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편향의 위상학 : 1650만 건 기사의 뉴스 정보원 연결망 분석을 통해 파악한 인용 방식의 보편적 분포로서 두터운 꼬리 분포

        박대민 한국언론학회 2023 한국언론학보 Vol.67 No.6

        많은 정보원 편향 연구는 매체나 취재 범위, 주제, 시기 등을 막론하고 정부나 기업 등 공식 정보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고 지적한다. 편향을 개선하려는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보원 편향이 나타난다면, 이는 정보원 편향이 보편성을 가진 현상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원 인용 패턴을 뉴스 정보원 연결망으로 구조화하고, 뉴스 정보원 연결망의 위상학적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정보원 편향의 보편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0년까지, 19개 전국지와 경제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국제 등 5개 지면 기사 16,538,668건을 빅카인즈에서 수집하여 연도별, 지면별, 매체별로 1,700개 데이터세트의 연결정도 지수를 구해 비교했다. 분석 결과 연도나 매체 및 지면을 막론하고 연결정도 중앙성 값이 커질수록 연결정도 지수 값은 1.2에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뉴스 정보원 연결망이 충분히 성장한 경우, 뉴스 정보원 연결망이 시기와 매체, 주제를 막론하고 보편적으로 두터운 꼬리 분포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극소수의 정보원이 매우 중요하게 인용되는 한편, 중요도가 매우 낮은 정보원이 다수를 차지한다. 이는 방법론적, 이론적, 실천적으로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한다. 첫째, 방법론적으로 뉴스 정보원 연결망을 비롯한 뉴스 빅데이터 분석을 타당하게 수행하려면, 정보원 인용을 뉴스 정보원 연결망으로 나타냈을 때 그 분포가 두터운 꼬리 분포를 갖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뉴스 정보원 연결망이 두터운 꼬리 분포라는 것은 최소한 상위권 정보원의 순위는 결측이나 오측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강건함을 의미한다. 정보원의 순위를 신뢰할 수 있으려면, 정보원이 여러 기사에서 다양하게 공동 인용되면서 중심 정보원과 거대 구성집단이 출현할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 수집된 뉴스 빅데이터가 중요한 정보원은 대부분 포함돼 있을 정도로 충분히 성장한 데이터여야 한다. 둘째, 상위권 정보원을 중심으로 하는 뉴스 빅데이터 분석은 매체 간 비교 연구보다는 언론계 수준의 분석에 적합하다. 매체 간 비교 연구에는 두터운 꼬리에 해당하는 정보원에 대한 분석이 요청된다. 문제는 두터운 꼬리 부분에는 동 순위에 수많은 정보원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정보원에 대한 분석은 결국 특정 정보원 개인 또는 집단에 주목하여 해당 정보원의 인용문을 읽어보고 검토하는 질적 연구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셋째, 뉴스 정보원 연결망이 두터운 꼬리 분포로 수렴하는 현상은 정보원의 편향이 사회물리학적으로 보편적인 현상임을 의미한다. 즉 정보원의 편향은 인용을 통해 사실성을 확보하는 객관주의 저널리즘 관행 아래 마감 시간이 존재하는 한 불가피하다. 그러나 두터운 꼬리 분포는 중심에 해당하는 공식 정보원 외에 두터운 꼬리에 해당하는 정보원을 적극 발굴함으로써 정보원 편향의 폐해를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Many studies on media bias point to a heavy reliance on official sources, such as governments and corporations, regardless of the media outlets, coverage, topics, or periods. If source bias persists despite numerous efforts to mitigate it, it may be due to its universal nature. In this study, we shed light on the universality of source bias by structuring source citation patterns into news source networks and identifying topological features of news source networks. We collected 16,538,668 articles from 19 national newspapers and economic journals in five categories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international) from 2000 to 2020, using BigKinds, the news big data system of Korea Press Foundation. We compared these articles by obtaining the degree exponents from 1,700 datasets, categorized by year, category, and media outlet. Our findings showed that the degree exponents converged to 1.2. This implies that when the news source network is sufficiently mature, it exhibits a universal fat-tailed distribution across period, media, and topic, meaning that a small number of sources are cited as highly significant, while many sources are cited as relatively unimportant. This has several methodologic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methodologically, to validly analyze news big data, including news source networks,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distribution of source citations, when the pattern is represented as news source networks, has a fat-tailed distribution. A fat-tailed distribution means that at least the rankings of the top sources are robust enough that they a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missing or incorrect information. To be reliable, a source's ranking should be such that it is widely co-cited in multiple articles, allowing for the emergence of one centralized hub source and one large main cluster. The collected news big data should be large enough to include most of the important sources. Second, news big data analysis centered on top sources is better suited for media system-level analysis than cross-media comparative research. Cross-media comparisons require analyzing the content of each source in the fat tail. The problem is that there are a lot of sources in the fat tail. Analyzing these sources is ultimately only possible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that focuses on specific individuals or groups of sources, reading and reviewing their quotes. Third, the convergence of news source networks to a fat-tailed distribution suggests that source bias is a socio-physically universal phenomenon: it is inevitable as long as deadlines exist under objectivist journalistic practices that rely on citations to establish factuality. However, the fat-tailed distribution suggests that the harm of source bias can be reduced by actively seeking out sources in the fat tail in addition to official sources in the center.

