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영화와 애니메이션에서 표상되는 괴물의 시각적 이종성과 혼종성

        박종천 종교문화비평학회 2023 종교문화비평 Vol.43 No.43

        In the study I analyzed the visual heterology and the hybridity of the monsters represented in modern movies and animations, and also explored their psychological functions and cultural meanings. The monsters are perceived to be non-daily being and even escape from the common perception, or even intuitive cognition, a counter-being that go beyond any categories of the common senses. They visually retain the grotesque and uncanny shapes of hybrid characters, a hybrid combination of heterogeneous beings contrasting to the ordinary visual shapes. It often provokes our awkward feelings and uncomfortable reactions. In particular, monsters are considered to be different from the ghosts, which have a concrete and visible body. Monsters take away other’s body or even invade their territories and disturb the boundaries, resulted in the confusion of cognitive categories and overturning the social bound. The monster reveals the uncanny when seen by other’s gaze, not by one’s own subjective eyes. The monsters’ characters have been variously visualized in today’s popular culture of the movies and animations. I have described several types of monsters as follows: A hybrid monster of different combinations, from a homunculus monster to a bisexual monster; an abomination-type artificial monster, and a biomechanoid as a posthumantype hybrid monster, a combination of machine and life. In addition, I pursued the monsters’ nature and character in terms of the hybrid transformation of the controlling masculinity versus the receptive femininity, while I am reviewing the aspects of schizophrenic self-reinforcement and integrated self-realization of consciousness/unconsciousness at the reconciliation of the humans and monsters. Lastly, in the films and animations for children monsters are to be depicted and revealed as the mentors or the tricksters. 본 연구는 현대 영화와 애니메이션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괴물 표상의 시각적이종성과 혼종성을 분석하고, 그 심리적인 기능과 문화적 의미를 탐구하였다. 괴물은 비체로서 인지적 차원에서 상식적인 범주와 직관적인 인식 체계를 넘어서는 비일상적이고 반직관인 존재이며, 시각적 형상의 차원에서는 이질적 존재들의 혼종적 결합인 하이브리드적 캐릭터로서 그로테스크하거나 기괴한 시각적형상을 갖고 있는데, 이에 따라 사람들에게 거북스럽고 불편한 정서적 반응을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특히 괴물은 구체적이고 가시적인 몸을 갖는다는 점에서유령이나 귀신과 다르며, 이질적인 요인들의 혼종적 결합이나 경계 넘기를 통해서 타자의 몸을 빼앗거나 타자의 영역에 침범한다는 점에서 인지적 범주의 혼란과사회적 경계의 전복을 초래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괴물의 캐릭터와 시각적 표상을 규명하기 위해서괴물이 주체의 시선이 아니라 타자적 응시를 통해 두려운 낯섦을 드러내며, 호문쿨루스적 괴물에서 양성구유적 괴물까지 혼종적 결합의 하이브리드적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피조물을 중심으로 흉물(abomination)형 인공 괴물, 기계와 생명체의결합으로서의 포스트휴먼형 혼종 괴물로서의 바이오메카노이드(Biomechanoid)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였다. 또한 괴물의 특성을 지배적 남성성과수용적 여성성의 혼종적 변용의 측면에서 연구하는 한편, 인간과 괴물의 결합에따라 이루어지는 의식과 무의식의 분열적 자아강화와 통합적 자기실현의 양상을검토하였으며, 아동용 영화나 애니메이션에서 놀이의 대상인 괴물이 멘토나 트릭스터로 시각적으로 재현되는 양상을 설명하였다.

