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PR연구의 지적 구조 탐색:『홍보학연구』와 『마케팅관리연구』 비교

        김도희,배지양 한국PR학회 2021 PR연구 Vol.25 No.3

        Objectives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Korean PR research was compared with marketing to evaluate whether Korean PR research has developed after the formal title change of Korean Academic Society for Public Relations. Methods The characters of intellectual structure, core research concepts, and their sub-structures were analyzed with NetMiner 4.4 program. Results 『Journal of Public Relations』와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have expanded the span of research subjects since 2009. The core research concepts of 『Journal of Public Relations』, however, were difference from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The core research concepts in 『Journal of Public Relations』 were ‘PR’, ‘Communication’, ‘Relationship’, ‘Publics’. ‘Brand’, the core concept of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was not the core concept in 『Journal of Public Relations』. ‘PR’ was the discriminate core concept in 『Journal of Public Relations』. 『Journal of Public Relations』 focused on various publics while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focused on consumers. ‘Integration’ was related to mutual orientations in 『Journal of Public Relations』 while to marketing in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Consumer’ was a core research concept in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while not in 『Journal of Public Relations』. Conclusion After the formal title change of Korean Academic Society for Public Relations, Korean PR research has accumulated independent research outcomes in terms of ‘publics’, ‘relationship’, ‘integration’, and ‘consumer’, compared to marketing. 연구목적한국 PR연구가 가진 차별적인 지적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PR학과 가장 많은 중첩논란을 빚는 마케팅학과 비교했다. 특히 한국PR학회 명칭개정 전/후로 나누어 비교함으로써 한국 PR학이 독립학문으로 성장하고 있는지 평가해보았다. 연구방법지식체계의 구조적 특징(연구문제1), 핵심 연구 개념(연구문제2), 핵심 연구 개념의 하부체계(연구문제3)를 알아보기 위해 NetMiner 4.4 프로그램으로 동시출현네트워크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홍보학연구』와 『마케팅관리연구』는 2009년 이후 연구주제의 범위가 확장되었다는 공통점이 있었으나 세부적인차이를 보였다. 『홍보학연구』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개념은 ‘PR’, ‘커뮤니케이션’, ‘관계’, ‘공중’ 등이었고 ‘커뮤니케이션’과 ‘위기’는 『홍보학연구』의 핵심 연구 개념이었다. 『마케팅관리연구』에서 핵심 연구 개념인 ‘브랜드’는 『홍보학연구』에서 14위에 머물렀다.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마케팅과의 독립성을 확인해본 결과, ‘공중’은 PR학의 차별적 개념이었고. PR학에서 ‘관계’는 다양한 공중들과의 관계를 다루지만 마케팅학에서 ‘관계’는 소비자에 집중했다. PR학에서 ‘통합’은 상호지향성이 강한 반면 마케팅에서는 주요 관심사가 아니었다. ‘소비자’는 마케팅에서는핵심 연구대상이었지만 PR학에서는 핵심대상이 아니었다. 결론 및 함의한국 PR학은 2009년 한국PR학회로 명칭을 개정한 이후 마케팅학과는 다른 관점을 견지하면서 ‘공중’, ‘관계’, ‘통합’, ‘소비자’ 등에서 독립적인 연구결과물을 축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농산물브랜드의 MPR전략 연구

        김만기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5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7 No.1

