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Effects of fermentation on protein profile of coffee by-products and its relationship with internal protein structure measured by vibrational spectroscopy

        Samadi,Xin Feng,Luciana Prates,Siti Wajizah,Zulfahrizal,Agus Arip Munawar,Peiqiang Yu Asian Australasian Association of Animal Productio 2023 Animal Bioscience Vol.36 No.8

        Objective: To our knowledge,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structure of fermented products and nutrient delivery from by-products from coffee processing in the ruminant system. The objective of this project was to use advanced mid-infrared vibrational spectroscopic technique (ATR-FT/IR) to reveal interactive correlation between protein internal structure and ruminant-relevant protein and energy metabolic profiles of by-products from coffee processing affected by added-microorganism fermentation duration. Methods: The by-products from coffee processing were fermented using commercial fermentation product, called Saus Burger Pakan, consisting of various microorganisms: cellulolytic, lactic acid, amylolytic, proteolytic, and xylanolytic microbes, for 0, 7, 14, 21, and 28 days. Protein chemical profiles, Cornell Net Carbohydrate and Protein System crude protein and CHO subfractions, and ruminal degradation and intestinal digestion of protein were evaluated. The attenuated total reflectance-Ft/IR (ATR-FTIR) spectroscopy was used to study protein structural features of spectra that were affected by added microorganism fermentation duration. The molecular spectral analyses were carried using OMNIC software. Molecular spectral analysis parameters in fermented and non-fermented by-products from coffee processing included: Amide I area (AIA), Amide II (AIIA) area, Amide I heigh (AIH), Amide II height (AIIH), α-helix height (αH), β-sheet height (βH), AIA to AIIA ratio, AIH to AIIH ratio, and αH to βH ratio.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in structure spectral profiles of by-products from coffee processing and protein related metabolic features in ruminant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 Fermentation decreased rumen degradable protein and increased rumen undegradable protein of by-products from coffee processing (p<0.05), indicating more protein entering from rumen to the small intestine for animal use. The fermentation duration significantly impacted (p<0.05) protein structure spectral features. Fermentation tended to increase (p<0.10) AIA and AIH as well as β-sheet height which all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otein level. Conclusion: Protein structure spectral profiles of by-product form coffee processing could be utilized as potential evaluators to estimate protein related chemical profile and protein metabolic characteristics in ruminant system.

