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영희와 냉전기 중국혁명운동사의 탄생

        정문상(Chung, MoonSang) 역사실학회 2018 역사와실학 Vol.65 No.-

        이 글은 1960년대-1970년대 현대중국에 대한 리영희의 관심과 글쓰기가 한국에서 중국혁명운동사 연구의 시작을 의미하는 것이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그는 어떤 논리에 입각하여 중국혁명운동사를 구성했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러한 분석으로 ‘비판적 중국학자’로서의 그의 면모가 더욱 충실히 드러나길 기대했다. 그가 외신기자 시절 문화대혁명에 대한 관심을 중국근현대사로 확장하고 그것을 혁명운동사로 체계화할 수 있었던 것은 주체적 근대화론과 관련이 깊다. 그리하여 일본의 진보적인 중국사 연구자들로부터의 영향도 있었지만, 『창비』에 결집된 진보적 지식인들이 발신했던 주체적 근대화론을 그가 공유하고 있었던 사정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주체적 근대화론에 따라 그는 전통과 결합되어 혁명사상이 형성되었음을 해명했고 따라서 혁명운동은 서양의 혁명사상의 일방적인 수용에 따른 것이 아님을 해명할 수 있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립은 중국의 주체적인 근대화의 실현으로 평가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었다. 그러나 그의 근대화론 이해는 주체적 근대화론의 범위를 넘는 것이기도 했다는 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그는 근대화를 비판과 극복의 대상으로 까지 인식했던 것인데, 이는 군사정권의 경제발전 위주의 근대화 추진에 대한 그의 통렬한 비판의식과 그 대안모색의지에서 비롯된 것이었으며, 동시에 중국혁명운동사 연구로부터 획득한 근대화에 대한 이해이기도 했다. 그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립을 서구 근대를 극복한 역사적 사건으로 파악했으며. 이는 그가 주체적 근대화론과는 달리 근대화 자체를 비판과 극복의 대상으로 이해했음을 의미했다. 서구자본주의뿐만 아니라 소련사회주의까지 극복하려 한 시도였다는 그의 문혁관은 이러한 근대화 이해에 뒷받침된 것이었다. 이상과 같은 논리에 입각하여 그는 중국근현대사를 중국혁명운동사로 구성하여 제시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logic behind how Rhee Yeung-hui interpreted the Chinese revolutionary movements and constructed the modern history of China, as Rhee’s interest and writings on modern China during the Cold War era signaled the birth of South Korean studies of the history of the Chinese revolutionary movement. Through this analysis, I expect that Rhee’s critical stance as a scholar of China will be further brought to light. As a journalist in charge of the foreign affairs section, Rhee expanded the interest in the Cultural Revolution to Chinese modernization, namely the history of Chinese revolutionary movements, thus systematizing it. This has a close relation to his understanding of the modernization theory. Rhee shared his thoughts on independent modernization with progressive intellectuals who laid out their arguments in the journal, The Quarterly Changbi . Based on the independent modernization theory, Rhee explained that the idea of revolution was formed combined with tradition and thus argued that the revolutionary movements did not result from unconditional acceptance of Western revolutionary ideas. This is why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RC) was regarded as the realization of Chinese modernization. However,it is noteworthy that his understanding of modernization went beyond the independent modernization theory. Rhee took a step further and considered modernization as an object to be criticized and overcome. This stemmed from his severe criticism toward the military regime’s promotion of modernization that centered on economic growth, and from his attempt to seek alternatives to it. At the same time, it also resulted from his studies on Chinese revolutionary movement history. Rhee viewed the establishment of the PRC as a historical event, which overcame Western modernity. This viewpoint showed that Rhee regarded modernization itself as an object to be criticized and overcome. Rhee’s understanding of modernization led to his assessment of the Cultural Revolution as an attempt to transcend not only Western capitalism but also Soviet socialism.

