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레비나스와 정치적인 것(2) - 레비나스의 마르크스

        김도형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4

        이번 논문은 ‘레비나스와 정치적인 것’이란 주제 하에서 이뤄지는 2번째 작업으로서, 마르크스에 대한 레비나스의 이해를 살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견, 이 두 사상가를 함께 사유하는 것이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겠다. 레비나스의 주안점이 정치와 역사 너머의 타자 및 그 절대적 타자와 맺는 책임의 관계에 있는 데 반해, 마르크스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 및 그 핵심인 계급 착취의 과정을 분석하고 계급 구조의 변화가 어떻게 사회의 거대한 질적 변화를 추동하는지를 보여주고자 했기 때문이다. 레비나스가 서구 존재론 일반에 대한 급진적인 비평가라면, 마르크스는 자본주의라는 구체적 존재론에 대한 급진적인 비평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존재론에 대한 레비나스의 비판이 자본주의 근대성에 대한 마르크스의 비판과 공명할 순 없을까? 우리는 본 논문을 통해, 레비나스가 마르크스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더 정확히는 레비나스의 사유가 어떤 면에서 마르크스의 사유와 닿아 있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이렇게 레비나스의 사유를 마르크스의 사유와 관련짓는 것은 그들 사이의 유사점을 밝히는 일일 뿐 아니라 더욱이는 레비나스의 사유가 어떻게 또 어떤 방식으로 마르크스의 사유를 이어받고 또 새롭게 갱신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우리는 자유주의 너머, 이론 너머의 실천이라는 2가지 관점에서 레비나스의 마르크스를 검토할 것이다. 그런 후 레비나스와 마르크스를 토대로 자신의 철학을 개진했던 해방철학자 엔리케 두셀의 논의를 간단히 살핌으로써, 레비나스적 마르크스주의가 어떤 모습일 수 있는지를 가늠해 볼 것이다. 우리가 주목하는 대목은 두셀이 레비나스의 윤리와 마르크스의 실천을, 레비나스의 존재론 비판과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비판을 연결 지어 사유한다는 점이다. 우리는 두셀이 강조하는 마르크스의 ‘산 노동’개념을 고찰함으로써, 레비나스의 윤리적 사유가 마르크스의 정치적 사유를 새롭게 해석하고 이해하는 데 기여하는 방식의 일면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the second in a series on “Levinas and the Political”, and aims to examine Levinas’s understanding of Marx. It may seem strange to think of these two thinkers together. This is because Levinas’s focus was on the relationship of responsibility to the Other and its absolute alterity beyond politics and history, while Marx wanted to analyze modern capitalist society and the processes of class exploitation at its core, and show how changes in class structure drive massive qualitative changes in society. If Levinas is a radical critic of Western ontology in general, then Marx is a radical critic of the specific ontology of capitalism. Can Levinas’s critique of ontology resonate with Marx’s critique of capitalist modernity?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how Levinas understands Marx, or more precisely, in what ways Levinas’s thought touches Marx’s thought. Relating Levinas’s thought to Marx's is not only an attempt to reveal the similarities between them, but also to understand how and in what ways Levinas’s thought can inherit and renew Marx’s thought. We will examine Levinas’s Marx from two perspectives: beyond liberalism and practice beyond theory. Finally, we will briefly examine the work of Enrique Dussel, a liberation philosopher who drew on Levinas and Marx to develop his own philosophy, to get a sense of what Levinasian Marxism might look like. We will note that Dussel connects Levinas’s ethics with Marx’s praxis, and Levinas’s critique of ontology with Marx’s critique of capitalism. By examining Dussel’s emphasis on Marx’s concept of “living labor”, we will see some of the ways in which Levinas’s ethical thought contributes to a new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Marx’s political thought.

