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갑상샘 유두상 암종에서 CD56과 p63 단백 발현

        이상호,류려선,서재홍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2009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34 No.1

        Papillary carcinoma of the thyroid (PTC) is the commonest thyroid cancer. Diagnosis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in many but not all cases, is an easily achievable diagnosis with almost minimal interobservable variability between pathologists. However since the introduction of follicular variant of PTC and the wide threshold range in interpretation of the clearly set pathological criteria for diagnosis of PTC, between pathologists including experts, the diagnosis in some cases became quite difficult. Unfortunately some cases are unjustifiably over-called as follicular variant of PTC as result of the wide inter observable variability between pathologists. CD56 is a neural cell adhesion molecule, hence its expression may affect the migratory capacity of tumor cells. The tumor suppressor protein p53 has recently been shown to belong to a family that includes two structurally related proteins, p63 and p73. Expression of p63, a transcription factor that is transcribed into six isoforms, is important for the regulation of normal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protein expression and loss using antibodies against CD56 and p63 in normal follicular thyroid neoplasms in an attempt to evaluate its diagnostic value. A total 109 cases were studied with tissues from 49 carcinoma (33 classic papillary carcinoma, 16 follicular variants of papillary carcinoma), 15 follicular adenoma, 17 nodular hyperplasia, 17 lymphocytic thyroiditis and 11 normal thyroid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stry for the expression of this marker. Our results showed CD56 positive in all the lesions and adenomas except for PTC. CD56 was negative in all PTC cases. p63 showed selective focal positivity in PTC cases, in contrast to other non PTC lesions/tumors. p63 expression was in 25 out of 33 cases of PTC and was consistently absent in all the non PTC cases. Our aim was to study the applicability of difference in CD56, p63 expression as a marker that distin-guishes PTC, including the follicular variant from other We concluded that a panel consisted of CD56 and p63 is of value in distinction of PTC from other thyroid follicular lesion. p63 is a specific but less sensitive marker for PTC than CD56. CD56 is more specific and sensitive marker than p63, however it is a negative rather then a positive marker for PTC.

      • KCI등재

        PTC 서미스터를 이용한 소형 고속응성의 전기화재 방재시스템 개발

        곽동걸,Kwak, Dong-Kurl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08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15 No.1

        본 논문에서는 PTC 서미스터의 전기적 온도특성을 이용하여 각종 전기화재 및 전기사고를 예방 보호하는 방재시스템에 대해 연구하였다.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서미스터는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특성이 정 (+)온도계수를 갖는 특징이 있다. PTC서미스터는 정온도계수를 갖는 $BaTiO_3$계 세라믹스의 정방정계-입방정계 구조를 가지고 상변이점인 큐리(Curie)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증가하면 저항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정저항 온도특성과 자체 발열특성을 갖는 PTC 서미스터를 전기단락사고나 과부하사고 등 전기사고의 감지센서로 이용하여 전기화재사고를 예방하는 제어시스템에 대해 제안하였다. 그 결과 기존에 상용되는 차단기들의 빈번한 오동작과 저 신뢰성, 저속응성 등으로 발생되는 전기화재 및 전기재해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였다. 또한 제안한 방재시스템의 다양한 실험결과를 통해 이론적 해석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This paper is studied on a prevention system for electrical fire and electrical faults by using electrical temperature characteristic of PTC thermistor. The PTC thermistor has characteristic of positive resistivity temperature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variation, which is construction of a regular square and cube demarcation with $BaTiO_3$ ceramics of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Also PTC shows the phenomenon which is rapidly increased in the resistivity if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over Curie temperature point. This paper is proposed on a protective control system used with temperature sensor of PTC thermistor. The proposed prevention system will prevent electrical fires due to electric short circuit faults or overload faults. And the prevention system will solve the problems that circuit breakers to be commonly used at existing are happened frequently electrical fires and electrical disasters due to incapable operation, weak reliability and low speed response. Som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proposed apparatus are confirmed to the validity of the analytical results.