      • KCI등재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 익명 정보원에 관한 연구: 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을 중심으로

        한동섭 ( Dong Sub Han ),유승현 ( Seung Hyun Yu ) 한국지역언론학회 2008 언론과학연구 Vol.8 No.4

        이 연구는 언론이 내재된 편향성을 드러내기 위해 익명의 정보원을 얼마나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 최근의 갈등 사안이었던 `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 사례를 대상으로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이 어떠한 보도 태도를 보였는지, 어떠한 정보원 유형이 주로 이용되었는지, 출처를 밝히지 않은 익명 정보원을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보였으며,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은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정보원 유형은 총 34개의 유목으로 분류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진보 시민단체, 야당 의원, 정부 당국자, 여당 의원 등이 많이 인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익명 정보원 유형은 전체 750개 정보원 유형 중에서 303건을 차지하여 40.4%의 매우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일반시민(익명)과 정부 관계자 등이 주로 이용되었다. 또 중심적 정보원과 부차적 정보원을 구분한 분석 결과, 4개 신문사 모두 익명의 정보원을 중심적 정보원으로 활용하는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익명의 정보원 활용을 보다 더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신문 기사 텍스트 상의 진술을 분석한 결과, 익명 정보원의 진술은 기사 내용에서 결정적인 근거로 활용되고 있었으며, 의견 기사(사설 및 칼럼 등)보다는 사실 기사(스트레이트 기사 등)에서 익명 정보원을 더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또 각 신문사들은 자신들의 입장을 드러내기 위해서 익명 정보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익명 정보원은 기사의 작성과 이데올로기적 성향 그리고 신문사의 입장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언론은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들의 성향에 따른 편향성을 드러내고 있었다. This study inverstgates how Anonymous news source in the Newspapers use variously. Concretely, this study analysis `what type is news source used manly`, `how Anonymous news source use` throught article of The Chosen Ilbo, The Dong Ilbo, The Hankyoreh Shinmun, The Kyunghyang Shinmun on the `controversies of U.S. beef imports` case which is social complication issues. As results of analysis, type of news sourc classed as total 34 analytic categories. Overall NGO, member of opposition party, government officials, member of the ruling party quoted frequently on the report. And Anonymous news source account for 303 case(40.4%) of total 750 analytic categories. Also civilian. Anonymous and Officials use frequently on the report. As a result of analysis divided central and subsidiary news source, all of four newspapers use mainly Anonymous news source as central news source. For study using of Anonymous news source in depth analysis statement of newspapers` article. The results of the analyese, statement of Anonymous news source used difinte base on the article. Also it used more fact ariticl(straight aricle) than opinion ariticl(editorial and column) on the article. Also each of the News organigation use actively Anonymous news source to express one`s own viewpoint. Conclusionly, Anonymous news source paly an important part to express News organigations` own viewpoint and article of written and ideological inclination. And Newspapers express bias of own ideology using actively these.