      • KCI등재

        『마르크스로 돌아가다 』의 철학과 경제학

        정성진,서유석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5 No.4

        This article reviews the South Korean edition of Zhang Yibing’s Back to Marx (2018). Zhang notes that the book aims to realize the slogan, ‘Return to Marx’, which Chinese Marxists advocated in the 1990s. Zhang describes the transformations of the philosophical discourses latent in Marx’s economic research by applying the method of “textology”. Zhang argues that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Marx’s philosophical thought, which is characterized by several leaps and breaks, presupposes the understanding of progress in Marx’s economic research. According to Zhang, the “social materialism” of Classical Economics played a crucial role in Marx’s “revolution of philosophy”. Zhang also argues that the most developed version of Marx’s philosophical thought can be found in his “historical phenomenology” of “Versachlichung”. However, when Zhang describes Marx’s philosophical thoughts culminating in “Marxist Philosophy” or “Scientific Socialism” as the “Absolute Truth”, it runs the risk of identifying Marx with Marxism. In fact, far from completing this philosophy, Marx criticized and superseded it around 1847 when he published Poverty of Philosophy. Nevertheless, Zhang’s book wonderfully demonstrates the vitality and relevance of Marx’s philosophy after the bankruptcy of Stalinist Dialectical Materialism. The publication of the Korean edition of Zhang’s book will be a crucial moment for the revival of Marx’s philosophy in South Korea, where it has been equated with Stalinism and become extinct since the latter’s demise in 1991. 이 논문은 장이빙의 <마르크스로 돌아가다: 경제학적 맥락에서 고찰한 철학 담론> 의 한국어판을 검토한다. 장이빙은 이 책의 목적이 “텍스트학의 기초 위에서 마르크스의 경제학 연구에 담겨 있는 잠재적인 철학적 담론의 전환을 묘사함으로써1990년대 중국 마르크스주의 연구가 응당 제기해야 하는 구호, 즉 마르크스로 돌아가다”를 실현하는 데 있다고 말한다. 장이빙에 따르면 마르크스의 철학 사상의 전개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마르크스의 경제학 연구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예컨대 장이빙은 마르크스의 ‘철학 혁명’에서 고전파 경제학의 ‘사회적 유물론’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 장이빙은 또 ‘사물화’(물상화)의‘역사현상학’을 마르크스 철학의 핵심으로 제시한다. 하지만 장이빙이 절대 진리로서 마르크스주의 철학을 전제하고, 마르크스의 철학 사상의 전개 과정을 이를 향해계속 발전해 나아가는 진화론적 과정으로 묘사하는 것, 즉 마르크스와 마르크스주의를 동일시하는 것은 문제적이다. 장이빙의 주장과는 반대로, 마르크스는 <철학의빈곤>(1847) 이후 철학 자체를 비판하고 지양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장이빙의책은 스탈린주의 변증법적 유물론의 파산 이후에도 마르크스주의 철학이 마르크스자신의 텍스트의 재독해에 기초해 구성될 수 있음을 보였다는 점에서 획기적 의의를 갖는다. 이 책의 한국어판 출판은 소련 붕괴 후 황폐화된 한국의 마르크스주의철학에 재흥의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논문 : "물신" 개념의 탄생과 철학적 전화에 대한 일고찰 -K.Marx 『자본』 이전의 개념사를 중심으로-

        이병태 ( Byeong Tae Lee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1 시대와 철학 Vol.22 No.3

        ``물신``은 마르크스의 사상을 집약적으로 함축하는 중요한 개념 가운데 하나로 현대적인 맥락에서 재해석하고 재조명할 만한 가치를 지닌다. 무엇보다 마르크스 최후의 역저 『자본』을 통해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소외, 이데올로기 등의 주요 개념들, 그리고 사적 유물론의 전제 등을 수렴하는 개념적 지위를 갖기 때문이다. 아울러 물신은 마르크스의 초기 저작부터 『자본』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개념이며, 『자본』에 담긴 마르크스의 철학적 사유로 이끄는 중요한 통로다. 물신 개념의 발전적 해석을 위해 의미 있는 탐구의 방법 가운데 하나는 개념사의 추적이다. 마르크스의 물신 개념은 『자본』 이전 청년기에 이미 수용되었고 아울러 그가 창조한 용어도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개념이 어떻게 탄생하였고, 어떤 지성사의 전통에 놓여 있었는지를 추적하는 마르크스 이전의 개념사적 연구와 마르크스 자신에게서 물신 개념이 어떻게 정립되었는지 추적하는 『자본』 이전의 개념사적 연구는 마르크스 물신 개념의 차별성을 규명하고, 아울러 마르크스 자신의 이론사에서 유관 개념과 어떠한 수렴적 연관을 맺는지를 해명하는 데 중요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무엇보다 『자본』에 내함된 철학적 지평의 재발견을 위해 의미 있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Fetis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in Marx` thoughts, because it implies and converges in itself the essential ideas of Marx, for example, ``alienation``, ``ideology``, etc. Moreover, it represents the full-fledged philosophical conception, making an genuine appearance for the first time in the latest writing, Das Kapital and being used from earlier works to later achievements of Marx. So it deserves to be re-interpreted in the contemporary context. For this reinterpretation, a tracing the conceptual history of ``fetish`` is the senseful way of inquiry, because that concept isn`t invented by Marx and changed from time to time in Marx` own history of thoughts. This inquiry should be made up in two directions, one is a tracing the conceptual history of pre-Marx and the other is a tracing the conceptual history of pre-Kapital in Marx himself. The former can explain how that concept is formed, the later can shows us how ``fetish`` becomes the main philosophical idea in Marx` thoughts. Besides It helps the distinction of Marx` ``fetish`` to be investigated and the relation between ``fetish`` and the other main ideas of Marx to be cleared. Eventually, it gives us the meaningful clues that lead to refinding the genuin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Das Kapital.

