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병원시장의 구조적인 변화에 대한 고찰:병원 민영화의 관점에서

        신언명 한독경상학회 2019 經商論叢 Vol.37 No.1

        The Korean healthcare industry is stagnating due to escalated debates between proponents and opponents of healthcare privatization. Especially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are impacted due to smaller governmental funding availabilities which in turn brought negative consequences to overall healthcare quality and sustainability. To inform this debate, this study examines the German healthcare market which has underwent the privatization process since the 1990s. The privatization process in Germany exhibits many differences compared to that in other European countries. Not only was it much faster, but it is also characterized by a large number of mergers between private and public hospitals (which led to the establishment of hospital chains). The stimulus for Germany’s healthcare privatization lies in a number of socio-political factors: smaller governmental funding availabilities for the healthcare sector, increasing cost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DRG system, an aging population, and needs to keep pace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s. These factors escalated the need for financial investments at hospitals which spurred the privatization process. A number of laws were passed that allowed for the regulatory landscape to assist such developments. Regulatory changes included efforts to build a well-functioning market to attract capital,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law system that governed the privatization process. Due to these developments, statistical records show that privatized hospitals exhibit a higher market share, profitability, and healthcare quality relative to public hospitals which can be attributed to superior management practices including faster decision-making capabilities, and external financing. Despite these positive impacts, there are also increasing voices from opponents of the hospital privatization trend in Germany. They raise issues related to high healthcare costs, concerns about healthcare quality and hospital management practices, and the overall desirability of healthcare privatization. These arguments are largely echoed by the opponents to healthcare privatization in Korea as well. Germany is still moving into the direction of greater healthcare privatization. Therefore, by examining the German case which exhibits many similarities with the Korean healthcare system, this study intends to move the debate forward by shedding light on the potential impacts from healthcare privatization. 국내에서 병원 민영화는 정치적으로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는 상황에서 민영화의 반대와 찬성에 대한 여론으로 병원시장에서의 병원산업방향성이 정체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곧 병원의 지속가능경영에 어려움을 보이면서 국내 상급병원들을 제외한 중소병원과 전문병원 그리고 지원금에 대한 정부의 축소로 공공지방병원들은 자금의 어려움에 처하면서 도산위기에 처하고 있거나 의료서비스의 질이 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국내 병원시장의 이런 어려운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는 목적에서 독일 병원시장에서 지난 90년대부터 현재까지 진행 중에 있는 병원 민영화의 과정을 고찰한다. 독일 병원 민영화는 유럽 내에서 다른 국가와 비교하여 민영화과정에서의 차이를 보이고 있고, 민영화에 대한 속도 역시 매우 빠른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이한 것은 민간운영자에 의하여 운영되는 병원기업들이 공공병원의 인수합병(병원체인의 구성)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독일의 병원 민영화를 촉발한 원인은 정치적인 영향에 의한 공공병원에 대한 투자지원금의 축소와 제도적으로 포괄수가제(DRG)의 도입에 의한 병원비용의 충당에 따른 어려움 그리고 인구고령화, 기술진보 및 병원의 디지털화 등의 사회적, 기술적 요인에 의한 병원유지를 위한 투자자금의 확보가 중요한 근간이 되고 있다. 이와 병행해서 독일병원의 민영화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독일 정부는 병원을 자립적으로 운영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병원의 경제적 안전성과 자금조달의 요건을 정하는 병원자금지원법을 강화하고 민영화와 관련된 사항들을 보완하는 법들과 연계되는 법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를 근간으로 병원 민영화로 표현되는 병원기업들은 공공병원과 비영리병원들과 비교해서 시장점유율, 수익성, 의료품질 등의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우위성을 보이고 있다. 이는 병원기업이 다른 병원 군에 비하여 경영의사결정에서의 신속성과 자금의 외부조달에 대한 높은 가능성을 통한 경영성과 등에 기인하고 있다. 따라서 독일 병원시장에서의 병원 민영화는 계속하여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나, 이와 관련해서 독일사회에서의 병원 민영화가 과연 올바른 것인가에 대한 의견 역시 나타나고 있다. 그에 대한 항목들을 보면 병원기업들이 병원진료비가 저렴한 것인지, 진료의 질이 좋은지, 경영관리가 우월한지 그리고 민영화가 바람직한지 등과 관련한 내용들이고 이들 항목들은 우리나라의 병원 민영화에 대한 반대론자들이 제시하는 항목들과 차이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일에서 병원 민영화는 계속하여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와 유사한 병원체계를 가진 독일 병원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병원 민영화의 현실을 고찰하여 봄으로서 어려워지고 있는 국내 병원시장에서 병원시장의 효율성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인 병원 민영화의 틀을 어떤 방향에서 토론해야 여론의 분열을 최소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는데 주목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독립 이후, 카자흐스탄의 의료민영화 추진 과정과 향후 과제