      • KCI등재

        취재원 비닉권과 취재원 보호 입법에 대한 연구

        이희훈 ( Hie Houn Lee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08 法學硏究 Vol.18 No.4

        Freedom of press of mass media is a basic right guaranteed by Article 21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law that is necessary in realizing the people` right to know and democracy. For mass media to faithfully perform its given role, collection of plentiful and trustworthy inform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An intimate trust relationship between mass media and news source must be premised to guarantee that the identity of the news source will not be made known to public by mass media. If the identity of the news source is opened to public, the news source may cause difficulty in realizing Freedom of speech and press the de facto the Constitutional law, the people` right to know, and democracy by hesitating t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mass media because of social and economic disadvantages that may arouse. Therefore, it is appropriate for the Constitutional law to guarantee the Journalist`s Privilege of Protecting Confidential the News Source, or the right of the news source to refuse to make known one`s identity to news reporters. For such reasons, The Journalist`s Privilege of Protecting Confidential the News Source is a right that must be guaranteed in order to realize freedom of news gathering. Since freedom of news gathering belongs to the content on freedom of press under Article 21 Freedom of speech and the press in the Constitutional law,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the Journalist`s Privilege of Protecting Confidential the News Source as the basic right that belongs to Freedom of speech and the press in Article 21 of the Constitutional law. In addition, the Journalist`s Privilege of Protecting Confidential the News Source must be broadly guaranteed for all legal procedures including civil and criminal procedures in courts and investigation procedures and so on such as seizure or search by the police or prosecutors. The Journalist`s Privilege of Protecting Confidential the News Source is materialized in forms of `right to refuse to testify`, `right to refuse submission of data`, and `immunity right from search and seizure`. Also, the subject of the Journalist`s Privilege of Protecting Confidential the News Source is a `media reporter`, and the scope of `media reporter` must be limited to `a person professionally working in officially recognized regular publications or broadcast or had been engaged in such profession before` to exclude unrecognized media such as media related to the internet. Object of protection by the Journalist`s Privilege of Protecting Confidential the News Source is the entire matter on possibility of revelation of the identity of the news source. On one hand, while criminal punishments are given in accordance to Articles 151, 152 and 162 of Criminal Procedure Law by interpretation the de facto the current Law in our nation if a news reporter refuses to testify at a court, it is most appropriate to recognize the right of news reporters to argue for the security of news source in a civil action because news reporters belong to the news source under `confidence of occupation` regulated in Article 315 Clause 1 Provision 2 of Civil Procedure Law. Meanwhile, 32 states of the Unites States of America currently recognize the Journalist`s Privilege of Protecting Confidential the News Source by regulating the `Shield Law`, and Germany also recognizes the Journalist`s Privilege of Protecting Confidential the News Source in Article 53 Clause 1 Provision 4 of Federal Criminal Procedural Law and in Article 383 Clause 1 Provision 5 of Federal Civil Proceedings Law of Germany. However, while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is negative in recognizing the Journalist`s Privilege of Protecting Confidential the News Source for criminal procedural cases, it recognized the security for civil proceedings cases. In addition,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of Germany and the Supreme Court of Japan also recognized the Journalist`s Privilege of Protecting Confidential the News Source. Since our nation will also need to recognize the Journalist`s Privilege of Protecting Confidential the News Source in the future by enacting a related law under the premise that the Journalist`s Privilege of Protecting Confidential the News Source is guaranteed on a consitutional level, it would be appropriate to decide the limitation on the scope of the security without breaking the principle of balance for guarantee of national security, maintenance of order, or public welfare stated in Article 37 Clause 2 of the Constitutional law.

