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외국의 재외동포 청소년 정책 비교 연구

        이진영,장안리,김판준,임영언,정호원,성일광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주요 국가의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재외동포 청소년들에 대한 정책, 즉 재외동포 청소년 정책을 살펴보고 여러 관점에서 비교하여 한국의 재외동포 청소년정책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미국, 중국, 일본, 독일, 이스라엘 등 5개 국가의 재외동포 청소년 정책을 검토하여 한국사회에 주는 시사점도 얻고자 하였다. 해당 국가의 재외동포정책, 청소년정책 및 인재유입정책에 대한 선행연구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재외동포 청소년정책에 대한 함의를 이끌어 낼 문헌 및 정책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정부의 각종 홈페이지 및 법령 제도 그리고 해외에 거주하는 시설 및 인력에 대한 광범위한 문헌을 검토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국가별 재외동포 관련 정부 기관의 웹싸이트 검색에서부터 이메일 연락 등을 활용하였다. 조사결과, 미국에서는 재외동포청소년들에게 정부 및 민단단체에서 다양한 프로그램 및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미국정부 지원 학교 운영 프로그램 및 사업은 국무부의 해외학교부에서 수행되고 있다. 민간단체의 재외동포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은 해외미국시민(ACA), 해외미국여성연맹(FAWCO), 파리장기거주미국여성모임(AAWE), 해외미국인협회(AARO)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중국의 재외동포 청소년 정책은 중국 국적인 화교 청소년에 대한 정책과 외국 국적인 화인 및 화예 청소년에 대한 정책을 의미한다. 화교화인 업무의 총괄은 국무원 교무판공실이 담당하고 있으며, 교무판공실은 중국내 지방 조직으로 체계화 되어 있으나 해외 화교화인 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 추진은 중국해외교류협회(中国海外交流协会), 중국화문교육기금회(中国华文教育基金会) 등의 사회단체 육성과 역할 분담을 통해 집행하고 있다. 중국내 화문교육기지와 해외 화문교육시범학교는 교육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화교화인 사회와의 지역적 매개를 통해 교육 문화 사업들을 추진되고 있다. 일본의 해외일계인 청소년 정책은 외국국적 일계인보다는 기본적으로 일본국적자인 재외방인을 위주로 지원하고 있다. 해외거주 외국국적 일계인 청소년 정책에 대하여 민간단체사업을 JICA의 일부사업으로 계승해 오고 있으며, 해외 일계인 청소년정책의 대표적인 사례는 JICA 일본 ‘청년해외협력대(JOCV)’의 해외파견 사업이다. 독일에서 외국국적 독일동포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의 초점은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사회통합 강좌’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사회로의 편입 내지 통합을 적극 지원하는 데에 맞추고 있으며, ‘사회통합 강좌’는 크게 ‘어학강좌’와 ‘오리엔테이션강좌’로 구성된다. 외무성 지원의 해외학교 정책은 독일 문화적인 정체성 보존을 위해 독일어교육이 핵심이 되고 있으며, 민간차원에서는 재외독일인 문화교류 협회와 재외독일인과 함께하기 재단에서 외국국적 독일동포 청소년에 대한 인도적 차원의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재외동포 관련 정부정책은 유대인의 국내이주를 돕기 위한 이민자 수용부와 해외 디아스포라를 관리하기 위한 디아스포라부에서 담당하고 있다. 재외동포 관련 민간기관으로는 세계시온주의기구(World Zionist Organization, WZO), 네페쉬 베네페쉬(Nefesh B’Nefeshi) 등이 있다. 이스라엘 체험 프로그램, 공동체와 직업교육 프로그램, 히브리어와 대학입시 교육프로그램, 상담 및 군복무 지원 프로그램 등 다양한 청소년프로그램이 이루어지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compare policies of major countries related to young overseas nationals from diverse perspectives in order to be referenced in developing Korea’s policy on young overseas nationals. The policies of five countries, i.e., the U.S., China, Japan, Germany, and Israel, were reviewed in order to understand its implications in the Korean society. Precedent studies on policies of relevant countries involving overseas nationals, youth, and attracting talent were selected and analyzed, and literary works ― including laws and statutes, materials on overseas residential facilities and manpower, etc. ― and policy programs were extensively analyzed, through searching relevant government websites and communicating via e-mail with relevant government bodies in the aforementioned countries, in order to deduce significance of policies on young overseas national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U.S.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have in place diverse programs and projects for young Korean-Americans. For example, the U.S. Department of State’s Office of Overseas Schools provides assistance to schools through the government-supported programs and projects. Programs to support young overseas nationals are also run by private organizations such as the American Citizens Abroad (ACA), the Federation of Women’s Clubs Overseas (FAWCO), the Association of American Wives of Europeans (AAWE), and the Association of Americans Resident Overseas (AARO). China’s policy on young overseas nationals relate to young ethnic Chinese (of Chinese nationality) and young overseas Chinese/overseas Chinese descendants (of foreign nationality). The State Council of China’s Department of School Administration overseas matters pertaining to overseas Chinese nationals, while projects regarding the society of overseas Chinese nationals are jointly carried out with social organizations such as the China Overseas Exchange Association (COEA) and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Foundation (CLEF). In China, Chinese language institutions and overseas Chinese language pilot schools are network-linked, and educational and cultural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through regional connections with the society of overseas Chinese and ethnic Chinese. In the case of Japan, policy support centers more on overseas nationals of Japanese nationality than of foreign nationality. Private organizations’ projects for young overseas Japanese of foreign nationality are partially succeeded to and carried out by the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JICA), such as the “Japan Overseas Cooperation Volunteers (JOVC)” program. Germany’s policy for children of overseas nationals of foreign nationality focus on helping them easily integrate into society by providing comprehensive lectures on social integration, which are divided into language study and orientation.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supported overseas school policy centers on Germ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preserve the nation’s cultural identity. The private sector, such as the Overseas Germans’ Culture Exchange Association (OGCEA) and the Overseas German Foundation (OGF), also provide humanitarian assistance to young overseas Germans of foreign nationality. In Israel, the government’s policy on overseas nationals is overseen by the Ministry of Jewish Immigration Absorption and the Ministry of Diaspora Affairs. Relevant private organizations include the World Zionist Organization (WZO) and Nefesh B’Nefeshi which operate various youth support programs, e.g., Israel experience programs, community and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Hebrew and college entrance education programs, counseling and military service support programs, and so forth.

