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존감 형성에 기반한 민주시민교육의 의의

        신호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5

        This paper discussed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a Rawlsian approach, which emphasizes developing self-respect. First, the starting point of discuss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explored from a liberal, reasonable, and rational perspective. Second, it is examined that diversity of citizens, including the aspects of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is necessary for the ending point of discuss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Lastly, the value of self-respect, meaningful to both an individual and a community, is mentioned as an idea to connect between the starting and the ending point. The argument, following the tradition of liberalism, stresses that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focus on developing rational individuals’ self-respect, not on imposing or forcing a specific conception of the good. 본 논문에서는 최근 국가・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민주시민교육에 대해 롤즈의 이론을 일부 원용하는, 즉 롤즈적 접근으로 그 방향 및 의의를 ‘자존감’ 형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민주시민교육의 시작점으로서 자유와 합당 그리고 합리의 개념으로 시민의 전제에 대해 탐색하고, 민주시민교육의 종착점으로서 특수성과 보편성을 포괄하는 다양한 이상적 시민의 모습을 상정하였다. 그리고 민주시민교육의 시작점과 종착점을 연결하는 논리로써, 시민 개인과 시민 공동체 모두에 있어 좋음의 의미를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자존감의 가치를 언급하였다. 이러한 주장은 자유주의적 전통에서 파악되는 것으로, 민주시민교육은 특정 선관이나 좋음을 강제하거나 강요하는 것이 아닌 개체로서의 시민이 스스로의 이성적 사고와 판단으로 자존감을 형성해 나갈 수 있게 전개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KCI등재

        후설의 현상학적 환원에 입각한 역사철학의 구획과 체계: 역사인식론과 역사존재론

        신호재 한국현상학회 2018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76 No.-

        ‘Philosophy of history’ can be defined as an academic field of philosophy aiming at founding a philosophical basis for empirical research of history or as a reflective inquiry of history as empirical science. However, philosophy of history does not consist of single kind of academic field. This means that philosophy of history has a complex structure composed of various sphere and various layers. Thus, unless the nature and structure of philosophy of history to be elucidated, it cannot be understood what philosophy of history really is. In this paper, I will try to draw a demarcation between various fields within philosophy of history and to clarify their structural relations following phenomenological change of attitudes or phenomenological reductions, which are conclusively important methods of Husserl’s phenomenology. In particular, I will distinguish between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philosophy of history relying on the two criteria of fact and essence and existence and recognition. And I will show also how the natures of the two philosophical questions raised by each are different but nevertheless they work together in laying foundation for historical science. 역사철학’은 역사 또는 역사학에 대한 반성적 탐구로서 역사 및 역사학에 철학적 기초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철학의 한 분야라고 정의할 수있다. 그러나 ‘역사철학’이라 통칭하여 부르는 철학의 분과는 본성상 단일한 종류의 것이 아니다. 이것은 역사철학의 탐구가 다양한 차원과 다양한 수준에서이루어지는 복합적 구성체임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중층적 구조연관을 이루고 있는 역사철학의 각 영역이 해명하고자 하는 사태의 본성 및 그것이 전체체계에 대해서 지니는 위상과 의의를 충분히 염두에 두지 않는 한, 역사학에 대한 역사철학의 정초관계는 온전히 해명될 수 없는 것이다. 나는 이 글에서 후설현상학의 방법인 ‘현상학적 태도변경’과 ‘현상학적 환원’에 입각하여 역사철학여러 분과 간의 경계를 구획하고 그들의 구조연관을 해명함으로써, 역사학의 토대로서의 역사철학의 체계를 개괄하고자 한다. 특히 사실과 본질, 그리고 존재와 인식이라는 두 가지 기준에 따라 나는 인식론적 역사철학과 존재론적 역사철학을 구분하고, 각각이 제기하고 있는 물음의 본성이 어떻게 다르며 그럼에도또 양자가 어떻게 통일적인 구조연관을 이루는지 보일 것이다.