      • KCI등재

        Product by Process 청구항의 해석론에 관한 고찰

        김원준(Won Joon Kim)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45 No.-

        물건발명은 본래 그 물건의 구조, 형상, 물성 등에 의해 특정되어야 하지만, 생산물의 구성을 물성 등에 의해 특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경우에는 그 물건의 제조방법에 의해 생산물 자체를 특정하는 경우가 있다. 제조방법이 기재된 물건발명의 청구항을 “Product by Process claim”이라고 한다(이하 “PbP 청구항”이라고 함). PbP 청구항에 관한 쟁점은 PbP 청구항이 청구범위의 기재로서 허용되는지 여부, 권리부여 단계에서 제조방법이 고려되는지 여부, 권리행사 단계에서 제조방법이 고려되는지 여부이다. PbP 청구항의 해석에 관하여 물건으로서 동일성이 있는 이상 해당 제조방법과 다른 방법으로 생산된 물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는 동일성설과, 제조방법도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하고, 해당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물건에만 권리범위가 미친다고 보는 한정설에 관하여 논의가 전개되어 왔다. 대법원 2015. 1. 22. 선고 2011후927 전원합의체 판결(대상판결)은 제조방법이 기재된 물건발명(PbP 청구항)의 특허요건을 판단하면서 제조방법의 기재를 포함하여 청구범위의 모든 기재에 의하여 특정되는 구조나 성질 등을 가지는 물건으로 파악하여 신규성, 진보성 등이 있는지를 살펴야 한다고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은 권리부여 단계에서 PbP 청구항의 해석에 관하여 동일성설을 취하면서, PbP 청구항에서 한정설로 해석되는 제조방법 특허는 특허로 인정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하게 정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위와 같은 대상판결의 결론은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대상판결에서는 권리행사단계에서 PbP 청구항의 해석에 대하여는 언급하지 않았다. 권리행사 단계에서 PbP 청구항의 해석에 대하여는 일본의 판례는 진정 PbP 청구항은 동일성설로, 부진정 PbP 청구항은 한정설로 구분하고 있다. 미국의 판례는 한정설로 해석한다. 결론적으로 PbP 청구항의 해석은 권리부여 단계에서는 동일성설로 해석하고, 권리행사단계에서는 한정설로 해석하는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Product invention should be specified by the structure, form and physical properties of a newly invented product. However, in cases where it is not possible or viable to define a product according to its properties, the product can be defined by its manufacturing process. Such a claim directed at a product, for which it is defined by the process the brings it into being, is called a Product-by-Process Claim(“PbP claim”). The issue of PbP claim includes if PbP claim is a legitimate form of claim and if the manufacturing process should be considered when granting and exercising patent rights for the product. There has been a lot of controversy surrounding the interpretations of PbP claim, including a view of identity that stipulates that if there is an identity, even products produced by other processes should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an acquired right, and another view on limitations that regards a process in the determination of claims and only products produced by the same process could fall under the scope of an acquired right. In terms of patent requirements of product invention as defined according to a product’s manufacturing process(PbP claim), the Korean Supreme Court’s en banc decision on January 22, 2015 for Case No. 2011 Hu 927 states that the novelty and creativity of products should be examined and defined as regards claims pertaining to structure,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process. A patent for a process that is acquired at the same time when a patentee applies for a patent for a product invention is not acceptable as a from of patent. Professor, Chnonnam National University of Law School This decision supports the view of identity with respect to the interpretations of PbP claim at the stage of granting patent rights. This decision is significant in that it distinctly concludes that process patent interpreted by limited analysis method is not acceptable as a patent for PbP claim. The decision is regarded as appropriate, but it does not address the issue of the interpretations of PbP claim at the stage of exercising patent rights. Thus, the present study compares and considers precedents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with respect to the interpretations of PbP claim at the stage of exercising patent rights.

