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 전후 사교육 영향력 비교 분석

        박소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7

        교육 정책에서 사교육의 영향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은 학생 교육격차를 위한 중요한 요소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대학입학제도가 기존 대학입학제도의 문제로 지적되었던 ‘사교육 영향력 강화’ 문제를 감소시켰는지를 점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대학입학전형 간소화 정책 이후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교육비와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가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정책의 효과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연구는 2012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 신입생을 대상으로 회고적 방법으로 진행하는 기입식 설문을 통해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정책 실시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는 집단차 분석을 하였으며, 계열을 고려하여 표집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생의 고등학교 재학 기간 내 사교육비 총액과 사교육 의존도는 여전하거나 증가하였다. 전형요소별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사교육의 영향력이 여전하거나 심화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학교교육만으로 준비하기 어려운 정도에 대한 인식도 여전하거나 심화되었다. 이는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이 사교육 영향력 감소 측면에서 성공적이라고 판단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Efforts to reduc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in educational policy is getting more significant in terms of reduction of student’s educational gap.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differences of private tutoring cost and private tutoring dependence after introducing College Admission Simplification Policy in Park Administration. College Admission Simplification Policy is implemented in order to reduce private tutoring influences in college admission because critics on College Admission Deregulation Policy under Lee Administration are about enlargement of private tutoring market.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focuses on differences of high school students' private tutoring cost and perception on private tutoring. The data is collected from 2012 to 2016 academic year considering college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otal private tutoring costs during high school and dependence on private tutoring are both enlarged even after College Admission Simplification Policy. This shows that College Admission Simplification Policy is not successful at least in terms of effects of private tutoring.

      • KCI등재

        Examining a causal effect of private tutoring in Korea: does private tutoring damag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Hyekyung Jung,Eun Hee Seo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20 No.3

        Previous finding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tutor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are inconsistent. In this study, we assumed that the inconsistency of these findings was due to a combination of methodological issues, differing definition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failure to account for the amount of time spent in private tutor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a causal effect of private tutoring o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based on a social-cognitive perspective via the marginal mean weight through stratification method (MMW-S). We especially investigated if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varies depending on the quantity of private tutoring. Based on the hours of private tutoring per week, 3750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six subgroups, and the population average causal effect of multivalued private tutoring was estimated with MMW-S. This finding indicated that private tutoring had a null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cross different levels of private tutoring, and no evidence was found that excessive private tutoring for academic subjects had a positive or negative impact on self-regulated learning. The findings imply that private tutoring itself neither progresses nor damages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 KCI등재

        사교육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박현정(Hyun-Jeong Park),상경아(Kyong-Ah Sang),강주연(Joo Youn K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8 교육평가연구 Vol.21 No.4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자료를 사용하여 학생의 배경특성과 학습심리적 특성을 통제하고 난 후에도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 경험이 학업성취도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수들을 통제하고 난 후에도 3년간에 걸친 사교육 참여 패턴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의 향상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선형 성장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교육 참여 경험이 더 많은 학생들이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고도 수학성취도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을 3년 동안의 사교육 참여 패턴에 따라 ‘지속적 사교육’ 집단과 ‘간헐적 사교육’ 집단, ‘비사교육’ 집단으로 구분한 다음에 이들 집단 간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세 집단 중에서 지속적 사교육 집단의 성취도가 가장 높고, 간헐적 사교육 집단이 그 다음이며, 비사교육 집단의 성취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성취도 격차는 학년이 지나도 변하지 않아서 사교육을 지속적으로 받은 집단이라고 해서 다른 집단들보다 성취도가 더 많이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어도 성취도 향상이라는 측면에서는 사교육 참여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impact of the engagement of private tutoring on student achievement when the students'demographics (gender, prior achievement, parents' monthly income) and psychological traits (internal motivation and self-efficacy) were controlled for, using hierarchical linear growth modeling technique. Also, the effect of engagement patterns of private tutoring on students' achievement was examined. We found that students who received more private tutoring performed better than those who received it less in mathematics. In addition, we classified the students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engagement patterns of private tutoring during three years and examined trajectories of the students' achievement. These groups represent 1) students who receive private tutoring at all measurement 2) students who receive private tutoring one or two times at any measurement 3) students who never receive private tutoring at any measur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s of mathematics were the highest when students received private tutoring at all measurement. The next highest group was students who had private tutoring one or two times at any measurement points and the group with the lowest scores were students who never had private tutoring. However, the group difference through the trajectories of students achievement in mathematics was consistent at all times. That is, the change scores of students who received private tutoring at all measurement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hange scores of other groups. Thus, we concluded that in terms of growth, there was no longitudinal effect of engagement of private tutoring on students' achievement.