        김태경,이지은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4 슬라브연구 Vol.40 No.1

        카자흐스탄 정부는 2015년 12월에 ‘2016-2020 종합 민영화 계획’, 2020년 12월에는 ‘2021-2025 종합 민영화 계획’에 대한 정부결의안을 채택하며, ‘민영화’ 추진에 대한 카자흐 정부의 의지를 표명했다. 실제로 카자흐스탄은 2016년부터 국가의 재정 건전성 강화를 위해 정부의 재산을 매각하는 방식 등으로민영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사실 카자흐스탄의 민영화는 1990년대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에너지⋅통신⋅언론 등의 분야에서 민영화가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된 것에 비해, ‘보건⋅의료’는 분야의특수성으로 인해 다소 제한적인 민영화가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보건⋅의료 분야의 경우, 2000년대 이후부터는 민영화보다는 정부 주도로 열악했던 보건⋅의료 인프라 개선을 위한 다양한 개혁⋅발전정책이 추진되었다. 하지만 세계 경제위기(2008) 이후, 경제성장률이 하락하며 전반적인 국가 재정 상황이 악화하자, 카자흐 정부는 보건 재정 건전성 강화를 위한 방안을 찾기 시작했고, 2010년대 중반부터는 ‘보건ㆍ의료’의민영화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이를 주도한 것은 당시 보건부 장관이었던 비르타노프(Birtanov)였는데, 그의 재임 시(2017.1–2020.6) 총 9개의 국영 보건ㆍ의료 관련 기관이 민영화되었다. 하지만 2020년6월 비르타노프가 경질되고, 코로나19 상황을 겪으며, 최근의 보건ㆍ의료 민영화 속도는 다소 늦춰지는모양새다. 더욱이 2023년 2월, 자마이바예프(Jamaibayev) 재무부 장관은 ‘사회적 대상’이란 단어를 사용하며, ‘사회적 대상’에 포함되면 민영화에서 제외될 수 있다고 공식 발표했다. ‘보건ㆍ의료’는 민심과 국가통치력에 직결되는 부분이기에 나자르바예프(Nazarbaev)의 영향력을 약화하려 하는 토카예프(Tokaev)로서는 민심 이반이 우려되는 보건ㆍ의료의 급속한 민영화가 부담될 법하다. 따라서 향후 보건ㆍ의료 분야는민영화 대상에서 축소 또는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향후 카자흐스탄 ‘보건ㆍ의료’ 민영화 정책의 추이를 유의 깊게 살펴보며, 전반적 보건ㆍ의료 정책의 변동 및 발전 방향 등에 관한 연구를 이어가야 할 것이다. The Kazakh government adopted “a resolution on the Comprehensive Privatization Plan for 2016-2020” in December 2015 and “another resolution on the Comprehensive Privatization Plan for 2021-2025” in December 2020. These resolutions demonstrate the Kazakh government’s commitment to privatization efforts, and Kazakhstan has in fact been pursuing privatization since 2016, primarily by selling government assets to strengthen the country’s fiscal health. Privatization in Kazakhstan began in the 1990s, immediately after gaining independence. However, while privatization has progressed relatively briskly in sectors such as energy, telecommunications, and media, the healthcare and medical sector has seen somewhat limited privatiza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field. In the case of this sector, various reforms and development policies to improve inadequate healthcare and medical infrastructure have been pursued under the Kazakh government’s lead rather than through privatization since the 2000s. However, following the global economic crisis in 2008 and the subsequent decline in economic growth rates, along with the overall worsening of national fiscal conditions, the Kazakh government began seeking measures to ensure the fiscal soundness of the healthcare sector. From the mid-2010s, they actively pursued the privatization of healthcare and medical sector. This was spearheaded by Birtanov, then Minister of Health, during his tenure from January 2017 to June 2020, during which a total of nine state-run healthcare and medical institutions were privatized. However, with Birtanov’s replacement in June 2020 and the challenges posed by the COVID-19

      • Ex-ante versus ex-post privatization policies with foreign penetration in free-entry mixed markets

        Xu, L.,Lee, S.H.,Matsumura, T. JAI Press ; Elsevier Science Ltd 2017 International review of economics and finance Vol.50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timing of privatization and liberalization policies on the degree of privatization and number of entering firms in free-entry mixed markets. We formulate two models: ex-post privatization and ex-ante privatization. In the former, the government liberalizes the market and then privatizes the public firm, whereas the order of the policies is reversed in the latter. We find that ex-ante privatization yields a higher (lower) level of privatization and a larger (smaller) equilibrium number of entering private firms when foreign ownership in private firms is high (low). We also show that the optimal level of privatization is increasing (decreasing) in the share of foreign ownership in the ex-ante (ex-post) privatization case. Finally, we find that although both the ex-ante and the ex-post privatization cases yield the same consumer welfare, ex-ante privatization always yields higher social welfare than ex-post privatization.