      • KCI등재

        메신저와 SNS를 통한 경성·연성뉴스 이용이 매체별 뉴스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출처지각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왕이(Wang, Yi),지앙슈에진(Jiang, Xuejin),주유존(Zhu, Liucun),김용환(Kim, Yonghwan)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오늘날의 미디어 환경 속에서 이용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메신저 뉴스와 SNS 뉴스 신뢰도에 어떠한 요인들이 작용할 수 있는지를 탐색했다. 해당 매체를 통한 뉴스 이용량이 각각의 뉴스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어떤 장르의 뉴스를 소비하는지가 보다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경성뉴스와 연성뉴스 이용이 매체별 뉴스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메신저나 SNS를 통해 소비되는 뉴스는 그 출처가 불분명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뉴스의 출처를 얼마나 지각하고 있는지에 따라 뉴스 신뢰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판단해 정보출처지각의 상호작용 효과를 탐색했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18 언론 수용자 의식조사’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메신저 서비스와 SNS를 통한 경성뉴스 이용은 매체별 뉴스 신뢰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연성뉴스 이용은 각 매체별 뉴스 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지각의 조절 효과를 보면, 메신저 서비스와 SNS를 통한 경성뉴스 이용이 매체별 뉴스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출처지각이 부적 조절 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출처지각이 높은 뉴스 수용자들은 출처지각이 낮은 뉴스 수용자보다 메신저와 SNS 경성뉴스 이용은 뉴스 신뢰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편, 메신저를 통한 연성뉴스 이용과 메신저 뉴스 신뢰도의 관계를 출처지각이 긍정적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메신저 연성뉴스 이용이 뉴스 신뢰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출처지각이 높은 뉴스 이용자에게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면, SNS의 경우 출처지각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메신저와 SNS 등 소셜미디어 뉴스 이용에서 뉴스의 장르와 정보출처지각이 뉴스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성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셜미디어 뉴스 신뢰도 개선에 대한 논리적 근거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what factors can play on SNS news and messenger news credibility, which is steadily increasing in today"s complex media environment. Based on the fact that news usage through the media can play a more important role in what genre of news it consumes, rather than affecting each news credibility, we looked at the impact of the use of hard news and soft news on news credibility by media. In addition, news consumed through SNS or messengers often has unclear sources, so we explor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information source perception, judging that it will affect news reliability depending on how much we perceive the source of news. To this end, We analyzed data on "2018 Media Inmate Consciousness Surve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use of hard news through SNS and messenger servic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news credibility by media, while the use of soft news positively affects news credibility by each media.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effect of source perception, it was confirmed that source perception has a negative control effect in the impact of hard news use through SNS and messenger services on news reliability by media. Specifically, news recipients with high source perception showed more negative effects on news credibility than news recipients with low source perception. Meanwhile, source perception showed positive control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soft news through messenger and the credibility of messenger news. In other words, news recipients with high source perception have a more pronounced positive impact on news credibility than news recipients with low source perception. On the other hand, SNS did not have any interaction effect of source perception.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e importance of news genres and information source perceptions affecting news reliability in the use of new media news such as SNS and messengers, and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also presented logical grounds for improving new media news reliability.

      • KCI등재

        지상파TV 뉴스의 다양성 및 중복성에 관한 연구

        정수영(Soo-Young Jung),구지혜(Jihae Goo) 한국방송학회 2010 한국방송학보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다매체 다채널 환경 하에서의 지상파TV 뉴스의 내용적 특징을 밝혀내고, TV뉴스의 다양성과 중복성이 지니는 새로운 함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2009년에 방송된 KBS, MBC, SBS의 저녁 종합뉴스 프로그램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총 1,942개 뉴스 항목의 주제와 취재원, 채널 간 의제 중복도에 관한 실증 분석을 하였다. 〈연구 문제 1〉은 지상파TV 3사의 저녁 종합뉴스 프로그램에서 보도된 뉴스의 주제 및 취재원의 다양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뉴스 주제는 사건/사고, 법조/검찰/비리, 국제/해외 뉴스가 많았다. 취재원의 경우, 정부/행정기관과 익명/불분명 유형이 가장 많았는데, 방송 3사 간에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 할 수 있었다. 뉴스 주제별 취재원 분포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정치/행정 뉴스에서는 익명/불분명 취재원 비중이 높았고, 일반인 취재원은 연성뉴스에 치중되어 있는 등, 취재원의 편중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문제 2〉는 뉴스 의제의 채널 간 중복도를 살펴보고, 채널 간 중복 유형에 따른 주제 및 취재원 분포의 특징을 고찰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채널 간 중복도는 ‘단독보도’ 37.3%, ‘2사 중복’ 15.3%, ‘3사 중복’ 47.4%였다. 중복 유형별 뉴스 주제 및 정보원 분포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뉴스 매체로서의 지상파TV가 지니는 사회적 위상과 뉴스 채널 간의 배타적 시청이라는 특성을 결부시켜 보면, 지상파TV는 공적 영역의 뉴스를 보편적으로 전달해야 한다는 전통적 가치와 원칙에 보다 충실해야 한다. 의제 중복성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의제 중복성을 단지 획일화로 규정 하거나 뉴스의 개별성 또는 독특성을 다양성으로 규정하는 기존의 해석과 논의의 틀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we un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errestrial TV News under multimedia multichannel environment, investigated TV news’ diversity and duplication possessed the new implications. And we analyzed a total of 1942 news items and source, channel -agenda of duplication rate about evening news program aired on KBS, MBC, SBS in 2009. Research question 1 is analyzing diversity of the terrestrial TV 3’s evening news program reported news subjects and sources. In the results, most of news topics are events/accidents, legal/prosecution/corruption, international and foreign news. For the sources, the government/administrative agencies and anonymous /unknown type took the majority, and in each of three broadcast st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 range of news topics’ source distribution had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ource bias phenomenon has been observed in politi cal/administrative news had a large part of anonymous/unknown sources, and the public sources focused on soft news. Research question 2 is the checking of duplication rate on news agenda among each channel and investigating of the subjects for channels of duplication types or characteristics of the sources distribution. The results showed that duplication rate of channels were 37.3%, 15.3%, and 47.4% for exclusive coverage, Duplication in two broadcasting stations, and duplication in 3 stations respectively. News subject of duplication type and sources distribution was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our findings, since the terrestrial TV channels of news agenda duplication is inherent in the side of social agenda formation and consensus, this paper proposed that the need to escape the existing interpretation and framework that terrestrial TV channels of news agenda duplication terms as standardization, and individuality or uniqueness of the news represent diversity