      • KCI등재

        어떤 맑스인가?

        박영신(Yong-Shin Park)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8 현상과 인식 Vol.42 No.3

        이 글은 맑스가 세상에 태어난 지 2백돌이 되는 이 해 봄에 그의 학문 유산을 되새기기 위하여 한국인문사회과학회/「현상과인식」이 연 학술 모임에서 내가 발표했던 것을 다시 고쳐 쓴 것이다. 여기에는 ‘나 자신의 이야기’와 ‘그의 이론 논의’ 이 두 부분이 함께 들어있다. 먼저, 겉으로는 ‘자유 민주주의’라고 하면서도 우리나라에서 맑스를 금해온 것, 기대치 않게 아메리카 대학에서 맑스의 생각을 만나게 된 것, 그리고 루카치와 알뛰세르에 이르는 맑스주의자들의 생각과 종교, 새 계급, 생태와 같은 문제에 대한 맑스의 생각을 내가 다룬 몇몇 논문을 떠올린다. 그 다음, 맑스의 이론을 점검하면서 학문과 사회 세계에서 누구도 도전할 수 없는 힘을 얻게 된 자연과학과 같이 이의를 달 수 없는 ‘과학’ 체계를 세우고자한 그의 생각을 밝힌다. 이에 터하여, 나는 그러한 결정론에 서 있는 ‘과학’의 주장은 영향력을 잃을 운명을 갖기 마련이라고 보고, 그의 생각에 담긴 ‘예언자의 목소리’가 지식 계급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의 마음에 호소력을 줄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주장한다. 맑스 안에는 한 가지가 아니라 여러 모습이 들어있다는 점을 인정하여, 나는 결정론에 치우친 ‘과학자’ 맑스보다 논쟁을 자아내는 ‘예언자와 같은’ 맑스의 모습을 회복하여 재설정하자는 논지를 제시한다. This is a revised version of the paper which I presented at the conference marking the bicentenary of the birth of Karl Marx on the 26th of May, 2018, organized by the Hyonsang-gwa-insik (The Korean Journal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 the official quarterly periodic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 to revisit his intellectual legacy. This paper consists of two parts: personal and theoretical. First, I describe about the forbidden Marx, in the face of the ostensive ‘liberal democracy’ of Korea, an unexpected encounter with Marx in the United States, and some of my writings on Marx, dealing with the Marxist figures ranging from Lukács to Althusser and with the Marxist ideas on the topics of diverse subjects such as religion, new class, and ecology. Second, reassessing Marx’s theoretical thinking, I note the ‘scientific’ claims of his thinking so heavily influenced by the enthusiasm for building an undisputed ‘scientific’ system just life the natural science, which earned the unchallenged power in intellectual and social world. On this basis, I point out that such a deterministic ‘scientific’ claim has a fate of diminishing impact, and goes on to argue that the ‘prophetic voice’ of his thinking may provide a way forward, for the hearts and souls of not merely knowledge class but of ordinary citizens. Conceding there are more than one singular figure in Marx, I propose to recover and reconfigure the mark of a contentious ‘prophetic’ Marx over a deterministic ‘scientist’ Marx.