      • KCI등재

        좌담회 <근대의 초극>론의 서막* -1950년대의 담론공간과 다케우치 요시미의 「근대의 초극」-

        이경희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2 일본학연구 Vol.36 No.-

        The postwar “Overcoming Modernism” theory was initiated from around 1956 and emerged fully through the post-ideological declaration of Takeuchi Yoshimi’s Overcoming Modernism announced in 1959. On the other hand, discussion in Takeuchi’s Overcoming Modernism, which is a part of Lectures on the Modern History of Japanese Thoughts (1959), is not clear by itself. In order to understand its meaning and significance, we should approach it from the aspect of continuity with referring to the “Overcoming Modernism” theory in the 1950s. Only then, we can see clearly what is meant by the postwar opening of the “Overcoming Modernism” theory. Takeuchi’s Overcoming Modernism mentions the literary circle’s discourses of “Overcoming Modernism” discourses, but considering the way raising questions and the contents of discussion, it is only the philosophical circle’s discourses that were accommodated implicitly as essential references. Takeuchi’s Overcoming Modernism, which restructured discourses in the 1950s, assumed that ‘nationalism’ is a precondition for thoughts applicable to realities and suggested the condition in round-table conference “Overcoming Modernism”. However, his suggestion did not include specific universal values required in order to distinguish the materialization of ‘“Overcoming Modernism” ─ nationalism ─ postwar theory’ from ‘the revival of round-table conference “Overcoming Modernism”.’ For this reason, moreover, the task left by him provided new direction ‘the development of postwar thoughts’ in the postwar “Overcoming Modernism” theory.

      • KCI등재

        한일병합 100년, 한국문학의 식민성과 탈식민성 ; 탈식민과 근대극복

        하정일 ( Jeong Il Ha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민족문학사연구 Vol.45 No.-