      • WO₃ doped BaTio₃의 PTC 특성에 관한 연구

        김용희,변재동 경북대학교 센서기술연구소 1991 센서技術學術大會論文集 Vol.2 No.1

        BaTiO_(3)에 WO_(3)를 첨가해서 PTC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BaTiO_(3)에 WO_(3)를 0.00mol% ∼ 0.30mol% 첨가하고 여기에 MnO 및 Fe_(2)O_(3)를 0.00 ~ 0.10mol% 첨가하여 상온 비저항,PTC magnitude,밀도,미세구조를 조사했다. 0.230mole% WO_(3)가 첨가되었을 때 상온 비저항(4.83X10^(2) ohm-cm)이 제일낮고 PTC magnitude(4.16)도 제일컸다. 그리고 0.230 mole% WO_(3)가 첨가된 BaTiO_(3)에 MnO와 Fe_(2)O_(3)을 첨가했을 때 PTC 특성이 조금 개선 되었다. The PTC characteristics of BaTiO_(3) were investigated with WO_(3) addition. Room temperature resistivity, PTC magnitude, density, microstructure were measured as a fuction of WO_(3), FTC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with 0.230 mol% WO_(3) doped BaTiO_(3) to which MnO, Fe_(2)O_(3) was added as additives. The room temperature resistivity is lowest(4.83X10^(2)) and PTC magnitude is highest(4.16) with 0,230mo1% WO_(3) addition and PTC characteristics are slightly improved with MnO,Fe_(2)O_(3) to 0.230 mol% doped BaTiO_(3)

      • KCI등재후보

        SCR과 적층형 PTC 서미스터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한 전기화재 보호제어시스템에 관한 연구

        곽동걸,Kwak Dong-Kurl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06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13 No.1

        본 논문에서는 전력용 반도체 스위칭 소자인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과 적층형 PTC 서미스터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각종 전기화재 및 전기사고를 예방 보호하는 제어시스템에 대해 연구된다.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서미스터는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특성이 정(+)온도계수를 갖는 특징이 있다. 이 PTC는 정온도계수를 갖는 $BaTiO_3$계 세라믹스의 정방정계-입방정계 구조를 가지고 상변이점인 큐리(Curie)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증가하면 저항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정저항 온도특성과 자체 발열특성을 갖는 적층형 PTC 서미스터를 전기단락사고나 과부하사고 등의 전기사고의 감지센서로 이용하여 전기화재사고로부터 보호하는 제어시스템에 대해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보호제어시스템의 다양한 실험결과를 통해 이론적 해석의 타당성을 입증시킨다. This paper is studied on a protective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 fire use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SCR and multilayer-type PTC thermistor. The PTC thermistor has characteristic or positive resistivity temperature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variation, which is construction of a regular square and cube demarcation with $BaTiO_{3_}$Ceramics of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Also PTC shows the phenomenon which is rapidly increased in the resistivity if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over Curie temperature point. This paper is proposed on a protective control system used multilayer-type PTC which is protected from electrical fire due to electric short circuit faults or overload faults. Som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proposed apparatus is confirmed to the validity of the analytical results.

      • SCOPUSKCI등재

        오존처리된 카본블랙을 충전한 HDPE 기지 복합재료의 PTC 특성

        박수진 ( Park Su Jin ),송수완 ( Song Su Wan ),신재섭 ( Sin Jae Seob ) 한국공업화학회 2003 공업화학 Vol.14 No.8

