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술 성숙도 및 의존도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유망 융합 기술 발굴 방법론

        최호창,곽기영,김남규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8 지능정보연구 Vol.24 No.1

        Recently, most of the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through the advancement of single technology or interaction with other technologies. Particularly, these technologies have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vergence cau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techniques. In addition, efforts in responding to technological changes by advance are continuously increasing through forecasting promising convergence technologies that will emerge in the near future. According to this phenomenon, many researchers are attempting to perform various analyses about forecasting promising convergence technologies. A convergence technology has characteristics of various technologi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generation. Therefore, forecasting promising convergence technologies is much more difficult than forecasting general technologies with high growth potential. Nevertheless, some achievements have been confirmed in an attempt to forecasting promising technologies using big data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Studies of convergence technology through data analysis are actively conducted with the theme of discovering new convergence technologies and analyzing their trends. According that, information about new convergence technologies is being provided more abundantly than in the past. However, existing methods in analyzing convergence technology have some limitations. Firstly, most studies deal with convergence technology analyze data through predefined technology classifications. The technologies appearing recently tend to hav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and thus consist of technologies from various fields. In other words, the new convergence technologies may not belong to the defined classification. Therefore, the existing method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dynamic change of the convergence phenomenon. Secondly, in order to forecast the promising convergence technologies, most of the existing analysis method use the general purpose indicators in process. This method does not fully utilize the specificity of convergence phenomenon. The new convergence technology is highly dependent on the existing technology, which is the origin of that technology. Based on that, it can grow into the independent field or disappear rapid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ependent technology. In the existing analysis, the potential growth of convergence technology is judged through the traditional indicators designed from the general purpose. However, these indicators do not reflect the principle of convergence. In other words, these indicators do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technology, which brings the meaning of new technologies emerge through two or more mature technologies and grown technologies affect the creation of another technology. Thirdly, previous studies do not provide objective methods for evaluating the accuracy of models in forecasting promising convergence technologies. In the studies of convergence technology, the subject of forecasting promising technologies was relatively insufficient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fiel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find a metho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model that forecasting promising convergence technologies. In order to activate the field of forecasting promising convergence technology,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method for objectively verifying and evaluating the accuracy of the model proposed by each stud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we propose a new method for analysis of convergence technologies. First of all, through topic modeling, we derive a new technology classification in terms of text content. It reflects the dynamic change of the actual technology market, not the existing fixed classification standard. In addition, we ident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s between technologies through the topic correspondence weights of each document, and structuralize them into a network. In addition, we devise a centrality indic...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이 출현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기존 기술들의 융합(Convergence)을통해 형성되고 있다. 또한 가까운 미래에 출현하게 될 유망한 융합 기술을 예측함으로써 변화하는 기술 지형에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여 많은 기관과 연구자들은미래 유망 융합 기술 예측을 위한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관련한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i) 고정된기술 분류 기준을 분석에 사용함으로써 기술 분야의 동적 변화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 (ii) 예측 모형 수립 과정에서 주로 범용성 네트워크 지표를 사용함으로써 기술의 융합이라는 목적에 부합하는 고유 특성을 활용하지못했다는 점, 그리고 (iii) 유망 분야 예측 모형의 정확성 평가를 위한 객관적 방법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 등에서 한계를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 토픽 모델링을 통해 기존의 고정된 분류 기준이 아닌 실제 기술시장의 동적 변화에 따른 새로운 기술군을 도출하고, (ii) 기술 성숙도 및 기술군 간 의존 관계에 따라 각 기술군의 융합적 특성을 반영하는 잠재 성장 중심성(Potential Growth Centrality) 지표를 산출하였으며, (iii) 잠재 성장 중심성에 근거하여 예측한 유망 기술의 성숙도 증가량을 시기별로 측정하여 예측 모형의 정확도를 평가하는방안을 제시한다. 이와 더불어 제안 방법론의 성능 및 실무 적용 가능성의 평가를 위해 특허 문서 13, 477건에대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제안한 잠재 성장 중심성에 따른 예측 모형이 단순히 현재 활용되는 영향도 기반의 예측 모형에 비해 최대 약 2.88배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유망 기술 발굴 노력이 이에 대한 태도 및 지속사용 의지에 미치는 영향