      • KCI등재

        스웨덴 사회서비스의 민영화에 대한 연구

        홍세영,이병렬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2015 스칸디나비아 연구 Vol.16 No.-

        This study is about the dynamic for Privatization of Swedish social service by political perspective. Privatization means the responsibility of government transfer to private sphere such as market, family and non government. Until recently, many welfare states nominally perform privatization of social service for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the quality and individual choice of social service. But it is a tacit politics strategy of reducing budget of state. So Privatization is a discrepancy between countries by political ideology or the characteristic of rule party. Although the model of Welfare state, Swedish also pursue Privatization of social service because of globalization, unemployment, and deficit. Especially the rise of the conservative party who tendency to new right pushed for privatization as political instrument for power. The conservative party criticized a bloated welfare system and insisted on the more efficacy government and the more market oriented. The conservative tried to popularize the privatization in swedish society since 1980. In 1990, the conservative party became the ruler party and they pushed privatization more positively. However, recently the illness of the market failure in social service happened, the conservative party lost the general election in 2014. Now social democratic party postpone the policy of privatization. In short view, privatization doesn`t go forward any more because swedish people disappoint privatization. But in the long view, it is expected social democratic process privatization by global economic, international relationship and so on. But most importantly, Social democratic searches for the solution of market failure in social service. 본 연구는 스웨덴의 사회서비스의 민영화의 정치적 역동성을 분석하였다. 민영화란 정부의 책임을 민간에 이양하는 것을 의미한다. 민영화는 많은 국가에서 명목적으로 효율적인 국가 운영과 서비스 질을 높이고 개인의 선택을 강화한다는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지만 암묵적으로는 예산 절감이라는 전략으로 선택되는 정치적인 현상이다. 따라서 그 국가의 정치적 이념이나 집권정당의 성향에 따라 민영화의 성격이 달라진다. 복지국가의 전형이었던 스웨덴도 1980년대 이후 세계화, 실업율, 재정 악화 등의 이유로 그리고 효율적이고 서비스질을 높이기 위해 민영화를 단행한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보수정당의 부상이 있었다. 보수연합은 신우파의 성격을 가진 정당으로 스웨덴의 비대해진 복지체제를 비판하고 좀 더 자유주의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정부를 요구한다. 1980년대부터 민영화 추진을 하기위해 대중매체나 캠페인을 통해 민영화의 중요성을 대중에게 알린다. 1990년대 보수연합의 승리는 민영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계기를 가져왔고 이후 재집권한 사민당의 경우도 민영화를 공공 서비스가 관료성, 비효율성, 개인과 시민의 책임 축소 등과 관련된 복지국가 비판을 잠재우는 정치적 수단(pragmatic)으로 사용되면서 민영화는 스웨덴 사회복지 모델에 점점 투여되었다. 특히 2000년대 보수연합은 더욱 민영화를 강화하고 국민들의 호응을 얻기도 하였다. 그러나 2010년 이후 서비스질 하락, 횡령, 양극화 등에 대한 민영화에 대한 병폐가 드러나면서 보수연합 정권은 2014년 선거에 실각을 하게 된다. 재집권한 사민당의 경우 민영화 정책을 유보한 상태이다. 향후 스웨덴의 민영화 정책은 다양한 사회 경제적 여건으로 추진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현재 드러나고 있는 민영화의 시장이 실패를 어떻게 극복하느냐는 이들의 주요 과제일 것이다.

      • KCI등재

        민영화의 담론ㆍ갈등ㆍ합의

        구춘권(Koo, Choon-Kweon) 한국정치학회 2012 한국정치학회보 Vol.46 No.4

        민영화는 각 나라의 역사적·제도적 전통, 정치적·사회적 세력관계, 민영화를 동반하는 담론의 호소력과 설득력, 민영화 대상 기업 노동자들의 저항과 투쟁, 민영화 추진세력의 강력한 의지, 국제적 환경 등 다양한 요인들과 관련되어 있다. 그러기에 민영화는 구조적 위기가 야기한 경제적 강제에 대한 일반적인 정치적 반응의 차원으로 축소해서 이해될 수 없다. 민영화는 각 나라의 역사적 구조와 제도적 전통의 제약 아래 민영화 주체들의 사고와 생각이 서로 충돌하고 갈등하면서 만들어진 결과물로 파악되어야 한다. 민영화의 모습은 민영화의 주체들, 즉 정부, 기업, 노동조합, 정당, 이익집단, 시민단체 등이 민영화 과정에서 어떤 담론을 가지고, 어떤 성격의 갈등을 통해 대립하며, 결국 어떻게 합의를 도출하는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유럽에서도 가장 성공적인 민영화의 사례로 꼽히는 독일의 철도와 우편·정보통신 영역의 민영화 과정을 추적하고 분석하며 재구성한다. 이 작업은 본 논문에서 세 단계를 통해 진행된다. 이 글은 우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공공부문이 확대되는 사회적·정치적 배경, 그리고 공공부문의 확대를 정당화한 담론에 대해서 주목한 뒤, 어떤 역사적 맥락속에서 급진적인 민영화 프로그램이 부상했고, 민영화가 어떤 기대로부터 추동되었는지 논의할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구체적으로 독일에서 공공부문이 어떻게 조직되었으며, 또한 민영화가 어떻게 대두되었는지 검토하면서, 특히 사회적 합의의 쇠퇴가 민영화의 배경으로 작용했음을 주목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분데스반과 분데스포스트의 민영화 과정을 민영화의 담론, 갈등과 합의, 독일통일과 유럽통합의 영향, 민영화 이후의 발전이라는 네 가지 측면으로부터 접근하여 분석할 것이다. The process of privatiza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diverse elements of the respective countries in her institutional history and tradition, socio-political power relations, appealability and persuasiveness of privatization discourses, resistance and struggle of the labor unions, strength of driving forces for privatization, and finally international environments. Complex and comprehensive contexts under privatization makes it unreducible merely into the political response to economic enforcement of the structural crisis. Privatization should be understood rather as a sort of outcomes of the clashes and struggles of the multiple subjects of privatization like government, corporations, trade unions, parties, interest groups, and NGOs under each restriction and limit of historical structure and institutional tradition of the country. The shape and the form of privatization are hugely dependable on the discourse,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ing claims, and the way of consultation and agreement process amongst the multiple privatization subjects. This paper analyzes and reconstitutes the privatization process of German rail, postal and telecommunication service sectors in particular, as it is a leading example of success in privatization. Research is carried out under three steps. First, after examining the sociopolitical background and the supporting theories justifying the public sector expansion since World War II, this paper studies the historical context and expectation from which the radical privatization program has been emerged and generated. As a second step, especially through the examination of how the German public service sector has been organized and the privatization has been propelled, the decline of social consensus draws attention and emphasis particularly as a noticeable background of privatization. Last part is the analysis of privatization process of the Bundesbahn and the Bundespost approaching it from four aspects of privatization discourse, conflict and agreement, influence of the Unification of Germany and European Integration, and the development after privatization.