      • KCI등재

        1960년대 냉전기 소년 SF괴수영화의 괴수 표상 연구

        이희원 한국문학회 2019 韓國文學論叢 Vol.83 No.-

        In the 1960s, in the world of the Cold War system, Korea's developmental dictatorship took power for a long time. Anti-communist ideologies and capitalist development ideologies were the main trends of the time. But this slogan was not all of the real world. The rulers considered the people as a communist that they disobey the orders of the state. It also tried to justify the existing economic system by forcing the desire for the abundant life proposed by economic development. At times, anti-communist ideologies concealed the contradiction of economic ideologies and economic ideologies concealed the contradiction of anti-communist ideologies. Therefore, it became important for the regime to maintain the Cold War composition, where enemy threats exist. Therefore, anti-community education is strengthened from the mid-60s and the amount of public propaganda through the media is expanded. Korean Boy SF Monster Film <Space Monster Wangmagwi> and <Great Monster Yongary> have been released in 1967. Since mid-60s the national censorship of film creation was severe. These films should be interpreted in close connection with contemporary situation. In this sense, these two movies represent “monsters” as subjects of punishment, in the name of the anti-communist ideology and economic development ground slogan. The emergence of these monsters embodies the possibility of war breaking out as a potential threat in the Cold War regime. But the monster is also a representation of the many cracks of the two ideologies of the day. The Cold War system in Korea at the time forced the people to internalize the fear of war and the neurotic compulsions to find the enemies. On the other hand, capitalistic desire is tolerated and the unsatisfactory hysterical desire for material wealth is prevalent. The scenes of Seoul's daily life being destroyed by monsters revealed the cracks of Korean society at that time. Besides the film is not only the crack created by the monsters as external enemies but also the boys in these films point existing the crack inside the society. A boy is a wholly unsocialized person with infinite potential for change. For this reason, boys are an indeterminate crack in society and are subject to education and training according to social order. The main narrative of the work is that the boys in the system crack encounter the monsters from out of the system crack. The monsters in the work lose their identities as a result of c onvergence to the human order. And the boys are 'countries' as a way of identifying the family community created by the great socially successful men and beautiful women. It accepts and seals the cracked surface of Korean society. As a result, the monster's otherness in <Space Monster Wangmagwi> and <Great Monster Yongary> is sealed by humanizing the monster and disciplining the boy. But in the process, the cracks of the otherness have their presence. because of this, the boy SF monster films fosters boys as the next generation to conceal ideological compulsions and hysteria and to continue this society by embodying the appearance of maintaining a stabilized state within the community. This is the discipline that the boy SF monster films appeared in the mid 60s. 1960년대 한국사회는 정치적으로 반공이데올로기, 경제적으로 천민자본주의적 발전 이데올로기가 당대를 주조하는 추동력이었다. 이러한 슬로건에 따라, 통치자들은 국가에 충성하는 국민을 긍정하고 경제 발전이 제안하는 풍요를 삶의 목표로 하는 것을 강조했다. 이는 통치자들의 장기집권과 이권 독점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 체제를 고착화하기 위한 면이 많았다. 때문에 당시 정권은 적의 위협이 상존하는 냉전 구도 유지가 중요했다. 60년대 중반부터 반공교육이 강화되고 미디어를 통한 위의 두 이데올로기에 대한 대민선전이 확대되는 것은 이러한 맥락에 의한다. 1967년에 개봉한 소년 SF괴수영화 <우주괴인 왕마귀>와 <대괴수 용가리>는 이러한 60년대 중반 우리 사회의 표층과 이면을 보여주는 중요한 연구대상이다. 영화 속 괴수의 침입은 관객들에게 냉전의 긴장감을 상기시켰다. 그리고 엄청난 물량과 기술을 투입해 만든 괴수나 화려한 도시를 보여주고 동시에 그것들이 파괴되는 영상은 여러 면에서 자본논리의 존재감을 드러내 보인다. 그런 점에서 이 영화들에 대한 대중적 관심은 반공이데올로기가 국민들에게 주입한 전쟁과 적에 대한 강박적 공포, 그리고 자본주의적 욕망의 위태로운 현실 구현과 그것에 대한 채워지지 않는 욕망을 반영한다. 따라서 이 작품들은 괴수, 그리고 괴수가 파괴하는 대상을 형상화하여 당대 체제가 강력하게 지향하던 이념의 작동 방식의 실상과 그 모순점을 보여준다. 한편, 영화는 ‘소년’을 형상화 하는 모습을 통해 대민선전과 다음 세대에 대한 훈육의 기획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소년 세대란 완전히 사회화되지 않은 미성숙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사회 질서에 따라 교육․훈육을 받아야 할 대상이다. 때문에 60년대 중반과 같이 엄격하게 짜인 이념이 작동하는 상황 속에서 소년은 ‘체제 내’ 균열점이라 할 수 있다. 영화 속 소년들은 이러한 균열적 특성을 가지고서 ‘체제 밖’ 균열점인 괴수들과 조우한다. 결과적으로 작품 속 괴수들은 인간의 지식과 질서에 수렴하면서 인간에게 포획된다. 그리고 소년들은 국가 체제의 반복으로서의 모범적인 성인 남녀가 만드는 가족공동체를 받아들임으로 해서 그 균열적 면모를 봉합한다. 이로서 1960년대에 등장했던 특수촬영물 소년 SF괴수영화는 최종적으로 안정화 된 국가 형태를 승인․강화하면서 당대 이데올로기의 강박과 히스테리를 은폐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체제를 내면화하고 이를 이어나갈 다음 세대인 소년들을 길러내는 것에 성공한다.