      • A Study on the Nationality of Overseas Adoptees

        ( Yoon-cheol Choi ) 건국대학교 이주사회통합연구소 2021 Journal of Migration and Social Integration (JMSI) Vol.6 No.1

        The number of Korean nationals adopted overseas has reached about 170,000 as of 2018 since 1958 when adoption statistics were written. If the number of overseas adoptees concentrated after the Korean War before statistics was estimated to be about 30,000, the number of overseas adoptees from 1950 is expected to exceed 200,000. In the first chapter, this article present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simplifying acquisition of nationality for overseas adoptees. In the second chapter, a basic review of the legal theory related to the nationals and nationality is conducted. It examines the conceptual differences between nationals, Koreans residing abroad, Koreans with foreign nationality, and overseas adoptees. Next, the significance of nationality and the requirements and methods of acquiring and retaining nationality under the current 「Nationality Act」 are examined in relation to overseas adoptees. In particular, it looks at the regulations on simplified naturalization, special naturalization, nationality restoration, concomitant acquisition, re-acquisition and multiple nationality. I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we focus on overseas adoptees and examine the methods, types, and possibilities of expansion of overseas adoptees according to the 「Nationality Act」. In particular, the actual applicability will be reviewed by dividing the case where overseas adoptees acquire the nationality of the adopting country and lose their Korean nationality, and the case where the overseas adoptees do not acquire the nationality of the adopting country and maintain Korean nationality. Next, it examines whether there is room for simplifying or expanding the requirements for granting nationality in the current 「Nationality Act」 and, if possible, what legal principles should be applied. To this end, it analyzed Korea’s overseas adoption system and actual process, and evaluated whether it could hold state responsibility for overseas adoption based on the Constitution. As a conclusion, the last chapter affirms the state responsibility for overseas adoption and highlights the need to improve the “nationality law” for overseas adoptees as the first step to fulfilling the state responsibility. In particular, when an overseas adoptee expresses an active intention to confirm the identity of the Republic of Korea, such as wanting to have the nationality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state needs to respond to this through active state actions, including legislation. Legislation and policies to embrace overseas adoptees should not be made in terms of tolerance or benefit, but in view of reflection that the state has failed to faithfully fulfill its obligations to protect its citizens. (felixcyc@konkuk.ac.kr)