        본 연구에서는 PTC 세기 증가를 위하여 시간의 변수로 카본블랙을 오존처리 한 후 이를 사용하여 카본블랙/HDPE 전도성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오존처리된 카본블랙의 표면특성 변화는 FT-IR, XPS 그리고 BET 측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FT-IR과 XPS실험 결과, 카본블랙의 표면에 O-H, C=O, 그리고 C-O와 같은 산소함유 관능기가 오존처리 후 증가하였으며, 오존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피크의 세기가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반면, 오존처리된 카본블랙의 비표면적은 오존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과로서, 카본블랙의 오존처리를 통해 카본블랙/HDPE 복합재료의 PTC 세기를 증가시켰는데, 이는 오존처리에 의해 카본블랙 표면의 산소함유 관능기 증가에 따른, PTC소자의 최대 비저항값이 증가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In this paper, the ozonized carbon blacks (CB) were used to increase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intensity of CB-filled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conductive composites as a function of ozoniztion time. And the changes in surface properties of ozonized CB were investigated using FT-IR, XPS, and BET measurements. From the FT-IR and XPS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oxygen-containing functional groups, such as O-H_(2) C=O, and C-0, were introduced in the CB surfaces after ozonization. Also, the peak intensity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ozonization time. Meanwhile,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ozonized CB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ozonization time. Consequently, the increase of ozonization time on CB made an increase of PTC intensity of CB/HDPE composites, which was probably due to the growing of maximum volume resistivity of composites, resulting from increasing the oxygen-containing functional groups of CB particles.

      • PTC형 태양열 집열기로 조사되는 PV cell의 열적 성능

        황선엽(Hwang, Seon Yeob),강태곤(Kang, Tae Gon),부준홍(Boo, Joon Ho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본 연구에서는 PV cell이 직달 일사에 노출되는 경우와 집광된 태양광에 조사되는 경우의 성능을 비교하는 한편 집광기의 형태에 따른 열적 성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PV cell은 본질적으로 반도체의 특성을 가지므로 작동온도의 상승에 따라 성능이 저하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며, 태양조사의 강도 및 밀도 등 특성에 따라서도 성능의 변화를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능변화에 관련된 인자들과 그 영향의 크기에 대한 정량적인 기술자료가 부족하므로 설치와 이용에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인공태양 장치(solar simulator)를 이용하여 0.7에서 1.2 sun 범위의 태양 조사 환경에서 결정질 실리콘계 PV cell과 집광형 PV cell의 성능을 검토하였다. 집광에 사용한 PTC는 집광면적의 폭이 500 mm이며, 집광 조사면적이 최소 10 mm인 경우 이론적 최대 집광비가 50이었다. PTC의 축방향으로는 균일한 태양조사가 있게된다는 것을 가정하여 모델의 길이는 간편한 실험을 위해 150에서 500 mm의 범위에서 제작하였다. 수평으로 놓인 PTC의 상부 초점 위치로부터 집광면이 아래 쪽에 위치할수록 집광 조사 면적이 증가하므로 PV cell의 크기에 따라 PTC 초점의 위치로부터 거리를 결정하였다. 한편, PTC 자체의 성능도 촛점거리와 집광면 폭의 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가정 하에, 포물면의 최저 위치로부터 촛점거리는 각각 300, 400 및 500 mm가 되도록 세가지 형태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동일한 형태의 PTC에서 PV cell의 동일한 설치 위치에서도 최고 110?C 범위의 PV cell의 작동 (표면) 온도에 따른 성능의 차이를 관찰하기 위해 셀의 후면을 냉각시키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였다. PV cell의 표면 온도 측정을 위해서, 후면의 온도와 같이 광선 차단 효과의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열전대를 설치하였으며, 셀의 전면 온도 측정을 위해서는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계를 사용하였다. 냉각 방법으로는 공기를 이용한 자연대류와 액체를 사용하는 강제대류의 경우를 고려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계된 히트싱크를 설치하여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강제대류 냉각의 경우는 항온조를 사용하여 순환하는 냉각수의 유량과 공급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PV cell의 작동온도를 조절하고, 이에 따른 발전 성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실험 및 분석 결과는 PV cell의 설치 환경과 작동온도의 변화에 따라 그 성능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기술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에너지 이용의 합리화를 도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화재감지센서 활용을 위한 BaT$iO_3$계 PTC 서미스터의 특성에 관한 연구

        추순남,최명규,백동현,박정철 한국화재소방학회 2002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16 No.4