        김은선,최윤정,곽수환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8 경영컨설팅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among effort, attitude, continuance intention and word of mouth for selecting promising technology. This research employed the effort of selecting promising technology as independent variable, the attitude of selecting promising technology as mediating variable, and the continuance intention and word of mouth as dependent variables. This research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test four hypothesis with 105 corporate samples. And the Sobel test used for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ttitude between the effort and the continuance intention of selecting promising technolog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ffort of selecting promising technology has positive significance to the continuance and the attitude of selecting promising technology, respectively. The attitude of selecting promising technology has positive significance to the continuance intention. And the continuance intention of selecting promising technology has positive significance to the word of mouth. The test of mediating effect of the attitude between the effort and the continuance intention is significant also. 본 연구의 목적은 유망 기술 발굴 노력이 이에 대한 태도, 지속사용 의지, 추천 등의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특히, 유망 기술 발굴에 대한 태도가 유망 기술 발굴 노력 및 지속사용 의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mediation effect)가 존재하는지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독립변수는 유망 기술 발굴에 대한 노력이며, 종속변수는 유망 기술 발굴에 대한 지속사용 의지 및 추천이 되며, 매개변수로는 유망 기술에 대한 태도를 선정하였다.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105개의 표본을 추출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정하였으며,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서는 Sobel 검정을 이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유망 기술 발굴 노력은 지속사용 의지 및 태도에 정(+)의 영향을 주고 있으며, 태도는 지속사용 의지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사용 의지는 추천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효과 분석 에서는 태도가 노력과 지속사용 의지의 사이에서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기업과 대기업 등 다양한 기업이 미래 유망 기술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어떤 요인이 중요한지를 알려주고 있는 시사점이 있다 하겠다.

      • KCI등재

        특허분석을 통한 유망융합기술의 예측

        강희종 ( Hee Jong Kang ),엄미정 ( Mi Jung Um ),김동명 ( Dong Myong Kim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6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4 No.3

        This study provides a quantitative forecasting method to identify promising fusion technology and it also applies the method based on patent analysis to IT. This study defines fusion technology, promising technology, fusion index, promising index and promising fusion technology. From the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next generation computer network is the most promising in IT area.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forecasts made by the interviews and discussion of experts.

      • KCI등재

        특허인용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기술파급분석 : DEMATEL의 활용

        정선구 ( Seon Koo Jeong ),양진선 ( Jin Seon Yang ),윤병운 ( Byung Un Yoon ) (주)엘지씨엔에스(구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2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1 No.1

        오늘날 인터넷의 발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등장, 모바일 기기의 보급 등으로 정보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특허정보, 표준문서, 실험자료 등의 기술정보 영역에도 빅 데이터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방대한 양의 기술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기술 트렌드 파악, 기술 기획, 기술 개발 등의 다양한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기술기획 및 개발에서는 한정된 자원으로 인하여 기술개발에 대한 우선순위 선정이 필요하나, 유용한 기술정보가 풍족하게 축적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기술파급분석 방법론들은 데이터의 분석에 의한 방법보다는 전문가의 지식에 의한 주관적 판단에 대부분 의존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DEMATEL 기법을 활용하여 특허인용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기술의 파급력을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방법론은 특허 데이터를 활용한 DEMATEL 기법을 통해 기술간의 인과관계와 기술적 영향력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론을 통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기술들의 인과구조와 영향력을 계량화하여 볼 수 있으며, 기술개발의 우선순위를 정함에 있어 하나의 지표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as the Internet, SNS, and mobile devices have been rapidly spread to the economy and voluminous information has been produced, the era of Big Data appeared in the area of technology information such as patent information, standard documents and experimental data. A large scale of technological information database can play a critical role in conducting various activities grasping technological trends, planning and developing promising technology. In particular, although the prioritization of technological opportunities is necessary due to limited resources, the information has not been effectively utilized. Moreover, traditional approaches to analyzing technology spillover generally depend on domain experts and intuitive analysis instead of quantitative analysis. As a remedy,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hat derives technology spillover from patent citation database using DEMATEL method. A causal relationship among technologies and leverage of each technology can be derived through the proposed methodology. This approach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exploring promising, influential technology.