        식민주의를 청산하고 해체하려는 노력이 오랫동안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식민주의의 극복이 여전히 한국사회의 공안으로 남아 있는 근본적인 이유는 그것을 근대성의 수준에서만 이해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근대성은 여러 부면에서 식민주의와 겹치기 때문에 근대주의로는 식민주의를 온전히 해체할 수가 없다. 근대극복이라는 맥락에서 탈식민의 문제에 접근해야 하는 것은 그래서이다. 다만 탈근대와 근대극복은 분별할 필요가 있다. 탈근대가 근대의 전면 부정을 꾀하는 기획이라면 근대극복은 근대의 지양에 가까운 기획이다. 요컨대 그것은 근대의 보존과 폐기라는 변증법적 의미를 담고 있는 셈이다. 필자는 탈근대 기획은 실패했다고 생각한다. 담론으로만 시끄러울 뿐 근대세계체제에 별다른 균열을 만들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탈근대 기획은 우리의 구체적 삶을 장악하고 있는 근대성의 현실에 눈 감은 채 탈근대라는 유토피아에서 홀로 자족하고 있을 뿐이다. 반면에 근대극복의 기획은 온갖 시행착오 속에서도 근대성과의 정면대결을 회피하지 않았다. 근대극복의 기획은 근대 내부로부터의 근대극복을 지향한다. 달리 말하면 그것은 근대의 해방적 잠재력을 극대화함으로써 근대를 넘어서고자 하는 기획이라 할 수 있다. 탈근대 기획은 근대와 탈근대를 이분법적으로 분리하고 근대 이후를 이상화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근대와 탈근대를 이분법적으로 분리하게 되면 일종의 선악 이분법이 개인하기 십상이다. 근대를 뛰어넘어 근대 이후로 도약하려는 조급증은 여기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거니와 이러한 조급증은 근대의 해방적 잠재력을 보지 못하게 만든다. 하지만 근대성은 좋든 싫든 우리의 삶에 깊숙이 스며들어 있다. 더구나 근대성의 존재로 고통 받는 사람들도 많지만 근대성의 부재로 고통 받는 사람들 또한 그 못지않게 많다. 그래서 근대성의 존재와 부재를 둘러싼 정면대결 없이는 근대의 극복도 탈근대도 무망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탈근대 기획이 근대를 넘어서는 ``현실적인`` 프로그램이 되기 어려운 것은 근대의 복수성을 읽지 못하는 평면적 사고와 관련이 깊다고 할 수 있다. 볼세비키화론, 네그리의 제국론, 최근의 문화연구에서 그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근대극복의 기획은 근대와 탈근대의 복잡한 길항관계에 주목해 근대를 넘어서는 경로를 찾으려 한다. 근대극복의 기획은 이중과제론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중과제론은 코민테른 4차대회의 ``이중의 임무``론에서 단초가 제시되었고 한국에서는 임화와 백낙청에 의해 심화되고 체계화되었다. 임화가 노동계급이 영도하는 민족, 곧 민중 주체의 민족을 통해 자본주의 근대를 극복하고자 했다면, 백낙청은 민중을 주체로 한 분단체제의 극복을 통해 근대세계체제를 내파하려 한다. 임화와 백낙청이 공히 민족문학을 근대문학의 이념으로 제시한 것도 그런 연유에서이다. 이들에게 민족문학이란 이중과제론의 문학적 표상을 의미한다. 이들은 탈식민을 매개 고리로 하여 근대성의 성취와 근대극복을 연결시킨다. 그것은 탈식민이 근대를 내파할 해방적 잠재력을 내장하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전지구적 자본주의 시대가 국가를 통한 지배에서 시장을 통한 지배로 바뀐, 그리하여 여전히 불균등발전과 부등가교환과 국제노동분업의 법칙이 작동하고 있는 신식민 시대라는 점에서 탈식민을 이중과제론의 매개 중심으로 설정한 것은 적확한 통찰이라 할 수 있다. 탈근대 기획이 박래품인 데 비해 근대극복의 기획은 내발적 고민의 산물이다. 한국적 근대의 특수성에 대한 진지한 사유에 바탕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따라서 탈근대 기획의 실패가 분명해지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근대극복의 기획에 대한 새로운 조명이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This essay is a brief summary and comparison of the post-modern project and overcoming-modern project. Commonly decolonization has been accepted on the level of modernity. That is why decolonization is not yet completed. Because modernity overlaps with colonialism in many aspects. So we must consider overcoming modernity in oder to complete decolonization. Post-modern project is based on the easy dichotomy of modernity and postmodernity. Therefore post-modern project denies modernity completely. I think that post-modern project has failed. Its failure is caused by the disability for modernity. Because modernity is widespread all over our lives. On the other hand overcoming-modern project promotes overcoming modernity inside modernity. It is similar to ``aufhebung``. So overcoming-modern project pays attention to the emancipatory potentiality of modernity. Overcoming-modern project can be condensed to the theory of ``double mission``. The theory of ``double mission`` was presented by Limhwa and systemized by Paik Nakchung. Korean post-modern project is deeply affected by eurocentric universalism. So that theory lacks reality and concrete vision. On the contrary overcoming-modern project is firmly based on the particularity of korean modernity. Therefore this project has strong reality and concrete vision.

      • KCI등재

        모더니즘의 초극과 동양 인식

        고봉준(Ko Bong-Jun) 한국시학회 2005 한국시학연구 Vol.- No.1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transformation of "modern" and "east" in Kim Ki Lim's critics in the late 1930s. It is the critical point of this paper to unveil the interaction between Kim Ki Lim's thoughts on modern and east and socio-political context such as "Orientalism“ and "Overcoming Modern.” In the perspective of modernism, modern is located in time dimension dividing undeveloped/developed. However, in the 1930s, modern was being considered as a problem about spatial dimension. Concerns on modern or universality changed its realm of discussion from time dimension to spatial dimension. This change is a very crucial point which make us understand "Orientalism" and "Overcoming Modern Theory" proclaimed in Japan during World War Ⅱ. The universal modern of the West no longer can justify its universality. Now the claimed universal modern became the specificity of the West. Though Kim Ki-Lim agreed with Japanese's assertion, the fall of the West, he cannot turn back to the East which he criticized as "sentimentalism." He was so overwhelmed by his belief to "science" which remained untouched even when he censured values sustaining the modern of the West. Therefore Kim Ki-Lim's silence is not "resistance" but compulsed silence by aporia of thoughts.