      • KCI등재

        제법한정 물건발명(Product-by-process) 청구항의 해석

        박영규(Young Gyu Park) 한국정보법학회 2010 정보법학 Vol.14 No.2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많은 국가들은 화학물질, 조성물 혹은 생물학적 물질 등의 경우에는 종종 완전한 구조형태가 알려져 있지 않거나 명확한 파라미터를 통해 표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생산방법을 통해 물건을 특정 하는 “Product-by-process” 청구항(제법한정 물건발명 청구항)을 인정하고 있다. 제법한정 물건발명 청구항은 이처럼 물건의 정확한 구성 혹은 구조를 표현할 수 없을 때 출원인에 게 간접적 수단인 생산방법으로 직접적인 물건의 특성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동시에, 명세서의 부정확한 작성을 경감시켜 줄 수 있다. 제법한정 물건발명 청구항은 비단 화학분야뿐만 아니라 오늘날 급속한 발전을 하고 있는 생명공학 분야의 경우에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제법한정 물건발명과 관련하여 국제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영국에서는 제법한정 물건발명의 보호범위가 실제적으로 생산방법에 의해 생산된 물건에 한정되기 때문에 신규하고 진보성이 있는 생산방법을 통해 공지물질이 생산된다 하더라도 이러한 방법을 통해 생산된 공지물질은 신규하며 진보성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생산방법을 통해 생산된 물건에 대한 보호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근거로 제법한정 물건발명 청구항 작성이 인정되고 있지만 판례는 제법한정 물건발명 청구항 해석, 즉 보호범위 해석에 대해 엇갈린 입장을 보이고 있다. 영국 등의 실무와는 반대로 프랑스, 독일 및 유럽특허청의 실무는 생산방법에 의해 생산된 물건이 생산방법의 특허성과 무관하게 신규하고 진보성이 인정되는 경우에 절대적 효력을 지니는 제법한정 물건발명이 인정하고 있다. 이처럼 제법한정 물건발명 청구항의 인정범위, 특허성 판단에 있어 제조방법의 취급 혹은 보호범위 해석에 대해서는 국제적으로 통일적이지 못하고 상이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제법한정 물건발명은 생산방법을 통해 특정됨에도 불구하고 그 대상이 물건이기 때문에 그 생산방법과 무관하게 물건의 특허요건, 즉 신규성, 진보성과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자체적으로 갖추어야 특허성이 인정되고, 이 경우에 제법한정 물건발명은 다른 물건발명과 같이 절대적 효력을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다만 생산방법, 사용용도에 관계없이 절대적 효력을 갖는 제법한정 물건발명은 생산방법을 통해 야기되는 구조적, 기능적 구성요소 혹은 파라미터가 선행기술과 차이가 있다는 점과 구조적, 기능적 구성요소 혹은 파라미터가 발명에 내재된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함으로써 특허성이 인정된다는 사실을 출원인이 입증하는 경우에 한하여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There are basically two different types of claim, namely a claim to a physical entity(eg product, apparatus) and a claim to a physical activity(method, process, use). These two basic types of claim are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two possible “categories” of claim. The word “category” will, however, be used to refer generally to the various possible classification of claim. The product-by-process claim may be said to belong to that category of claims which contains features relating to a physical entity(the product) and to a physical activity(the process). Typically, it will have the form: “A product obtained by the process according to claim 1” or “A product obtained by the process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t to which the wording of the claims determined the scope of protection varied considerably from country to country, and this factor significantly affected drafting practice. In some country, in particular Germany, in practice the protection conferred by a patent depended more upon what was perceived to be the inventor’s contribution to the art, as disclosed in the patent, by way of the general inventive concept, than upon the wording of the claims. In other countries, in particular the United Kingdom, the precise wording of the claims was regarded as crucial, because the claims were required to define the boundary between what was protected and what was not, for purpose of legal certainty. It had been recognised that in certain branches of industry, in particular that of synthetic polymers, it was not always possible to define a substance independently of its preparation. In the case that a product is defined in a claim by the manner of its preparation, there should be no limitation of scope to the preparative process which has been chosen as the way to characterize it. on the contrary, the subject-matter which is protected by such a claim should be the product itself.

      • KCI등재

        수산부산물에 대한 해양바이오산업 활용 의향 조사 연구

        장덕희,오철홍,안소언 (사)한국해양바이오학회 2023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Vol.15 No.2

        This study examines a business survey on the utilization of fishery by-products with the aim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incorporating these by-products into various industries. The research involved surveying 312 biocompanies across the country and conducting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outh Korea, a leading seafood-producing country with a developed seafood processing industry, provides conditions necessary to utilize seafood by-products as raw materials for the marine bioindustry. Among the surveyed biocompanies, 38.5%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engage in industrial activities involving the use of fishery by-products in the future, indicating a significant level of interest within the bioindustry in utilizing marine and fishery by-products. Companies showed interest in diverse materials, such as scales, fish bones, skin, and kelp holdfast beyond those currently defined under the Fisheries By-products Recycling Promotion Act (officially unnamed, 2021). This suggests a need for improvements in the regulatory framework to accommodate these diverse biomaterials. Furthermore, we propose enhancing the efficiency of fishery by-product utilization by focusing on regional specialization in marine bioindustry. This involves utilizing existing legal framework for upcycling fishery by-products and fostering a regionally specialized marine bioindustry.

      • KCI등재

        제법한정물건(PbP) 청구항의 해석

        정차호(Chaho JUNG)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성균관법학 Vol.35 No.1