      • KCI등재

        보르그만의 기술철학: 기술의 약속, 기술의 개혁

        손화철 범한철학회 2016 汎韓哲學 Vol.81 No.2

        Why have people been so excited about technology? According to Albert Borgmann, it is due to the promise of technology for a happy life. This leads to the idea that the discourse of philosophy of technology should begin with the promise of modern technology rather than its nature or characteristics. The interest in the latter is based on the former. This paper examines Borgmann’s analysis of modern technology and his original idea for solving the problem of technology by reviewing his Technology and the Character of Contemporary Life. On the one hand, he inherits Heidegger’s philosophy of technology by introducing concepts such as focal things and practices, and devise paradigm. On the other hand, he tries to overcome Heidegger by promoting the reform of technology that redeems the promise of technology and democracy. The significance of Borgmann’s philosophy lies not only in its initiation of further discourse concerning the concrete solutions for the problem of technological society, but also in the suggestion that philosophy of technology should deal with the issue of “good life.” The desire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should lead people to the debate on what good life is. We should compete with one another for what kind world we want to live in, rather than technological progress per se. 왜 사람들은 기술에 열광해 왔는가? 알버트 보르그만(Albert Borgmann)은 그 이유를 기술이 약속했던 행복한 삶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기술철학은 현대기술의 본질이나 특징보다는 기술에 대한 근대의 기대, 혹은 기술의 약속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기술의 본질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 계기가 바로 현대기술에 대한 기대가 커진 상황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보르그만의 주저인 『기술과 우리 시대 삶의 특징』 을 중심으로 그의 문제의식과 분석, 그리고 기술사회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독창적인 제안을 살펴본다. 보르그만은 초점사물, 초점행위, 장치의 패러다임과 같은 개념을 통해 하이데거의 기술철학을 계승하면서도 기술의 약속과 민주주의를 새롭게 하는 기술의 개혁을 주창하여 하이데거를 넘어서려 노력한다. 보르그만의 사상의 중요성은 기술사회의 문제를 극복할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여 논의를 촉발한 것에서도 찾을 수 있지만, 그보다는 ‘좋은 삶’의 문제를 기술철학의 영역으로 끌어들인 데 있다. 기술발전에 대한 사람들의 열망은 좋은 삶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토론으로 이어져야 한다. 기술발전 자체를 경쟁의 대상으로 삼을 것이 아니라, 그 발전을 통해 어떤 세상에서 살게 될 것인지를 놓고 토론하며 경쟁해야 한다.