        세계무역기구(WTO) 출범으로 모든 농산물이 수입되고 지방자치단체가 실행되면서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브랜드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 농산물 브랜드의 이미지 전략을 분석하였다. 이 전략은 브랜드 이미지의 본질적인 기능인 브랜드의 네이밍(naming) 법칙, 브랜드의 식별, 생산자의 표시기능, 브랜드의 로열티의 식별, 생산자의 표시기능, 브랜드의 로열티와 연상 이미지 등 브랜드의 가치평가이다. 그리고 브랜드의 파생적 기능인 고객과 브랜드의 접촉전에서 브랜드의 마케팅 PR 전략들이다. 농산물 브랜드의 마케팅 PR 전략이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과 PR수단이 있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구매대중(markets)에게 매체광고, DM, SP, PS 등을 동원한 판매전략을 들 수 있다. 마케팅 PR목표는 퍼블리시티, 대인접촉, 인쇄 PR물, 시청각 PR물을 동원하는 브랜드 마케팅활동이 속할 수 있다. 브랜드 접촉점에서는 브랜드의 관촉행사인 브랜드 미인선발대회, 브랜드 축제 및 품평회, 시식회 및 전시회, 페스티벌 등 같은 시연과 브랜드에 대한 이슈 만들기(key issue) 같은 다양한 브랜드 마케팅 PR 도구들이 구상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브랜드 마케팅 PR전략에는 생산자 조직과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정부의 지원이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이런 뒷받침은 선별 및 표준 규격화된 농산물 브랜드 생산, 유통시설 확충에 따른 정부 지원, 브랜드에 대한 계속적인 PR, 농산물 브랜드의 전문적 관리, 과학 영농과 저장시설, 농산물 브랜드의 시장유통 정보가 지속적이고 시의 적절히 제공, 마케팅 PR의 정치적 이용 배제, 그리고 브랜드에 대한 전문적 마케팅과 PR가 이루어지도록 전문성을 갖춘 인력과 전담부터 설치에 대한 예산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특히나 마케팅과 마케팅 PR 전략 측면에서 전통적인 마케팅 PR전략도 병행하면서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에 걸맞은 디지털 뉴미디어를 이용한 마케팅 PR 전술도 병행되어야 한다. 이런 마케팅 PR(MPR)이 잘 수행될 때만이 경쟁력 있는 파워 농산물 브랜드를 육성할 수 있고 생산자와 유통인에게 보다 보장된 수익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이다. Since Korea became a member of WTO, many agricultural products have been imported into country. As a consequence, local self-governing bodies have been developing many unique new agricultural brands to compete with similar products imported from other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esent condition of agricultural brands,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agricultural brand, and to provide progressive new methods of marketing PR for agricultural brand name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deals with the comparisons of the agricultural brands, in connection with nam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royalties, and associative image, as an intrinsic function of brand marketing PR. It also deals with communications public relation strategies, and customer relations as a derivative function of brand marketing PR. This study provides new methods of agricultural marketing PR strategies. The new methods are systematic, professional, and progressive. This study suggests that those who work in the field of agricultural production and agricultural delivery industries understand that their brands' name is important, and continued local government support is needed. This study shows these new methods of agricultural marketing PR strategies can make it possible for brands to have more valuable.

      • KCI등재

        [연구보고서(Research Report)] 행정마케팅의 도입 방향 및 실행 전략에 관한 연구

        정연승(Jung, Yeon-Sung),김대년(Kim, Dai-Nyeon) 한국마케팅학회 2019 마케팅연구 Vol.34 No.2

        1970년대 코틀러(P. Kotler)의 논의 이래로 공공 영역에 마케팅이 필요하다는 시각이 확산되었지만, 행정마케팅의 실제 선례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 가운데 선거관리위원회는 행정에 마케팅 개념을 도입해 꾸준히 실행해 오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를 학문적으로 체계화하려는 노력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주목하여, 선거관리위원회의 바람직한 홍보평가모델을 수정·정립하는 동시에 향후 선거관리위원회의 홍보 마케팅 전략을 제언하였다. 이를 통해 선거관리위원회와 같이 수요자(국민) 중심 행정을 펼치고 있는 비슷한 유형의 정부 및 공공기관들에게 행정마케팅과 관련하여 다양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2017년 대통령선거 후에 수립된 선거관리위원회 홍보평가모델과 2018년 지방선거 후에 시행된 실제 홍보효과 조사 간 갭(gap)을 분석하였다. 평가모델은 공공기관 PR조직의 성과평가지표 개발과정을 참조하여 투입(input), 산출(output), 생성(outtake), 결과(outcome) 네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2018년에는 지방선거 홍보효과를 선거 전/후 유권자 변화, 개별 홍보활동에 대한 평가, 전반적 홍보활동에 대한 평가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양자를 살펴본 결과, 실제 홍보효과 조사의 평가항목은 주로 평가모델에 기초하여 작성되었고, 평가모델이 제시한 평가기준을 상당부분 충족하고 있었다. 다만 비용과 자원의 제약으로 인하여 실제 조사에서 평가모델의 기준을 모두 반영할 수는 없었는데, 양자 간 차이를 줄이는 노력을 지속한다면 향후 홍보활동 평가와 홍보전략 수립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Since Philip Kotler started to discuss the necessity of marketing in the public sector in the 1970s, its necessity has been widely shared and increasingly recognized. However unfortunately we have found few marketing practices implemented in public administration. Despite the lack of concrete action in “Public Administration Marketing”,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NEC) has continued to adopt the concept of “Public Administration Marketing” and worked hard to academically systemize it in recent years.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nd modify an evaluation model for public relations (PR) and propose a future PR marketing strategy for the NEC. By doing so,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various implications regarding “Public Administration Marketing” for the government and public agencies which provide citizen-orientated services like the NEC. This study mainly analyzes the gap between the PR evaluation model established after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2017 and the PR effectiveness survey conducted after the local elections in 2018. The PR evaluation model consists of four parts; input, output, outtake, and outcome.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PR used during the local elections in 2018 including changes in voters’ consciousness, an evaluation on each individual PR activity as well as the over all PR campaign before and after the elec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ubjects for evaluation in the PR effectiveness survey are made mainly based on the PR evaluation model and largely meet the evaluation criteria suggested in the model. However, due to restrictions regarding cost and resources, this study was not able to apply all criteria of the evaluation model. Nevertheles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to the evaluation of PR activi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PR strategies in the future if the efforts persist to minimize the gap.