      • KCI등재

        생시몽과 마르크스: 공상적, 과학적, 또는 교화적?

        심흥수 ( Heung Soo Sim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論集 Vol.47 No.1

        이 논문은 생시몽과 마르크스의 유사점과 상이점을 비교 분석하면서 이 둘 모두를 공상적이고 교화적인 계몽주의의 유산으로 결론짓고 있다. 마르크스를 19세기 공상적 사회주의자와 근본적으로 다른 혁명이론가로 여기던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마르크스의 이론들이 사회를 재편하려는 생시몽의 사상에서 발전되어 나온 것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논문은 마르크스가 계몽주의 철학자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현실과 동떨어진 사상가라는 사실에 대한 주장 또한 새로운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생시몽과 마르크스의 비교적인 차이점도 물론 다수 적시하였다. 다만 이들 차이점들은 생시몽이 공상적이고 마르크스는 과학적이라는 것을 입증하기 보다는 둘이 다 공히 계몽주의의 유산을 공유하는 공상적이고 교화적인 사상가라는 것을 부각시켜준다. 비교적으로 생시몽은 더 나은 미래의 어떤``상태``를 지향한 반면 마르크스는 노동자들의 단합과 사회전복적 혁명을 향해 나아가는 ``움직임`` 그 자체를 지향하였다고 여겨진다. 또한 각각의 목표를 추구하는 수단에 있어서도 생시몽은 비폭력주의인 반면에 마르크스는 폭력주의인 점이 비교적으로 의미가 있다. 또한 생시몽은 ``엘리트 산업자의 지배로 모든 계층이 생산자로서 이득``을 추구하여 모든 사람을 위한 세상을 꿈꾸었다면 마르크스는 .프롤레타리아가 지배하는 새로운 세상 건설``을 목표로 하였으므로 오직 노동자계급을 위한 혁명을 꿈꾸었다는 것은 둘의 큰 차이로 여겨진다. 즉, 생시몽은 과학자-산업자가 통치하는 새로운 사회를 꿈꾸고 마르크스는 프롤레타리아가 세상을 지배하는 사회를 꿈꾼다고 하는 것이 둘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점이다. 이렇듯 혁명의 주체가 서로 다르다는 점은 둘 사이의 매우 큰 차이점이다. 프랑스대혁명과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상황을 각기 살아간 두 거장은 각각의 환경에서 보다 나은 정치를 지향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생시몽은 과학과 산업 엘리트가 지배하는 세상이 불가피하게 도래할 것이고 그 안에서의 질서와 정의를 추구하고자 하였고 마르크스는 산업혁명으로 나타난 자본주의의 어두운 그림자로부터 보다 나은 사회를 찾아보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결국 이들은 이상주의적 인간관에 함몰되어 현실과 동떨어진 세상을 갈구한 셈이 되었고 빠르게 변하는 불확실한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상상력의 부재 속에서 세상을 이분법적으로 단순화 시키는 오류를 범하였다. 따라서 이들은 공통적으로 유토피아적 자산을 공유한 계몽주의의 후예들이라고 불려지는 것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마르크스의 변화에 대한 관점이나 정부 대신 관리의 부상에 대한 생각, 사회 재조직 계획 등은 생시몽의 그것들에서의 진화의 결과임이 역력하다. 과학적 사회주의 요소라고 주장된 생산자의 낙원이나 프롤레타리아의 공산주의 세상이 공히 실현되기 어려운 유토피아적 요소를 담고 있다. 근원적으로 각각은 불확실한 미래의 도래와 그 때 출현할 예정인 새 인간상을 맞물고 돌아가는 환원적인 논리적 연계고리를 갖고 있다. 생시몽과 마르크스의 이성중심의 계몽주의적 공통성이 여실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의 고민과 노력은 보다 복잡해진 현실세계에서 뛰어난 적응력을 보여주며 변신을 거듭하고 있는 자본주의나 이제 막 어둠에서 벗어나려는 많은 제3세계 국가들에게 여전히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 정의로운 사회에 대한, 그리고 그 사회를 이루기 위한 적절한 정치에 대한 끊임없는 되물음이다. 하지만 이러한 고민은 종종 생시몽과 마르크스와 같이 공상적이고 교화적인 요소를 담고 있는데 그 이유는 현실에 실재하는 한계, 특히 인간 심성에 대한 몰이해와 불확실한 미래상에 대한 상상력의 부재 때문이다. This essay purports to discover commonalities extant in Henri de Saint-Simon and Karl Marx while bearing in mind that the two thinkers markedly differ from each other. It compares and contrasts between the thoughts of Henri de Saint-Simon and those of Karl Marx and argues that both can be rightly called the children of the Enlightenment, exhibiting such characteristics as utopianism and enlightenment. This argument defies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Marx wa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utopian socialists of the nineteenth century, but confirms that Marx too was utopian for many of his revolutionary theories evolved from Saint-Simon``s thoughts on social restructuring and Marx reflected the quest for immutable laws of society just like Saint-Simon, which was a lasting effect of the Enlightenment, the Age of Reason. The essay shows how Marx shares with Saint-Simon the heritage of the Enlightenment. Saint-Simon, on the one hand, tried to discover due just social order in the advent of a scientific and industrial society following the French Revolution. Marx on the other hand, faced with the ill-effects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agonized over a way out from inhumane capitalism. Both producer``s paradise and proletariat``s communist society are not practical but utopian. Marx``s view of change, idea of replacing government with administration, and plan for reorganization of the society evolved from Saint-Simon’s thoughts. However the faults in both Saint-Simon and Marx lie in a circular logic in which the uncertain future and newly born creatures complete a loop. Thereby the fundamental question deals with the advent of a new generation of men, which does not seem to occur any time soon. Their efforts still bear significance not only in the advanced capitalist society but also in the third world countries for they propounded for a just society and the political means through which the society comes into being. These efforts often contain the elements of utopianism and enlightenment as seen in both Saint-Simon and Marx.