      • KCI등재

        학생부종합전형, 수능전형으로 진학한 학생들의 대입 준비를 위한 사교육 패턴 분석 :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슬기(Lee, Seul-ki),차정민(Cha, Jung-mi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1

        이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 수능전형으로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이 대입 준비 과정에서 어떠한 사교육 패턴을 보이는지 확인했다. 자료는 서울 소재 A대학교 2018학년도 입학생들의 ‘사교육 경험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이용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 참여와 시간, 비용의 면에서 두 집단 간 차이는 1, 2학년 때보다 3학년과 재수 시기에 뚜렷했다. 수능전형 집단은 학생부종합전형 집단에 비해 3학년과 재수 시기에 사교육에 더 많이 참여하고, 사교육 시간이나 비용을 크게 늘렸다. 둘째, 두 집단이 사교육을 활용하는 구체적인 ‘양상’도 달랐다. 학생부종합전형 집단은 1학년 때부터 교과내신 사교육에 ‘집중’하다가, 3학년이 되면 비교과 자기소개서 면접, 수능, 논술 사교육으로 참여가 ‘분산’되었다. 수능전형 집단은 1학년 때에는 수능이나 교과내신 사교육을 고루 활용하다가 학년이 올라갈수록 수능과 논술 사교육에 ‘집중’하는 양상이다. 셋째, 학생들이 사교육을 동원하는 전략은 전형요소(교과내신, 수능, 비교과 면접 자기소개서, 논술)에 따라 달랐다. 학생들은 교과내신을 관리하기 위해 1학년 때부터 적극적으로 사교육을 활용하는 반면, 수능 준비를 위해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사교육을 늘렸다. 비교과 면접 자기소개서나 논술 대비를 위해 사교육을 활용하는 학생들은 많지 않지만, 이들은 대입이 가까운 3학년 때 집중적으로 사교육을 활용하는 전략을 취했다. 이처럼 두 집단은 전형에 최대한 유리하게 사교육을 활용하고 있었다. 사교육이 진학 경쟁을 위해 동원되는 한, 대입전형 방식이나 정책의 변화를 통해 사교육 부담을 해결할 수 있다고 여기는 우리의 상식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atterns of private tutoring in high school between students who entered the university through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records for university admission” (Records group) and CSAT (CSAT group). The data are based on a survey on the private tutoring experience of freshmen who entered A university in 2018.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ew differences in private tutoring patterns between the two groups during their first and second years. However, variations in the patterns between the groups were apparent in their senior year or repeated year when the CSAT group intensely increased their participation rate, time, and expense to private tutoring. Second, the two groups also have different private tutoring ‘mode’. The Records group usually had ‘focused’ on a private tutoring for high school GPA in the first year and took part in diverse private tutoring activities such as extracurricular activities, writing Statement of Purpose, interviews, CSAT in the senior year. The CSAT group, on the other hand, participated in private tutoring to prepare for the CSAT and GPA from the lower grades. In addition to that, as they became seniors, they ‘focused’ on private tutoring for CSAT and essay test. Third, what kind of private tutoring students had taken was determi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aluation criteria. While students actively had utilized private tutoring from the first grade to manage a GPA, as their grades went up, the participation rate and time of private tutoring for the CSAT increased. Students rarely participated in private educations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terviews, or essays. Even if some students received these kinds of private tutoring, they got it in the very short term when they faced a college entrance exam. The two groups maximized the advantages of private tutoring to prepare for college entrance. As long as private tutoring is treated as a tool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 our common sense that the burden of private tutoring would decrease by changing college admission policies needs to be reconsidered.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사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박지윤(Park, Ji-Yun),김병주(Kim, Byoung-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1 No.3