      • KCI등재후보

        앵커의 성역할 인식에 따른 기사 부합성, 뉴스 평가 그리고 공신력 차이 : 정치, 경제, 문화, 스포츠 기사를 중심으로

        정동훈,이은지 한국소통학회 2010 한국소통학보 Vol.13 No.-

        뉴스 진행자로서 앵커가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속성 중의 하나는 공신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뉴스라는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보도 프로그램의 속성상 이러한 공신력은 뉴스를 어떻게 받아들이는가, 더 나아가서 특정 뉴스 프로그램에 노출하고자 하는 채널 선택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공신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아직까지 앵커의 성역할(sex role)이 갖는 공신력에 대해서는 논의된 연구가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사 종류에 따른 성역할, 즉 남성성과 여성성의 역할과 어울리는 기사 종류가 있는지 그리고 이에 따른 뉴스 평가는 어떠한지, 공신력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성(sex)보다는 성역할에 따른 기사 부합성 경향과 뉴스 평가가 나타났는데, 남녀의 차이보다는 남성성이냐 여성성이냐에 따라 정치, 경제, 문화, 그리고 스포츠 기사와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뉴스 평가 역시 이와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성역할 인식에 따른 공신력의 차이에서는 여성성이 남성성보다 공신력이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Source credibil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that news anchors must involve. It decides how audience receive and understand news as information and which channel audience choose as a result as well. Previous research has investigated which factors influence source credibility and what the outcomes are. However, despite various studies little research used sex role news anchors have as an independent variable to find out outcomes. Sex role as a social value has been widely changed from traditional perspective to feministic culture because the social environment has been changed. This reason makes this research be interested in sex role of news anchors to influence audience attitude and evaluation. The present research treats sex rol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news-news anchor compatibility, news evaluation, and source credibility as dependent variables. As an experimental research, it divides 4 groups like masculine-male anchor, feminine-male anchor, masculine-female anchor, and feminine-female anchor according to sex role. On conclusion, not as sex but as sex role, attendants grade masculine male and female anchors are more compatible with political and business news than feminine male and female anchors while feminine female and male anchors are more compatible with culture and sports news than masculine male and female anchors. These results are applied to news evaluation too. Finally, feminine female and male news anchors have greater source credibility than masculine male and female news anchors.