        제법한정물건(product-by-process) 청구항(PbP 청구항)의 해석과 관련하여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였다. 그러한 이견을 해결하기 위해 대법원이 2011후927 편광필름 전원합의체 판결을 선고하였으나, 그 판결이 사용한 표현의 모호함으로 인해 다양한 의견이 여전히 남게 되었다. 그 2011후927 판결 후 대법원은 2013후1726 쑥추출물 판결, 2013후631 갭 서포터 판결을 선고하였고, 최근에는 2020후11059 직타법 정제 판결을 선고하였다. 이 글은 그 4개 판결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고, 그 분석의 결과로 그 4개 판결의 총합이 말하는 법리를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첫째, 어떤 청구항이 PbP 청구항이라는 이유만으로 바로 특허법 제42조 제4항 제2호가 규정하는 명확성 요건 위배로 처리되지는 않는다. 그러한 해석이 특허법 제42조 제6항의 입법취지와 부합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대법원은 진정 PbP 청구항과 부진정 PbP 청구항을 구별하는 법리를 운용하지 않는다. 그 대신 발명의 실체를 파악한 후, 그 실체에 따라 물건자체설 또는 제법한정설을 적용할 수 있다. 셋째, PbP 청구항의 ‘특허성’ 판단에서도 제조방법의 물건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대법원의 입장이다. 기존의 이해는 특허성 판단에서는 발명의 실체와 무관하게 물건자체설을 적용한다는 것이었으나, (2013후631 갭 서포터 판결 및) 대상 2020후11059 직타법 정제 판결로 인하여 제조방법(대상 사건에서는 직타법)이 특허성 판단에 영향을 끼침을 알게 되었다. 즉, 해당 발명의 실체가 제조방법인 경우 제법한정설이 적용되어야 하고, 해당 발명의 실체가 물건인 경우 물건자체설이 적용되어야 하는 것이다. 넷째, ‘권리범위’ 판단에서도 제조방법의 물건에 대한 영향에 따라 PbP 청구항이 해석되어야 한다. 즉, 해당 발명의 실체가 제조방법인 경우 제법한정설이 적용되어야 하고, 해당 발명의 실체가 물건인 경우 물건자체설이 적용되어야 하는 것이다. There have been various opinions on interpretation of a product-by-process claim (hereinafter “PbP claim”). To resolve such conflicting opinions, the Korea Supreme Court (hereinafter “KSC”) handed down the 2011 Hu 927 en banc decision. However due to ambiguity of the expressions taken by the decision, there still remain various opinions. After the 2011 Hu 927 decision, KSC made 2013 Hu 1726 mugwort extract decision, 2013 Hu 631 gap supporter decision, and recently 2020 Hu 11059 hitting-method tablet decision. This paper has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four decisions, and as a result of such analysis, summarizes overall jurisprudence of the four decisions as the followings. Firstly, a claim is not rejected under section 42(4)(2) clarity requirement only because it is a PbP claim. Such an analysis is corresponding with legislative intent of section 42(6) of the Patent Act. Secondly, KSC does not distinguish a pure PbP claim from a non-pure PbP claim. After understanding true nature of the invention at issue, based on the true nature, product-itself theory or manufacturing-process-limitation theory would be applied. Thirdly, it is KSC’s position to consider manufacturing process’s effect on the product in determining patentability. Old majority understanding was to apply product-itself theory in determining patentability, regardless of invention’s true nature. However thanks to 2013 Hu 631 gap supporter decision and 2020 Hu 11059 hitting-method tablet decision, we have recognized that manufacturing process (hitting method in the case at issue) affects patentability determination. In other words, if true nature of the invention at issue is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process-limitation theory shall be applied and if true nature of the invention at issue is the product, product-itself theory shall be applied. Fourthly, in determining right scope, effect of manufacturing process on the product shall be considered. In other words, if true nature of the invention at issue is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process-limitation theory shall be applied and if true nature of the invention at issue is the product, product-itself theory shall be applied.