        BaTiO$_3$계 PTC 서미스터의 조성개발을 위해 (Ba$_{0.95-x}$S $r_{0.05}$C $a_{x}$)$TiO_3$-$0.01TiO_2$-$0.01SiO_2$-$\alpha$MnCO_3$-$\beta$Nb_2$o_{5}$와 같은 실험조성식을 설정한 후 최적 조건하에서 적층형 PTC시편을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시편제조시의 최적 소결온도와 냉각속도는 각각 $1350^{\circ}C$-2 hour및 $100^{\circ}C$/h였다. 또한 상온저항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Dopant로서의 Ca와 Mn 그리고 피크(peak)저항값을 높일 수 있는 Nb를 Ca:5 mol%, Mn:0.08 mol%, Nb:0.18 mol%로 함으로써 비교적 낮은 상온저항과 높은 피크(peak)저항 및 양호한 온도계수 특성이 나타났으며, 화재감지센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다.다. This dissertation is about the development of $BaTiO_3$-type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by composition method. A multilayer-type PTC samples were fabricated under optimal conditions after setting the experimental composition equation as ($Ba_{0.95-x}$S $r_{0.05}$$Ca_{x}$ )$TiO_3$-$0.01TiO_2$-$0.01SiO_2$-$\alpha$$MnCO_3$-$\beta$N $b_2$ $O_{5}$.) and their testing results were analyzed. The optimal sin-tering and cooling temperatures were 13$50^{\circ}C$ for two hours and $100^{\circ}C$/h for an hour, respectively; By composing Ca and Mn, dopants to lower the resistivity at room temperature, and Nb, a dopant to raise peak resistivity(Ca:5 mol%, Mn:0.08 mol%, Nb:0.18 mol%), appropriately, a PTC thermist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relatively low resistivity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peak resistivity and a good temperature coefficient, has been developed. And we find that it is possible of application for fire detection sensor.r.r.

      • PTC서미스터 히터소자를 적용시킨 전기온풍기의 발화 매커니즘 연구

        김경수,이상훈,정재덕,권수진 한국화재감식학회 2022 한국화재감식학회 학회지 Vol.13 No.2

        Electric heaters with PTC thermistor heater elements have been widely used for heating at home and businesses, replacing heating devices using fossil fuels. The PTC thermistor heater device maintains a constant temperature by controlling a heating value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urrent as the resistance value changes to limit the amount of current. In this paper, since a fire occurs due to indiscreet use of the device, careless use of the PTC thermistor heater device-type electric heater and the defect state of the device itself were presented. After that, the heating characteristics and the possibility of firing were analyzed through lots of experiments. As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combustible material approached,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bles material increased proportionally. However, the temperature of the PTC thermistor heater element itself was kept constant. In addition, even if serious overheating conditions were set, the temperature overheating prevention device of the device itself was operated, which did not lead to abnormal overheating and firing of the heater device itself. It could be verified through empirical experiments that the firing could be caused by arc generation between PTC heater device and adjacent electrode, as an abnormal current occurs under conditions where the resistance of thermistor itself is interfered with by the inflow of external conductive materials.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production test, matters to be considered when improving the fire investigation and fire prevention system were presented.

      • KCI등재

        화재감지센서 활용을 위한 BaTO₃계 PTC 서미스터의 특성에 관한 연구

        추순남,최명규,백동현,박정철 한국화재소방학회 2002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16 No.4