      • KCI등재

        한,미의 지역일간지 1면 기사의 다양성 요인 비교분석: 뉴스 주제 및 취재원 유형을 중심으로

        고영철 ( Young Churl Ko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10 언론과학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한국의 5개 지역일간지와 미국의 중소규모 3개 지역일간지의 1면 기사를 대상으로 기사의 주제, 취재원의 유형 및 수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지역신문의 경우 중앙정치와 지방행정 등과 관련된 기사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나, 미국 신문의 경우 인물/동정, 범죄/법정, 교육/과학과 관련된 기사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차이는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그리고 한국과 미국 지역신문들 모두 발행부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신문일수록 좀 더 다양한 주제를 골고루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지역신문의 경우 기사당 평균 취재원은 1.75개였고, 실명 취재원의 평균은 1.69개였다. 반면에 미국 지역신문의 경우 평균 취재원 수는 5.26개이고, 취재원 중 실명 취재원 수의 평균은 4.56개였다. 즉 미국의 중소규모 지역신문들은 한국 지역신문들에 비해 취재원의 수는 3.51개, 실명 취재원의 수는 2.95개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의 5개 지역신문 모두가 중앙 행정부처 및 관료들을 취재원으로 활용한 비율이 전체 평균치보다 높은 반면 일반인과 사회시민단체의 취재원 활용 비율은 미국의 3개 지역신문이 전체 평균치보다 높았다. 특히, 5개 국내 지역신문 중에 제주지역 3개 신문의 경우 뉴스의 주제, 취재원의 유형, 취재원의 수 등에 있어서 타 신문에 비해 가장 편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가장 중요한 의의는 한국과 미국의 지역일간지의 1면 기사 내용을 처음으로 비교분석해 국내 지역일간지들끼리 비교할 경우 잘 드러나지 않을 수도 있는 기사의 다양성 정도를 확인했다는 점이다. This study compared the front pages of five local Korean daily papers against three small-and medium-sized local American daily papers in terms of article topics, types, as well as their number of news sources. The research came up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 most of the articles in the local Korean papers discussed the topics of central politics and local public administration whereas the American papers covered topics related to public figures, state of the nation, crimes, court cases, education, and science. This difference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Moreover, both the local Korean and American newspapers more sufficiently cover a wider range of topics as their circulation figures increase. Secondly, the local Korean newspapers had an average of 1.75 news sources per article, and they had an average of 1.69 news sources under real names. In comparison to this, the local American newspapers had an average of 5.26 news sources per article, and they have an average of 4.56 news sources under real names. Thus, the small- and medium-sized local American newspapers have 3.51 and 2.95 more news sources and sources under real names, respectively, in comparison to their Korean counterparts. Furthermore, all five local Korean newspapers more frequently sourced their data from central ministries and officials, and the frequency was higher than the total average rate. On the contrary, the three local American newspapers more frequently sourced their data from the members of public and civil groups, and the frequency was also higher than the total average rate. Among the five local Korean newspapers, the three newspapers in Cheju had the most one-sided view and poorly balanced news topics, article types, and number of news sources as compared to any other newspaper. This study is highly significant because it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 of the front pages of local Korean newspapers against American newspapers for the first time, and it examined the degree of diversification of articles, which may not be seen when the dailies are simply compared with other Korean newspapers.

      • KCI등재

        제주지역 TV방송 뉴스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이지현 ( Ji Hyeun Lee ),고영철 ( Young Churl Ko ) 한국지역언론학회 2008 언론과학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제주지역 지상파 TV방송뉴스 토픽의 주제 및 정보원 유형의 다양성 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약 7개월의 걸친 표집기간 가운데서 체계적인 표집방법을 통해 추출한 2주간 분량의 세 개의 지상파TV방송의 저녁 뉴스를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방송뉴스에서 가장 많이 다루는 주제는 행정/지자체, 경제/산업, 범죄/사고, 정치등과 관련된 뉴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환경과 공해, 복지/보건, 스포츠 관련 뉴스의 보도비율은 매우 낮았다. 둘째, 제주지역 방송뉴스 중에 다른 방송사에서 다루지 않는`독특한 뉴스`의 비율이 `중복된 뉴스`의 보도비율보다 곱절 더 많았다. 즉 전체 뉴스 중 `독특한 뉴스`의 비율이 전체 뉴스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했으며, 제주지역 세 개 방송사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한 지역내의 경쟁 방송사들간에 보도내용이 차별화될수록 지역사회의 여론이 그만큼 다양해진다는 점을 고려하다면, 이 같은 결과는 제주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해 아주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보아진다. 셋째, 취재원의 유형과 수에서는 다양성을 찾아볼 수가 없었다. 제주지역방송뉴스는 뉴스 아이템 1건당 평균1.47개의 취재원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지역 세 개 TV방송 모두가 취재원으로 지방행정기관을 가장 선호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기업/경제인, 교육기관, 중앙정부, 법원/경찰 등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뉴스의 취재원이 사회지배계층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는 것이 본 연구에서도 재차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ventional practice of TV broadcasting news reporting in the Cheju Island region, and its characteristics. Towards this end, following the selection of three kinds of research issues, the contents of two weeks`evening news obtained from three different broadcasting systems, which were sampled over a period of seven months using a systematic sampling method,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ppear to be the most covered topics in regional TV news are the administration/self-governing local governments, the economy/industry, crimes/accidents, and politics. On the other hand, the reporting on the following areas appear to be far too low: the environment and pollution, welfare/health, and sports. (2) The ratio of unique news, which other broadcasting systems do not have, is double the ratio of the repeated news in the TV broadcasting news programs aired in Cheju Island. In other words, unique news account for more than two-thirds of the total news.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he three broadcasting systems in Cheju Island. Given the fact that the public opinions in a local community become diversified as the competing broadcasting systems in the region differentiate their reporting contents, it may be argued that such results are desirable for the development of Cheju Island. (3) No diversity was found in the types and number of news sources. TV news broadcasting in Cheju Island appears to involve an average of 1.47 news sources per news item. Moreover, the local public authorities appear to be the favorite news source of the three TV broadcasting systems in Cheju Island, followed by enterprises/businesspeople, educational institutes, the central government, and courts/police, in this order. Furthermore,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sources of broadcasting news predominantly focus on the governing classes in the society.