      • KCI등재

        미래유망기술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인식 비교

        박순창 ( Soon Chang Park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3

        사람들은 누구나 미래의 성공을 꿈꾸고, 미래 사회의 모습을 궁금해 하지만, 불확실한 미래 사회를 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미래 사회를 예측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현재를 살고 있는 사람들 머릿속에 있는 미래 이미지들을 조사하는 것이다. 역사 발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 중의 하나는 기술이므로, 미래유망기술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수렴하면 미래 사회의 모습을 예측할 수 있다. 어떤 기술이 유망할지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의견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의 기대도 매우 중요 하다. 일반 대중들에게 수용되어 확산되지 않는 기술은 유망한 기술이라 할 수 없다. 유망기술에 대한 일반 대중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전문가와 관련 기관들의 자료를 통해 8개 분야에서 24개 미래유망기술들을 추출하였다. 일반 대중들의 인식 파악을 위해서는 한국과 중국의 경영대학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미래유망기술의 기술적 가능성, 경제적 가능성, 인간 삶의 질적 공헌도라는 3가지 기준으로 미래유망기술에 대한 기대치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3가지 측면 모두에서 한·중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기술은 ① 그래핀(Graphene) 소재, ② 수술용 나노 로봇, ③ 수소 에너지 3가지였다. 또한 이 3가지 기술 모두에서 한국 학생이 중국 학생보다 3가지 측면 모두의 평균점수가 높았다. 그래핀 소재는 한국이 세계 1등인 반도체의 새로운 소재가 된다는 점에서 높은 기대치를 나타낸 것 같다. 또한 한국은 나노 기술이 앞서 있고, 의료 기술이 발달했으며, 경제적 여유와 고령화로 인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에, 나노 로봇을 이용한 의료분야에 대한 기대치가 높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연료전지에 우수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수소연료전지를 이용한 친환경 기술에 큰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에 높은 인식도를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3가지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기술은 ① 고온초전도체, ② 동물 복제/장기 이식, ③ 태양에너지, ④ 하늘을 나는 자동차였다. 한·중 간 견해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것은 대체로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는 얘기이므로 평균점에서 의미를 해석하였다. 고온초전도체를 보면 기술적 측면과 경제성 측면에서 한·중 양쪽 다 평균점이 4점 이상으로 매우 높은 편이었다. 한·중은 고온초전도체가 기술적으로 충분히 가능하고 경제성도 높으며, 인간 삶에도 4점에 조금 못 미치는 비교적 높은 인식을 보여주었다. 동물복제/장기 이식 기술에 대해서는, 한·중 양쪽 다 기술적으로는 충분히 가능하겠지만, 경제성이나 인간 삶의 질에는 비교적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한국은 동물 복제 기술이 앞선 나라이지만, 아직까지 인간 신체에의 이식까지는 별다른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태양에너지는 한·중 양쪽 다 3가지 측면 모두에서 매우 높은 인식을 하고 있었다. 기술적으로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경제성도 있고, 인간 삶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24개 기술 중 한·중의 견해가 일치되면서 매우 높은 평균 점수를 보였다는 것은, 태양에너지가 한·중 양국에 매우 중요하고 필요한 미래기술로 기대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하늘을 나는 자동차는 한·중 양쪽 다 3가지 측면 모두에서 아주 큰 인식을 가지지는 못했다. 경제성과 인간 삶에는 비교적 높은 인식을 보여주었지만, 기술적 가능성은 보통 수준이었다. 사실 가격이 좀 비싸 기는 하지만, 기술적으로도 가능하고, 시장성도 있고, 교통의 편리로 이동시간의 축소와 생활공간의 확대로 인간 삶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예측이지만, 한·중 학생들은 하늘을 나는 자동차에 대해 아직 큰 기대를 하고 있지 않은 것 같다. 특히 기술적 가능성에 대한 중간적 인식은 이러한 기술을 개발할 동기를 약하게 할 것이다. 하늘을 나는 자동차에 필요한 원천 기술들이 있고, 상용화된 제품도 개발되어 공개되는 마당에, 한·중 학생들의 이러한 낮은 인식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 기술에 대한현실적 지식과 동기 부여가 필요할 것 같다. 셋째, 한·중 양쪽 다 3가지 측면 모두에서 평균점 4점 이상의 높은 기대치를 보여준 기술은, ① 전자태그, ② 고성능 컴퓨팅, ③ 나노기술, ④ 태양에너지였다. 양 국가에서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기술이다. 먼 미래의 기술이라기보다는 대부분 기술 개발이 이미 시작되어 생활에 활용되기 시작한 기술임을 알 수 있다. 기술적 가능성이 충분이 가시적이고, 경제성도 검증되고 있으며, 생활과 밀접한 기술들이다. 본 연구의 우선적 한계점으로는 설문 대상이 특정 대학의 특정 학과 대학생으로 한정되었다는 점이다. 좀 더 광범위한 표본 구성과 체계적 조사를 통해 다양한 집단의 인식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 다른 한계점은 본 연구가 미래유망기술에 대한 인식 조사에 머물렀다는 것이다. 응답자들의 주관적인 의견만을 조사하고 비교하였을 뿐, 이러한 태도에 대한 원인 분석이나 대응책 등을 다루지는 못하였다. 기술 의 범위를 좀 더 좁히고, 단순한 인식 차원을 넘어 특정된 기술에 대해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미래유망기술을 선정하고, 미래의 주인공인 젊은 세대들의 인식을 국제적으로 비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한·중 간 비교의 결과는 유망기술에 대한 인식의 상태를 보여주며, 미래유망기술의 가능성을 예측하게 해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부족한 인식을 보충하고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People dream about achieving success in the future and wonder what the future society will be like, but it is not easy to predict the future of societies. One of the major ways to forsee the future society is to examine the images people who live today have in mind about the future. Technology, in particular, would b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impact human history and its development; therefore, collecting images that people have about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can be helpful in grasping what the future society would be like. In order to predict what technology would emerge and become predominant, opinions of the public are important as well as those of experts. It is probably because if technology is not accepted and applied by the public, the technology would not pros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the public about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in two stages. The first stage is where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are selected and summarized through the data of related organizations and experts from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 