      • KCI등재

        괴물은 무엇을 표상하는가 -한국 고전서사문학 속의 괴물-

        강상순 ( Sang Soon Kang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5 No.-

        본고는 한국 고전서사문학에서 괴물이 어떻게 출현하고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글이다. 괴물은 신과 함께 불가해한 자연의 두 얼굴을 표상하는 존재였지만, 점차 사회나 주체 내부에 있는 이질성을 표상하는 존재로 변해간다. 본고는 이러한 시각 아래 신화·전설·민담에서, 필기와 야담, 고전소설에 이르기까지 고전서사문학에서 괴물이 어떻게 출현하며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았다.먼저 한국 신화에서는 괴물이 별로 등장하지 않는다. 다만 괴물성이라고 부를수 있는 요소는 있는데, 그것은 신성의 다른 얼굴로 등장한다. 이른바 ‘신성한 괴물’은 인간이 통어할 수 없는 자연의 위력을 나타냈다. 하지만 불교나 유교의 문명화와 국가질서의 강화와 함께 괴물성은 신성에서 분리되어 격하된다. 다음으로 전설과 민담 속에서 괴물은 한 사회나 주체 내부에서 외부로 투사된 이질성을 표상하거나, 자연의 우연성을 보충해주는 숨은 인과고리 역할을 하는 존재로 등장한다. 그 중 남성형 괴물은 주체가 제어할 수 없는 충동이나 쾌락의 향유를 독점하려는 원초적 아버지 혹은 권력자를 표상했다. 반면 여성형 괴물은 여성의 성에 대한 남성의 호기심과 두려움을 표상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괴물들은 자연재해나 역병 같은 자연의 부조리를 조리 있게 설명하도록 해주는 숨은 인과고리의 역할도 했다. 한편 조선시대 필기·야담은 사대부 남성의 시각에 입각하여 당시 회자되던 설화나 괴담들을 실었다. 그래서 민중에게 신성하게 여겨진 것들이 곧잘 괴물처럼 묘사되곤 했지만, 그들도 이에 매혹되었다. 그들이 인정할 수 없었던 성적 충동이나 원한 등이 괴물에게 투사되었고, 설명하기 어려운 재난을 설명하기 위해 괴물이 등장하였다. 끝으로 한국 고전소설에 등장하는 괴물의 몇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 최고운전 >의 최치원은 괴물 금돼지의 자식인지 아닌지 모호하다. 하지만 비천한 괴물인금돼지는 누구에게도 속하지 못하는 이방인 최치원의 괴물성과 닮아 있다. 한편< 홍길동전 >의 홍길동은 조선을 떠나 율도국을 건국하기 전에 괴물을 무찌른다. 별 의미 없는 삽화라고 할 수도 있지만, 겉으로 표현될 수 없었던 아버지 살해 혹은 국왕 살해의 욕망을 대리표상한 이야기로도 읽을 수 있다. < 금방울전 >과 < 김원전 >의 남녀 주인공은 모두 비정상적인 막에 둘러싸인 채 출생하는데, 이괴물적 형상은 고난의 값을 치러야 비로소 벗을 수 있었다. 이는 괴물성이라기보다기형성에 가깝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what dose monster represent in the Korean classical narrative literature. Monsters and god was two face of nature in ancient times. Over time, both gradually was disintegrated. It goes changing representations on the heterogeneity or hidden causal link in nature. Monsters did not rarely appear in Korean mythology, but the monstrosity exist. It represented unpredictable force of nature. So, we can call this monster ‘the sacred monster’. It is weakened from the confucian and buddhist civilizing and nation building process. In Korean traditional legends and tales, monsters represented representations on the projected heterogeneity to the outside or hidden causal link in nature contingency. Monsters are divided into the masculine monster and feminine monster in the legends and tales. The masculine monster robbed women, and the feminine monster seduced man. It represented the fury of the sexual monopoly, otherwise it represented the fear and curiosity about the sexuality of women. In Pil-ki(筆記) and Ya-dom(野談) of Joseon Dynasty, gentleman``s new confucian view has been reflected. So, god which at the time people worshiped be described as a monsters to be deported. But, despite they had critical view of the monster story, they also became fascinated by the monster story that can project their impulses. Monsters would need to explain well the chaos of nature. In the Korean classical novel, monsters are represented various social conflicts and disorder. In particular, monsters was represented oedipal conflict with his father in < Choi-go-un-joen > and < Hong-gil-dong-joen >. Monsters is killed on behalf of his father here. And in < Kum-bang-wool-jeon > and < Kim-won-jeon > monsters was represented disability and deformities to overcome. Monstrosity was close to a deformity.