      • KCI등재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분석

        신호재,이수진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9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5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검토하였다. 내용 체계 검토는 도덕과 교육 내용 요소의 적용 및 구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역량-성취기준-기능 부분과 도덕과 교육 내용의 프레임을 제공해주는 핵심 가치-일반화된 지식 부분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역량과 관련하여서는 총론 핵심 역량과의 관련성 및 교과 성격을 대표하는 측면에서의 적절성 문제, 영역 포괄성 문제, 진술의 문제 등을 언급하고, 성취기준의 경우 수행 능력 반영의 문제, 도달점 표현의 명료성 문제 등을 언급하였다. 기능의 경우 명칭 및 위계화의 문제, 역량 반영의 문제, 학교급간 위계 설정의 문제, 영역 대표성의 문제 등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핵심 가치의 경우 명칭 변경 문제, 내용 요소 엄선 기준 및 상위 개념으로서의 역할 문제, 내용 포괄성 문제 등을 언급하였다. 일반화된 지식의 경우 영역 대표성의 문제, 내용 요소와 기능의 균형 있는 진술 문제 등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는 교과 내용 체계 요소 간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정합성 측면에서 일관성의 결여 및 관계 불일치가 발견되고 있음을 언급하였다. This paper analyzed the system of contents, competencies-achievement standards-skills which are related to application and realization of content elements and core values-generalized knowledge which is related to provision of content frame in the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competencies, it is shown that the relevance to core competencies and character of moral education is weak. In achievement standards, problems in expressions of performances and attainment statuses are considered. In Skills, problems with hierarchies and titles are reviewed. In core values, problems of changing titles, content element selection criteria, and content inclusiveness are examined. In generalized knowledge, issues with domain representation and unbalanced expressions between content elements and skills are demonstrated. Lastly, a problem with consistency in the relationships among moral education content elements is revealed.

      • KCI등재

        디지털 시민교육의 의의 및 도덕과 접근 방안 탐색

        신호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3 초등도덕교육 Vol.- No.84

        본 연구에서는 미래 사회를 맞이하며 갈수록 그 의미가 중대해지는 디지털 시민교육의 의의를 밝히고, 도덕과 차원에서의 접근 방안을 이론과 실제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디지털 시민교육을 민주시민교육의 확장 측면에서 도출하는 한편, 안정성과 지속성 그리고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학교 교과 교육과정 전반에서 다루어져야 함을 역설하였다. 그리고 도덕과 차원에서는 책임의 의미를 공동체(혹은 시민 상호 간) 수준과 개인(혹은 독립된 시민) 수준에서 설정하며, 그 각각의 가치를 교육과정 성취기준 상에서 강조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and its approaches to moral education, both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Firstly, it establishes that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can be considered an extens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econdly, it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across the entire school curriculum to ensure consistency, longevity, and diversity. Lastly, in the context of moral educa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responsibilities at both the community and individual levels. It emphasizes that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align with this concept and reflect its values in achievement standards.

      • KCI등재

        메를로-퐁티의 『행동의 구조』를 통해 살펴본 현상학적 질적연구의 개념 - 의미 체험의 요소, 상황, 그리고 구조 -

        신호재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0 철학·사상·문화 Vol.0 No.33

        Nowadays, academic interests in 'qualitative research' are raised pointing out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research'. This trend is active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mong them, the movement to find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methodic basis of qualitative research in 'phenomenology' is attracting attention. Unfortunately, we cannot say that the concept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elucidated satisfactorily enough. In general, ‘quality’ is understood as ‘subjective experience’, but this is too loose and rough definition so that it does not help at all.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the formulation of the concept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clarify the concept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Merleau-Ponty’s phenomenology. In this regard, Merleau-Ponty’s The Structure of Behavior has great inspiration. Because there he critically criticise the limitations of objective science centered on ‘quantitative research’ and clearly shows what the science dealing with lived-experience should be, what the science has to do with phenomenology as well. Therefore, this paper will clarify the concept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suggested by Merleau-Ponty by focusing on The Structure of Behavior. In these procedure, I will show that Merleau-Ponty’s Gestalt accords with Husserl’s multi-layered constitution, so that I can suggest a framework for research that qualitative research dealing with experience. ‘양적연구(quantitative research)’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점차 ‘질적연구(qualitative research)’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활발한데, 그중에서도 질적연구의 이론적 토대와 방법적 기초를 ‘현상학(phenomenology)’에서 찾으려는 움직임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현상학적 질적연구’에 관해 중요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져 온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현상학적 질적연구’의 개념은 좀 더 해명이 필요한 것처럼 보인다. 대체로 ‘질’은 ‘주관적 체험’ 정도로 이해되고 있는데, 필자는 메를로-퐁티(M. Merleau-Ponty)의 현상학을 통해 ‘현상학적 질적연구’의 개념이 좀 더 분명해지면 좋을 것이라 생각한다. 본고는 『행동의 구조』에서 제시된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을 통해 ‘현상학적 질적연구’ 개념의 정립에 기여하려는 데에 있다. 이 과정에서 메를로-퐁티의 ‘배경 위의 꼴’로서의 ‘게슈탈트’가 후설 현상학의 ‘구성적 층 이론’과 조화될 수 있음을 보임으로써, 질적 연구가 체험을 다룰 때에 의지할 수 있는 연구의 착안점과 기본틀을 제안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