      • KCI등재

        무상의무교육 관점에서 재외 한국학교의 법제 분석 -재외국민교육법의 위헌성 및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송성민,박성혁,최윤경,김경래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0 시민교육연구 Vol.52 No.3

        본 연구는 재외 한국학교에 재학하는 재외국민 자녀에게도 국내와 동일하게 무상의무교육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재외 한국학교는 헌법, 교육기본법, 재외국민교육법에 근거를 두고 있는 대한민국의 정규교육기관이며, 재학생인 재외국민의 자녀 또한 대한민국 국민으로 당연히 헌법상 기본권의 주체가 된다. 그러나 해외에 소재하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불합리하게 무상의무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여 소외되고 있어 위헌 소지가 있다고 본다. 이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우선 의무교육의 법적 개념과 특성을 고찰해 보았고, 이를 통해 의무교육에 대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를 확인하였다. 나아가 의무교육의 무상성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 무상교육에 대한 학설, 법령, 세계적 추세를 분석하여 무상의무교육의 기준과 원칙을 정립하였다. 여기서 도출된 원칙에 입각하여 한국학교에서 무상의무교육이 이행되지 않는 현실의 위헌성을 체계적으로 논증하였다. 관련하여 한국학교에서의 무상의무교육 이행을 위한 개선방안을 국회와 정부의 역할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problem that free compulsory education does not apply to students of overseas Korean nationals. Overseas Korean schools are an official educational institu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based on the Constitution, framework act on education, and the act on the educational support for overseas Korean nationals. In addition, students of overseas Korean school are Korean citizens and, of course, become the subject of fundamental rights of the constitution. Therefore, it is absolutely unconstitutional that free compulsory education does not apply to them. In order to analyze this unconstitutionality, the legal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ompulsory education were reviewed. Furthermore, in order to clarify the concept of free compulsory education, the standards and principles of free education were reviewed by researching theories, laws, and global trends about free education. Finally it is approved the unconstitutionality that free compulsory education is not implemented in overseas Korean students. In relation to this conclusion, strateg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free compulsory education in overseas Korean students were proposed in two aspects of the role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Korean government.

      • KCI등재후보

        중국의 화교(華僑)정책에 대한 연구 - 대만의 화교정책과의 비교를 中心으로

        조정원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09 민족연구 Vol.0 No.37

        Overseas chinese are the attractive groups for China and Taiwan, both countries have competed to bring over overseas chinese in political level and economic level mutually. Enhancing the value of Overseas chinese by strengthening economic power is making them more attractive, and that incite to both countries to compete. The difference on overseas chinese policy of China and Taiwan, above all, is policy on the nationality. China confirmed 'unitary nationality' in 1955 and 1980, Taiwan acknowledged the 'dual nationality' on overseas chinese's policy. Their is no clear answer which policy is more effective, but the dual nationality has the higher possibility of impediment in 'localization’. China has pursued preservation of 'Zhonghua nationality' with localization dually and adhered 'unitary nationality', who has embraced lots of overseas chinese more than Taiwan. That proved China's policy on overseas chinese are more charming to overseas chinese. The present time, overseas chinese's the economic scale is prodigious, overseas chinese network which is WCEC (World Chinese Entrepreneurs Convention) has held 9th, after that convention, overseas chinese groups are getting more systematically and strengtheningly, achieved the outstanding capacity. On this, China and Taiwan have competed to take overseas chinese for their own benefit sharply. Right now, however, I can say that China hold the dominant position about overseas chinese more than Taiwan, because China's the large-scale economy and the systematic law for overseas chinese is more effective than Taiwan. Then, such as China's policy on overseas chinese are that provide the great role model for each country in policy of the fellow countrymen, also give good points to Korea's compatriots policy.