      • KCI등재

        위험사회 극복을 위한 󰡔성찰적 근대화󰡕의 재해석

        조광래(Cho Kwang-Rae) 한국경호경비학회 2018 시큐리티연구 Vol.- No.57

        한국사회는 위험과 불신이라는 측면에서 복합 위험사회다 농경사회의 전근대적, 산업사회의 근대적, 정보화사회의 후근대적 위험과 재난이 현재라는 시간대에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경제적 부를 획득하고자 하는 끝없는 과학기술의 발달은 동시에 위험사회를 도래한다는 울리히 벡의 지적은 지금 우리에게 있어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 20세기 후반에 새로운 근대화의 진전에 따른 위험사회의 도래를 지적하고 그 위험사회를 극복하기 위한 “성찰적 근대화(reflexive modernization)”를 언급한 ‘울리히 벡’의 이론을 새롭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성찰적 근대화는 인간중심적인 관점에서 우리의 잘못된 과거를 반추하고 바람직한 미래를 설계해 주는 방향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성찰적 근대화를 주장한 울리히 벡의 재해석을 통해 위험사회 극복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은 중요하다.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미래의 새로운 위험을 극복하기 위해서 안전(security & safety)을 전공하고 연구하는 우리는 정부의 안전정책과 국민들의 안전의식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Korean society is a mixed risk society in terms of risk and distrust. This is because the risks and disasters of the farming and industrial societies, the modern and the information society, exist simultaneously in the present time. Ulrich Beck s point that the endless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o acquire economic wealth is simultaneously entering a risk society is providing us with many implications.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Ulrich Beck’s “reflexive modernization” theory in the late 20th century, pointing to the rise of a risk society as a result of the evolution of new modernization. This is because the “reflexive modernization” can be a direction in which we can reflect our wrong past from a human-centered perspective and design a desirable future. In this sense, it is important to present ways to overcome the dangerous society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Ulrich Beck, who advocated the modernization of reflectively. In order to overcome the future risks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bring, we must provide direction for the government s security policies and public security consciousness.

      • KCI등재

        1970~90년대 민족문학론의 근대성 비판

        강정구 ( Kang Jeong-gu ) 국제어문학회 2006 국제어문 Vol.38 No.-

        이 논문은 1970~90년대 민족문학론의 시대적인 가치와 의미를 인정하면서도, 근대를 억압과 저항의 시대로 바라본 민족문학론의 인식을 문제 삼는다. 이런 인식이 근대를 이항대립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탈식민주의의 논리를 참조해서 근대를 혼성과 모방의 시대로 규정하고, 이런 관점에서 민족문학론의 근대성 논의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억압과 피억압 또는 억압과 저항의 논리를, 구체적으로는 근대 주체론, 근대문학 기점론, 근대 극복론을 비판·해체한다. 먼저, 민족문학론의 근대 주체론은 선도·대변의 대상이었던 `대다수의 사람들`을 민중으로 명명하고 억압적인 현실을 극복해 나아가는 저항의 주체로 전유한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지적된다. 민중을 피억압·피지배 계층(김지하의 경우)으로, 그리고 진보사관에 근거한 변혁주체(백낙청의 경우)로 보는 것은, 지배권력과 민중 사이의 혼성적인 관계성을 무시한 태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민족문학론은 마샬 버먼의 “근대성의 경험”을 “일반적인 기준”으로 삼아서 1894년 동학농민운동說(백낙청의 경우) 혹은 1905년 애국계몽기說(최원식의 경우)을 근대기점으로 설정하는데, 이 때 문제는 그 “일반적인 기준”이 일면적인 시각으로 논의된다는 점이다. 이렇게 되면 근대적 경험과 근대문학의 다양하고 주목할 만한 측면들이 논의에서 제외되는 문제점이 있다. 끝으로, 민족문학론의 근대 극복론은 근대 시기의 反민중적인 억압성을 비판하고 민중 중심의 극복논리를 모색한 논의에 대한 것이다. 백낙청은 근대의 성과에 적응하면서도 근대적인 민중 억압을 극복하자는 `이중과제`를 제안하지만, 그의 주장은 지배권력과 민중의 관계가 혼성적인 근대의 상황을 간과한 채 억압에 대한 극복·저항 방안을 모색한 독아론적인 논리라는 점에서 중요한 한계가 있다. 오늘날은 지난 시대에 치열하게 응전한 민족문학론의 문제의식을 본받으면서도, 근대를 바라보는 이항대립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혼성성의 논리를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This essay is concerned that What is modernity of the discourse of minjokmunhak. The discourse of minjokmunhak. is discussed oppression-resistance in modernity. But the logic of oppression-resistance is stiff perspective. Because the discourse of minjokmunhak see 1970~80` minjung in binaristic the oppressed and a priori fighter, but in reality 197 0~80` minjung is hybrid and mimic sein. The Aim of this essay show the discourse of starting point of modernity, the discourse of modern subject, and the discourse of overcoming modernity, critically and dis-constructive. Frist, the discourse of starting point of modernity in the discourse of minjokmunhak is that they look minjung`s history experience in one-sided. Secondly, the discourse of modern subject in the discourse of minjokmunhak is that they minjung` reality and theory as image `from the oppressed to fighter` is estranged. Thirdly, the discourse of overcoming modernity in the discourse of minjokmunhak is that they see overcoming modernity in minjung` acton, but that is ideological fantasy. So the discourse of oppression-resistance is changed in the discourse of reality-resistance.