      • KCI등재

        중국 국유기업 민영화: 비효율성 전가 vs. 효과적 시장 타이밍

        탄진,김성환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8 아태연구 Vol.25 No.4

        In this study, we test five sets of conventional theories with respect to privatization of state-owned enterprises (SOEs) in the transitional economies like China: the efficiency hypothesis, the market liberalization hypothesis, the soft-budget hypothesis, and the financial liability hypothesis, and the constraint hypothesis, In addition, we propose and test another hypothesis of our own, namely the market timing hypothesis, based on the efficient or rational stock market timing behaviors of SOEs in privatization for their success of privatization and for the success of long-term investors as in the developed market economy. With 12,742 observations for most SOEs in China that went public on Shanghai Stock Exchange (SHSE) and Shenzhen Stock Exchange (SZSE) for the period 1990-2012, we perform empirical tests for the six hypotheses by using firm-level data and report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likelihood of privatization for the whole sample increases with higher ROA, rejecting the efficiency hypothesis in that inefficient SOEs can improve their efficiency though privatization. While it decreases with ROA for the profitable firms, it increases with higher ROA for the unprofitable firms. For the separated groups, SOEs can improve their efficiency for better ROAs though privatization, supporting the efficiency hypothesis. Second, the results are mostly same in the models with net income level instead of profitability, which is related to the financial liability hypothesis. Third, the likelihood of privatization for the whole sample increases for firms during the years of stock market liberalization for foreign investors, supporting the market liberalization hypothesis, also for both profitable firms and unprofitable ones. Fourth, the likelihood of privatization for the whole sample increases for firms with positive free cash flows, rejecting the soft budget constraint hypothesis, also for both profitable firms and unprofitable ones. Fifth, the likelihood of privatization for the whole sample increases for firms with higher debt leverage, which is against the constraint hypothesis. While it increases with higher debt ratio for the profitable firms, it decreases with higher debt ratio for the unprofitable firms, the latter supporting the hypothesis. Basically, the conventional hypotheses are mostly rejected as a whole, especially with respect to the soft budget constraint hypothesis while efficiency hypothesis and financial liability hypothesis are supported for profitable firms only, although the market liberalization hypothesis is evidenced to support the effects of the government regulation to expedite privatization of SOEs prior to market liberalization in more recent years. Unlike conventional privatization theories on SOEs in the economies of transition, the test results fully support our market timing for the whole sample and for both profitable firm group and non-profitable firm group. Thus, the central Chinese government or local ones support the privatized firms and public investors by finding appropriate market timing with relatively at a lower PER or stock price level relative to EPS in order to the financial burden of buyers of the government. 본 연구는 1990년 1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 중국 상하이 및 선전거래소에 상장된 중국 국유기업을 대상으로 사회주의 경제체제인 중국에서의 국유기업 민영화 결정과 관련하여 효율성 가설, 시장개방 가설, 연성예산제약 가설, 재정부담 가설 및 제약 가설을 검정하였으며, 시장경제하에서의 시장 타이밍의 역할에 대한 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 국유기업의 높은 부채비율은 적자기업에 있어서 민영화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며, 높은 PER 및 ROA 수준도 민영화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자유현금흐름 수준은 민영화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흑자기업의 높은 ROA는 민영화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인 민영화 이유에 대한 가설은 전체적으로 기각되었으며, 부분적으로 효율성 가설, 재정부담 가설 그리고 시장개방 가설이 지지되었다. 시장 타이밍 및 시장개방 가설이 지지되고 있음을 미루어 볼 때 중국 국유기업의 민영화는 글로벌 자본시장 통합과 개발 등과 관련성이 더 크며, 이러한 과정에서 정부의 수입극대화보다는 민영화된 기업의 성공을 위하여 인수 주주, 경영진 등의 부담경감 차원에서 민영화 시점을 결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중국 국유기업 민영화에서의 효율성과 수익성 개선에 미치는 지역간 파급효과