      • KCI우수등재

        중세 및 르네상스 지도에 나타난 괴물 이미지와 세계관의 변화

        오형승 인문콘텐츠학회 2022 인문콘텐츠 Vol.- No.67

        In this study, it was determine that maps function as a collection of knowledge about the world and a sign of the worldview of the time. Based on this, I tried to see how the worldview changes takes place based on the image of the monster appearing on the maps of the Middle Ages and Renaissance. First, we dealt with the general theory of maps as a visualization tool for recognizing the world. After that, the worldview of the monster's image and the perception of others were discussed. Furthermore, I looked at how the monsters appearing on the maps of the Middle Ages and Renaissance were located, and the structure of the maps where the image of 'monster' appeared among the maps of the Middle Ages and Renaissance and the image of a monster were summarized. Finally, we investigated how the change in the worldview was applied in the monster image of the map.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image of the monster undergoes a significant change at the point of transition from the Middle Ages to the Renaissance. At the moment of transition from the Middle Ages to the Renaissance, it was confirmed how human of the day perceived the world, humans, and others. To this end, we first confirmed the worldview and epistemology of the other that monsters contain, and in medieval maps, Bible monsters were placed on the map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nd sea creatures and creatures found based on exploration and discovery in the Renaissance map It was confirmed that the newly discovered continental people were placed in images of sea monsters, giants, and cannibal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irectly targets the map as a visualization tool of the world and a collection of images of the world, and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discussions on each topic in the future through research on 'maps' and 'monsters'. In future studies, Exploring the links between monster images appearing in various literature and monster images appearing on maps, and to examine visual images more directly, including comparisons of map images of contemporary Asia and monster images appearing in a wider range of maps.

      • KCI등재

        괴물에 대한 기록 : 지괴의 교육학

        고영진(Go Young-jin) 한국비평문학회 2008 批評文學 Vol.- No.30

        Every epics in the modem age has focused on human being again, and monsters in today’s novels are representing and symbolizing some nature of violent revelation in original desire of inner part of human being. In accordance with this, humans are defined as potential monsters in modem epics. In Catching a Ghost of the Village Headman in Bu-yeo by Kim, Tack-whan and Cabinet by Kim, Un-soo, writers show active reproduction of familiar monsters in myth using great contemporary senses. Also, the writers concentrate on the actual existence through the intense plot about monsters in modem pathological situation. These novels are testimonies of chosen chroniclers who can read the intention of monsters. People who wants to leave records on monsters are the ones desiring for “newie” whether it is problems of past which have been existing or portents of future happenings. Even though the distance between “I trust for certain” and “I cannot help trusting” still remains, epical state of first record is already determinated. Existing recorders cognize the aesthetic of weirdness in the rule of reality, and solve the grudge of monsters, and work as a reconciler drawing monsters to the safe territory. While, today’s recorders don’t hesitate to communicate with reality through monsters, and desire continually for confronting with monsters, and want to open the pathway which leads to the world of fantasy. One and only being that creates monsters and make monsters genuine ones appears when first eyewitness and first recorder are all the same, Therefore we have to always write and read about monsters and be responsible for conveyance. Because the story appearing in the middle of the epic creates another monster and complicated work can be repeated to understand whole story line. The fantasy is not the aspiration and nostalgia for actual reality, but the active deeds and playing that choose and construct various tangible realities.

      • KCI등재

        1960년대 한국 SF 괴수영화와 동북아시아 영화 교류⋅관계의 양상

        함충범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9 현대영화연구 Vol.15 No.4

        This article examines the aspects of Korean SF monster films and cinematic exchange and Relationship in Northeast Asia during the 1960s through three movies titled The Iron-eating Monster: Bulgasari (1962), Big Monster Wangmagwi (1967) and Yongary, Monster from the Deep (1967). The movies above feature a monster with a strange animal appearance, so all of them may be categorized as “monster movie”. And, the fact that its unusual attempt to introduce special effects during its planning and production in 1960s was influenced by a Japanese movie Godzilla (1954) cannot be ignored. On the other hand, “historical” monster films represented by The Iron-eating Monster: Bulgasari converged on SF monster films including Big Monster Wangmagwi and Yongary, Monster from the Deep, cinematic relationship and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got heated up. Moreover, the stories behind these films indicate the character of Korean society in the 1960s when the state-led anticommunist jingoism and nationalism were strengthen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Iron-eating Monster: Bulgasari, after more than 20 years, again reveals international exchange and relationship. 본고에서는 <송도말년의 불가사리>(1962), <우주괴인 왕마귀>(1967), <대괴수 용가리>(1967) 등 세편의 작품을 통해 1960년대 한국 SF 괴수영화와 동북아시아 영화 교류⋅관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위의 세 작품에는 특이한 동물의 외양을 지닌 괴수가 등장하는데, 1960년대 시점에 한국영화 <송도말년의 불가사리>의 기획 및 제작 과정에서 특수 효과를 활용한 색다른 영화적 시도를 하게 된 데에는 일본영화 <고지라(ゴジラ)>(1954) 시리즈와의 영향 관계를 간과할 수 없다. 한편, <송도말년의 불가사리>로 대변되는 ‘사극’ 괴수영화가 <우주괴인 왕마귀>와 <대괴수 용가리>를 포괄하는 ‘SF’ 괴수영화로 수렴되어 가던 가운데, 한국과 일본의 영화 교류가 이전에 비해 크게 활기를 띠게 된 환경 하에 <대괴수 용가리>의 제작 과정에서 이례적으로 일본 영화계와의 기술 협업이 이루어졌다. 아울러, 각각의 작품은 국가 주도의 반공적 애국주의, 민족주의 정책이 강화되어 간 1960년대 한국 사회의 시대적 징후를 환기시킨다. 여기에 더하여, 20여년이 지난 시점에서 신상옥 감독의 북한영화 <불가사리>(1985)를 통해 다시 한 번 국제 교류 및 관계성을 드러낸다.