      • KCI등재

        제법한정 물건발명(Product-by-process) 청구항의 해석

        박영규(Young Gyu Park) 한국정보법학회 2008 정보법학 Vol.12 No.1

        There are basically two different types of claim, namely a claim to a physical entity(eg product, apparatus) and a claim to a physical activity(method, process, use). These two basic types of claim are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two possible “categories” of claim. The word “category” will, however, be used to refer generally to the various possible classification of claim. The product-by-process claim may be said to belong to that category of claims which contains features relating to a physical entity(the product) and to a physical activity(the process). Typically, it will have the form: “A product obtained by the process according to claim 1” or “A product obtained by the process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t to which the wording of the claims determined the scope of protection varied considerably from country to country, and this factor significantly affected drafting practice. In some country, in particular Germany, in practice the protection conferred by a patent depended more upon what was perceived to be the inventor’s contribution to the art, as disclosed in the patent, by way of the general inventive concept, than upon the wording of the claims. In other countries, in particular the United Kingdom, the precise wording of the claims was regarded as crucial, because the claims were required to define the boundary between what was protected and what was not, for purpose of legal certainty. It had been recognised that in certain branches of industry, in particular that of synthetic polymers, it was not always possible to define a substance independently of its preparation. In the case that a product is defined in a claim by the manner of its preparation, there should be no limitation of scope to the preparative process which has been chosen as the way to characterize it. on the contrary, the subject-matter which is protected by such a claim should be the product itself.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많은 국가들은 화학물질, 조성물 혹은 생물학적 물질 등의 경우에는 종종 완전한 구조형태가 알려져 있지 않거나 명확한 파라미터를 통해 표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생산방법을 통해 물건을 특정 하는 “Product-by-process” 청구항(제법한정 물건발명 청구항)을 인정하고 있다. 제법한정 물건발명 청구항은 이처럼 물건의 정확한 구성 혹은 구조를 표현할 수 없을 때 출원인에게 간접적 수단인 생산방법으로 직접적인 물건의 특성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동시에, 명세서의 부정확한 작성을 경감시켜 줄 수 있다. 제법한정 물건발명청구항은 비단 화학분야뿐만 아니라 오늘날 급속한 발전을 하고 있는 생명공학 분야의 경우에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제법한정 물건발명과 관련하여 국제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영국에서는 제법한정 물건발명의 보호범위가 실제적으로 생산방법에 의해 생산된 물건에 한정되기 때문에 신규하고 진보성이 있는 생산방법을 통해 공지물질이 생산된다 하더라도 이러한 방법을 통해 생산된 공지물질은 신규하며 진보성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생산방법을 통해 생산된 물건에 대한 보호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근거로 제법한정 물건발명 청구항 작성이 인정되고 있지만 판례는 제법한정 물건발명 청구항 해석, 즉 보호범위 해석에 대해 엇갈린 입장을 보이고 있다. 영국 등의 실무와는 반대로 프랑스, 독일 및 유럽특허청의 실무는 생산방법에 의해 생산된 물건이 생산방법의 특허성과 무관하게 신규하고 진보성이 인정되는 경우에 절대적 효력을 지니는 제법한정 물건발명이 인정하고 있다. 이처럼 제법한정 물건발명 청구항의 인정범위, 특허성 판단에 있어 제조방법의 취급 혹은 보호범위 해석에 대해서는 국제적으로 통일적이지 못하고 상이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제법한정 물건발명은 생산방법을 통해 특정됨에도 불구하고 그 대상이 물건이기 때문에 그 생산방법과 무관하게 물건의 특허요건, 즉 신규성, 진보성과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자체적으로 갖추어야 특허성이 인정되고, 이 경우에 제법한정물건발명은 다른 물건발명과 같이 절대적 효력을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생산방법, 사용용도에 관계없이 절대적 효력을 갖는 제법한정 물건발명은 생산방법을 통해 야기되는 구조적, 기능적 구성요소 혹은 파라미터가 선행기술과 차이가 있다는 점과 구조적, 기능적 구성요소 혹은 파라미터가 발명에 내재된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함으로써 특허성이 인정된다는 사실을 출원인이 입증하는 경우에 한하여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Microcystis sp. 유래 유기물질의 특성: 소독부산물 생성능 및 처리능

        김상구,서창동,설현주,김용순,손희종 대한환경공학회 2019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1 No.12