        이 논문은 대학생의 취업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사교육 참여 유무와 총 사교육비 및 유형별 사교육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이들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크기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검정하기 위해 성별, 학년, 전공계열 및 대학의 설립유형 등을 고려하여 대학생 7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은 대학생의 취업 사교육에 대한 인식, 참여도 및 사교육비지출규모 등이다. 분석 결과 응답자의 46.9%가 사교육에 참여하였고, 학생 1인당 연간 134만원의 사교육비를 지출하였다. 이 중 외국어 관련 사교육비를 가장 많이 지출하였으며, 다음으로 전공실무 관련 사교육비, 각종 시험준비 관련 사교육비 순이었다. 중요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 참여 유무에 있어서 학년과 모(母)의 학력이 높고 사교육의 기능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사교육에 참여할 확률이 높았다. 전공 관련 만족도는 낮을수록 사교육에 참여할 확률이 높으며,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사립대학에 비해 국립대학의 학생이, 예체능계열에 비해 인문계열이나 자연계열의 학생이 상대적으로 사교육에 참여할 확률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총 사교육비의 지출에 있어서는 학년과 월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비를 많이 지출하며 자연계열에 비해 예체능계열이 사교육비를 많이 지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유형별 사교육비 중 외국어 관련 사교육비에 있어서는 월소득이 높을수록 많이 지출하며 자연계열에 비해 예체능계열이 외국어 관련 사교육비를 많이 지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각종 시험준비 관련 사교육비 지출에 있어서는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평점이 높을수록, 사교육에 대한 부담감을 크게 느낄수록 사교육비를 많이 지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전공 실무학습 관련 사교육비 지출에 있어서는 전공 관련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교육의 기능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수강한 사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교육비를 많이 지출하였으며, 아르바이트를 하는 학생에 비해 하지 않는 학생이, 인문계열에 비해 예체능계열이 사교육비를 많이 지출하였다. 사교육에 대한 인식과 사교육비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사교육비를 전공계열과 유형별로 분리하여 분석함으로써 각 전공계열과 유형별 사교육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서로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riables affecting private tutoring for employment of college studen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questionnaire method was adop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14 question items asking about private tutoring for employment of college students. Total 720 college students at random classifying universitie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urvey.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variables affecting the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were sex, grade, educational background of mother, type of establishment of colleges, major, satisfaction on major, and function of private tutoring. Female students, students of higher grade, students having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of mother, students of public colleges, students majoring in Natural Sciences, students having lower satisfaction on major, and students having positive recognition about function of private tutoring were more involved in private tutoring. Secondly, variables affecting total private tutoring cost were grade, parents’ income, and major. Students of higher grade, students having higher parents’ income, and students majoring in art spent more money as total private tutoring cost. Thirdly, variables affecting private tutoring cost related to foreign language were parents’ income, and major. Students having higher parents’ income and students majoring in art spent more money as private tutoring cost related to foreign language. Fourthly, variables affecting private tutoring cost related to preparation for various examinations were sex, GPA, and burden of private tutoring. Male students, students having higer GPA, and students feeling greater pressure to private tutoring spent more money as private tutoring cost related to preparation for various examinations. Fifthly, variables affecting private tutoring cost related to major and practice were participation of part-time job, major, satisfaction on major, function of private tutoring, and satisfaction on taken private tutoring. Students not participated in part-time job, students majoring in art, students having higher satisfaction on major, students having negative recognition about function of private tutoring, and students having higher satisfaction on taken private tutoring spent more money as private tutoring cost related to practical business.

      • KCI등재후보

        한국 사교육시장 전개의 역사와 그 의미

        박명희(Park Myung Hee),백일우(Paik Il Woo)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미래교육학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사교육문제를 완화시키고 미래사회에서 사교육이 국가교육 및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사교육시장이 전개된 역사를 고찰하였다. 사교육시장의 전개를 종합한 결과, 첫째, 우리나라에서 사교육시장은 개화기이후∼일제강점기 즈음 형성되었으며, 도약기, 성장기, 침체기, 재도약기를 거치고 현재는 유지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시장은 시간이 지나면서 유형, 주요설립자, 규모·형태가 다양해지고, 교육대상이 확대되었으며, 교육 계열과 내용이 세분화되었고, 그에 따라 교육적·경제적·사회적 기능과 역할이 확대되었다. 둘째, 성인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사교육은 모두 교육적·경제적·사회적 배경으로 인하여 세 차례의 붐을 형성하였다. 셋째, 사교육에 대한 우려와 비평, 부정적 인식이 지속되고 있다. 이상의 내용은 사교육시장의 규모와 영향력이 단기간에 크게 줄지 않을 것을 보여주는 동시에 사교육이 양산하는 다양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y of private tutoring needs to be examined first to mitigate private tutoring problems and draw up measures to contribute to national education system an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future. The analysis shows that the private tutoring market was formed around the Enlightened Period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and now arrives at maintenance stage, going through the take-off, growth, recession, and recovery stage. The private tutoring market has seen a rise in its types, principal founders, sizes, and forms, leading to the expansion of students as well as subdivision of curriculum and contents. As a result, the role and function of private tutoring has increased in education, economy and the society. Secondly, private tutoring market targeting adults and young students made three time booms affected by educational, economic, social circumstances. Thirdly, there still remains negative perceptions, criticism, and concern toward private tutoring. The above demonstrates that the size and influence of private tutoring market would not be reduced significantly and it also signifies that persistent effort is required to reduce various problems caused by private tutoring.