      • KCI등재

        문화 콘텐츠에 재현된 '몬스터' 신화 상상력의 놀이적 기호작용 연구

        표정옥(Pyo Jung-Ok)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서강인문논총 Vol.23 No.-

        본 논의는 현재 우리 어린이 문화에 착종되어 나타나는 ‘몬스터’의 생산적 원리를 신화 상상력과 기호학적인 방법론에 입각해 그 의미작용을 살펴보고자 함이다. 현대의 문화는 어린이와 어른의 영역이 모호해지는 탈경계의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어린이 문화의 몬스터 연구는 일반 문화 현상을 이해하는 디딤돌이 될 것이다. 몬스터 신화 상상력은 일종의 놀이적 기호작용을 거쳐 어린이들을 어른의 세계로 연결시켜 주는 통과제의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몬스터의 세계는 현실의 세계가 아니기 때문에 장 보드리야르가 제시한 시뮬라시옹의 세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그 세계는 텅 비어 있다. 현실과 유사한 혹은 가짜 현실은 늘 흥미진진한 괴물과의 한판 승부를 유도하지만 현실은 이미지화된 시뮬라시옹의 세계와는 전혀 다른 따분한 곳이 되고 마는 것이다. 본 논의는 어린이 매체에 괴물 상상력이 어떠한 기호작용을 거쳐 어른들의 질서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세 가지 방향에서 전개될 것이다. 첫째, 몬스터의 신화 상상력이 어떻게 놀이되고 치유의 과정을 밟아 가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렇다면 어린이 문화매체에 등장하는 괴물들의 상상적 작용이 왜 그로테스크해야 하는지 규명될 것이다. 그로테스크한 이미지는 기존의 견고한 질서를 낯설게 하는 또 다른 해석이 될 수 있다. 이 그로테스크한 이미지는 타자화된 세계를 어린이의 세계로 친밀하게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둘째, 어린이 문화에서 괴물 상상력이 가지는 하이브리드 상상력 즉 잡종화되어가는 현상 과 최근 지구촌화되면서 벌어지는 트랜스컬쳐 상상력에 의해서 괴물이미지가 초국가적인 이미지로 등장하는 것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어린이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이러한 괴물 상상력이 펼쳐지는 공간이 바로 놀이동산이라는 시뮬라시옹의 세계임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놀이동산은 현실과 동떨어진 시뮬라시옹의 공간으로서 현실인 것처럼 보이지만 오히려 현실의 삶을 더욱 대조적으로 만들어 가는 장치이다. 본 논의는 이 세 부분에서 연구된 몬스터 상상력을 통해 현재 어린이 문화의 몬스터의 기호작용을 체계화시켜 보고 이것이 어린이 문화 콘텐츠를 통한 미디어 교육이라는 측면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한다. 또한 놀이의 치유적 가능성을 몬스터 신화 상상력으로 풀어갈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begins with coming into question about the semiotic interpretation of monsters in the children's cultural contents. At present, the children's culture lives with monsters and plays with them. They are beating fear with playing with the monster image, so the present children feel less scare than the past children. The imaged monster seems no horror. In this article, three points of monster will be dealt with. Monster's Imagination is the semiosis of mythical ludic imagination. Through this semiosis, children becomes familiar with adult cultures. The world of monsters is the simulation world of adulthood. The first, the monster image of fable stories are studied. The grotesque monster image of fables stories is the semiosis of defamiliarization. The grotesque is the method to represent the monsters. The children experience the fear of monsters and becomes friends with them. Monsters are the antibody to heal the psychological fear of children. The second, the animations are made up with various monster's image. Hybrid imagination and transcultural imagination are used to make up the new monsters. The reason of creating these new imagination is to understand the multi-cultural stream of the post-modem times. The children can be acquainted with multi-cultural atmosphere. The third, the amusement park are using monster's image very effectively. The amusement park is the simulation of the real world. In this place, paradoxically, the children experience the more freedom and the more creativity than the real world. The amusement park is the false reality, which is a make-believe forgery. In this place, fear can be overcome by an admission ticket. The world of simulation is the semiosis of fear and play. Monster image and mythical imagination can be the method to care for the children's phobia.