      • KCI등재

        재외국민의 범죄피해와 국가의 보호의무

        장진숙(Jang Jin Sook) 유럽헌법학회 2019 유럽헌법연구 Vol.0 No.28

        최근 전 세계적인 국제화ㆍ개방화 추세와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및 국제교류의 증진에 힘입어 한 해 2천 6백만 명이 넘는 우리 국민이 해외여행을 하고 그 추세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 거류하는 재외한인(재외국민과 재외동포) 역시 꾸준히 증가하여 750만 명에 육박하고 있다. 이처럼 여행의 일상화와 국외에서 거주ㆍ체류하는 국민의 수가 나날이 증가함에 비례하여 범죄, 납치, 테러 등 우리 국민과 관련된 각종 사고가 빈발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해외에 거주ㆍ체류하는 재외국민보호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상황에 이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재외국민을 보호할 기본법이나 체계적인 정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우리 헌법 제2조 제2항은 “국가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재외국민을 보호할 의무를 진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제10조 후문에서도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진다”고 명시하며, 제30조는 “타인의 범죄로 인하여 생명ㆍ신체에 대한 피해를 받은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가로부터 구조를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여 재외국민도 내국인과 동등한 기본권을 향유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아직도 재외국민을 보호할 기본법인 ‘재외국민보호법’은 장기간 국회에 계류 중에 있으며, 헌법 제30조에 의거 제정ㆍ운용되고 있는「범죄피해자보호법」은 재외국민은 보호할 수 없도록 내국인에 한정하여 규정하면서 재외국민을 차별하고 있다. 전 세계 170여 개국 이상에 거주ㆍ체류하는 750만 명 이상의 재외한인과 한 해 2천 6백만 명 이상의 해외여행자들은 해외에서 본의 아니게 범죄와 연루되거나 위난을 당한 경우 한결같이 “나는 대한민국 국민입니다”라는 절규와 함께 본국 정부에 도움을 요청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는 장소적 한계, 법률의 부재, 예산의 부족 등의 이유로 범죄피해자를 적극적으로 보호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충분히 인식하고 재외국민의 범죄피해보호를 위한 개선과제를 생각해본다. 첫째, 재외국민을 보호할 기본법이 제정되어야 한다. 둘째, 재외국민의 범주를 체계화하고「범죄피해자보호법」에 재외국민을 포함시키는 개정이 필요하다. 셋째, 범죄발생 시 현지에 거주하는 민간단체나 전문가를 활용할 수도 있다. 넷째, 관련 부처 간 협력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재외국민보호에 필요한 충분한 외교 인력이 확보되어야 한다. 여섯째, 지역별 차별화를 통한 맞춤형 재외국민보호정책이 요구된다. 일곱째, 한 해 국민의 과반수가 해외여행길에 오르는데 그들을 범죄로부터 보호할 예산을 배정하는데 국회나 정부는 지나치게 인색하지 않아야 한다. 이제 세계 10대 무역 강국의 대열에 들어선 대한민국의 위상으로 볼 때 충분히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하루 속히 위와 같은 과제들을 실행하여 재외국민의 범죄피해로 인한 사회적 갈등 문제를 해소하고 사회대통합을 추진하여야 한다. Recently, more than 11 million Koreans travel or living overseas a year that thanks to the global trend of globalization and openness and the nation’s economic growth and increased international exchanges. In addition, overseas Koreans and Koreans living in foreign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steadily increased to 10,000.As the number of people living and staying abroad increases day by day, there have been frequent incidents involving the Korean people such as crime, kidnapping, and terror. Although protection of overseas Koreans living and staying overseas at this point in time is no longer to be delayed, basic laws and systematic policies are still not in place to protect them. Article 2 of our constitutional law stipulates that the state is obliged to protect overseas citizens as provided under the law, and that the nation is obliged to identify and guarantee the rights of non-aggression of the individual. And Article 30 stipulates that people who are harmed by other people’s lives and bodies can be saved from the state as provided under the law, so that overseas Koreans can enjoy the same basic rights as Koreans in Korea. However, the Overseas Koreans Protection Act, the basic law for protecting overseas Koreans, has been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for a long time, and the Criminal Victim Protection Act, enacted and operated under Article 30 of the Constitutional law, is limited and discriminates from Koreans in Korea. More than 10,000 foreign travellers and more than 11 million Korean residents abroad from more than 170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asked to help the Korean government with a cry of “I am a Korean citizen” in the event of a crime or disaster unintentionally. Nevertheless, the nation is not actively protecting the victims of crime due to their location limitations, lack of laws, and a lack of budget. Recognizing this situation, consider the task of improving crime protection for expatriates. First, a basic law should be enacted to protect overseas Koreans. Second, a revision is needed to organize the categories of overseas Koreans and include overseas Koreans in the Criminal Victim Protection Act. Third, in the event of a crime, a local civic group or expert can be used in any way. Four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operation system between related departments. Fifth, sufficient diplomatic manpower should be secured to protect overseas citizens. Sixth, customized policies for protecting overseas Koreans through regional differentiation are required. Seventh, the National Assembly or the government should not be too stingy in allocating money to protect a majority of the people on their overseas trips. Considering the status of South Korea as one of the world’s top 10 trading powers, it should be seen that it can handle the safety of the people overseas well. The government should carry out these tasks as soon as possible to resolve the social conflict caused by and crimes by overseas Koreans and promote social unity.