      • KCI등재

        국내 사교육 연구 동향 분석

        김대열(Kim, Dae Yeol),박명희(Park, Myung Hee)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교육과학연구 Vol.51 No.1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사교육 관련 연구 문헌을 수집, 분석함으로써 연구 동향과 특성을 파악하고, 이후의 사교육 관련 연구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난 58년간 국내에서 수행된 사교육 관련 자료(보고서, 학술지논문, 학위논문 등)를 한국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국회전자도서관사이트, 주요 국책연구기관 사이트를 통해 수집하였다. 이후 자료를 연구주제, 연구영역,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지역, 연구유형 등 기준에 따라 범주화하여 분류하고, 서술적 분석, 연도별 분석, 연구 동향 특징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사교육 관련 연구 문헌 편수가 증가하고 연구 분야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지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었다. 또한 사교육을 단순히 경감 및 억제 대상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사교육의 순기능과 산업적 면모를 탐색하는 등 새로운 연구 논의가 있었으며, 심도 있는 연구가 꾸준히 시도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 연구가 교육정책 수립 및 입시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사교육 연구는 교육과 사회, 정부와 시장이 고려되어 균형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전문적인 사교육 연구자를 발굴 · 육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교육 연구는 그 범위(주제, 영역, 대상 등)를 확장시키고, 종합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교육 관련 정책 수립 및 경감대책의 현실적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사교육 연구는 사교육이 영유아부터 성인까지 보편화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평생교육적 차원에서 하나의 학문 영역으로 인식되고 수행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private tutoring in Korea by collecting and analyzing related literature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private education-related research. For this purpose, data consisting of reports, scholarly theses, and academic dissertations on private tutoring conducted in Korea for the past 58 years were collected via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the website of the Korea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website of major national policy institutions. Then, the data were categoriz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criteria such as research topics, domains, methods, subjects, sites, and types; and the descriptive analysis, the annual analysis, and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rends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number of research studies related to private tutoring has increased, the research domain related to private tutoring has been diversified, and research topics, subjects, and sites have been gradually expanded. In addition, to just considering reduction in limitations on, private tutoring, there were discussions on new research studies such as exploring the positive function and vocational aspects of private tutoring, and more in-depth studies have been implemented.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suc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given that the research on private tutoring has an impact on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olicy and reform of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research on private tutoring needs to consider education, society, government, and market forces, and it is necessary to recruit and nurture professional private tutoring-related researchers. Second, by expanding the scope (topics, domains, and subjects) of research on private tutoring and implementing it comprehensively, such research should aim toward establishing private tutoring-related policy and increasing the feasibility of reducing private tutoring as a whole. Third, it is necessary to be aware of, and conduct, research on private tutoring as a single academic field in terms of continuing education,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private tutoring has been overgeneralized for children and adults alike.

