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종천,김경모 한국기계가공학회 2015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14 No.1
Optimizing multiple design characteristics which are usually in conflict with each other in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is frequently becoming a critical problem for designers who work in this area.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develop an automated design methodology for optimizing two such design characteristics found in injection-molded parts. A value function based on decision-making theory is used as a means of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 two-characteristic design alternative. Also, a design space reduction algorithm based on Taguchi’s orthogonal arrays is utilized to discover an optimal design alternative. Verification of the developed design methodology is carried out for an actual model with two design characteristics, the weld line and the gate location, to be optimized in computer simulation experiments.
자동차 외판 금형의 기하학적 성형성 평가를 위한 엔빌로우프 곡선의 자동 생성
박종천 金烏工科大學校 1996 論文集 Vol.17 No.-
A Procedure has been developed to generate automatically the envelope curve, that is the section shape of sheet metal deformed by punch during press-working. The procedure generates the envelope curve by following the two steps; first. it computes the deformed sheet shape with considering punch alone. Secondly, it completes the final section shape by modifying parts, of the sheet shape deformed by the punch, which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die. The problem in this study is solved by employing iteratively the common tangents between the successive monotonic curves comprising the punch and die, under simple geometrical criteria. The procedure developed in this work can be directly embedded and applied in various geometrical functions for evaluating press forming severity in car-body stamping dies.
조선시대 典禮論爭에 대한 재평가 : 入承大統의 전례문제를 중심으로
朴鍾天 한국사상문화학회 2001 韓國思想과 文化 Vol.11 No.-
조선시대 전례논쟁에 대한 최근 연구는 17세기 예학시대론을 중심으로 예론의 철학적 배경을 탐색하고 예론과 정치적 성향의 상관관계를 해명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연구 경향을 계승하고 전례논쟁의 문화적 함의를 해독하기 위해서, 유교적 전통사회에 대한 구조적 접근이라는 측면에서 전례논쟁의 구조적 토대와 예론의 이념적 근거, 그리고 禮의 기능과 禮論의 정치적 성향이 이루는 관계 등을 검토하였다. 전례논쟁에서 드러나는 유교적 전통사회의 구조적 토대는 親親과 尊尊, 親屬과 君統의 역동적 긴장관계이며, 그것은 다시 私的 人情과 公的 天理(義理), 仁과 義라는 예론의 이념적 근거와 연결된다. 親親, 親屬을 중요시하는 예론이 대체로 私的 人靑과 仁의 측면을 주목하였다면, 尊尊, 君統을 강조하는 관점은 公的 天理(義理)와 義의 측면을 앞세웠다. 이에 비해 절충론적 예론은 대체로 양자를 병립할 수 있다고 보았다. 정치적 측면에서는 의리명분을 강조하는 예론이 공적 의리를 강조하면서 공론 정치의 정당성을 내세웠다면, 혈연적 관계를 중시하는 예론은 사적 인정을 강조하면서 군주 중심의 정치적 효율성을 주목했다. 이에 비해 절충론적 예론은 군주의 사적 권력 남용을 견제하는 범위 내에서 군주의 정치적 역할을 강화하는 흐름을 보인다. 이러한 정치적 입장은 대체로 각각 군주의 사적 욕망을 절제하는 의례의 규제적 기능 강조, 군주의 혈연적 감정을 드러내는 의례의 표현적 기능 주목, 의례의 규제적 기능과 표현적 기능의 균형 주장 등 禮의 기능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반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