        리신위,리우위에,김성환 중국지역학회 2022 중국지역연구 Vol.9 No.2

        In this study, we measured efficiency of Chinese firms using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according to input and output by industry with panel data of Chinese listed companies from 2007 to 2020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s in R&D efficiency around privat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rporate R&D investment efficiency, the effects of government ownership ratio,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ency and R&D investment on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state-owned enterprises (SOEs) for some years after privatization are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of fixed effects panel regressions ans spatial Durbin panel regressions, we hav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privatization improves the efficiency of corporat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in China for years including the year of privatization and then aggravates it. Its effects are similarly or exactly reflected in their corporate profitability for the same period. Second, the technological efficiency improves corporate profitability for five years. Third, government ownership improves investment efficiency for the non-privatized firms, including both private firms and government firms, but not for privatized firms. Fourth,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ency and R&D investments improve their efficiency, but hurt their current-year profitability. Fifth, the effects of privatiza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government ownership last positively for one year for privatized Chinese SOEs while such effects on corporate profitability last only for the year after privatization positively during the year, negatively for 5 years i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R&D investments. Lastly,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privatiza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corporate efficiency and profitability across region. Within regions, the metropolitan area, the central region, and the northwest region seem to be on the rise in corporate efficiency, while the coastal area is on the decline. Thus, the privatization of Chinese SOEs has been successful in improving their technological efficiency and profitability for a short period of time, which turns adverse afterwards. The results imply that privatized firms need improvements in the efficiency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R&D investments activities for long-term improvements in efficiency and profitability, with spillover effects across regions nearby. 본 연구는 소유권 개혁의 배경을 바탕으로 2007년부터 2020년까지 중국 상장기업의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업별 투입 산출에 따른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모형을 구축하고, 중국 민영화 전후의 상장기업의 연구개발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기업의 R&D 투자 효율성의 관점에서 본 연구는 민영화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특히, 민영화된 기업의 정부지분율, 기술혁신 역량, R&D 투자가 기업의 효율성 및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관점에서 실증분석을 수행한다. 시계열적 차이와 기업 및 중국의 성별 즉, 지역간 차이를 반영하기 위하여 기업 수준 고정효과패널모형과, 성간 파급효과를 진단하는 더빈 패널모형(Spatial Durbin Panel Regression)을 이용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첫째, 중국에서 국유기업의 민영화는 민영화 이후 1년 후까지 기업의 기술혁신 효율성에 양(+)의 영향을 미치다가 2년도부터는 음(-)의 영향으로 돌아선다. 이러한 현상은 기업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에도 사실상 동일하게 나타난다. 둘째, 기업의 R&D 투자 효율성은 기업의 수익성에 민영화 이후 최소 5년간 양(+)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정부지분율은 민간기업과 국유기업을 포함한 비민영화 기업의 R&D 투자 효율성에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민영화 기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넷째, 기술혁신역량은 기업의 R&D 투자 효율성에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업성과에는 음(-)의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민영화 과정, 기술혁신역량 및 정부지분율은 민영화된 중국 국유기업에 대하여 1년 후 양(+)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기업의 수익성에 대하여 해당년도 양(+)의 영향을 미치며 기술혁신역량 및 R&D 투자에서는 5년 동안 지속적으로 음(-)의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지역간에도 민영화는 기업의 효율성과 수익성으로 진단한 경영성과에 대하여 양(+)의 영향을 미친다. 그중에 수도권, 중부지역과 서북지역은 기업 효율성이 상승하는 반면에 연안 지역은 감소하는 추세로 보인다. 따라서 중국 국유기업의 민영화는 다소 일시적으로 기업의 R&D 투자 효율성과 수익성을 개선하는 데 성공했지만, 기술혁신역량 및 R&D 투자도 수익성을 개선하는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기술 혁신과 R&D 투자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북한 소규모 사유화의 수준과 추세: 정량적 접근

