),손지현(Ji hyeon Son),윤기혁(Ki hyok Youn),이희윤(Hee yun Lee)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8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3 No.-

        본 연구는 한국의 예비사회복지사를 양성하고 연구하는 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와 연구원 11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미래사회 대응을 위한 사회복지교육의 인식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사회복지교육의 문제 진단과 향후 사회복지교육의 방향 탐색에 목적이 있다. 인터뷰내용을 질적연구 자료분석 도구인 Nvivo 11을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199개의 노드가 형성되었으며, 각각의 노드를 재범주화 한 결과 3개의 상위범주, 10개의 중범주, 28개의 하위범주가 생성되었다. 첫번째 상위범주인 미래사회와 사회복지는 미래사회에 대한 정의의 어려움, 미래사회에 대한 불안감, 미래에 더욱 강조될 학문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둘째, 미래사회 준비에 있어 사회복지 교육의 현실에서는 현재의 다양한 문제점, 현시점이 전문성 강화의 기회이자 한국적 사회복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으로 진단되었다. 마지막으로 미래사회를 위한 사회복지교육의 대응방안으로 사회복지학문의 기초세우기, 교육자의 교육관 재정립, 융합인재 양성, 지속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사회복지교육의 미래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중요한 의의를 가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social welfare professors regarding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the future society in South Korea, to diagnose the problems surrounding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n South Korea. To do this, interviews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using the Nvivo 11 program, a qualitative research data analysis tool. As a result, 199 nodes were formed. After the secondary categorization, three upper categories, 10 middle classes, and 28 sub categories were created. The first category, Future society and social welfare,’ includes the difficulty of defining future society, anxiety about future society, and the academic discipline to be emphasized. The second category, present reality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n preparation of future society, points out various current problems with South Korean social welfare education as well as opportunities to enhance professionalism. Finally, the third category, response plan of social welfare education for the future society, describe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basis for social welfare studies and educators’ educational philosophies, cultivating human resources for fusion, and the need for continuous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ave meaning as basic data in the direction of future social welfare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미래사회에서 위기관리의 인간의 역할과 가치논의

        박한호 ( Park Han-ho )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 2017 한국융합과학회지 Vol.6 No.2

        Pupose: Recent scientific developments in the field of risk management have led to an increasing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is paper therefore set out to explore the emerging human roles and values in the AI risk management system. Methods: By reviewing the relevant literature on the AI risk management,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major issues that emerge from it, critically review them, and discuss some of the prominent ideas related to the human roles and values. Conclusion: Overall, this paper highlights the needs for using human creativity and big-data analyses in order to predict and prevent a future crisis. A further study which more focused on uncharted field is also suggested.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태권도 문화의 역할

        김나혜(Kim, Na-Hye) 한국무예학회 2021 무예연구 Vol.15 No.3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에 따른 태권도 문화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초연결, 초지능, 초융합이라는 기술적 환경 변화를 이끌어내는 4차 산업혁명은 사회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 속에서 한국의 주요 신체 문화인 태권도의 변화 흐름을 예측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따른 사회 변화 양상과 태권도 문화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나아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태권도계의 인식과 변화가 예상되는 주요 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태권도 문화는 무예 문화, 스포츠 문화 및 한국 문화적 특징을 지니며, 이러한 문화가 태권도 고유의 문화를 바탕으로 융합되어 자체적인 태권도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둘째, 태권도 전문가들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도입과 적용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영세한 태권도 산업의 구조와 태권도 프로그램 및 지도법의 변화가 더디게 나타나는 점을 들어 태권도 문화에서 활용 가능한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과 프로그램 개발 등을 위한 투자와 지원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태권도 문화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도입으로 태권도 관련 정보의 디지털화를 바탕으로 문화 전반의 효율화 및 자동화와 문화 영역 및 구성원의 역할 등이 재구성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러한 과제를 수행할 경우 합리적이고 창의적인 문화를 형성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미래 지도자 양성 교육 및 기술 도입에 따른 제도 개선을 실시하는 등 태권도 문화의 전반적인 흐름과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과의 관계에 대한 지속적 관심과 활용이 제안된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hanges in Taekwondo culture following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this end, by conducting literatur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we looked into the aspects of social chan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aekwondo culture in accordance with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rthermore, we have drawn up the perception of the Taekwondo world abou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major challenges that are expected to be changed. The key findings from the analysis conduct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aekwondo culture has the characteristics of martial arts culture, sports culture, and Korean culture, and these cultures are combined based on the culture unique to Taekwondo to form its own culture. Second, Taekwondo experts had been aware of the need for the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t the same time, they had the perception that it is difficult to invest and support for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at can be utilized in Taekwondo culture for reasons of the reality of the structure of the small Taekwondo industry and the slow change in the Taekwondo program and teaching methods, Third, carrying out such tasks is expected to create a reasonable and creative culture as the overall efficiency and automation of Taekwondo culture and the role of cultural areas and members are expected to be reorganized based on the digitalization of Taekwondo-related information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디지털 시민교육의 의의 및 도덕과 접근 방안 탐색

        신호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3 초등도덕교육 Vol.- No.84

        본 연구에서는 미래 사회를 맞이하며 갈수록 그 의미가 중대해지는 디지털 시민교육의 의의를 밝히고, 도덕과 차원에서의 접근 방안을 이론과 실제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디지털 시민교육을 민주시민교육의 확장 측면에서 도출하는 한편, 안정성과 지속성 그리고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학교 교과 교육과정 전반에서 다루어져야 함을 역설하였다. 그리고 도덕과 차원에서는 책임의 의미를 공동체(혹은 시민 상호 간) 수준과 개인(혹은 독립된 시민) 수준에서 설정하며, 그 각각의 가치를 교육과정 성취기준 상에서 강조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and its approaches to moral education, both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Firstly, it establishes that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can be considered an extens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econdly, it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across the entire school curriculum to ensure consistency, longevity, and diversity. Lastly, in the context of moral educa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responsibilities at both the community and individual levels. It emphasizes that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align with this concept and reflect its values in achievement standa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