      • KCI등재

        「近代の超克」論と時間の政治学

        金仙花(Kim, Sun Hwa) 동아시아일본학회 2015 일본문화연구 Vol.0 No.5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iscourses about “Overcoming modernity” presented by philosopher Keiji Nishitani of the Kyoto School and Yojuro Yasuda of the Japanese Romantic School in the 1930s and 1940s. “Overcoming modernity” is a term with several layers of meaning. Originally, it was the title of a 1942 roundtable discussion known as “Overcoming Modernity,” sponsored by the literary magazine, Bungakukai. Takeuchi Yoshimi"s 1959 essay also bears the same title and it was largely associated with “overcoming modernity” construed as an icon of Fascism propaganda. This paper focuses on reexamining “overcoming modernity” and it sheds light on the binary opposition of ideas as “modernity vs. tradition” “irreversible progress vs. eternal now.” The Kyoto School and the Japanese Romantic School intended to establish a new historical narrative as an alternative to the catastrophe of the modern, which was implemented through the pursuit of regression and a traditional worldview called “politics of time.” In Nishitani and Yasuda"s view, the past and tradition are understood to last forever. The present is not merely a one-directional continuity of different moments, but is the “Eternal Now.” The specific representation of anti-modern time is tenno, an emperor of Japan. The idea of tenno, symbolized as the imperial eternal line, is a “dispositif” contrary to the irreversible time of the modern. In this paper, I prove that “Overcoming modernity” to restore tenno is a thesis about the “politics of time,” alleged by the new epistemological transition to modernity.