        Objectives:This study was evaluated the disinfection by-product formation potential (DBPFP) in the algal organic matter of Microcystis sp. (M-AOM), which lives in the downstream Maeri area of Nakdong River, and the removal efficiency by each drinking water treatment process. Methods:M-AOM were prepared by ultrasound/extraction/filtration using Microcystis sp. from Maeri area in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M-AOM and Nakdong river water sample (N-NOM) were compared to removal efficiency of dissolved organic matter (DOM) and DBPFP in the coagulation/settlement (Coag./Sedi.), biological activated carbon (BAC) and granular activated carbon (GAC) processes. The treatment efficiency characteristics of DOM were evaluated by LC-OCD and fluorescence spectrophotometer. DBPFP was analyzed for trihalomethane formation potential (THMFP), haloacetic acids FP (HAAFP), haloacetonitrile FP (HANFP) and chloral hydrate FP (CHFP), respectively. Jar-tester was used for the Coag./Sedi., the BAC and GAC process were conducted using a laboratory scale acrylic column with an empty bed contact time (EBCT) of 20 min. Results and Discussion:The contents of humic substances (HS) was high at 50.9% in N-NOM, whereas it was content 26.0% of biopolymers (BP) and LMW-acid (LMW-A) was high at 30.6% in M-NOM. In case of DBPFP, THMFP accounted for 59.5% of the total in N-NOM but CHFP and HANFP accounted for 49.6% and 23.3%, respectively in M-AOM. Thus, There were many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DOM and DBPFP of N-NOM and M-AOM. Both N-NOM and M-AOM showed a high removal efficiency of high molecular weight (HMW) organic matters (BP and HS) during the Coag./Sedi. process, whereas low molecular weight (LMW) organic matters (BB and LMW-org) was high during the GAC and the BAC processes, and the removal efficiency was somewhat different. Residual BP after Coag./Sedi. process was more easily removed by the biodegradation in BAC process rather than GAC process. THMFP and HAAFP which originated from AOM, were able to eliminated about 90% by the Coag./Sedi. process, which was very similar to the removal rate of BP and HS among DOM constituents and they were judged to be involved in THM formation. However, the removal rate of HANFP and CHFP was low, and it could be suspected that HANFP and CHFP formation were occurred in LMW organic matters showing low removal rate by the Coag./Sedi. process. The removal rates of CHFP and HANFP relatively high in the BAC process and total DBPFP showed high removal efficiency in the GAC process. Conclusions:N-NOM had high contents of HS (50.9%), but M-AOM had high contents of BP (26.0%) and LMW-A (30.6%). THMFP accounted for 59.5% in total DBPFP of the N-NOM and CHFP (49.6%) and HANFP (23.3%) occupied high rate in the DBPFP of M-AOM. N-NOM and M-AOM were high removal from HMW organic matters (BP, HS) showed high removal