      • KCI등재

        재외동포에 대한 국민인식: 한민족의식, 다문화 수용성, 접촉 경험의 효과

        윤인진 ( In Jin Yoon ),권일남 ( Il Nam Kwon ),김태균 ( Kyoon Tae Kim ),배진숙 ( Jin Suk Bae ),송영호 ( Young Ho Son ) 평화문제연구소 2015 統一問題硏究 Vol.27 No.1

        국내에 거주하는 재외동포들이 증가하면서 이들은 내국인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고, 이과정에서 교류와 협력만이 아니라 경쟁과 길등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다문화적 환경에서 성장하면서 형성한 재외동포의 다양한 문화와 정체성은 한국에서 종종 무시와 차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재외동포와 한국인 간의 공존의 원리로서 다문화주의가 요구된다. 이논문에서는 2009년, 2011년, 2013년에 실시된 재외동포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자료를 사용해서 일반국민이 재외동포에 대해 갖는 인식의 현황과 변화 양상을 진단하고, 국민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한민족의식, 다문화 수용성, 접촉 경험의 효과를 분석했다. 주요 연구결과는 일반국민의 한민족의식이 강할수록, 다문화 수용성이 강할수록, 재외동포와의 접촉경험이 많을수록 재외동포를 더욱 친밀하게 느끼고, 한민족의식의 효과가 다문화 수용석의 효과보다 큰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재외동포의 국내 체류 및 정착을 허용하는 정도에서는 세 변수들의 효과가 모두 긍정적이었으나 다문화 수용성의 효과가 한민족의식의 효과보다 큰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결과는 재외동포의 국내 체류와 정착과 같이 내국인에게 경제적, 사회적 영향을 미치는 사안에 있어서는 문화 다양성을 인정하고 외국인을 평등하게 대우하려는 다문화주의적 태도가 재외동포를 수용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있다. Since the 1990s, an increasing number of overseas Koreans have returned to and resided in South Korea, and they have interacted more closely than ever with South Korean nationals. This interaction has resulted in not only exchanges and cooperations but also competition and conflicts. Moreover, due to their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and identities formed in multicultural environments of their countries of origin, members of the Korean diaspora have been subjected to contempt and discrimination in South Korea. Thus, multiculturalism is needed as a principle of coexistence between overseas Koreans and South Korean nationals.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examines South Korean nationals’perceptions of overseas Koreans by using data from nationwide surveys conducted in 2009, 2011, and 2013. Also, it analyzes the effects of Korean ethnic consciousness,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contact experience on South Korean nationals’ perceptions of overseas Koreans.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The stronger Korean ethnic consciousness, greater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and more contact with overseas Koreans South Korean nationals have, the closer feeling they have towards overseas Koreans. With respect to intimate feeling to overseas Koreans, Korean ethnic consciousness has a greater effect than multicultural acceptance. Also, th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have equally positive effects on their willingness to allow overseas Koreans to stay temporarily and permanently in South Korea. However, multicultural acceptance has a greater effect than Korean ethnic consciousness on the acceptance of overseas Koreans’ settlement in South Kore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matters that affect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of South Korean nationals like the settlement of overseas Koreans in South Korea, multicultural acceptance that acknowledges cultural diversity and respects equal opportunities for foreigners play a critical role in acceptance of overseas Koreans.