      • KCI등재

        마루야마 마사오와 다케우치 요시미의 전후 사상 재건과 ‘근대’적 사유 -전전의 문화권력 ‘근대의 초극’과의 비/연속성-

        이경희 ( Lee Kyunghee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3 No.-

        이 논문에서는 전후 초기의 대표적 지식인 마루야마 마사오와 다케우치 요시미가, 전전의 문화권력 「근대의 초극」(1942)을 의식하며 전개했던 전후사상을 검토했다. ‘쇼와 15년 전쟁’과 동일한 폭을 지닌 ‘전후 15년’ 동안, 마루야마와 다케우치는 ‘근대주의자’와 ‘근대주의 비판자’라는 사상적 대결 구도를 연출하며 전후사상의 재건을 견인했다. 마루야마는 일본의 근대의 전개과정을 총체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초근대와 전근대가 결합했던 특수성에 마침표를 찍고자 했다. 다만, 그 특수성 역시 ‘일본적 근대’의 일환이었던 만큼 그 종언은 또 다른 의미에서 ‘근대의 초극’과 연속성을 지닌다. 한편, ‘아시아 내셔널리즘’의 부상을 의식한 다케우치는 「근대주의와 민족의 문제」(1952), 「중국의 민족주의」(1957) 등에서 마루야마를 참조하며 민족의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나 마루야마와 달리, 그는 ‘근대의 초극’의 사상적 재활용을 지향하는 방향을 구상했다. ‘아시아민족의 해방’이라는 실감을 추상화하면서, 실패로 끝났지만 가능했을 ‘저항’ 사상을 이론화했다(「근대의 초극」, 1959). 다만, 그가 사상의 성립 조건(=현실을 움직이는 힘)을 강조할수록, 그의 ‘근대의 초극’론은 ‘이론적 허구’에 과도히 의존하고 있다는 인상을 부각시켰다. 패전 후, 마루야마와 다케우치가 착수한 전후사상은 ‘근대’의 문제를 공통의 기축으로 하였다. 전후의 ‘근대’의 문제는 그 구성요소인 ‘민족’과 그 역사적 전개과정에서 조우한 타자 아닌 타자(=‘아시아’)의 주위를 맴돌며 부상했다. 그 과정에서 마루야마의 ‘근대적 사유’는 ‘근대의 초극’과 연속성을 보였고, 다케우치의 ‘근대의 초극’론은 ‘근대적 사유’에 의존하여 전개됐다. This paper examines the postwar ideologies developed by Maruyama Masao and Takeuchi Yoshimi, postwar Japan’s representative intellectuals, in regard to the slogan of “Overcoming Modernity (1942)” which had massive cultural weight in prewar Japan. Maruyama Masao attempted to put a period to the distinctive convergence of pre-modernism and super-modernism through his extensive investigation on the process of Japanese modernization. Still, as it was also part of Japanese modernizatio n, there exists continuity with “Overcoming Modernity” in a different sense. Meanwhile, in tandem with the rise of “Asian nationalism,” Takeuchi Yoshimi discussed the issue of the nation in “The Problem of Modernism and the Nation (1952)” and “Chinese Nationalism(1957)” citing Maruyama Masao. In contrast to Maruyama Masao, however, Takeuchi Yoshimi aimed for the ideological recycling of “Overcoming Modernity.” By abstracting the notion of “the liberation of Asia,” he theorized the idea of resistance, which could have been possible though it ended in failure according to “Overcoming Modernity(1959).” However, by emphasizing the logic of the theory ― the power to change the reality ― he ultimately highlighted the excessive dependence of the debate of “Overcoming Modernity” on a theoretical myth. After the defeat in the war, Maruyama Masao and Takeuchi Yoshimi developed their postwar ideologies based on the issue of modernism. Postwar [modernism’ also surrounded ‘nation’, which was its component, along with ‘Asia’, which acted as a stranger in the course. In the process, Maruyama Masao’s ‘modern thinking’ is linked to ‘Overcoming Modernity’ while Takeuchi Yoshimi’ ‘Overcoming Modernity’ theory has continuity with ‘modern thinking.’

      • KCI등재

        문학,문화 : 일제말기 근대비판 담론의 시간성 연구: 세계사,전통,비상시

        고봉준 ( Bong Jun Ko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1 比較文化硏究 Vol.23 No.-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from the Sino-Japanese War until the Pacific War, critical discourses on the modern were prevalent in Japan and the Joseon. Despite the absence of a consensus about the specific definition of the modern, most thinkers agreed that the modern was something to be overcome. While some regarded naturalism and capitalism of the West as the essence of the modern, some others named scientism and humanism as the nature of the western modernity. Additionally, some criticized the temporal concept of historicism and brought new meanings of ``tradition`` into relief, and some others advocated overcoming ``the West inherent in us``.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temporality of the theory of overcoming the modern focusing on the following three notions-world history, tradition, and emergency-, and examines the antinomy of them. The first notion to consider is ``world history``. The theorists of overcoming the modern, including the Kyoto school, discarded the progressive ideology that had led the Western modern history, and instead introduced ``world history`` as a new notion. Although this resulted from the imperialistic embracement of the theories of Ranke, a major positivist historian from Germany, it contained antinomy of remaining in ``history`` which was the modern temporal view. The second notion is ``tradition``. While the critical mind of ``world history`` brought ``time of world`` into question in the context of temporal realization, the notion of ``tradition`` was to understand ``time of history`` itself as the modern and overcome it. The critical mind of the notion involves the attempts to criticize regarding history as a ``progressive`` process and to discover tradition as ``the present past`` or ``the eternal present``. However, it also contained antinomy; the ``tradition`` here was a notion that was created in the modern times, not passed down from ancient times. The third notion to consider is ``emergency``, which was a method to define the present time as a transition period toward a new era, relating to states of war. However, the theorists of overcoming the modern did not regard ``emergency`` as a particular time that strayed from normal states, instead they thought is as ``a regularized exceptional state``, namely ``a state in which exceptions have become regulations``. However, the notion also contained antinomy since the word ``emergency`` connotes abnormality.