      • KCI등재

        뱀[蛇] 서사의 다층성과 문화콘텐츠로의 재현 : 사신(蛇神)과 요괴의 성격을 중심으로

        유형동(Yoo Hyoungdong),이명현(Lee Myeounghy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이 논문은 고전서사에서 나타난 뱀의 다층성을 분석하고, 뱀 서사가 문화콘텐츠에서 요괴로 재현되는 양상을검토한 것이다. 원시적인 사유에서 뱀은 삶과 죽음, 치유, 생명, 생식, 풍요를 상징하는 존재로 여러 문화권에서숭앙받았다. 하지만 상상력의 분화, 신앙과 이데올로기와의 관계 속에서 뱀의 성격은 분화 변화했다. 한국의 경우, 제주도에서 뱀은 부신(富神), 이주신, 질병신 등의 신격(神格)을 지니고 있지만, 김녕사굴 이야기 등에서 보이듯이 요괴의 성격이 공존하고 있다. 현대의 문화콘텐츠에서 뱀은 주로 요괴로 재현되었다. 영화 <디워>에서는 선악을 상징하는 이무기가 각각 등장한다. 악의 이무기는 인간 세계를 위협하고 파괴하는 요괴로 등장한다. 악과 대립하는 선한 이무기가 등장한다는점에서 뱀을 일방적으로 요괴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났지만, 전형적인 선악의 대립을 통해 설화의 세계관을 반복하고 있다. 영화 <퇴마: 무녀굴>에서는 <김녕사굴>과 4 3, 원귀, 무속과 기독교의 대결 등을 통해 요괴를 내부에서 만들어진 사라지지 않는 공포로 설명한다. 악신인 뱀의 초월적 힘이 비극적 역사 속에서 원한을 가진 여성과 결합하여 대를 물려 지속되고 있다. 이 영화에서 요괴는 인간의 폭력성과 이에 대한 분노와 복수를 상징하고 있으며, 역사적 사건을 통해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존재하고 있다. 웹툰 <소녀신선>에 등장하는 깡철이는 앞선 두 작품에서 나타나는 요괴 뱀에 대한 반론의 성격을 지닌다. 깡철이는 신선들에 의해 요괴로 규정되었지만, 어떤 존재보다 따뜻한 내면을 가지고 있다. 깡철이는 까칠한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매력적이고 다정한 이상적남성으로 재현된다. 그가 보여주는 요괴의 환상성은 무의식의 심층에 존재하는 아니무스로 표상된다고 할 수 있다. 문화콘텐츠에서 뱀은 우리 주변에 존재하는 요괴로 나타난다. 뱀으로 표상되는 두려움과 불안, 공포가 우리 주변에 산재한다는 것을 드러내는 하나의 방식이다. 하지만 공포에 매몰되는 것이 아니라 고전서사에 대한 내재된상상력을 바탕으로 재해석함으로써 인간과 요괴의 관계를 성찰하도록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multi-layered nature of the snake in classical narratives and review the patterns of snake narratives being reproduced with monsters in cultural content. Primitive minds worshiped the snake as a symbol of life and death, healing, life force, reproduction, and abundance across different cultural areas. The nature of the snake, however, divided and changed amid the segmentation of imagin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ideology. In Korea, the snake holds divine status as a god of wealth, migration, and illness on the Jeju Island and also has the nature of monsters evidenced in the story of Gimnyeongsa Cave. In modern cultural content, the snake is usually reproduced as a monster. The movie D-War presents monster serpents representing good and evil, respectively. In the movie, the evil monster serpent is depicted as a monster to threaten and destroy the human world and confronted by the good monster serpent. The movie discards the old viewpoint of depicting the snake as a monster unilaterally, but it adopts the typical confrontation structure between good and evil in repeating the world view of tales. In The Chosen: Forbidden Cave, a monster is explained as fear that is created internally and refuses to go away through the Gimnyeongsa Cave, Jeju April 3 Incident, revengeful ghosts, and confrontation between shamanism and Christianity. The transcendent power of the snake as an evil god is combined with a woman holding grudge against someone in tragic history and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In this movie, the monster symbolizes human violence and anger and revenge against it, moving between reality and unreality through historical events. In the webtoon series A Girl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Kkangcheori presents a counterargument to the monster serpents found in these two movies. He is defined as a monster by Taoist hermits with miraculous powers, but he has a warmer heart than anyone else. He is irritable, but he is reproduced as an ideal man that is charming and kind. The fantasy of a monster found in him is represented as animus found in deep unconsciousness. In cultural content, the snake is presented as a monster living around people, which shows that fear, anxiety, and terror represented by the snake is scattered around them. The present study reinterpreted it based on the inherent imagination of classical narratives instead of getting buried in fear and examined relations between man and monster,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 KCI등재