      • KCI등재

        대학생들의 입시 사교육 경험 의미 분석: 사교육 주체, 동기, 관점을 중심으로

        최윤진 한국교육사회학회 2015 교육사회학연구 Vol.25 No.4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s what private tutoring means to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preparation for process of university entrance. It analyzes on what twenty eight students from two different universities reflect their experience in private tutoring. The participants are taking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were born in 1990s, the period when private tutoring was released from legal prohibition. They have been through private education for university entrance in institutes, face-to face tutors, and on-line lectures. In order to decipher students’ experience, this study focuses on three questions: ① who made decisions on private tutoring? (subjectivity) ② what make them think they need to take private tutoring? (motivation) ③ what do they realize from their experience in private tutoring? (viewpoint) In terms of subjectivity, students who took private education by decision made by their parents say of both appreciation for their parents and emotional hurts. After all the parent-led private tutoring, they realized themselves in identity crisis and passive attitude to learning, while students who made decided to take private tutoring themselves tend to see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as a process of ‘learning to live on my own.’ The students mention of ‘motivation’ as competition for prestigious universities, and describe the process of private tutoring as a jungle, a battlefield, or an inferno. They appreciate of effectiveness of private tutoring while they feel regrets for they relied on private tutoring excessively and ignored the value of school. They accept private tutoring as a part of their schooling experience and as a means of maximizing their personal interest. Also, it is described as institutionalized unfairness and collective selfishness by students who say they have experienced differences in availability in private tutoring due to socio-economic backgrounds and residential area. It is insisted that private tutoring intensifies social inequalities. Based on analysis on students’ reflec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importance of subjectivity of learning experience, value of public education, and critical consciousness to social issues. 이 연구는 사회 전반적으로 사교육 허용의 분위기로 전환되었던 1990년대에 태어난 대학생들이 초ㆍ중ㆍ고 시절에 받았던 입시 사교육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 상위권 대학 2곳에서 교직과정을 이수중인 100여명의 수강생들이 작성한 자서전적 성격의 사교육 경험 성찰 에세이를 문서자료로 활용하여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28명을 최종 심층 분석 사례로 선정하였다. 학교의 연장선에서 학원, 과외, 인터넷 강의 등 다양한 사교육을 받았던 사교육 경험을 주체, 동기, 관점으로 범주화하고 주제별로 하위범주를 구분하여 의미를 분석하였다. 대학생들은 부모 중심으로 제공된 사교육 경험을 통해 고마움과 상처 감정을 보여주었고 과도한 사교육 의존의 후유증으로 자아정체성의 혼란과 수동적 학습태도에 길들여져 무기력해진 자신을 반성하였다. 반면에 학생 중심으로 구분된 대학생들은 스스로 공부하는 과정을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삶을 살아가는 ‘홀로서기’로 의미화 하였다. 대학생들은 명문대 진학을 위한 경쟁적 동기를 갖고 참여한 사교육을 전쟁터, 지옥, 정글로 표현하였고 대학입시 성공을 사교육 효과로 인정하였지만, 학교교육을 무력화시켰던 모습을 반성하기도 하였다. 또한 대학과 군대라는 새로운 공간에서 다양한 배경과 특성을 가진 사람들을 만나면서 학력ㆍ학벌주의에 갇혀 있던 자신의 삶의 기준과 가치관을 성찰하기도 하였다. 대학생들은 제도화된 사교육 환경에서 일상적 행위로 사교육을 받아들이고 있었으며 사적 이익을 극대화하는 수단으로 인식하였다. 반면에 사회경제적배경의 차이와 지역적 격차에 따른 사교육 문제를 경험한 대학생들은 상대적 박탈감을 키우고 불공정한 교육경쟁과 집단 이기주의적 배제전략으로 활용되는 사교육을 통해 사회계층간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다는 비판적 사회의식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이상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향후 사교육 대책의 방향성은 학부모의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 전환, 사교육비 경감과 사교육대체 서비스 제공에 치중한 학교교육 정상화에 대한 논의 그리고 대학교육의 역할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 私敎育에 대한 文解力 提高를 통한 私敎育 槪念化