      • KCI등재

        마르크스 유물론의 정체성에 관하여 - 『신성가족』을 중심으로 -

        이병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2 시대와 철학 Vol.33 No.4

        This article intends to explore the identity of Marx's materialism hidden behind an excessively firm definition. This could be successfully accomplished by a) tracing the content of materialism that Marx really paid attention to beyond the veil of definitions that were firmly established after Marx’s death, such as ‘dialectical materialism’ and ‘historical materialism’, and by b) examining whether the new critiques of Marx can be responded to by reinterpreting Marx’s own materialism and whether it is still valid as a basis for theoretical and practical reflection and criticism on the present world. This article is limited to a) above, and mainly seeks to explore the identity of Marx’s materialis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Holy Family』, which is rich in Marx’s own thoughts. Marx’s critique of Bruno Bauer in 『The Holy Family』 and the reevaluation of French materialism clearly show where his ultimate interest lies. Marx was relatively indifferent to ‘dialectical materialism’ and ‘material’ as an object of natural science, and concentrated on finding a point in parallel with his own historical materilism in French materialism by preemptively projecting the conception of historical materialism that would be established later. This fact clearly shows that the core of Marx’s thought lies in historical materialism, and that he maintains a certain distance from dialectical materialism, contrary to what is commonly known. 이 글은 지나칠 정도로 확고부동한 사후규정에 가려진 마르크스 유물론의 정체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의도를 지닌다. 이는 a) ‘변증법적 유물론’, ‘역사적 유물론’ 등 마르크스 사후에 강고하게 자리 잡은 규정의 외피 너머 마르크스가 진정 관심을 기울인 유물론의 내용이 무엇인지 추적하는 일, 그리고 b) 마르크스 고유의 유물론을 재해석함으로써 그에 대한 새로운 비판에 응답할 수 있는지, 그리하여 현재의 세계에 관한 이론적·실천적 성찰과 비판의 토대로 여전히 유효한지 살피는 작업을 통해 성공적으로 완수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이 가운데 a)에 국한되며, 마르크스 고유의 사유가 풍부하게 나타나는 『신성가족』 분석을 통해 마르크스 유물론의 정체성을 탐문하고자 한다. 『신성가족』에서 마르크스가 보여준 부르노 바우어에 대한 비판과 프랑스 유물론의 재평가는 그의 궁극적인 관심이 어디에 놓여 있는지 극명하게 보여준다. 마르크스는 ‘변증법적 유물론’, 자연과학의 대상으로서의 ‘물질’ 등에 상대적으로 무관심했으며, 나중에 정립하게 되는 사적 유물론의 구상을 선취하여 투영함으로써 프랑스 유물론에서 그와 상통하는 지점을 찾아 집중했다. 이러한 사실은 마르크스 사유의 핵심이 사적 유물론에 있음을, 아울러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변증법적 유물론에 대해 일정하게 거리를 유지하고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 KCI등재