efficiency by the Coag./Sedi. process, LMW organic matters showed high removal efficiency in the GAC and BAC processes. Also, residual BP after Coag./Sedi. was easily removed by biodegradation in the BAC rather than adsorption in the GAC process. THM and HAA formed in M-AOM could be removed about 90% by Coag./Sedi. process, whereas it was difficult to remove HANFP and CHFP by Coag./Sedi. process. CHFP and HANFP had relatively high removal efficiency in the BAC process and DBPFP removal was excellent overall in the GAC process. 목적:본 연구는 낙동강 하류 매리지역에 서식하는 Microcystis sp.의 조류 유래 유기물질(algal organic matter, AOM)에서의 소독부산물 생성능(disinfection by-product formation potential, DBPFP)과 단위 정수처리 공정별 제거능을 평가하였다. 방법:낙동강 하류 매리지역의 Microcystis sp.를 초음파로 분쇄/여과하여 조제한 AOM 조제수(M-AOM)와 낙동강 하류 매리원수(N-NOM)를 대상으로 응집/침전, 생물활성탄(biological activated carbon, BAC) 및 입상활성탄(granular activated carbon, GAC) 공정 처리 전・후의 용존 유기물질(dissolved organic matter, DOM) 및 DBPFP 제거능을 함께 평가하였다. DOM 농도 및 특성 평가에는 LC-OCD와 fluorescenc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였으며, DBPFP는 trihalomethane formation potential, THMFP), haloacetic acids FP (HAAFP), haloacetonitrile FP (HANFP) 및 chloral hydrate FP (CHFP) 4종을 각각 분석하였다. 정수처리 공정별 제거능 평가에서 응집/침전은 쟈-테스터를 이용하였으며, BAC와 GAC 실험은 실험실 규모 아크릴 컬럼을 이용하여 공탑 체류시간(empty bed contact time, EBCT)을 20분으로 고정하여 수행하였다. 결과 및 토의:N-NOM에서는 humic substance (HS)의 함량이 50.9%로 높게 나타난 반면, M-AOM에서는 biopolymer (BP)가 26.0%, low molecular weight-acid (LMW-A)가 30.6%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BPFP의 경우, N-NOM에서는 THMFP가 전체의 59.5%를 차지하였으나 M-AOM에서는 CHFP와 HANFP가 각각 49.6% 및 23.3%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N-NOM과 M-AOM의 DOM 및 DBPFP 조성에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N-NOM과 M-AOM은 두 시료수 모두 응집/침전공정에서는 고분자 유기물질(BP와 HS)의 제거율이 높았으나 GAC와 BAC 공정에서는 저분자 물질(BB와 LMW-org)의 제거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제거율에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응집/침전처리 후 잔존하는 BP는 GAC 공정에서의 흡착보다는 BAC 공정에서의 생물분해에 의해 쉽게 제거가 가능하였다. AOM에서 유래되는 THMFP와 HAAFP는 응집/침전처리에 의해 90% 정도 제거가 가능하였으며, 이는 DOM 구성물질 중 BP와 HS의 제거율과 매우 유사하게 나타나 이들이 THM 생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HANFP와 CHFP의 제거율은 낮게 나타나 응집/침전처리에 의해 낮은 제거율을 나타낸 저분자 유기물질들에서 HANFP와 CHFP 생성을 의심해 볼 수 있었다. BAC 공정에서는 CHFP와 HANFP가 비교적 제거능이 높았으며, GAC 공정의 경우는 전체적으로 DBPFP 제거능이 우수하였다. 결론:N-NOM는 HS (50.9%)의 함량이 높았으나, M-AOM은 BP (26.0%)와 LMW-A (30.6%)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N-NOM의 DBPFP 구성비에서는 THMFP가 59.5%를 차지하였으나 M-AOM에서는 CHFP (49.6%)와 HANFP (23.3%)가 높게 나타났다. N-NOM과 M-AOM은 응집/침전처리에 의해 고분자 유기물질(BP, HS)의 제거능이 높았으나 GAC와 BAC 공정에서는 저분자 물질의 제거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응집/침전처리 후 잔존하는 BP는 GAC 공정에서의 흡착보다는 BAC 공정에서의 생물분해에 의해 쉽게 제거 가능하였다. M-AOM에서 생성되는 THMFP와 HAAFP는 응집/침전 처리에 의해 90% 정도 제거가 가능하였으나 HANFP와 CHFP의 경우는 응집/침전 처리로 제거가 어려웠다. BAC 공정에서는 CHFP와 HANFP가 비교적 제거능이 높았으며, GAC 공정의 경우는 전체적으로 DBPFP 제거능이 우수하였다.