      • KCI등재

        소셜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디지털 마케팅 전략 연구 : 올레드TV 글로벌 디지털 캠페인 사례를 중심으로

        손동진,김혜경 한국광고PR실학회 2017 광고PR실학연구 Vol.10 No.2

        디지털 플랫폼에서 소위 1인 미디어로 불리는 인플루언서들의 영향력이 점점 늘어나는추세다. 말 그대로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인 인플루언서 마케팅(Influencer marketing)은 잠재 소비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인플루언서를 찾고, 마케팅 활동을 인플루언서에게 맞춰서 하는 것이다. 이에 기업들은 자사의 디지털 마케팅에서, 인플루언서들을 발굴하고 이들과 관계를 형성하며, 나아가 마케팅 자산으로 활용하려는 다양한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고 있다. 디지털 마케팅의 출발은 콘텐츠를 발굴하는 일이기에, 중립적인 위치에서 잠재 소비자들과 탄탄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인플루언서와의협업은 더욱 신뢰성 있는 마케팅 콘텐츠를 창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오늘날많은 소비자가 기업의 일방적인 메시지 전달보다는 다른 사용자들의 추천에 의해 구매결정을 한다는 결과가 도출됨에 따라, 마케팅 측면에서의 인플루언서는 자신의 콘텐츠를통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변화를 줄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LG전자에서 글로벌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플루언서 공동 마케팅 사례를 기반으로, 인플루언서 마케팅이 어떤 식으로 기획되고 어떤 성과를 도출하는가를 분석했다. 대상이 된 캠페인은 LG전자의 올레드 TV 캠페인으로서, 다수의 인플루언서들을 발굴해 그들과 함께 소비자 지향적인 콘텐츠를 기획하고, 이를 디지털 플랫폼뿐 아니라, 오프라인 영역의 이벤트까지 확대함으로써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영역이 디지털과 오프라인을 넘나들며 성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시사점을 주었다. 본 연구가 아직 학술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 않은 인플루언서 마케팅 분야에 체계적인 방법론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동시에,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염두에 둔 기업과 광고 종사자들에게 실무적인 지침이 되기를 기대한다. Recently, digital influencers who have their own followers in SNS platform such as YouTube, Instagram and Facebook are increased. The terminology, ‘Influencer Marketing’ means a marketing activities that utilize personal influences on the people who are exposed to the SNS platform. Planning an influencer marketing is a series of activities of identifying, making relationship and collaborating with the influencers. The marketers’s goal is to develop a contents with influencers and making them as a marketing assets, which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way of conventional marketing practice. In this way, a brand can make its marketing campaign more authentic and reliable in the course of building relationship with influencers. Consumers nowadays tend to be driven by others’ reputations on a products or services rather than maker’s voice from a brand’s end for their decision making. So the former research is based on the fact that influencers can motivate consumers’ preferences on certain products or services as well as influence a brand image. In this study, a case analysis of global influencer marketing of LG Electronics is introduced for in-depth analysis. The study shows how to build a strong contents with appropriate influencers in terms of actual execution and to implicate the performances of the marketing results in the case of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targeting global audiences. The LG OLED digital campaign which was done during march to November 2016, provides a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its marketing planning scheme and performances.