        고구려 귀면문 와당의 형식과 변천

        김희찬(KIM Hee-chan) 고구려발해학회 2009 고구려발해연구 Vol.34 No.-

        본 논문에서는 고구려 귀면문 와당을 대상으로 입의 표현 형태, 혀의 유무, 이빨의 개수 등 개별 문양소들의 변화와 조합관계를 기준으로 삼아 하나의 형식을 분류하고 그 편년안을 살펴보았다. 귀면문 와당의 제작 목적은 일단 벽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상대방을 위압할 수 있는 모습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그런 점에서 귀면의 형상은 입을 최대한 크게 벌리고, 송곳니를 포함한 다수의 이빨을 드러냄으로써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귀면문 와당은 입을 벌리는 정도가 시간성을 반영하는 형태 요소로 설정될 수 있었으며, 입의 표현 형태에 따라 역사다리꼴형이나 장방형 형태로 표현된 것을 Ⅰ식, 족침형 형태로 된 것을 Ⅱ식으로 분류하였다. Ⅰ식 와당은 역사다리꼴+유설+10치인 Ⅰa식, 장방형+유설+10치인 Ⅰb식, 장방형+유설+12치인 Ⅰc식으로 분류되었는데, 그중에서도 Ⅰa식 와당은 평양지역, Ⅰb식은 집안지역에서만 발견되고 있어 평양과 집안이라는 지역적인 특성이 반영되어 있었다. Ⅰa식은 5세기 중엽에서 말엽까지 올라갈 수 있었고, Ⅰb식은 5세기 말엽에서 6세기 초엽 경으로, Ⅰc식은 Ⅱb식 보다 약간 앞서는 형식이기 때문에 6세기 초엽에서 중엽 경으로 비정하였다. Ⅱ식 와당은 Ⅰ식 와당에 비해 출토빈도수가 매우 낮은 것으로 족침형+무설+10치 와당인 Ⅱa식, 족침형+무설+12치 와당인 Ⅱb식, 족침형+무설+13치 와당인 Ⅱc식으로 분류되었다. 그중에서 Ⅱa식은 평양지역에서만 발견되는 독특한 형식이라고 할 수 있는데, 눈과 눈썹의 표현 방식이 Ⅰc식의 형태 요소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다. 따라서 Ⅱa식은 Ⅰc식과 Ⅱb식의 특징을 모두 공유하고 있는 과도기적 형식으로 파악되어 6세기 중엽에서 말엽에 이르는 시기로 비정되는 Ⅱb식 보다는 약간 앞선 6세기 중엽을 전후한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Ⅱc식은 가장 대형 와당으로 귀면문 와당의 크기가 소형에서 대형으로 진행된다는 점, 연주문이 표현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가장 늦은 시기의 와당으로 판단되며, 그 시기는 연화문 와당에서 연주문이 시문되는 7세기대로 파악하였다. In this thesis I have examined the roof-end tiles with monster-mask design of Koguryo to classify the types through the changes and combinations in each design elements like expression mode of mouth, presence of tongue, number of teeth. The purpose to product the roof-end tiles with monster-mask design is focused on getting rid of the demons. So the roof-end tiles with monster-mask are displayed to threaten the demons. To showing off it’s toughness, monster-mask opened it’s mouth as big as possible, showed many teeth include canines. In this respect, the size of monster’s mouth can be set up as elements of mode reflecting product time. I classified the monster mask design as it’s appearance of mouth. So the reverse trapezoid or rectangle shaped roof-end tiles are classified as modeⅠ, foot-pillow shaped roof-end tiles are classified as modeⅡ. ModeⅠ roof-end tiles can be presented as the basic form of monster mask design of Koguryo, because they accounted for the most part of monster mask designed roof-end tiles. These roof-end tiles had different development process. If we consider it, the roofend tiles can be classified like these: (1) reverse trapezoid + having tongue +10chi = Ⅰa; (2) rectangle + having tongue +10chi = Ⅰb; (3) rectangle + having tongue +10chi = Ⅰc. ModeⅠa roof-end tiles are discovered only in Pyeong-yang area and mode Ⅰb roofend tiles are in Ji’an exclusively. So the geographical particularity was reflected in these roof-end tiles. It is the characteristic of modeⅠ roof-end tiles with monster mask that they were colored in red only. From the fact that the color of roof-end tiles with monster mask changed from gray to red, we can assume that it was their transition period. The appearance time of red-colored roof-end tiles with monster mask is presumed in the middle or end of 5th century in Pyeong-yang area and in the early of 6th century in Ji’an area. Consequently we can presume that roof-end tiles with monster mask appeared around the same period. From this viewpoint, it can be asserted that modeⅠa appeared in the middle or end of 5th century, modeⅡa appeared in the early 6th century. ModeⅡ roof-end tiles are relatively rare than modeⅠ and they can be classified as three types: (1) food pillow + having no tongue + 10chi = Ⅱa; (2) food pillow + having no tongue + 12chi = Ⅱb; (3) food pillow + having no tongue + 13chi = Ⅱc. Of the three types, modeⅡa are very peculiar because they discovered only in the Pyeong-yang area. ModeⅡb type connected closely with the roof-end tiles with the combination of lotus and other designs which excavated in Dongdaeja remains. On the assumption that the roof-end tiles with the combination of lotus and other designs prevailed from the middle to the end of 6th century, it can be asserted that modeⅡb type roof-end tiles were prevailed in the same period. In Ji’an, modeⅠc followed modeⅡb type roof-end tiles. In spite of their differences, they share some factors like 12chi teeth and ring type eyebrow. From the fact, it can be conjectured that the appearance time of modeⅠc preceded modeⅡb. And modeⅡb type which appeared only in Pyeong-yang area has share the mode elements of modeⅠ c in the way of representation. Accordingly, this type sharing the characteristics of mode Ⅰc and modeⅡb can be seen as transitional type which appeared in the middle of 6th century. If we admit that the size of roof-end tiles with monster mask developed from small to large, modeⅡc the largest one appeared lately than others. And we can find lotus designed gems on the below of center part of tiles. So if we consider the fact that the lotus designed gems were appeared in 7th century, it is natural that modeⅡc roofend tiles were prevailing in 7th century.