      • KCI등재후보

        초국가주의와 국내정치 영향에 관한 연구

        김용찬(Kim, Yong Chan)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7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7 No.2

        이 논문에서는 재외동포 초국가주의의 영향과 정치적 영역에서의 본국의 대응과의 관계에 관해 고찰하고 있다. 재외동포의 초국가주의가 국가의 정책에 영향을 미치지만, 국가는 국내외 정치상황을 반영한 대응을 통해 정책을 형성하고 변화시킨다는 주장을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있다. 재외동포 초국가주의는 본국에서의 시민적, 정치적 권리를 위한 요구와 활동으로, 국가의 대응은 재외동포에 대한 이중시민권과 선거정책의 수립과 조정으로 정의하고 있다. 연구에서는 초국가주의와 국가정책을 분절적으로 분석하는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초국가주의의 영향과 모국의 대응으로서의 정책의 형성과 변화를 통합적 분석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한편 종족민족주의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한국, 대만, 일본 등 동아시아국가를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다. 한국, 대만, 일본에서 재외동포의 초국가주의에 대한 대응으로 재외동포의 입국과 거주, 선거정책이 수립되었고 조정되었다. 대만은 과거에 비해 재외동포에 대한 이중시민권과 선거정책이 축소되었지만, 재외동포의 이중국적에 대해서는 유연한 대응을 하고 있다. 반면 한국과 일본의 경우 재외동포사회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이중국적을 허용하지 않는 대응을 고수하고 있다. 또한 일본은 한국과 대만과 달리 재외동포의 입국과 정착, 법적 지위 등을 명시한 독자적인 법의 제정이나 재외동포 지원을 위한 정부기구를 설치하지 않았다. 논문에서는 이들 국가들의 초국가주의와 정책 형성과 변화의 유사점과 상이점을 분석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overseas nationals’ transnationalism and the responses of sending countries in the political realm. It argues that nation states make important roles in the formation and change of policies on overseas nationals on the basis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texts and the influence of the transnationalism. Overseas nationals’ transnationalism is defined as the demands and activities for civic and political rights and the responses refer to the establishment and reformation of policies in regard to dual citizenship and suffrage. This study introduces the integrated explanation of transnationalism and national policies beyond the limitation of established studies. The cases of this article include South Korea, Taiwan and Japan that have maintained ethnic nationalism. There have been commonly the formation and change of overseas nationals’ citizenship and suffrage policy in East Asian countries as nation states’ responses to the influence of the transnationalism. The Taiwanese government has scaled down national policies on overseas national’s citizenship and suffrage, but it has continued flexible actions to the dual nationality. The South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s have not permitted the dual nationality. Unlike South Korea and Taiwan, the Japanese government has not provided independent legal status and established governmental department for overseas nationals. This research also presents the explanation fo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national policies and overseas nationals’ transnationalism.