        양문수,윤인주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16 통일연구 Vol.20 No.2

        이 글은 북한의 소규모 사유화의 수준과 추세를 정량적 분석을 통해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추세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수준은 보조적으로 다룬다. 이를 위해 2005년, 2009년, 2012년, 2015년 등 4회에 걸친 필자들의 설문조사결과를 비교하는 방법을 취한다. 2005년 조사는 주로 2003~05년에 탈북한, 2009년 조사는 주로 2007~09년에, 2012년 조사는 2007~12년에, 2015년 조사는 2013~15년에 각각 탈북한 북한주민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조사집단간 비교를 통해 북한 소규모 사유화의 시기별 변화, 즉 추세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결과 북한에서는 소규모 사유화가 크게 진척되는 가운데 특히 광의의 서비스업이 제조업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북한의 사유화 진행이 사회주의국가의 체제전환 초기 경험과 상당히 유사한 측면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3개의 집단, 즉 2005년 조사 집단, 2009년 조사 집단, 2105년 조사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조사했더니 지방산업공장, 상점, 협의의 서비스업체에서 3개 조사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2003년부터 2015년까지 13년을 대상으로 4~6년의 간격을 두고 3개의 시기로 나누어서 관찰한 결과, 조사 대상 6개 범주 가운데 절반에 해당되는 3개 범주에서 소규모 사유화가 진척되고 있음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2개의 집단, 즉 2005년 조사 집단과 2009년 조사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분석한 결과 조사 대상 6개 범주 중 지방산업공장, 중앙공업공장, 상점 등 3개의 범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고, 2009년 조사 집단과 2015년 조사 집단간에는 오직 협의의 서비스업 1개 범주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05년 조사 집단과 2015년 조사 집단간에는 6개 범주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10년 정도의 기간을 대상으로 장기적 추세를 관찰하면, 즉 2003~05년과 2013~15년 사이에는 소규모 사유화가 모든 범주(분야)에서 뚜렷하게 진전되는 추세를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개인 사업체를 유형화하고 보다 세분해서 관찰한 결과, 기관·단체의 명의를 빌린 사실상의 개인 소유인 어선, 광산, 화물차, 상점, 국가건물 임차 식당, 가정집 식당, 미용실, 사진관, 오락실, 당구장, 오락실, 숙박업소 등 조사 대상 13개의 모든 범주에서 소규모 사유화가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실상 개인 소유인 경작지, 어선, 광산, 국수/인조고기 생산기지, 식당, 편의봉사업체 등 9개의 모든 범주에서 상시 또는 일시적으로 고용되는 사례는 뚜렷하게 늘고 있었다. 이는 앞에서 보았던, 명의 대여 사유화의 진전 현상과 정합적이다. 즉 개인 투자/운영 사업체의 증가, 특히 자영업의 범위를 뛰어 넘어 타인 고용 개인 사업체의 증가의 대척점에는 실제로 이러한 사업체에 고용되는 사람의 증가가 존재해야 하는데 이번의 조사에서 사업체와 피고용인의 증가 양쪽 다 관찰할 수 있었다. 아울러 북한의 소규모 사유화에 관한 필자들의 이번 조사결과는 시장화 추세에 관한 선행연구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일부 선행연구는 탈북자설문조사결과에 입각해 정량적 접근을 한 여타 선행연구를 근거로 북한의 시장화가 1990년대에는 크게 확대되었고 이후 2000년대에는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데 그쳤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탈북자설문조사결과에 토대를 둔 필자들의 정량적 연구에 따르면 북한의 시장화는 1990년대뿐만 아니라 2000년대에도 계속 확대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levels and trends of small-scale privatization of North Korea through a quantitative approach. The research has been performed by comparing survey results of 2005,2009,2012,2015. In 2005, the survey targets were North Korean defectors who escaped North Korea during 2003- 2005; in 2009, the survey targets were North Korean defectors who escaped North Korea during 2007- 2009; in 2012, the survey targets were North Korean defectors who escaped North Korea during 2007- 2012, and in 2015, the survey targets were North Korean defectors who escaped North Korea during 2013- 2015. Therefore, the comparison of the investigation groups can show the changes and trends of small-scale privatization of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service industry (in a broad sense) has been developed more than manufacturing business while the small-scale privatization has been progressed. Research results show that in 2015, over 50% companies were run by private investigators in service industry (in the broad sense), while in the manufacturing business it was 20%. This implies that the progress of privatization of North Korea is similar to the early experiences of transition of socialist nations in 1990s. Research showed that among the three survey groups, 2005, 2009, and 2015, there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local industry factories, stores, and service industry (in the narrow sense). According to 13 years of observation from 2003 to 2015, in four to six years intervals, divided by three periods, it is determined that half of the survey target categories (3 out of 6 categories) have proceeded towards small-scale privatization.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2005 and 2009,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3 categories of 6, including local industry plants, central industry plants, stores, and only 1 category, service business, was shown to hav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2009 and 2015 survey groups. However, there were examined statistical differences in all 6 categories between the 2005 and 2015 survey groups. As stated, 10 years of long term observation confirmed that the severe trend of small-scale privatization occurred in all categories between 2003–2005 and 2013-2015. Moreover, as a result of observation in the classification and breaking down of private business, 13 categories survey targets were identified distinct small-scale privatization has increased: borrowing a name from the organizations and associations private fishing boats, private mines, private trucks, private stores, private restaurants which are rented from the government, private restaurants in homes, private beauty shops, private photo studios, private game rooms, private billiard rooms, private accommodations. Also, temporary employment cases have increased in 9 categories including private farmland, private fishing boats, private mines, private noodle or replica meat manufactures, private restaurants, and private convenience service business. This research result showed an accurate phenomenon of name landing privatization. In this research, the increase in both business and employees can be observed, both of which must exist in the antipode of private business employers growth. In addition, the small-scale privatization size and trend of North Korea study results propound the research question about the precedent study of marketization trend. Some precedent studies argued that the marketization or informal economy of North Korea expanded after 1990 and was stable after 2000 based on another precedent study which was the quantitative approach of the survey results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d escaped North Korea. Yet the research concluded that not only in 1990, but also in 2000, based on a quantitative approach of the survey results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escaped North Korea, the marketization of North Korea expanded.