      • KCI등재

        제조방법이 기재된 물건 발명 청구항의 해석에 관한 연구 -平成27年6月5日 日本最高裁判決을 중심으로-

        강헌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아주법학 Vol.13 No.2

        Product invention can be specifi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its claim, not by the structure, form and physical properties of a invented product. This claim is called ‘Product-by-Process(PbP) Claim’. It is difficult to ascertain its scope because of its vagueness. So there has been a lot of studies about the Interpretation of the Product-by-Process Claim since before. This article discussed the Japan Supreme Court’s Pravastatin Natrium Case in 2015. Japan Supreme Court provided the new guidelines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Product-by-Process Claim in the case. So I tried to check the acceptability of the guidelines in Korean patent law system. In conclusion, it is not required to accept the guidelines as they are, but they can be helpful in the Interpreting the Product-by-Process Claim in Korea. 물건의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구성을 중심으로 기재함으로써 발명을 특정하는 겻이 보통이지만, 발명의 내용에 따라서는 청구항에 그 물건의 제조방법을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물건의 발명에 대하여 제조방법의 기재에 의하여 발명을 특정하는 청구항을 ‘Product by Process Claim(이하 PbP청구항)’이라고 한다. PbP청구항은 구성이 아닌 제조방법의 기재에 의하여 발명을 특정하므로 그 제조방법의 기재로 인한 청구항의 불명확성이 문제가 될 수밖에 없다. 기존의 학설과 판례들이 PbP청구항의 해석에서 주로 논의한 부분도 이러한 문제에 관한 것이었다. 우리나라의 대법원은 2015. 1. 22. 선고 2011후927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하여 선행판례들을 변경하고 PbP청구항의 해석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후 일본 최고재판소도 동년 6월 5일 우리나라의 대법원 판결과는 다른 PbP청구항의 해석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최고재 판결이 제시하고 있는 PbP청구항의 해석기준 및 그 판결에 따른 법리적 또는 실무적 논의와 이에 대한 비판적 견해들을 살펴보고, 향후 우리나라에서 PbP청구항의 해석에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최고재 판결이 제시한 명확성 요건에 대한 검토는 불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지만, 동 판결은 PbP청구항에 있어서 제조방법의 기재로 인한 불명확성은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든 해결해야할 문제이고 실제 청구항의 해석시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그 논의과정에서 보여준 불가능·비실제적 사정에 대한 해석, 그러한 사정에 대한 주장·입증의 문제, 심사단계와 침해단계에서 동일하게 물동일설을 채택하고 있는 점 등은 우리나라의 PbP청구항의 해석에서도 참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반도체 작업환경 내 부산물로 생성되는 실리카 입자의 크기, 형상 및 결정 구조

        최광민 ( Kwang Min Choi ),여진희 ( Jin Hee Yeo ),정명구 ( Myung Koo Jung ),김관식 ( Kwan Sick Kim ),조수헌 ( Soo Hun Cho ) 한국산업보건학회 2015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25 No.1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ilica powder and airborne particles as by-products generated from fabrication processes to reduce unknown risk factors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work environment. Materials and Methods: Sampling was conducted at 200 mm and 300 mm semiconductor wafer fabrication facilities. Thirty-two powder and airborne by-product samples, diffusion(10), chemical vapor deposition(10),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5), clean(5), etch process(2), were collected from inner chamber parts from process and 1st scrubber equipment during maintenance and process operation. The chemical composition, size, shape, and crystal structure of silica by-product particles were determined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chniques equipped with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and x-ray diffractometry. Results: All powder and airborne particle samples were composed of oxygen(O) and silicon(Si), which means silica particle. The by-product particles were nearly spherical SiO2 and the particle size ranged 25 nm to 50 μm, and most of the particles were usually agglomerated within a particle size range from approximately 25 nm to 500 nm. In addition,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silica powder particles was found to be an amorphous silica. Conclusions: The silica by-product particles generated from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es are amorphous SiO2, which is considered a less toxic form. These results sh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alternative strategies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and workers‘ health.

      • KCI등재

        바이오소재 활용을 위한 국내 수산가공부산물의 통계 현황 연구

        안소언,강도형,장덕희 (사)한국해양바이오학회 2022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Vol.14 No.2

        By-products from fisheries produced in Korea are of the same industrial material as imported raw materials and are valuable resources for marine bioindustries. Securing raw materials for the mass production of functional materials is one of the main objectives for marine bioindustrial development. The use of fishery by-products as raw materials is anticipated to increase rapidly as the biomarket is growing into a promising industry. In this study, data were acquired from an open-source environment to perform exploratory data analysis, and various visualization methods were used to compare fishery production to the production of marine processed products in the year 2020.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amount of seafood processing, types of processing items, and areas where fishery processing residue is generated, should be able to secure hygienic raw material supply in large quantities. Thus far, it has been found that the Gyeonggi-do and Busan province, where HACCP-certified processing facilities are concentrated, and the local government Seafood Cluster and the Smart Aquaculture Cluster are at the forefront of stable, mass production of raw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