      • KCI등재

        괴물의 생물학과 차이의 존재론

        문성균 대동철학회 2024 大同哲學 Vol.106 No.-

        <괴물>은 일상적 질서에서 벗어난 존재로서, 자연의 위반, 오류, 무질서 등으로 나타난 다. 이러한 괴물의 이미지는 근.현대 생물학에서 여전히 보존되고 있다. 근.현대 생물학에 서 괴물은 무엇보다도 정상성과 안정성과 관련된다. 생명체의 정상 형태 또는 생명체에서 보존되는 질서의 안정성은 괴물을 어떤 부정의 대상으로 만든다. 한편, 들뢰즈는 차이의 철학을 저주의 상태에 묶인 차이를 해방하는 기획으로 규정한다. 이러한 기획은 괴물에 대 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차이의 존재론에서 괴물은 정상을 상정하는 비정상이나 질 서를 상정하는 무질서라기보다는 차라리 어떤 이상(anomalie)이다. 이것은 괴물이 유기 체와 동등하게 무한한 변이 가능성을 함축하는 생명의 변이임을 의미한다. 들뢰즈에게서 이러한 생명에 대한 개념은 다양체에서 찾아진다. 다양체는 고전적으로 생명의 규정이었 던 자기-운동에 대한 들뢰즈의 개념이다. 이에 비추어 보면, 유기체와 괴물은 동등하게 생명-다양체의 변이들이다. 하지만 이것이 유기체와 괴물 사이에 어떠한 구별도 없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유기체와 괴물은 하나의 생명체에 대해 형상적으로 구별되는 측면들 이기 때문이다. 모든 생명체는 어떤 측면에서는 유기체적이지만, 다른 측면에서는 어떤 ‘괴물 같음’을 함축하고 있다. 이러한 ‘괴물 같음’은 생명체의 잠재적 이미지에 해당한다. 차이의 존재론이 괴물의 문제에 대해 주는 대답은 괴물이 생명체 안에서 형상적으로 구별 되는 잠재적 이미지라는 것이다. monster is something that deviates from the normal order of things. It manifests itself as a violation error or disorder in nature. This image of the monster is still preserved in modern biology. In modern biology monsters are associated with normality and stability. The normal form of life or the stability of the order preserved in life makes the monster an object of negation. Deleuze, on the other hand, determines the philosophy of difference as a project to liberate difference from its curse. This project also applies to monsters. In the ontology of difference, the monster is an anomaly, rather than an abnormality that assumes normality or a disorder that assumes order. This means that the monster like the organism is a variation of life that implies infinite variability. For Deleuze, this conception of life is found in the multiplicity. The multiplicity is Deleuze’s concept of auto-movement which was the classical characterization of life. In light of this, organisms and monsters are equally variants of the life-manifold.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organisms and monsters. Organisms and monsters are formally distinct aspects of a living thing. All living things are organismic in some ways and monstrous in others. This ‘monstrosity’ corresponds to the virtual image of life. The answer that the ontology of difference gives to the problem of the Monster is that monstrosity is a virtual image that is formally distinct in living th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