        박명희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3 사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사교육을 둘러싸고 있는 다면적 사회 맥락에 대해 살펴보고, 사교육과 공교육의 특성을 비교해봄으로써 사 교육에 대한 개념화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부가 지속해서 ‘사교육 경감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데도 불구 하고 사교육시장 규모 및 사교육 문제가 경감되지 않고 있는 맥락은 무엇이며, 사교육의 어떤 특성이 이러한 맥락을 유 지하도록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사교육의 본질적인 특성과 의미에 대해서 논의하였고, ‘그림자 교 육(shadow education)’으로 개념화되어 있는 사교육을 ‘사적인 교육(private tutoring)’으로 재개념화하였다. 사교육에 대한 개념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은 공교육 및 공교육 보충 교육(방과후학교, EBS 교육 방송) 이외의 교육 서비스이고,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학원, 학습지, 온라인 사교육, 개인과외 등이 있다. 둘째, 사교육은 경제적, 사회적, 문 화적, 교육적, 역사적, 정치적 요인 등 다양한 다면적 사회 맥락이 밀접하게 연계된 수요와 공급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서 비스이다. 셋째, 사교육은 수요자와 공급자가 자율적으로 참여하고, 만족 극대화를 추구하는 가운데 사적으로 거래되는 교육 서비스이다. 넷째, 사교육은 수월성의 가치를 우선시하고,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학생 중심적인 교육 서비스 이다. 다섯째, 사교육은 시장경제의 원리에 기반하여 영리를 추구하는 시장친화적인 교육 서비스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private tutoring by examining the multifaceted social context surrounding private tutoring in many ways and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private tutoring and public education. To this end, despite the government’s continuous implementation of the ‘private tutoring reduction policy’, the size of the private tutoring market and the reason why private tutoring problems have not been alleviated were identified. And what characteristics of private tutoring maintain this context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se issue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private tutoring were discussed, and private tutoring recognized as ‘shadow education’ was reconceptualized as ‘private tutoring.’ The conceptualization of private tutoring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ivate tutoring is an educational service other than public education and supplementary education (after-school, EBS education broadcasting), and representative types include Hakwons, study materials, online private tutoring, and personal tutoring. Second, private tutoring is an educational service consisting of supply and demand that is closely linked to various multifaceted social contexts such as economic, social, cultural, historical, educational, and political factors. Third, private tutoring is an educational service that is traded privately while consumers and suppliers voluntarily participate and seek to maximize satisfaction. Fourth, private tutoring is a student-centered educational service that prioritizes the value of excellence and meets the needs of learners. Fifth, private tutoring is a market-friendly educational service that pursues profit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market economy.

      • KCI등재

        세계 사교육시장과 정책 동향 분석

        백일우(Paik, Il-Woo),박명희(Park, Myung-H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6

        본 연구는 세계 여러 나라의 사교육현황, 사교육수요, 사교육공급, 사교육정책에 관한 동향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국가별ㆍ대륙별 사교육실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시사점을 찾아 국가교육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참여율이 증가함에 따라 시장규모가 커지고, 상위성적 학생들의 참여가 높아지며, 참여대상의 연령이 더 어려지는 특성을 보였다. 둘째, 사교육수요 동기는 대륙별로 사회적배경과 문화적 특성에 따라 상이 하지만,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교육적 차원과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교육공급은 개인과외에서 사교육센터로, 최근엔 온라인사교육으로 더욱 세분화 되는 추세였다. 아시아지역에서는 사교육센터에 의한 ‘시장주도형’ 공급이 두드러졌고, 아시아의 저개발국가, 동유럽 그리고 아프리카지역에서는 학교교사에 의한 ‘학교교사형’ 공급이 주를 이뤘다. 서ㆍ북유럽, 북아메리카, 그리고 오세아니아지역에서는 국가지원에 의한 ‘국가지원형’ 공급이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특성을 보였다. 넷째, 사교육정책은 사교육에 대한 정부의 시각과 국가의 경제력에 따라 상이하였다. 그러나 많은 나라에서 사교육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 공급자와 관련된 행정절차나 관리규정이 요청되고 있었고, 취약계층을 위한 사교육지원의 필요성이 언급되고 있어 ‘혼합적접근’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dition on private tutoring of different countries․continent through the comparison․analysis of the trends on condition, demand, supply, and policy of private tutoring but also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national education upon its implications. First, the findings indicate that as the rate of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rises, both the market size and the participation rate of student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 increased, and the age of participants show the tendency to get younger. Second, although the motivation for private tutoring demand is varied by each continent in distinctive social background and cultural dimensio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showed similar high motivation for demand in educational system and sociocultural dimension. Third, the trend on private tutoring supply was specified through shifting from private tutoring to private learning center and more recently, on-line private tutoring. In Asia, the private learning center-based ‘market-driven’ supply was noticeable characteristic. School teacher led ‘school teacher type’ supply shown to be dominant type of supply in some less developed Asian countries, Eastern Europe and African region. The private tutoring supply in Western‧Northern Europe, North America and Oceania region can be distinguished as state supported based ‘state supported type’ supply. Forth, the policy on private tutoring differed by the perception of government on private tutoring and national financial power. However, in many countries, the request for administrative procedure and regulation can be found in order to guarantee the quality of private tutoring services. Also, as the recognition on the need for private tutoring support for disadvantaged social class grows, it is expected that ‘mixed- approach’ on private tutoring policy will be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