the process, 24 technologies in 8 sectors were extra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the public, university students in business schools in Korea and China were selected. Through these students, expectations about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in terms of technical feasibility, economic feasibility, and contribution to quality of human life. As a result, technologie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China in all 3 aspects are ① Graphene, ② Nano Robot for Surgery, ③ Hydrogen energy. It seems that graphene material shows high expected value due to the fact that graphene material is the material of semiconductor which Korea is the 1st maker in the world. Also, it is believed that the medical sector, which is bent in using nano robot technology, shows high expected value in a sense that Korea has advanced nano technology and medical technology as well as high interest in health due to the fact that Korea is now experiencing economic affluence and becoming an aging society. Lastly, there is high awareness on fuel cell because Korea has preserved excellent technology regarding fuel cell and has become highly interested in environmentally friendly technology via its use of hydrogen fuel cell. Technologies that there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in any aspects are ①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vity, ② Cloning Animals/Organ Transplant, ③ Solar Energy, ④ Nuclear Energy, ⑤ Flying Car. For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 over four points in average in both Korea and China are shown from technological and economical aspects. Both countries show that high-temperature superconductor has sufficient technology feasibility and high economic feasibility. They also show relatively high awareness on the quality of human life with slightly less than four points. For animal cloning/organ transplantation technology, both countries show sufficient feasibility in technology and high level of awareness in economic feasibility and quality of human life. It is probably because Korea has advanced in animal cloning technology, although organ plantation to human body has not brought any specific result. For solar energy, both Korea and China have a high level of awareness in all 3 aspects. This shows possibility in technology and economical feasibility and contributes to human life.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solar energy is expected to be among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future technologies. Nuclear energy is recognized highly in only technological feasibility in both countries. Its technology is possible; however, its contribution to human life does not show a high score due to anxiety against leakage of radioactivity and explosion. Korea has now one of the top 5 nuclear power plants in the world and China has numerous new power plant construction plans. This implies that Korea and China consider nuclear energy as major source of energy from a national level. In spite of concerns against potential accident, a nuclear energy plant is necessary to fulfill power capacity demands. For flying cars, great perception in all 3 aspects is shown in both countries. Economic feasibility and human life show relatively high scores, whereas technical feasibility shows only an average level. In reality, despite its high price, a flying car is generally perceived as technically feasible and marketable, providing easy and convenient transportation and shortening traffic time while expanding space. It is foreseen to give benefit to human life. However, students in Korea and China do not have high expectations on flying cars. In particular, average level awareness in their technical feasibility could be a result of weakening motivation in term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re are already previous technologies related to flying cars, and even more there exist commercialized products that bring about low level awareness in Korea and China. They may need to incite motivation and realistic awareness about this technology further.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society in a sense that it has selected representative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and compared awareness among the new generation of future leaders internationally. comparison results in Korea and China show students’ perception about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and help to predict the potential of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Based on these results, adjustment and supplement can be made on the given subject as necessar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only awareness of future emerging technologies is examined and subjects are limited only to the young generation living in Korea and China. Further study is needed to make comparisons at an international level and to extend specific technology with in-depth survey that is beyond simple recognition and awareness on various technologies.