      • KCI우수등재

        뉴스 이용, 참여, 출처 인지가 뉴스 미디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 SNS, 메신저, 유튜브를 통한 뉴스 이용을 중심으로

        남유원(Yuwon NAM),지성욱(Sung Wook Ji) 한국언론학회 2022 한국언론학보 Vol.66 No.5

        With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technologies, readers of the news are migrating from established traditional media outlets, such as newspapers and television, to new platforms such as YouTube, SNSs, and online news websites. This transition has made the news omnipresent, reaching people whenever and wherever they are. It likewise has generally increased the amount of news consumed. Although the pervasiveness of the news has increased readers’ access to current information, it has also raised pressing questions regarding the accuracy of news information and readers’ evaluations of the credibility of the news. What factors influence the credibility of news consumed via traditional media and via social media? This study explores how readers’ news consumption patterns affect their evaluations of the news. More specifically, it aims to addres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1) Does the consumption of news via traditional media (or social media) increase the credibility of news consumed via traditional media (or social media)?; (2) Does sharing of and commenting on the news via social media increase the credibility of news consumed via traditional media (or social media)?; (3) What i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ption (sharing and commenting) of news and the credibility of news delivered via social media?; and (4) What role do age and the degree of source recognition play in moderating the effects of news consumption, news sharing, and news commenting on news credibility?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a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Korea Press Foundation’s (KPF) 2020 Media Users in Korea Survey was conducted. The study relies on the data of 3,363 participants who responded that they had obtained news through at least one of the instant messengers, SNSs, and YouTub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news consumption and users’ trust of news delivered via social media. However, the findings indicate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news consumption and users’ trust when the types of media outlets are different; that is, users who more often consumed news via social media trusted traditional media outlets less. In addition, news commen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users’ trust of news outlets (whether traditional or social). Moderating effects of age and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news sources on the patterns of association among news consumption, news sharing, news commenting, and news credibility were also found.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media literacy education. This paper also provides suggestions for improving news trust and enhancing audience evaluations of news media.

      • KCI우수등재

        포털사이트 프론트(front)페이지 뉴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

        박광순(Kwang-Soon Park),안종묵(Jong-Mook Ahn) 한국언론학회 2006 한국언론학보 Vol.50 No.6

        Recently, portal news services grow quickly under the growth Internet. Newspapers and Broadcasting services are constantly threatened by portal site's news services, as far as; internet media also come under attack from them. According to strengthen of portal news services' function, portal site have occupied the position of 'portal media news' as a media. So we call the services Portal Journalism. We need to examine the tendency of Soft News in portal media news in Naver, Daum, and Yahoo site. First, we researched the process of gatekeeping in relation with Soft News and Hard News of portal site. Portal site's news services focus on the tendency of Soft News under the process of gatekeeping. Secondly, we researched the function of hyper-link in Portal Journalism. The hyper-link is very active in Soft News, so the news of portal site has the tendency of Soft News. Thirdly, we are interested in the use of sub-headline. The portal site usually supports the news to sub-headline regarding to Soft News, so portal site instigate the tendency of Soft News. Finally, the portal site's news services need to be quickening up sub-headline and hyper-link in Hard News for the purpose of development of Portal Jour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