      • KCI등재후보

        재외국민 범죄피해 지원방안 : 해외 범죄피해자지원단체와의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박선영(Park Seon Young)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3

        해외에 나간 우리 국민의 범죄피해 소식은 더이상 낯선 이야기가 아니다. 최근에는 폭탄테러, 총기 난사 등 대규모 범죄뿐 아니라 동양인 대상 증오범죄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으로 해외여행이나 출장 등이 주춤한 모양새지만 백신 접종 등 방역 상황이 나아진다면 출국률은 가히 폭발적일 것이다. 그러므로 재외국민 관련 사건·사고에 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국민의 안전한 국외 방문 및 거주·체류를 도모하기 위하여 2019년「재외국민보호를 위한 영사조력법」을 제정하였지만, 그간 제공한 영사조력은 외교부 지침에 근거하여 안정적인 대국민 서비스가 어려웠다. 물론, 2021년 시행되는「재외국민보호를 위한 영사조력법」은 재외국민의 보호 관련 법률의 필요성을 규정하고 있으며,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재외국민들을 보호하고 관리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범죄피해자인 재외국민에게 제공하는 영사조력은 주재국 경찰기관에 신고하는 방법 안내, 신속하고 공정한 수사 요청, 의료 기관에 관한 정보 제공, 가능한 범위 내에서 변호사 및 통역인 명단 제공 등으로, 국내에서 범죄피해 시 받을 수 있는 직접적인 지원(치료비, 심리치료비, 장례비 등)은 전무하다. 「재외국민보호를 위한 영사조력법 시행령」제19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긴급지원비의 지원 의 경우도 원칙적으로는 재외국민이 영사조력 과정에서 자신의 생명·신체 및 재산의 보호에 드는 비용을 부담하여야 하고 ① 사건·사고에 처한 재외국민이 본인의 무자력(無資力) 등으로 인하여 비용을 부담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② 해외 위난상황에 처한 재외국민이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할 수 있는 이동수단이 없어 국가가 이동수단을 투입하는 경우만 국가가 그 비용을 부담할 수 있다고 규정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 출장이나 여행 등으로 출국한 현지에서 범죄피해를 겪은 이들을 신속하게 보호하고 지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 모색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재외국민의 범죄피해 실태와 실제 지원 사례를 바탕으로 현지에서 어려움을 겪게 될 자국민의 안전과 보호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news of criminal victimization of our people abroad is no longer unfamiliar. Recently, not only massive criminal victimization such as bombings and shootings, but also hate crimes against Asians have been rampant. Although overseas travel and business trips seem to have slowed due to the novel coronavirus infection(Corona 19), the departure rate is expected to explode if the quarantine situation such as vaccination improves. As the number of overseas departures increases, the number of incidents and accidents against overseas Korean citizens will naturally increase, and countermeasures are needed. The Consular Assistance Act for the Protection of Overseas Citizens was enacted in 2019 to promote the safe overseas visits, residence and stay of the Korean people, but consular assistance has been provided based on the Korean foreign ministry s guidelines and public service has been difficult to be provided stably. The Consular Assistance Act for the Protection of Overseas Citizens, which takes effect in 2021, stipulates the need for laws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overseas citizens, and emphasizes the need to protect and manage overseas citizens more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However, consular assistance provided in case of crime damage to overseas citizens is to guide them to the police agency of the host country, request a quick and fair investigation, provide information about medical institutions, and provide a list of lawyers and interpreters to the extent possible. There is no direct support(for physical and psychological treatment, and funerals, etc.) that can be provided if the crime has happened in Korea. In principle, in the case of emergency support expenses prescribed in Article 19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onsular Aid Act for the Protection of Overseas Citizens, overseas citizens shall bear the costs incurred in protecting their lives, bodies and property in the consular aid process. It is stipulated that a) if an overseas citizen in an accident or accidents finds it difficult to pay for the expenses due to his/her financial circumstances, etc., and b) there is no means of transportation for an overseas citizen in an overseas crisis to evacuate to a safe area, the country can pay the expenses only. In respo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practical ways to quickly protect and support them when they suffer from criminal victimization after leaving the country due to overseas business trips or travel. To this end, I would like to present measures for the safety and protection of our citizens who will have difficulties overseas, based on the actual circumstances of crime victimization and actual support cases of overseas Korean nationals.