      • KCI등재

        영국의 보호관찰 민영화에 관한 연구

        허경미 한국교정학회 2012 矯正硏究 Vol.- No.56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the privatization of the United Kingdom criminal justice system and probation service in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privatization issue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British privatization of probation will be introduced from October 2012. There are some Features associated with the privatization of Britain's probation First, the probation officer, opposed privatization, but the government stand by the cost savings and business efficiency, and contribute to the community pers pective. Second, group of civilian experts such as volunteer organizations, and corporations strengthen the ability and influence in probation. Third, the criminal justice process has become marketable. The Offender Management Bill 2006 and the Criminal Justice Act 1991 urge the public realm of capitalism. Fourth, the United Kingdom-oriented small government of neoliberalism while trying to solve crime and disorder problems, strengthen networking between with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s. On the other hand, we should be considered about implications British privatization. First, the criminal justice process is no longer unique in the area of ​​public service. Second,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privatization of probation, we must study the scope and limitations. Third, probation privatization of the greatest resources of the community of professionals and volunteers, and related groups and networking and partnerships are needed. Fourth, the probation officer should be understand the basic principles of the market economy like the low-cost, high-efficiency. Fifth, the need to be systematically positive social capital in preparation for the privatization of probation. Sixth, we need a master plan strategy for the privatization and outsourcing of criminal justice procedures. 이 연구는 영국의 형사사법제도 민영화의 배경 및 보호관찰 서비스 민영화 정착과정에서의 쟁점 및 그 정책적 시사점을 고찰하는 것이다. 영국의 보호관찰 분야는 2012년 10월 부터 본격적인 민영 시스템을 도입한다. 영국의 보호관찰 민영화와 관련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호관찰관들은 보호관찰 민영화에 반대하나, 정부는 경비절감과 업무의 효율성, 그리고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 등을 고려할 때 민영화는 당연하다는 입장이다. 둘째, 자원봉사단체 및 법인, 개인 등 민간 전문가집단의 영향력 강화 등을 들 수 있다. 셋째, 형사사법절차의 시장성을 부각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1991년 형사사법법 및 2007년 범죄인관리법 등은 공공부문에 시장경제원리 적용을 더욱 확대시키고, 공공부분에 대한 민간부문의 참여가 경쟁입찰 및 계약이라는 시장질서를 따르고 있다. 넷째, 영국은 작은 정부를 지향하면서도 지역사회 및 지방정부와의 협력적 네트워킹을 강화하여 범죄와 무질서 문제를 함께 해결하려는 신자유주의적 범죄예방전략을 형사정책의 기본 틀로 정착시키고 있다. 한편 영국의 보호관찰에 대한 민영화는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있다. 첫째, 형사사법절차는 더 이상 고유의 공공서비스 영역이라는 인식의 틸피가 필요하다. 둘째, 보호관찰 업무를 민영화 할 경우 그 범위 및 한계 문제를 충분히 연구하여야 한다. 셋째, 보호관찰 민영화의 가장 큰 지원자원인 지역사회 전문인력 및 자원봉사자, 그리고 관련 그룹들에 대한 네트워킹 및 파트너십이 필요하다. 넷째, 보호관찰관들은 저비용 고효율성이라는 시장경제의 기본원리 도입에 대비하여야 한다. 다섯째, 보호관찰의 민영화에 대비하여 사회자본을 사전적으로 양성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형사사법절차의 민영화 및 아웃소싱 전략에 대한 마스터플랜이 필요하다.

      • KCI등재

        북한 기업의 사실상의 사유화 -수준과 추세에 관한 정량적 분석-

        양문수 ( Moon Soo Yang ),윤인주 ( In Joo Yoon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16 통일연구 Vol.20 No.2