        Modular, Ultra-compact Marx Generators for Repetitive High-power Microwave Systems

        R. Bischoff,J.-P. Duperoux,S. Pinguet 한국물리학회 2011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59 No.61

        The essential demand for high-power microwave (HPM) devices for both military and civil applications, such as convoy protection and car stopping, requires compact repetitive pulsed-power generators. We report on the latest developments in technology of our balanced, coaxial Marx-type generators, which distinguish themselves by a fundamental modular concept for reasons of scalability. The Marx generators especially make use of inductive charging technology to ensure high repetitive operation. The Marx stages were completely redesigned. The old fibreglass housings have been replaced by new versions made of PVC. All electrical contacts were reworked to minimize the risk of parasitic discharges. Each new elementary stage of the Marx generator finally consists of eight 1.1 nF sector-of-a-cylinder ceramic capacitors in parallel, two charging coils with an optimized inductance of about 18.6 킜 and two halves of the spherical spark gaps. Marx generators with a variable number of stages were assembled and successfully tested up to charging voltages of 50 kV for up to 10 stages and 40 kV for the 20-stage version, respectively. The efficiency as a function of the stage number was investigated and proved to be about 7 % better than with a resistively charged version of ISL Marx generators. Burst mode operation for a duration of 10 s at a pulse repetition frequency of 100 Hz is reported. The recovery time of the spark gap arrangement inside the Marx generators was determined to be of about 4 ms by using nitrogen as the operating gas, indicating the potential of the ISL Marx generators to operate at pulse repetition frequencies of more than 200 Hz. In order to gain an in-depth insight into the behaviour of an inductive Marx generator dur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phases and to derive precise information for the design of future generators, an advanced PSpice simulation model was developed. The breakdown dynamics of the spark gaps was implemented by making use of the Vlastos formula; parasitic effects such as stray capacitances were taken into account.

      • KCI등재

        자본주의, 정의, 그리고 욕망-생산

        윤일환(Ilhwan Yoon) 한국비평이론학회 2012 비평과이론 Vol.17 No.1

        In Specters of Marx, Derrida argues that an adequate critique of the world today must positively appropriate Marx, and yet fundamentally criticize him. His critique of Marx organizes around the central conception of spectrality which is neither living nor dead, neither present nor absent, neither soul nor body, and both one and the other. Derrida claims that in Capital Marx wishes to exorcise the specter of exchange-value from use-value by purifying use-value of commodification. While Derrida argues that Marx wants to chase away ghost, however, he insisted on remaining faithful to and an heir to Marx’s spirit of emancipatory self-critique. He retranscribes Marx’s emancipatory spirit into the project of deconstruction in terms of the messianic justice that like spectrality creates an inexorable fissure or disjointedness at the heart of presence. Derrida’s messianicity is, however, linked to specific and determinate circumstances only as formal conditions of possibility. His analysis does not provide the means for specirying spectrality as a critical category by linking it to social and historical analysis of the empirical phenomena to which his criticism refers. Whereas Derrida locates the emancipatory force in disjointed moment of the messianic justice, Deleuze locates it in the immanent decoding and deterritorialization of capitalism. Following Marx’s analysis of the dynamics of capitalism, Deleuze claims that a wave of decoding and deterritorialization in capitalism frees practices from traditional codes, meanings and qualities. But the emancipatory decoding and deterritorialization effects are always accompanied by opposing recoding and reterritorialization which rebind and rechannel the freed flow onto the family, the State, the nation, and religion. The flows are decoded and axiomatized by capitalism at the same time. Capitalism faces two limits: an absolute, exterior limit that Deleuze calls schizoanalysis and relative, interior limit that is capitalism itself. Capitalist deterritorialization is relative in the sense that whatever capital deterritorializes, it then reterritorializes it. This difference between capitalism and schizoanalysis explains Deleuze’s formula for revolution: we should push it processes of deterritorialization further, not withdrawing from the process but going further to accelerate the process. Revolutionary practice for Deleuze is to push capitalism from a relative deterritorialization to an absolute one.