      • KCI등재

        재외 한국학교 실태조사를 통한 법적 타당성 검토

        박성혁 ( Park Sung-hyeok ),송성민 ( Song Seong-min ),김경래 ( Kim Kyong Rae ),최윤경 ( Yoon Kyung Choi ) 한국법교육학회 2021 법교육연구 Vol.16 No.3

        재외 한국학교는 우리나라 정규 교육기관임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맥락과 소재국 여건 등으로 인해 다양한 상황에 처해 있다. 이로 인해 2007년 재외국민교육법이 제정·시행되어 왔음에도 여전히 법규 미비나 법적 모순 상태가 일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학교와 관련한 법적 쟁점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및 보완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우선 재외국민교육법 등을 분석하여 학교운영, 학사, 교육과정 측면의 관련 쟁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의 현실을 파악하기 위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학교 설립 주체의 법적 지위가 모호하거나 학교법인과 대한민국정부와의 권한 소재가 명확치 않은 문제도 발견할 수 있었다. 학사 관리에 대한 규정이 미비하여 뚜렷한 법적 근거 없이 한국학교의 학사가 운영되는 사례도 다수 존재하였다. 교육과정 측면에서도 국내 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가 일부 확인되었으며, 한국학교만의 독특한 수요를 반영한 운영 사례도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한국학교의 법적 타당성을 검토하여 한국학교 관련 법령의 규범력을 제고하면서, 동시에 한국학교의 여건을 고려한 자율성과 재량을 보다 확대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Overseas Korean schools are offi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of Korea. Nevertheless, due to the historical context and the conditions of the country where they are located, Overseas Korean schools are existing under diverse features. As a result, there are a few problems with the Act on the Educational Support for Overseas Korean National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legal issues related to overseas Korean schools, and to derive improvements respectively. Firstly, the educational issues in terms of the school administration, the academic affairs, and the curriculum of overseas Korean schools were derived through analyzing the Overseas Korean Nationals Education Act. Secondly, a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Korean school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There was a case in which the legal status of the establishment entity of a overseas Korean schools was ambiguous. It was found that legal authorities between the school foundation and Korean government were vague. Also, There were many problems in statutes of academic management of overseas Korean schools. In terms of the curriculum, it was discovered that some school cases did not meet the domestic standards. Finally, legal feasibility was examined in the following directions: to enhance legal power of Overseas Korean Nationals Education Act; to expand the autonomy and discretion as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overseas Korean schools.

      • KCI등재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재외동포

        김봉섭 ( Kim Bongseop )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20 민족연구 Vol.0 No.76

        본 연구는 한말과 일제강점기 시절 중국, 러시아, 미국 등지에 거주하던 동포지도자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대한민국임시정부(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와 재외동포사회(Overseas Korean Community)가 어떤 관계를 유지해왔는지를 파악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이 시기의 재외동포정책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주권과 영토와 국민의 경계를 한반도 밖으로까지 확장하였고, 임시의정원에 재중·재러·재미동포 대표를 포함시켰다. 동포사회의 자조·자치능력을 독려하기 위해 ‘임시거류민단제’를 제정·공포하였고, 일제가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자 중국에 주화대표단 등을 설치하여 동포들의 본국 귀환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다. 일제의 감시와 탄압으로 인해 해외에서 활동할 수밖에 없었던 임시정부로서는 국민적 기반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였는데, 이는 “국민=동포, 동포=국민”이라는 기본사상을 유지·계승한 결과였다. Overseas Korean policies of the PGROK(the following, 'PGROK'),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GROK extended the concept of sovereignty, territory, and nationality beyond the Korean Peninsula and granted Korean people in China, Korean People in Russia, and Korean People in America representation in the Provis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PGROK established and proclaimed a 'temporary settlement corporation' system to encourage the autonomy and self-sufficiency across overseas Korean communities. Moreover, when the Japanese Empire declared its unconditional surrender, the PGROK established the 'Korean People in China at Delegation Foreign Affairs to China' and took many other measures to ensure the repatriation and overall safety of overseas Koreans. The PGROK which had no choice but to operate overseas due to the surveillance of the Japanese Empire, desperately needed public support and found it through the cultivation of relationships with overseas Korea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GROK and Overseas Koreans is based on the concept that “Korean Nationals=Korean Compatriots” and vice ver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