      • KCI등재

        월드컵 스폰서십과 매복마케팅: KTF의 2002 월드컵과 2006 월드컵 기업PR 사례연구

        구윤희 ( Yun Hee Ku ),심재철 ( Jae Chul Shim ) 한국PR학회 2007 PR연구 Vol.11 No.1

        This study compares KTF (Korea Telecom Freetell) official sponsorship of the Korea-Japan World Cup in 2002 with its ambush marketing of the 2006 FIFA World Cup in Germany. We have researched KTF`s sports marketing campaigns and compared the two periods of World Cup sponsorships in 2002 and 2006. This case study provides the rare opportunity since the one Korean mobile company sponsored the World Cup sequentially in a different way. We have examined the corporate public relations, specifically by focusing on the company`s different preparation, process and the end results in 2002 and 2006.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obtain strategic inside information from the company. Also, any news articles related to KTF and the World Cup events from Korean newspapers were qualitatively content-analyzed. We found that KTF campaigned effectively by using a monopolistic position as an official sponsor of the World Cup in 2002. Nevertheless, there was an in-house criticism that KTF`s official sponsorship was not effective compared with its rival company, SK Telecom`s ambush marketing in the same period. Yet, KTF`s ambush marketing in 2006 had great success since it was based on the long-term planning of KTF`s corporate communication. KTF took over SKT`s ambush marketing position in 2006 by winning over the popularity of the Red Devils, red-clad cheerers of the Korean national soccer team.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 official sponsorship with ambush marketing, elaborate a model of corporate sports marketing campaigns, and emphasize long-term planning and ethical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대학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문대학교를 중심으로

        최석현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21

        Marketing communication activities of the college are a kind of communication which not only provides those who are concerned with information on it, but also plays a part in forming its image in the course in which they process the information. For the consumers' recognition of and attitude toward the college influence greatly on its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directly or indirectly. In today's extremely competitive market, in particular, the strategic role and importance of marketing communication draws attention, for it helps the college survive competition by forming its brand image and consolidating its brand loyalty. In this study, the scope of marketing communication activities, affecting the brand image, is limited to the major areas of research on college marketing communication, such as advertisement, brand positioning, creative advertising strategy, brand slogan, marketing PR (Public Relations) activities. As the analytical method, content analysis and empirical analysis are employed. To summarize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s of marketing communication activities on the brand image of the college shows that the activities have partially differentiated influences on the college's brand image. In other research areas, the brand image has turned out to be affected distinctively by such factors as 'educational environments,' 'reputation, fame, history, and tradition,' and 'employment rate'(brand positioning), 'creative concept' and 'advertisement slogan'(creative advertising strategy), 'employment rate' and 'specialization'(brand slogan), 'social contribution' (marketing PR strategy), and the 'college-infrastructure-utilizing' type and the 'utilization of second-hand means' type (marketing PR tactics).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and image and loyalty shows that the former has partially differentiated influence on the latter. The 'reputation of the college' has turned out to be not meaningful to brand loyalty, while 'preference for the college' affects brand loyalty. It is indicated, then, that the positive brand image of the college results in preference for it by students looking for college admission and their loyalty to it after admission. 대학의 마케팅커뮤니케이션 활동은 이해관계자들에게 대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그들이 정보를 처리하는 동안 대학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끼치는 일종의 커뮤니케이션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곧 소비자들이 대학에 지니고 있는 인식과 태도가 대학의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에 직・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경쟁이 심화된 시장에서 대학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브랜드의 이미지 형성과 브랜드 충성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전략적 역할이 점차적으로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범위를 광고를 중심으로 한 브랜드 포지셔닝과 광고표현 전략, 브랜드 슬로건, 마케팅 PR 등으로 정하고 이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대학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은 대학 브랜드 이미지에 부분적으로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포지셔닝은 ‘대학의 교육환경’, ‘대학의 평판・명성・역사・전통’, ‘대학의 취업률’이, 광고 표현 전략은 ‘크리에이티브 컨셉’과 ‘광고 슬로건’, 브랜드 슬로건은 ‘취업률’ 강조와 ‘대학 특성화’ 강조 슬로건 유형이, 마케팅 PR전략은 ‘사회 공헌 활동’ 전략, 마케팅 PR 전술은 ‘대학 인프라 활용형’과 ‘간접 수단 활용형’ 전술이 각각 브랜드 이미지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 간의 회귀분석 결과, 대학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충성도에 부분적으로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평판’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대학의 호감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 브랜드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대학을 선호하여 입학하고 싶은 마음, 입학 후의 대학에 대한 애착도에 대해 높게 평가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키즈마켓에서 아동의 구매유형에 따른 Marketing PR(MPR)의 효과연구