      • KCI등재

        도착적 보편과 마주선 특수자의 요청 : 김기림의 경우

        조강석 ( Cho Kang-sok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0 No.27

        1930년대 중후반부터 일본에서는 ‘근대’가 더 이상 자신의 상징적 등가물을 향한 욕망을 통해 주체를 구성하게 하는 대문자 타자(Autre, the Other)로 기능하지 않게 됨에 따라 ‘근대의 초극’, ‘세계사의 철학’ 그리고 소위 ‘동양론’ 등을 비롯한 새로운 로고스(logos)가 저 결여를 메우기 위해 본격적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김기림과 최재서를 비롯한 조선의 문인들 역시 무한 삼진의 함락과 파리의 낙성과 같은 사건들을 접하면서 근대라는 큰타자가 지정하는 소문자 대상(the other)들을 탐문하던 시기를 마감하고 근대라는 상징적 베일 자체의 존립근거에 대해 근본적 의문을 품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주목할 것은 김기림이 근대의 폐기를 기정사실화하고 근대의 초극이라는 입장에서 사태를 ‘사실 수리’하는 것과는 거리가 먼 태도를 취한다는 것이다. 김기림은 근대의 초극이 아니라 결산을 요청한다. 다시 말해 그는 도착적으로 큰타자를 만들어 세우는 대신에 애도를 지연시킨다. 「조선문학에의 반성」에서 그는 근대를 이미 모든 부정적 실정성들로 채워진 대상으로 간주하는 대신 근대에 대한 조금 더 냉철한 결산을 요청한다. 당대 유행했던 ‘조선적인 것’ 혹은 동양적인 것의 재발견을 통해 이항대립상의 하위를 상위로 전복시키는 것, 그것을 통해 위계전도된 상태를 다시 보편으로 굳히는 것이 김기림의 궁극적 관심사는 아니었다는 것은 중요하다. 김기림이 주장하는 동양의 발견과 동서양 종합의 시도는 도착적 보편주의를 의도한 것이기는커녕 근대적 방법에 의해 미분되어 새롭게 발견된 동양을 가능한 양태의 하나로 상정함으로써 현실태로서의 보편을 오히려 무한히 지연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근대에 대한 애도를 지연시키는 신경증자의 탐사가 의미 있는 것은 바로 이런 식으로, 보편이라는 대문자 대상에 대해, 자족적으로 실정성을 채워가는 방식이 아니라 그것을 잠재적으로 요청되는 자리에 둠으로써 사실 수리에도 도착적 보편에도 기울지 않기 때문이다. This study examines Kim Gi-rim’s attitude toward ‘the modern’ and the theory of ‘overcoming the modern.’ In the middle of 1930s, when the western standards of ‘the modern’ seemed no longer universal, a group of historians and philosophers of Japan and Korea argued that there should be an alternative universal theory. They suggested ‘the oriental (thing)’ as an alternative and opposing thesis of ‘the western canon of modernity.’ However, this discourse resulted in another oppressive universalism, and it turned into a theory of fascism, which is defined as ‘perversive’ by Slavoi Zizek. Kim Gi-rim did not take that course of accepting the overwhelming social conditions. He did not discard all the legacies of ‘the modern.’ Rather, he tried no to end the period of mourning over the death of ‘the western modern.’ He demanded the ‘final accounts’ of ‘the western modern.’ Due to such a neurotic attitude toward ‘the modern’ and the theory of ‘overcoming the modern’, he never accepted the newly coming perversive univers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