      • Identifying promising technologies using patents: A retrospective feature analysis and a prospective needs analysis on outlier patents

        Song, Kisik,Kim, Kyuwoong,Lee, Sungjoo Elsevier 2018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128 No.-

        <P><B>Abstract</B></P> <P>This study suggests a patent-based methodology for identifying emerging technologies by combining a retrospective technological feature analysis and a prospective market-needs analysis. To do this, first, the candidate promising technologies were identified by applying bibliographic coupling to patents, thus producing a list of outlier patents. Then, the measures to evaluate both technological and market characteristics of the candidate technologies were developed, where retrospective patent analysis and sentiment analysis on customer opinions are required. Finally, the candidate technologies are mapped onto two-dimensional space according to the values of the two measures; the final promising technologies are determined to be those that have high values for either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r market characteristics. The suggested methodology was applied to an automobile industry, through which its feasibility and usability were verified. This study is one of the few studies to develop technology-evaluation measures based on an ad-hoc analysis of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attempts to link patent databases to market databases, aiming to directly reflect customer needs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a technology in a market. The approach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recent patents with little citation information for assessing their value to be deemed as promising technologies;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to the existing literature on patent analysis.</P> <P><B>Highlights</B></P> <P> <UL> <LI> A patent-based methodology is developed to identify emerging technologies. </LI> <LI> A retrospective feature analysis and a prospective needs analysis are combined. </LI> <LI> Bibliographic coupling is applied to patents to choose candidate technologies. </LI> <LI> The candidate technologies are evaluated via patent indices and sentiment analysis. </LI> <LI> The suggested methodology was applied to an automobile industry. </LI> </UL> </P>

      • KCI등재

        특허 디자인 융복합을 통한 미래기술시각화

        한소영 ( So Young Ha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3

        창조경제 시대에 특허와 디자인의 역할이 기술개발의 보조적 역할 또는 완료 단계의 권리화에 머무르던 것에서 R&D혁신의 핵심 요건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산업 간 융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미래 유망기술과 결합한 디자인의 새로운 개념이 미래를 예측하고 그에 대응하는 비즈니스 모델로 만들어지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최첨단 기술의 융복합이 가속화되면서 기계 중심적 기술에서 인간 중심적 기술로 전환하였고, 무형의 가치를 지식재산권(IP)의 형태로 창출하고 있다. 특허 중심의 IP-R&D는 선진기술을 추격하는 형태로 상표권, 디자인권, BM(비즈니스모델)특허 등을 확보하는 것으로 과거 지향적이라는 한계점을 가진다. 디자인이 과거 기계적 요소의 협조 관계에 있던 미적 가치 추구로 인식되던 것과 달리, 오늘날의 디자인은 지속적인 혁신을 위한 기업 가치를 창출하고 브랜드를 구축하는 핵심적이고 지속적인 혁신의 중심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의 디자인이 미래가치를 예측하여 시장을 선도하는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하는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어 특허 중심이 아닌 디자인 중심의 IP-R&D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기술의 성장속도와 미래가치를 예측하고, 시장의 니즈와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간파하는 히트상품을 개발하는 디자인 중심의 IP-R&D는 미적 가치 추구를 넘어서 전략적 지재권 포트폴리오 구축을 목표로 한다. 이처럼 기술과 디자인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하여, 특허 디자인 융복합과 미래유망기술 기반 미래기술시각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의 창조적 지식, 정보, 기술을 지식재산권으로 권리화하고 디자인의 진화된 역할 활동으로 그것을 실현시킬 미래 비즈니스 모델의 형태로 제시하는 것을 기술시각화라고 정의하였다. 이를 통해 시장을 선점하고 미래를 선도함으로써 기업경쟁력은 물론 국가 R&D 고도화를 실현할 수 있다. The role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design until now in the creative economy era was to support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protecting rights on the finalizing stage and has emerged to be a core element in R&D innovation. Although industrie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convergence, it has not been able to reach the stage of combining it with potential future technologies to produce new designs that can predict future trends, and thus develop business models that can respond to those trends. As high-tech convergence accelerated, the basis of technology became human based instead of machinery, thus intangible value is being created in form of IP. Patent based IP-R&D pursues advanced technology, which limits the process to acquiring rights from those technologies. Unlike the past where design was simply a supplementary process of technology, in present days design plays a key role for continuous innovation and increasing the value of brands. Currently, design predicts future value to pioneer product and service development in the future market, thus instead of a patent-based, a design based IP-R&D process became necessary. Developing a strategic IP portfolio with a design based IP-R&D process that exceeds simple aesthetic value by predicting the growth of technology and value of the future is the aim of this research. In order to surpass the limits of design and technology and create new value, future technological visualization based of future potential technologies was to be proposed. This research refers to technological visualization as taking creative elements of people and utilizing them interactively to create future business models with the protection of IP. Through this process and resulting advantages in the future market, both industrial competitiveness and national value could significantly.