        안보섭(Bo Seob Ann),최승연(Seung Yeon Choi)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2 No.2

        본 연구는 키즈마켓에서 마케팅 PR(Marketing PR, 이하 MPR)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자 이론적인 고찰에만 그치지 않고 MPR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키즈마켓, MPR 전술, 타깃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세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첫째, 아동의 구매유형에 따른 MPR 전술의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둘째, MPR 전술을 푸시(push) 매체 속성을 가진 전술과 풀(pull) 매체 속성을 가진 전술로 나누어 전략적인 접근 방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복수 타깃인 아동을 통해 부모가 MPR에 간접노출 되었을 경우 전달경로에 따른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결과 부모들은 해리스(Harris, 2006)의 MPR전술 중 블로그, 견본배포, 웹 사이트, 보도자료, 전시회, 조사기관 발표자료, 팸플릿, 캐릭터를 키즈마켓에서 효과적이고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아동이 직접 구매하는 경우 부모의 상품태도와 구매의도 모두 푸시(push) 매체 속성을 가진 전술이 더 효과적이며 아동이 간접구매 하는 경우 부모소비자가 반응 단계에 따라 인지하고 태도를 형성하는 데는 푸시(push) 매체 속성을 가진 전술이 효과적이지만 구매의도까지 이뤄질 가능성은 풀(pull) 매체 속성을 가진 전술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아동을 통해 간접 노출되는 경우 전술보다는 전달되는 매체에 대한 인식과 아동의 직접경험 여부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유추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키즈마켓과 MPR의 특성에 따라 세분화하여 전략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키즈마케팅 전략수립에 있어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s based on not only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but also the effect of marketing PR (MPR), in order to provide the practical method for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 marketing PR (MPR) at Kids`Market. It is classified into three parts including Kids`Market, marketing PR (MPR) strategies and characteristics of targets. First of all, by reflecting the complex market structure of Kids`Market, the effects of MPR strategies have been measured according to the purchase types of children. Secondly, MPR strategies for the target consumers have been classified into the push-media strategies and the pull-media strategies, in order to draw the strategic approach. Thirdly, the differences, for the time when the parents are indirectly exposed through their children, have been discussed. The parents can be regarded as the potential targets at Kids`Market, while the children can be regarded as the delivery media. It has been found that eight strategies including blogs, sampling, distribution, website, press data, exhibitions, presentation data by research, institutions, pamphlets and characters are appropriate and effective at Kids`Market. As a result, when the children make the direct purchase at Kids`Market, the parents who are the actual consumers should be subject to the strategies with the push-media characteristics which are regarded as being more effective than those with the pull-media characteristics, in order to recognize the different reflecting stage and form their actions. However, regarding the possibility for the purchase intentions, the strategies with the pull-media characteristics are expected to be more effective. it has been found that the indirect cases exposed to the children and the direct cases exposed to the parents show extremely differences of opinions. It can be assumed that when the parents are indirectly exposed through their children, the recognition of the delivery media and the existence of the children` direct experience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s more than the strategies. It seems that this research is useful for the execution of the specification process as well as the strategic approac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ket and MPR, in order to find the effective connecting point of MPR at Kids` Market.