        <TEX>BaTiO$_3$</TEX>계 PTC 서미스터의 조성개발을 위해 (<TEX>Ba$_{0.95-x}$</TEX>S <TEX>$r_{0.05}$</TEX>C <TEX>$a_{x}$</TEX>)<TEX>$TiO_3$</TEX>-<TEX>$0.01TiO_2$</TEX>-<TEX>$0.01SiO_2$</TEX>-<TEX>$\alpha$</TEX><TEX>MnCO_3$</TEX>-<TEX>$\beta$</TEX><TEX>Nb_2$</TEX><TEX>o_{5}$</TEX>와 같은 실험조성식을 설정한 후 최적 조건하에서 적층형 PTC시편을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시편제조시의 최적 소결온도와 냉각속도는 각각 <TEX>$1350^{\circ}C$</TEX>-2 hour및 <TEX>$100^{\circ}C$</TEX>/h였다. 또한 상온저항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Dopant로서의 Ca와 Mn 그리고 피크(peak)저항값을 높일 수 있는 Nb를 Ca:5 mol%, Mn:0.08 mol%, Nb:0.18 mol%로 함으로써 비교적 낮은 상온저항과 높은 피크(peak)저항 및 양호한 온도계수 특성이 나타났으며, 화재감지센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다.다. This dissertation is about the development of <TEX>$BaTiO_3$</TEX>-type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by composition method. A multilayer-type PTC samples were fabricated under optimal conditions after setting the experimental composition equation as (<TEX>$Ba_{0.95-x}$</TEX>S <TEX>$r_{0.05}$</TEX><TEX>$Ca_{x}$</TEX> )<TEX>$TiO_3$</TEX>-<TEX>$0.01TiO_2$</TEX>-<TEX>$0.01SiO_2$</TEX>-<TEX>$\alpha$</TEX><TEX>$MnCO_3$</TEX>-<TEX>$\beta$</TEX>N <TEX>$b_2$</TEX> <TEX>$O_{5}$</TEX>.) and their testing results were analyzed. The optimal sin-tering and cooling temperatures were 13<TEX>$50^{\circ}C$</TEX> for two hours and <TEX>$100^{\circ}C$</TEX>/h for an hour, respectively; By composing Ca and Mn, dopants to lower the resistivity at room temperature, and Nb, a dopant to raise peak resistivity(Ca:5 mol%, Mn:0.08 mol%, Nb:0.18 mol%), appropriately, a PTC thermist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relatively low resistivity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peak resistivity and a good temperature coefficient, has been developed. And we find that it is possible of application for fire detection sensor.r.r.

      • 갑상선 세포주에서 방사선 조사에 따른 RET 암유전자에 재배열에 관한 연구

        박영홍,손우현,김상효 인제대학교 1998 仁濟醫學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인 X-선 조사에 의한 RET 재배열의 유발 가능성을 알아보고 갑상선암 조직에서도 RET 재배열을 검출함으로서 방사선 조사에 의한 RET 재배열과 갑상선암 발생의 상관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RT-PCR과 직접 염기서열 결정의 방법으로 X-선을 조사받은 세포주 TT와 SW759와 유두선종 갑상선암 조직 4예를 대상으로 RET의 재배열을 분석하였다. TT와 SW759 세포주에 10-100 Gy의 X-선을 조사한 결과 PTC2-RET 또는 D10S170-RET 재배열이 발생하였으나 URF-RET 재배열은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그리고 4예의 갑상선암 조직에서도 D10S170-RET와 PTC2-RET 재배열은 관찰되었으나 URF-RET 재배열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세포주와 갑상선암 조직에서 관찰된 재배열의 직접 염기서열 결과 모두 동일한 1가지 염기배열만 나타났다. 따라서 갑상선 세포주에서 X-선 조사에 의해 유발되는 RET 유전자의 재배열은 D10S170 및 PTC2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갑상선암 조직에서의 실험에서도 이를 부분적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원폭 생존자들 중에서의 암을 포함하여 X-선 조사로 야기된 일부 thyroid cancer들은 방사선 노출에 의해 유발된 특정 형태의 RET 암유전자의 재배열을 통해 발생하게 될 것이라는 가설이 타당함을 보여준다. Objective: To reveal the inducibility and incidence of RET rearrangement by in vitro X-irradiation and to detect RET rearrangement from papillary thyroid cancer Method and Materials: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direct sequencing technique were carried out to 0, 10, 50 and 100 Gy X-irradiated TT and SW759 cell lines originated from thyroid cancer. And four samples of papillary thyroid cancer were also analysed. Results: D10S170-RET and PTC2-RET rearrangements were detected in TT and SW759 cell line irradlated at 10 Gy or over, but URF-RET rearrangement not at all. And analysis of papillary thyroid cancers showed D10S170-RET and PTC2-RET rearrangement but not URF-RET rearrangement. D10S170-RET and PTC2-RET rearrangements from cell lines and thyroid cancer tissues had the same sequence,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arrangement of RET gene of thyroid cell by X-ray irradi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D10S170 or PTC2 gene and that RET rearrangement may be critical to thyroid tumorigen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