      • KCI등재

        무인항공기 기술진화 탐색 및 유망기술 발굴 연구

        주성현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2019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Vol.13 No.6

        Prospecting future social environmental changes and improvement research on future technologies is required for prospecting promising technology, as it would be useful for institution·company to set up technical planning.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a methodology for retaining international technology competitiveness, marketable industry, and sustainable promising technology in a field of new growth engine industry such as national unmanned aerial vehicle industry. We draw a result by analysing with tools such as KrKwic, Excel, NetMiner, presenting methods of a Social Network Analysis, sub-group analysis, and cognitive map analysis based on patent data in a field of unmanned aerial vehicle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the technology evolution of UAV and to prospect promising technology. As a result, some future promising technologies are prospected as what worths concentrated investment, such as 'system integration tech', 'assessment/airworthiness certification tech', 'avionics', 'pilot control tech', 'identification of friend or foe', 'flight control tech', 'supportive equipment'. 효과적인 유망기술 발굴을 위해 미래 사회 변화를 전망하고, 미래기술 도출 방법론 및 프로세스 개선 연구가 필요하며, 연구소·기업에서 기술기획에 활용할 기초자료의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무인항공기산업과 같은 신성장동력산업의 국제적 기술 경쟁력 확보와 시장성 확보 및 산업성장이 가능한 미래유망 기술을 도출하는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KrKwic, Excel, NetMiner등의 분석툴을 활용하여 무인항공기산업 분야의 특허데이터를 대상으로 동시출현 단어를 활용한 소셜네트워크분석과 하위그룹분석, 인지지도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무인항공기산업 분야의 기술진화를 탐색하고 유망기술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체계연동/통합 기술’, ‘시험평가/감항인증 기술’, ‘항공전자 기술’, ‘비행제어 기술’, ‘피아식별 기술’, ‘비행통제 시스템 기술’, ‘지원장비 기술’ 등은 향후 유망한 기술로 선정하여 집중 투자할 필요성이 큰 기술이라 볼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특허정보를 활용한 지질자원 분야 유망기술군 탐색

        박정규,이동준 한국혁신학회 2015 한국혁신학회지 Vol.10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promising technology sectors in the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engineering using PCT patent data. For this, first, The classes relevant to the field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engineering is selected from IPC by searching existing patents and we use fusion and promising indexes proposed by Kang (2006) to calculate and identify promising technology sectors.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technologies in IPC subclass B01D, B01J, B22F, B65D, C02F, C09K, E21B, G01N, G06F, H01M are promising technology sectors. The technologies in these IPC have been researched actively in recent years, and reflect our current reality to some extent. Therefore, assuming that this trend will continue at least for a few more years, the technologies in these sectors could be promising fusion technologies. 본 연구는 PCT 특허정보를 이용하여 지질자원분야의 미래 유망기술을 선정하기 위한정량적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지질자원분야 기술의 범위는 선행기술조사를 통해 IPC코드로 정의하였으며, 특히 최근 강조되고 있는 기술 융합 및 확산 경향을 반영하여 각 기술군의유망지수와 함께 융합지수를 도출하여 유망기술군 도출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로 B01D, B01J, B22F, B65D, C02F, C09K, E21B, G01N, G06F, H01M의 총 10개의 IPC에 해당하는기술군이 유망기술군으로 도출되었다. 이 도출된 기술군들은 친환경 기술, 데이터의 처리및 분석, 고효율 시추시스템 등 최근 중요한 기술로 떠오르고 있는 기술들과 관련이 깊어, 특허데이터를 활용한 유망기술군 탐색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