      • KCI등재

        대학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문대학교를 중심으로

        최석현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1 No.-

        대학의 마케팅커뮤니케이션 활동은 이해관계자들에게 대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그들이 정보를 처리하는 동안 대학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끼치는 일종의 커뮤니케이션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곧 소비자들이 대학에 지니고 있는 인식과 태도가 대학의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에 직・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경쟁이 심화된 시장에서 대학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브랜드의 이미지 형성과 브랜드 충성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전략적 역할이 점차적으로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범위를 광고를 중심으로 한 브랜드 포지셔닝과 광고표현 전략, 브랜드 슬로건, 마케팅 PR 등으로 정하고 이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대학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은 대학 브랜드 이미지에 부분적으로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포지셔닝은 ‘대학의 교육환경’, ‘대학의 평판・명성・역사・전통’, ‘대학의 취업률’이, 광고 표현 전략은 ‘크리에이티브 컨셉’과 ‘광고 슬로건’, 브랜드 슬로건은 ‘취업률’ 강조와 ‘대학 특성화’ 강조 슬로건 유형이, 마케팅 PR전략은 ‘사회 공헌 활동’ 전략, 마케팅 PR 전술은 ‘대학 인프라 활용형’과 ‘간접 수단 활용형’ 전술이 각각 브랜드 이미지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 간의 회귀분석 결과, 대학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충성도에 부분적으로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평판’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대학의 호감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 브랜드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대학을 선호하여 입학하고 싶은 마음, 입학 후의 대학에 대한 애착도에 대해 높게 평가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Marketing communication activities of the college are a kind of communication which not only provides those who are concerned with information on it, but also plays a part in forming its image in the course in which they process the information. For the consumers' recognition of and attitude toward the college influence greatly on its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directly or indirectly. In today's extremely competitive market, in particular, the strategic role and importance of marketing communication draws attention, for it helps the college survive competition by forming its brand image and consolidating its brand loyalty. In this study, the scope of marketing communication activities, affecting the brand image, is limited to the major areas of research on college marketing communication, such as advertisement, brand positioning, creative advertising strategy, brand slogan, marketing PR (Public Relations) activities. As the analytical method, content analysis and empirical analysis are employed. To summarize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s of marketing communication activities on the brand image of the college shows that the activities have partially differentiated influences on the college's brand image. In other research areas, the brand image has turned out to be affected distinctively by such factors as 'educational environments,' 'reputation, fame, history, and tradition,' and 'employment rate'(brand positioning), 'creative concept' and 'advertisement slogan'(creative advertising strategy), 'employment rate' and 'specialization'(brand slogan), 'social contribution' (marketing PR strategy), and the 'college-infrastructure-utilizing' type and the 'utilization of second-hand means' type (marketing PR tactics).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and image and loyalty shows that the former has partially differentiated influence on the latter. The 'reputation of the college' has turned out to be not meaningful to brand loyalty, while 'preference for the college' affects brand loyalty. It is indicated, then, that the positive brand image of the college results in preference for it by students looking for college admission and their loyalty to it after admission.

      • KCI등재

        마케팅 PR 논의의 현황과 연구과제

        김병희 ( Kim Byeong Hui ),서상열 ( Seo Sang Yeol ) 한국PR학회 2003 PR연구 Vol.7 No.1

        This study was peformed to review the literature on concept and meaning of marketing public relations(MPR) which was used for IMC planning and to identify formation, development,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MPR. MPR is a series of public communication act in order to gain credibility on their products and services with consumers and prospects from consumer-oriented viewpoint. in this sense, MPR is intended to achieve outside-in communication, not inside-ou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maximization of the integrated effect between marketing and public relations shall be achieved in planning MPR strategy, as the core of IMC planning lies in whether to emphasize advertisement or to emphasize sales promotion, not whether to advertise or to do sales promotion selectively.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provide meaningful suggestions to PR and marketing practitioners.

      • KCI등재

        인터넷시대 호텔기업 PR의 새로운 역할

        우경진 ( Kyung Jin Woo ) 한국호텔ㆍ리조트ㆍ카지노산학학회 2009 호텔리조트연구 Vol.8 No.2

        The concept of PR (Public Relations) has undergone many changes over the last few decades. Despite its constant change in its practical roles and functions, method of developing PR has not yet met a dramatic improvement. Some claim that this phenomenon is natural, for PR has been adapting to new social changes and therefore lacks consolidation. The key function of PR has shifted from political, ideological conviction to strategic management tactic to effectively manage an private organization`s relations with the public. A rise of new societal medium, such as internet, yet brought a huge revolution to Corporate`s marketing, promotional strategy, pricing scheme, and so forth. Although more and more firms are inclined to take advantage of the internet to enhance PR, only few study has been done to further explore this tendency and phenomenon. However, for industries such as hotels and restaurants which are more sensitive towards brand image and word-of-mouth impacts, utilizing internet as a means of PR is fairly important and vital. This article will, therefore, further examine how the rise of internet affects hotel industry; especially how online reservation has influenced hotel industry. Furthermore, this article also aims to compare the effect of old media and new media as a method of PR. Particularly, this study will look into case studies where hospitality firms have successfully carried their PR via adapting to new trends in modern society, and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is case study in the role of P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