        이 글은 북한 기업의 사실상의 사유화의 수준과 추세를 정량적분석을 통해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추세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수준은 보조적으로 다룬다. 이를 위해 2005년, 2009년, 2012년, 2015년 등 4회에 걸친 필자들의 설문조사결과를 비교하는 방법을 취한다. 2005년 조사는 주로 2003∼2005년에 탈북한, 2009년 조사는 주로 2007∼2009년에, 2012년 조사는 2007∼2012년에, 2015년 조사는 2013∼2015년에 각각 탈북한 북한주민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조사집단간 비교를 통해 사실상의 사유화의 시기별 변화, 즉 추세를 파악할 수 있다. 조사결과 북한에서는 사실상의 사유화가 크게 진척되는 가운데 특히 서비스업이 제조업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북한의 사실상 사유화의 진행이 사회주의국가의 체제전환 초기 경험과 상당히 유사한 측면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3개의 집단, 즉 2005년 조사 집단, 2009년 조사 집단, 2105년조사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조사했더니 지방산업공장, 상점, 개인서비스업체에서 3개 조사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2003년부터 2015년까지 13년을 대상으로 4∼6년의 간격을 두고 3개의 시기로 나누어서 관찰한 결과, 조사 대상 6개 범주 가운데 절반에 해당되는 3개 범주에서 사실상의 사유화가 진척되고 있음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2개의 집단, 즉 2005년 조사 집단과 2009년 조사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분석한 결과 조사 대상 6개 범주 중 지방산업공장, 중앙공업공장, 상점 등 3개의 범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고, 2009년 조사 집단과 2015년 조사 집단 간에는 오직 개인서비스업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05년 조사 집단과 2015년 조사 집단 간에는 6개 범주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10년 정도의 기간을 대상으로 장기적 추세를 관찰하면, 즉 2003∼2005년과 2013∼2015년사이에는 사실상의 사유화가 모든 범주(분야)에서 뚜렷하게 진전되는 추세를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개인 사업체를 유형화하고 보다 세분해서 관찰한 결과, 기관·단체의 명의를 빌린 사실상의 개인 소유인 어선, 광산, 화물차, 상점 등 조사 대상 13개의 모든 범주에서 사실상의 사유화가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실상 개인 소유인 경작지, 어선, 광산, 국수·인조고기 생산기지, 식당 등 9개의 모든 범주에서 상시 또는 일시적으로 고용되는 사례는 뚜렷하게 늘고 있었다. 이는 앞에서 보았던, 명의 대여 및 명의·생산수단 사유화의 진전 현상과 정합적이다. 즉 개인 사업체의 증가, 특히 자영업의 범위를 뛰어 넘어 타인 고용 개인 사업체의 증가의 대척점에는 실제로 이러한 사업체에 고용되는 사람의 증가가 존재해야 하는데 이번의 조사에서 사업체와 피고용인의 증가 양쪽다 관찰할 수 있었다. 아울러 북한의 사실상 사유화에 관한 필자들의 이번 조사결과는 시장화 추세에 관한 선행연구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일부선행연구는 탈북자설문조사결과에 입각해 정량적 접근을 한 여타선행연구를 근거로 북한의 시장화가 1990년대에는 크게 확대되었고 이후 2000년대에는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데 그쳤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탈북자설문조사결과에 토대를 둔 필자들의 정량적 연구에 따르면 북한의 시장화는 1990년대뿐만 아니라 2000년대에도 계속 확대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levels and trends of de facto privatization of North Korean Enterprises through a quantitative approach. The research has been performed by comparing survey results of 2005, 2009, 2012, 2015. In 2005, the survey targets were North Korean defectors who escaped North Korea during 2003∼ 2005; in 2009, the survey targets were North Korean defectors who escaped North Korea during 2007∼2009; in 2012, the survey targets were North Korean defectors who escaped North Korea during 2007∼ 2012, and in 2015, the survey targets were North Korean defectors who escaped North Korea during 2013-2015. Therefore, the comparison of the investigation groups can show the changes and trends of de facto privatization of North Korean Enterprise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service industry has been developed more than manufacturing business while the small-scale privatization has been progressed. Research results show that in 2015, over 50% companies were run by private investigators in service industry, while in the manufacturing business it was 20%. This implies that the progress of privatization of North Korea is similar to the early experiences of transition of socialist nations in 1990s. Research showed that among the three survey groups, 2005, 2009, and 2015, there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local industry factories, stores, and individual service industry. According to 13 years of observation from 2003 to 2015, in four to six years intervals, divided by three periods, it is determined that half of the survey target categories (3 out of 6 categories) have proceeded towards small-scale privatization.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2005 and 2009,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3 categories of 6, including local industry plants, central industry plants, stores, and only 1 category, service business, was shown to hav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2009 and 2015 survey groups. However, there were examined statistical differences in all 6 categories between the 2005 and 2015 survey groups. As stated, 10 years of long term observation confirmed that the severe trend of de facto privatization occurred in all categories between 2003-2005 and 2013-2015. Moreover, as a result of observation in the classification and breaking down of private business, 13 categories survey targets were identified distinct de facto privatization has increased: borrowing a name from the organizations and associations private fishing boats, private mines, private trucks, private stores. Also, temporary employment cases have increased in 9 categories including private farmland, private fishing boats, private mines. This research result showed an accurate phenomenon of name lending privatization. In this research, the increase in both business and employees can be observed, both of which must exist in the antipode of private business employers growth. In addition, the size and trend of de facto privatization in North Korea study results propound the research question about the precedent study of marketization trend. Some precedent studies argued that the marketization or informal economy of North Korea expanded after 1990 and was stable after 2000 based on another precedent study which was the quantitative approach of the survey results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d escaped North Korea. Yet the research concluded that not only in 1990, but also in 2000, based on a quantitative approach of the survey results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escaped North Korea, the marketization of North Korea expa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