      • KCI등재

        ‘유일자’의 철학과 사적 유물론의 마주침: 『독일 이데올로기』 3장 ‘성 막스’에 나타난 맑스의 슈티르너 비판

        이병태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통일인문학 Vol.96 No.-

        Marx's Deutsche Ideologie is a well-known, monumental work in which historical materialism was born. Because of this,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Deutsche Ideologie is centered on the chapter titled ‘Feuerbach’, where the description of historical materialism is concentrated. However, the target of the criticism that occupies an overwhelming portion of Deutsche Ideologie is actually Max Stirner. Marx's criticism of Stirner is not only detailed, but also harsh. Therefore, investigating the implications of Marx’s criticism on Stirner is an important matt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Deutsche Ideologie. Stirner imagines complete human liberation and a social state appropriate for it through the philosophy of ‘the Unique(Der Einzige)’. However, in Marx's view, this was based on an unfair preoccupation with the future by arbitrarily imagining a utopia that had not yet sprouted, and it actually blocked urgent practical progress necessary at the time, such as international solidarity of workers. Herein lies the reason why Marx’s criticism of Stirner was so harsh. Therefore, Deutsche Ideologie not only implies the birth of historical materialism, but also clearly shows the identity formation process of Marx's thought. Through Marx's fierce criticism of Stirner, the movement of thought that thoroughly refutes the half-baked radical ideas, which Marx himself once shared, is clearly revealed.

      • KCI등재

        두 개의 마르크스, 이념의 복원과 전술적 교훈

        강신준 ( Shin Joon Gang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5 산업노동연구 Vol.21 No.1

        한국 민주노조운동은 출범 직후 소련의 붕괴로 이념적 목표를 상실하였고 이로 인한 전술적 공백으로 그동안 큰 어려움을 겪어 왔다. 2008년 공황은 이런 어려움에 전환의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마르크스의 귀환으로 이념적 논의가 부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하지만 마르크스를 통한 이념적 논의의 복원에는 중요한 장애요인이 존재한다. 그것은 바로 실패한 마르크스이며 돌아온 마르크스는 결코 실패한 마르크스로의 복원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이들 두 개의 마르크스를 구별하고 실패한 마르크스를 변증법적으로 청산하는 것이 이념적 복원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 글의 문제의식이다. 이 글은 두 개의 마르크스의 역사적 기원을 이론적으로는 프롤레타리아 독재 논쟁에서, 실천적으로는 파리코뮌에 대비되는 소련의 경험을 통해 살펴본다. 이를 통해서 두 개의 마르크스의 구분이 이념적 목표(반의 명제)가 아니라 실천적 수단(합의 명제)에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그것을 구분하는 요소가 생산력과 민주주의라고 정리한다. 그런 다음 이런 전술적 함의가 돌아온 마르크스를 둘러싼 기존의 국내 연구동향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념의 복원을 위한 민주노조운동의 과제가 실천적 수단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정리한다. From the beginning, Korean democratic labor movement has suffered from the loss of strategic goal and the lack of tactical means accordingly because of the collapse of Soviet Union. The crisis of 2008 provided the moment to change this situation. Marx was back and the discussions on strategic goal were revived. But there is an important obstacle to revitalize those discussions. That is just the “failed Marx” of Soviet Union and “returned Marx” as such should not be identical with “failed Marx”. Therefore it is the viewpoint of this paper that the revitalization of the discussions on strategic goal should start from discriminating two Marxs and resolve the confusion between these two. At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controversy on the dictatorship of proletariat between Karl Kautsky and Bolsheviks as the theoretical origin of two Marxs and examines historical experiences of Soviet Union compared with Paris Commune as those practical origin. From these examinations it was concluded that the discrimination of two Marxs lies in the tactical means(Synthesis), not in the strategic goal(Antithesis) and discriminated factor is productive power and democracy. And then this paper examines the domestic arguments on “returned Marx” and concludes that discussion of restoration of strategy in Korean labor movement should be focused on tactical me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